KR102617557B1 -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 Google Patents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557B1
KR102617557B1 KR1020220136549A KR20220136549A KR102617557B1 KR 102617557 B1 KR102617557 B1 KR 102617557B1 KR 1020220136549 A KR1020220136549 A KR 1020220136549A KR 20220136549 A KR20220136549 A KR 20220136549A KR 102617557 B1 KR102617557 B1 KR 102617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water level
water
modu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보정
박혜주
Original Assignee
박보정
박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보정, 박혜주 filed Critical 박보정
Priority to KR1020220136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은 상하로 관통홀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부에 씨앗 또는 모종이 배치되어 성장 및 유지되도록 마련된 다공성 패널부; 및 바닥면과 측면이 형성되어 공간을 이루어 상기 공간에 물 및 토양을 수용하고, 공간의 상부에 다공성 패널부가 안착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홀이 기 설정된 높이를 가지고 배열되어 일정 수위 이상으로 물이 수용된 경우, 물이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위유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GRASS VEGETATION MODULE AND GRASS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을 일정량 저장하여, 건조 시 잔디를 보호하며, 일정 수위 이상으로 물이 수용된 경우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나 골프장의 연못 근처 등은 다량의 강우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해당 지역의 사용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인근 지반의 우수 배출 능력이 원활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가뭄인 경우에도 주변 생육환경의 유지를 위해 물의 저장 능력이 우수해야 한다.
아울러 이 부분에 잔디 등 식물류를 식재하여 녹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식재된 식물류의 성장 및 병충해의 예방을 위하여 물의 저장 능력과 원활한 배수 능력에 대한 요청이 절실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의해 가뭄에도 생육에 필요한 물을 저장할 수 있을뿐만아니라 천연, 인조잔디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배수장치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나 장마나 폭우에서 많은 양이 발생되는 경우 배수의 능력이 떨어지고 더불어 내구성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생육에 사용되는 물은 소량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물이 오랫동안 머물러 있는 경우, 잔디 뿌리가 썩을 수 있으며, 과도하게 많은 경우 공간 상부에서 잔디를 지지하는 패널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가뭄이나 강우 등 환경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발명으로서, 다수의 배수홀이 기 설정된 높이를 가지고 배열되어 일정 수위 이상으로 물이 수용된 경우, 물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은, 상하로 관통홀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부에 씨앗 또는 모종이 배치되어 성장 및 유지되도록 마련된 다공성 패널부; 및 바닥면과 측면이 형성되어 공간을 이루어 상기 공간에 물 및 토양을 수용하고, 상기 공간의 상부에 상기 다공성 패널부가 안착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홀이 기 설정된 높이를 가지고 배열되어 일정 수위 이상으로 물이 수용된 경우, 물이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위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위유지부는, 상기 측면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너비가 상기 측면 하부의 너비가 상기 측면의 상부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유지부는, 상기 측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된 상부벽; 및 상기 상부벽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을 이루고, 상기 배수홀이 형성된 하부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벽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너비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홀은, 상기 하부벽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물이 상기 기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수용되면 외측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유지부는, 상기 바닥면에 상기 기 설정된 높이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된 상기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벽은, 동일한 길이의 면체가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사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요철은 돌기와 홈으로 구성되어, 마주보는 면 중 일면은 돌기가 타면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벽은 모서리에 해당되는 부분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패널부는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잔디 식생모듈; 상기 잔디 식생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는 잔디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잔디모듈은, 소정 높이만큼 기립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해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적어도 상부에 배치되는 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은, 바닥면과 측면이 형성되어 공간을 이루어 공간에 물 및 토양을 수용하는 수위유지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홀이 기 설정된 높이를 가지고 배열됨으로써, 일정 수위 이상으로 물이 수용된 경우, 물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의 다공성 패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의 