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724B1 -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 - Google Patents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724B1
KR101483724B1 KR1020140101220A KR20140101220A KR101483724B1 KR 101483724 B1 KR101483724 B1 KR 101483724B1 KR 1020140101220 A KR1020140101220 A KR 1020140101220A KR 20140101220 A KR20140101220 A KR 20140101220A KR 101483724 B1 KR101483724 B1 KR 101483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orage
module
eps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권
이성웅
강한민
노희영
최진수
Original Assignee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최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최진수 filed Critical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101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하나의 블록으로 식생모듈과 저류모듈을 모두 구현할 수 있으며, 블록을 EPS재질로 제조하여 건물의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VEGEATION AND STORAGE OF WATER MODULE USING EPS BLOCK}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블록으로 식생모듈과 저류모듈을 모두 구현할 수 있으며, 블록을 EPS재질로 제조하여 건물의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에 따라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는 도시개발사업은 녹지공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생태계 환경을 훼손시킬 뿐만 아니라 도시의 열섬화에 따른 미세한 기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녹지공간 대신 증가된 아스팔트등의 불투수층은 강우가 지하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홍수시 도시의 침수 피해를 가중시키고, 침투되지 못한 강우를 그대로 방류시킴으로써 비강우시에는 물부족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최근들어 이상기후로 인한 집중강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지만 아스팔트와 시멘트로 덮인 도시는 빗물이 스며들고 저장될 수 있는 공원과 녹지는 줄어들어 배수시설만으로는 강우량을 감당하지 못해 종종 홍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피해가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도시개발사업로 인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옥상녹화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옥상녹화사업이란 옥상이나 인공지반구조물 위에 식생모듈이나 저류모듈을 설치하는 사업으로, 식생모듈은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블록이고 저류모듈은 우수를 임시저장할 수 있는 블록이다. 이와 같은 옥상녹화사업은 도시의 열섬현상완화, 홍수방어, 건축물단열, 경창출, 대기질개선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로 인해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옥상녹화사업에 사용되는 식생모듈이나 저류모듈은 그 기능이 다른 구조적 차이로 인해 별도 제작되었기 때문에 생산이나 시공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블록으로 식생모듈과 저류모듈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듈을 EPS재질로 제조하여 건물의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격자형상으로 돌출판과 함몰판이 교번형성되며 상기 돌출판의 저면에는 배수로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판과 돌출판이 만나는 지점에는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는 배수공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우수를 저류하거나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상단에는 결합돌기 또는 결합요홈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측판과, 상기 내부공간을 십자형태로 분할하도록 상기 측판보다 낮게 형성되되, 교차점에는 환형의 지지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의 중앙에는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는 배출공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분할판으로 구성되며, EPS재질로 제조되는 블록본체와; 상기 배수공을 개폐하는 개폐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은 하나의 블록으로 식생모듈과 저류모듈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듈을 EPS재질로 제조하여 건물의 단열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2는 도1의 결합단면도이며,
도3은 도1에 따른 통합모듈이 서로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4은 본 발명인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의 다른 실시예의분리사시도이며,
도5는 도4의 결합단면도이며,
도6는 본 발명인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이 식생모듈로 사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이 저류모듈로 사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2는 도1의 결합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은 블록본체(100)와 개폐캡(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록본체(100)는 바닥판(110), 측판(120) 및 분할판(130)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110)은 격자형상으로 돌출판(111)과 함몰판(112)이 교번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판(110)은 함몰판(112)의 4면에 돌출판(111)이 형성되고 돌출판(111)의 4면에 함몰판(112)이 형성되는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바닥판(110)이 전체적으로 격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함몰판(112)은 함몰에 의한 함몰공간(112-1)이 형성되는 데, 상기 함몰공간(112-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모듈이 저류모듈로 사용될 때 물을 저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판(111)의 저면에는 배수로(111-1)가 형성되어 통합모듈이 설치된 바닥을 유동하는 물이 통합모듈에 간섭되지 않고 상기 배수로(111-1)를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돌출판(111)과 돌출판(111)이 만나는 지점에는 상기 배수로(111-1)와 연통되는 배수공(111-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수공(111-2)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모듈이 식생모듈로 사용될 경우에 통합모듈내의 물이 상기 배수공을 통해 배수로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판(120)은 바닥판(110)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우수를 저류하거나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내부공간(121)을 형성한다. 