수위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에서 수위유지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에서 수위유지부의 배수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 복수개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잔디 식생모듈에서 상부벽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8의 잔디 식생모듈 복수개가 결합됨으로 인해 배수공간이 형성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유지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유지부에서 배수홀이 복수개가 마련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모듈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디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디모듈 복수개가 결합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의 다공성 패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의 수위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에서 수위유지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에서 수위유지부의 배수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 복수개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잔디 식생모듈에서 상부벽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잔디 식생모듈 복수개가 결합됨으로 인해 배수공간이 형성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유지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유지부에서 배수홀이 복수개가 마련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식생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모듈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디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디모듈 복수개가 결합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시스템(10)은 크게 잔디 식생모듈(100), 잔디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잔디 식생모듈(100)은 씨앗 또는 모종이 배치되어 성장 및 유지되도록 물 및 토양을 수용하고, 일정 수위 이상으로 물이 수용된 경우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잔디모듈(200)은 상술한 잔디 식생모듈(100)의 상부에서 다양한 형태로 배치됨으로 인해 천연잔디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10)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잔디모듈(200)에 포함되는 잔디는, 잔디 식생모듈(100)의 잔디와 동일한 종류일 수 있으며, 인조잔디(201)로 마련된다 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잔디 식생모듈(100)과 잔디모듈(2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먼저 잔디 식생모듈(100)을 설명한 후 이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고, 잔디모듈(200)과 그 변형예에 대해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잔디 식생모듈(100)은 다공성 패널부(120), 수위유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다공성 패널부(120)는 상부에 씨앗 또는 모종이 배치되어 성장하거나 유지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하로 관통홀(122)이 다수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다공성 패널부(120)는 상부에 씨앗 또는 모종이 배치되어 성장하거나 유지될 수 있다면, 임의의 위치에 하나의 관통홀(122)만을 가지거나 상술한 관통홀(122)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때 수위유지부(140)는 바닥면(146)과 측면이 형성되어 공간을 이루어 상기 공간에 물 및 토양을 수용할 수 있으며, 형성된 공간의 상부에 상술한 다공성 패널부(120)가 안착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수위유지부(140)는 일정 수위 이상으로 물이 수용된 경우, 물이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홀(148)이 기 설정된 높이를 가지고 배열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다공성 패널부(120)의 구조와 다공성 패널부(120)에 형성된 관통홀(122)의 기능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공성 패널부(120)는 후술할 수위유지부(14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패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모서리 부위에는 수위유지부(140)나 후술할 잔디모듈(200)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홀(122)이 마련될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할 수위유지부(140)의 모서리에 삽입홈(141)이 형성된 경우, 다공성 패널부(120)는 삽입홈(141)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120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위유지부(140)나 후술할 잔디모듈(20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120c)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면 원형 또는 다각형태로 변경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다공성 패널부(120)의 테두리는 요철 및 요홈 형상이 순차적으로 형성됨으로써, 기준이 되는 다공성 패널부(120) 사방으로 다른 다공성 패널부(120)가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유지부(140)가 동일한 길이의 면체가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사면체로 형성되고, 요철은 돌기와 홈으로 구성되어, 마주보는 면 중 일면은 돌기가 타면은 홈이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된다면, 다공성 패널부(120)도 수위유지부(14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잔디 식생모듈(100)은 복수개가 종방향 및 횡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패널부(120)의 상부는 씨앗 또는 모종의 뿌리가 수위유지부(140)를 향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과홀(122a)이 배열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공성 패널부(120) 상부에 천연잔디 씨앗이 포설된 경우, 씨앗의 크기가 작으면 통과홀(122a)를 통해 수위유지부(140) 아래로 떨어져서 상술한 공간에서부터 천연잔디가 자랄 수 있다.
이때 배열된 통과홀(122a) 사이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홀(122b)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유지부(140)의 공간과 다공성 패널부(120)의 상부면에 물을 머금을 수 있는 볼 형상의 충진재를 포함하는 토양이 마련된다면, 상술한 연결홀(122b)를 통해 다공성 패널부(120)의 상부면에 마련된 충진재와 수위유지부(140)의 공간에 마련된 충진재를 점접촉 시킴으로써, 공간에 수용된 물이 다공성 패널부(120)의 상부로 이동되어 공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종이 또는 휴지를 상술한 연결홀(122b)에 배치함으로써 수위유지부(140) 공간에 수용된 물을 다공성 패널부(120)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수위유지부(140)가 삽입홈(141), 상부벽(142), 하부벽(144), 바닥면(146), 배수홀(148)을 포함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수위유지부(140)는 측면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너비가 측면 하부의 너비가 측면의 상부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위유지부(140)는, 상부벽(142), 하부벽(1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벽(142)의 측면에는 요철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요철 형상은 수위유지부(140)의 하부벽(144)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부벽(142)의 하부에는, 하부벽(144)이 상부벽(142)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측면을 이루며, 하부벽(144)에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14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벽(144)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너비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148)은 구체적으로 수위유지부(140)의 바닥면(146)이 기 설정된 높이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돌출 형성된 일면에서 상하로 관통된 배수홀(148)인 제1 홀(148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위유지부(140) 바닥면(146) 전체로 뿌리가 내릴 경우 배수가 지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부벽(144)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물이 기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수용되면 외측 하부로 배출되도록 제2 홀(148b)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배수홀(148)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홀(148a)만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홀(148b)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148a) 및 제2 홀(148b)를 모두 포함하여 저장된 물이 일정 수위가 되면 배출되도록 하여, 물이 과도하게 저장 되는것과 저장된 물이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홀(148a) 및 제2 홀(148b)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1 홀(148a) 및 제2 홀(148b)은 바닥면(146)을 기준으로 홀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위유지부는(140)는 다공성 패널부(120)를 장착한 상태에서 다공성 패널부(120)의 상부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다공성 패널부(120)가 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내부에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위유지부(140)의 지지대는 바닥면(146) 일측에서 장착된 다공성 패널부(120)를 향해 돌출되는 기둥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대의 위치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지지대는 수위유지부(140)의 중심에 위치하고, 지지대를 제1 홀(148a)이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수위유지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수위유지부(140)는 삽입돌기(1141), 상부벽(1142), 요철(1143), 절개홈(1144), 배수홀(1148), 지지대(114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6의 수위유지부(140)에서 하부벽과 바닥면은, 도 5를 통해 상술한 수위유지부(140)의 하부벽(144), 바닥면(146)은 그 형상과 기능이 동일, 유사하므로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고, 도 6에서는 도번을 생략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구체적으로 삽입돌기(1141)는 도 5에서 설명한 삽입홈(141) 대신 상부벽(1142)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다공성 패널부(120)에는 삽입돌기(1141)에 대응되는 홀 또는 홈을 마련하여 다공성 패널부(120)와 수위유지부(140)가 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위유지부(140)는 다공성 패널부(120)와의 결합이 용이한 동시에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면 푸시 래치구조, 회전 래치구조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식물의 씨앗이 수위유지부(140) 내부에서 다공성 패널부(120)를 향해 생육되거나, 다공성 패널부(120)의 배치된 씨앗 또는 모종의 뿌리가 수위유지부(140)를 향해 생장하며 다공성 패널부(120)가 수위유지부에서 밀려나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만 있다면 수위유지부(140)와 다공성 패널부(120)간의 결합은 억지끼움 구조, 회전 래치구조, 푸시 래치구조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상부벽(1141)의 측면 일측에는 요철(114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 절개홈(114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수위유지부(140)가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결합될 경우 원활한 유지보수를 위해 이탈 및 조립이 용이할 수 있다면, 요철(1143)과 절개홈(1144)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복수의 수위유지부(140)가 결합될 수 있다면, 요철(1143)과 절개홈(1144)이 하부벽(144)에 마련된다 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상부벽(1142)의 상부 일측에는 안착홈이 형성됨으로써, 수위유지부(140) 복수개를 적층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송 시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벽(1142)의 하부에는, 도 5에서 설명한 하부벽(144)이 상부벽(1142)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측면을 이룬다.
이때 하부벽(144)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너비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설명하는 수위유지부는(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에 다공성 패널부(120)을 장착한 상태에서 다공성 패널부(120)의 상부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다공성 패널부(120)가 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지지대(1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147)가 수위유지부(140)에 마련됨으로써, 다공성 패널부(12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된 상부로 차량이 통행하는 경우에도 바퀴가 빠지거나 사람이 통행 시 안으로 발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지지대(1147)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을 통해 설명하는 배수홀(1148)은 구체적으로 수위유지부(140)의 바닥면(146)에서 기 설정된 높이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돌출 형성된 일면에서 상하로 관통된 배수홀(1148)인 제1 홀(148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홀(148a)을 향해 뿌리가 내릴 경우 배수가 지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수홀(1148)은 제1 홀(148a)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복수개 마련된 제3 홀(148c)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홀(148c)는 바닥면(146)에서 소정 높이 돌출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홀(1148)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홀(148a)만을 포함할 수 있고 제 3홀(148c)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148a) 및 제3 홀(148c)를 모두 포함하여 저장된 물이 일정 수위가 되면 배출되도록 하여, 물이 과도하게 저장 되는것과 저장된 물이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수홀(1148)이 제1 홀(148a) 및 제3 홀(148c)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1 홀(148a) 및 제3 홀(148c)은 바닥면(146)을 기준으로 홀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배수홀(1148)이 상술한 제1 홀(148a), 제2 홀(148b) 및 제3 홀(148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을 통해 설명한 수위유지부는(140)에 포함된 각 구성은 서로 혼용된다 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유지부(140)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로(146a)가 마련될 수 있으며, 배수로(146a)는 중앙측에서 외측 일면을 향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로(146a)는 수위유지부(140)의 저면 일측에 복수개로 마련되는 홈일 수 있으며, 형성된 홈은 중앙측에 배치된 배수홀(148)인 제1 홀(148a)과 연통되어 수위유지부(140) 저면 일단을 향함으로써 배수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상부벽(142)은 구체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면체가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사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벽(142)의 요철은 돌기와 홈으로 구성되어, 마주보는 면 중 일면은 돌기가 타면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벽(142)은 모서리에 해당되는 부분에 삽입홈(141)이 형성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 패널부(120)는 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요철은 상부벽(142)이 아닌 하부벽(144)에 마련된다 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9를 통해 도 6에서 살펴본 수위유지부(140)의 형상을 살펴보면 상술한 상부벽(1142)은 구체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면체가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사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부벽(1142)의 인접한 두 측면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1143)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벽(1142)의 나머지 측면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홈(1144)이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수위유지부(140)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수위유지부(140)에 마련된 요철(1143)이 다른 하나의 수위유지부(140)에 마련된 절개홈(1144)에 맞물리면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요철(1143)과 절개홈(1144)가 상부벽(1142)이 아닌 하부벽(144)에 형성된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유지부(140)의 저면은 일측에 다른 수위유지부(140)가 접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공간이 형성되고 이는 상술한 배수로(146a)와 연결됨으로써 원활하게 배수가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배수공간으로 인해 스프링쿨러를 포함하는 관수시설의 부자재(호스 등)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상술한 제1 홀(148a)은 물을 외부로 배출을 함과 동시에, 잔디의 뿌리가 통과할 수 있다.
즉 잔디의 뿌리가 다공성 패널부(120)를 통과하기 전까지는 배수할 수 있는 역할을 하지만, 잔디의 뿌리가 자라서 제1 홀(148a)를 통과하면 배수 기능이 할 수 없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 홀(148a)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을 자바라 타입의 높이 및 경사 조절부재(14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제1 홀(148a)을 통해 배출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배수 기능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없다면 제1 홀(148a)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46)에 복수개가 배치된다 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높이 및 경사 조절부재(149)를 통해 제1 홀(148a)이 형성된 면의 경사조절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잔디 식생모듈(100)이 경사진 곳에 배치된다 하더라도 제1 홀(148a)의 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균등하게 배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잔디 식생모듈(100)은 다공성 패널부(120)와 수위유지부(140)가 1:1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잔디 식생모듈(100)들을 결합하는 경우 서로 간에 약하게 결합됨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설치된 잔디바닥이 울퉁불퉁하게 마련되고 이로 인해 걸어다닐 때 울렁이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시스템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다공성 패널부(120-1) 하부에 복수의 수위유지부(140-1)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다공성 패널부(120-1)가 다수의 수위유지부(140-1) 전체를 덮음으로써 다수의 잔디 식생모듈(100)들이 연결되었을 때 보다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디 시스템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다공성 패널부(120-2)에 복수의 수위유지부(140-2)가 결합되되, 복수의 다공성 패널부(120-2) 개수는 복수의 수위유지부(140-2) 개수보다 적게 마련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다시 말해서 하나의 다공성 패널부(120-2)가 복수의 수위유지부(140-2)를 부분적으로 걸쳐서 덮도록 마련된다 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수위유지부(140)는 잔디 식생모듈(100) 다수개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경우, 서로 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서로 다른 상기 잔디 식생모듈(100)의 상부벽(142)이나 삽입홈(141)에 각각 고정될 수 있는 커플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후술하기로 한 잔디모듈(2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잔디모듈(200)은 상술한 잔디 식생모듈(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먼저 잔디모듈(200)은 상술한 잔디 식생모듈(100)의 다공성 패널부(12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됨으로써, 잔디 시스템(10)을 구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잔디모듈(20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패널부(120)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잔디 식생모듈(100)의 다공성 패널부(120)에 배열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잔디모듈(200)의 형상, 위치 및 배열은 용도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디모듈(200)은 다공성 패널부(120) 상부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잔디모듈(20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높이만큼 기립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도록 마련되어 잔디모듈(200)이 관통홀(122)을 관통해서 상술한 수위유지부(140)의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잔디모듈(20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높이만큼 기립되는 지지프레임 복수개가 종방향 및 횡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연결 형성된 형태로 마련되어 잔디 식생모듈(1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잔디모듈(200)은 잔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잔디모듈(200)은 인조잔디(201)를 포함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잔디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잔디모듈(200)은 인조잔디(201)가 아니라 잔디 식생모듈(100)의 씨앗 또는 모종과 동일한 종류의 잔디를 포함하여 잔디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나아가 잔디모듈(200)은 상술한 잔디를 제외하고, 요철 형상을 포함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잔디모듈(200)은 상술한 인조 잔디나 천연 잔디 없이, 다공성 패널부(120)의 상부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기립되는 지지프레임과, 상술한 지지프레임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요철을 포함한 잔디보호매트 형태로 마련되어 다공성 패널부(120)에 결합되어 잔디 식생모듈(100)의 잔디를 보호함으로써, 잔디의 생육 및 보호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때 잔디모듈(200)은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요철이 마련됨으로써, 복수개가 종방향 및 횡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잔디 식생모듈(100)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은 수분을 일정량 저장하여, 건조 시 잔디를 보호하며, 일정 수위 이상으로 물이 수용된 경우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잔디 시스템
100: 잔디 식생모듈
120: 다공성 패널부
122: 관통홀 (122a, 122b, 122c)
140: 수위유지부
141: 삽입홈
142: 상부벽
144: 하부벽
146: 바닥면
146a: 배수로
148: 배수홀
148a: 제1 홀
148b: 제2 홀
148c: 제3 홀
149: 높이 및 경사 조절부재
200: 잔디모듈
201: 인조잔디

Claims (10)

  1. 상하로 관통홀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부에 씨앗 또는 모종이 배치되어 성장 및 유지되도록 마련된 다공성 패널부; 및
    바닥면과 측면이 형성되어 공간을 이루어 상기 공간에 물 및 토양을 수용하고, 상기 공간의 상부에 상기 다공성 패널부가 안착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홀이 기 설정된 높이를 가지고 배열되어 일정 수위 이상으로 물이 수용된 경우, 물이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위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위유지부는,
    상기 측면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상기 측면 하부의 너비가 상기 측면의 상부의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되,
    상기 측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된 상부벽 및 상기 상부벽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을 이루고, 상기 배수홀이 형성된 하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식생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벽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너비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식생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하부벽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물이 상기 기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수용되면 외측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식생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유지부는,
    상기 바닥면에 상기 기 설정된 높이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된 상기 배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식생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은,
    동일한 길이의 면체가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사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요철은 돌기와 홈으로 구성되어, 마주보는 면 중 일면은 돌기가 타면은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식생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은 모서리에 해당되는 부분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패널부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식생모듈.
  9.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잔디 식생모듈; 및
    상기 잔디 식생모듈의 상부에 배치되는 잔디모듈을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모듈은,
    소정 높이만큼 기립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고, 동일한 길이의 면체가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사면체인 상기 상부벽의 모서리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적어도 상부에 배치되는 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시스템.
KR1020220136549A 2022-10-21 2022-10-21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KR102617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549A KR102617557B1 (ko) 2022-10-21 2022-10-21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549A KR102617557B1 (ko) 2022-10-21 2022-10-21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557B1 true KR102617557B1 (ko) 2023-12-27

Family

ID=89377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549A KR102617557B1 (ko) 2022-10-21 2022-10-21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557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540Y1 (ko) * 2004-09-17 2004-12-16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벌집형 조립식 저류 식생매트
EP1803697A1 (en) * 2004-10-19 2007-07-04 Omi-Ceramic Co. Ltd. Composite ceramic structur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wall structure using such composite ceramic structure
KR100762203B1 (ko) * 2005-11-09 2007-10-01 석성기업주식회사 잔디 주차장 구조
US20090293350A1 (en) * 2008-05-27 2009-12-03 Fountainhead, Llc Raised bed planter with biomimetic exoskeleton
KR101186358B1 (ko) * 2011-10-27 2012-09-26 홍채호 녹화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물
KR101229871B1 (ko) * 2010-10-26 2013-02-05 대한민국 초본식물의 생육을 위한 다층적층형 조립식 식생 블록
KR20140007679A (ko) * 2012-07-10 2014-01-20 김완진 잔디 테이블
KR101483724B1 (ko) * 2014-08-06 2015-01-19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
US20170013792A1 (en) * 2015-07-15 2017-01-19 Hans Steve Croteau Micro-Biologically Favoring Fungus Based Organic Biocomposite Substrate Having Superior Capillary Dynamics
KR101899720B1 (ko) * 2017-04-27 2018-09-17 이훈재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KR102265550B1 (ko) * 2020-09-18 2021-06-16 주식회사 금룡 연통홀이 형성된 단위 보호유닛을 포함하는 천연잔디 보호매트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540Y1 (ko) * 2004-09-17 2004-12-16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벌집형 조립식 저류 식생매트
EP1803697A1 (en) * 2004-10-19 2007-07-04 Omi-Ceramic Co. Ltd. Composite ceramic structur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wall structure using such composite ceramic structure
KR100762203B1 (ko) * 2005-11-09 2007-10-01 석성기업주식회사 잔디 주차장 구조
US20090293350A1 (en) * 2008-05-27 2009-12-03 Fountainhead, Llc Raised bed planter with biomimetic exoskeleton
KR101229871B1 (ko) * 2010-10-26 2013-02-05 대한민국 초본식물의 생육을 위한 다층적층형 조립식 식생 블록
KR101186358B1 (ko) * 2011-10-27 2012-09-26 홍채호 녹화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물
KR20140007679A (ko) * 2012-07-10 2014-01-20 김완진 잔디 테이블
KR101483724B1 (ko) * 2014-08-06 2015-01-19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
US20170013792A1 (en) * 2015-07-15 2017-01-19 Hans Steve Croteau Micro-Biologically Favoring Fungus Based Organic Biocomposite Substrate Having Superior Capillary Dynamics
KR101899720B1 (ko) * 2017-04-27 2018-09-17 이훈재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KR102265550B1 (ko) * 2020-09-18 2021-06-16 주식회사 금룡 연통홀이 형성된 단위 보호유닛을 포함하는 천연잔디 보호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8892A (en) Connectable nursery box structures having compartmentalizing grids
JP5142498B2 (ja) 草木用の植栽装置と植栽構造
US6178690B1 (en) Plant cultivation mat and method for laying the same
EP0788396B1 (en) Turfing systems for stadia
US6253487B1 (en) Water-storing tray for plant cultivation mat and arrangement thereof
KR100527359B1 (ko) 식물 재배 매트
JP2008043241A5 (ko)
JP2004503257A (ja) 好ましい縁システムを備えたパネルを有したモジュール式緑化屋上
CA2809383A1 (en) Vegetated roof system
KR101898630B1 (ko) 빗물침투와 잔디 고사 방지 잔디 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잔디밭 시공 방법
JP3813934B2 (ja) 緑化体
WO2007069395A1 (ja) 植栽基盤の固定構造
KR102617557B1 (ko)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KR101471062B1 (ko) 벽면 녹화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벽면 녹화 구조물
JP3856681B2 (ja) 植栽トレー
KR102141237B1 (ko) 조립식 식생 수로
JPH0523061A (ja) 匍匐植物保護材
JP2631958B2 (ja) 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多孔質層形成ユニット、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パイプユニット並びにスポーツグラウンドの施工方法
KR20190077822A (ko) 비점 오염 유출 저감과 빗물을 침투 저장하는 천연잔디 식생 보호매트
JP4828928B2 (ja) 植栽コンテナ、植栽ユニット及び植栽設備
KR200220851Y1 (ko) 측면 배수공을 가진 조경용 배수판
KR102490127B1 (ko) 절개지용 식생블록
KR200263943Y1 (ko) 법면보호블록
KR102257452B1 (ko) 이중 사출 잔디 보호 매트 블록
KR102142276B1 (ko) 옥상용 식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