즉, 상기 측판은 통합모듈의 측면을 마감하는 판으로, 내부에 식생공간 또는 저류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측판의 상단에는 결합돌기(122) 또는 결합요홈(123)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데, 이는 인접하는 통합모듈간의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블록본체의 결합돌기에는 인접하는 블록본체의 결합요홈에 결합되고, 블록본체의 결합요홈에는 인접하는 블록본체의 결합돌기가 결합되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모듈간이 옥상 또는 인공지반구조물에 서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분할판(130)은 내부공간을 십자형태로 분할하도록 상기 측판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분할판(130)은 블록본체(100)의 내구성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통합모듈이 경사면에 설치된 경우 블록본체에 수용된 토양의 중량을 측판과 분산판에 분산시켜 토양을 쏠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분할판(130)의 교차점에는 환형의 지지리브(13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의 중앙에는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는 배출공(13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환형의 지지리브(132)는 작업자의 작업동선이 통합모듈내에 있을 경우 작업자가 블록본체가 밟으면서 작업해야 하는 데 이 때 블록본체의 중앙에 지지력이 높은 환형의 지지리브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환형의 지지리브를 밟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공(132)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모듈이 식생모듈 또는 저류모듈로 사용될 경우 내부공간(121)내의 우수가 분할판을 넘는 경우 상기 배출공을 통해 우수가 배수로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블록본체는 EPS재질(Expandable Polystyrene, 소위 스티로폼으로 불리우는 발포폴리스틸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EPS는 경량이어서 하중에 부담이 없고 특히 단열성이 우수하여 건물내부의 단열에도 탁월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개폐캡(200)은 블록본체의 배수공(111-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합모듈이 식생모듈, 즉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블록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공(111-2)을 사용하지 않고 배수공(112-2)을 개방시킨 후, 상기 내부공간(121)에 생육에 적합한 자연토양 또는 인공토양을 채운 다음 자연식물이나 세덤 또는 현장여건에 따라 지피초화류 등을 혼합하여 식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모듈이 저류모듈, 즉 우수를 임시저장할 수 있는 블록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공(111-2)을 개폐캡(200)으로 밀폐시켜 내부공간(121)을 저류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저류공간에는 화산재등을 충진하여 중량이 가벼운 블록본체가 물에 의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은 하나의 블록본체를 상기 블록본체의 배수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캡을 통해 식생모듈이나 저류모듈로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개폐컵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으로 상기 배수공에 삽입되는 삽입봉(210)과, 상기 삽입봉(210)의 하단을 막는 하판(220)과, 상기 삽입봉(210)의 가장자리에서 측면으로 돌출되어 저면이 상기 돌출판(111)의 상면에 지지되는 지지판(230)을 포함하여 컵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막힌 하판(220)으로 인해 배수공(111-2)이 차단되며, 상기 삽입봉이 중공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중공공간(240)으로 우수가 저류되므로 개폐캡에 의한 저류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230)이 돌출판(111)에 지지되므로 개폐캡(230)이 배수공(111-2)내로 모두 인입되어 개폐캡을 분리하기 어려운 상황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캡(200)은 연결판(300)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되, 상기 연결판(300)은 중간에 상기 함몰판(112)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함몰판(112)에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연결판(300)으로 다수개의 배수공(111-2)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개폐캡(200)이 연결판(3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우수량이 많은 경우 개폐캡(200)의 분실을 차단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도6은 본 발명인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로서, 이를 참고하면 상기 통합모듈은 상기 십자형태의 분할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저류보충함(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류보충함(400)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모듈이 저류모듈로 사용될 경우 블록본체(100)의 내부공간(121)과 더불어 보다 많은 우수를 저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내부에 저류보충공간(410)이 분할판(130) 상측을 따라 십자형태로 형성되도록 사이드판(420)과 하부마감판(430)과 측면마감판(440)으로 구성되고, 하부마감판(440)의 저면에는 하부마감판의 저면이 상기 분할판(130)과 이격되도록 분할판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대(450)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저류보충함(400)에 의하면 우수가 상기 저류보충함에 블록본체의 내부공간(121) 이외에 추가로 저류되고, 저류보충함(400)을 넘치는 우수는 블록본체(100) 내로 낙하한 다음 배출공(132)을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분할판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대(450)가 이격형성됨으로써 하부마감판(440)의 저면이 상기 분할판(130)과 이격되는 데, 이는 블록본체내의 우수가 저류보충함에 간섭되지 않고 자유롭게 유동되어 배출공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하부마감판(440)의 중앙에는 고정핀(P)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고무시트(500)에 의해 은닉되는 유출공(45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공(450)은 강우가 종료된 후 저류보충함에 저류된 우수를 제거할 때 고무시트의 회전을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유출공을 노출시키면 저류보충함에 저류된 우수는 상기 유출공 및 배출공을 통해 배수로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나의 블록으로 식생모듈과 저류모듈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으며, 모듈을 EPS재질로 제조하여 건물의 단열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나아가, 저류보충함을 통해 저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100: 블록본체 110: 바닥판
120: 측판 130: 분할판
200: 개폐캡 300: 연결판
400: 저류보충함

Claims (4)

  1. 격자형상으로 돌출판과 함몰판이 교번형성되며 상기 돌출판의 저면에는 배수로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판과 돌출판이 만나는 지점에는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는 배수공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우수를 저류하거나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상단에는 결합돌기 또는 결합요홈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측판과, 상기 내부공간을 십자형태로 분할하도록 상기 측판보다 낮게 형성되되, 교차점에는 환형의 지지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의 중앙에는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는 배출공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분할판으로 구성되며, EPS(Expandable Polystyrene)재질로 제조되는 블록본체와;
    상기 배수공을 개폐하는 개폐캡과;
    상기 십자형태의 분할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저류보충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저류보충함은 내부에 저류보충공간이 분할판의 상측을 따라 십자형태로 형성되도록 사이드판과 하부마감판과 측면마감판으로 구성되고, 하부마감판의 저면에는 하부마감판의 저면이 상기 분할판과 이격되도록 분할판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대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하부마감판의 중앙에는 고정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고무시트에 의해 은닉되는 유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캡은
    내부가 중공으로 상기 배수공에 삽입되는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의 하단을 막는 하판과, 상기 삽입봉의 가장자리에서 측면으로 돌출되어 저면이 상기 돌출판의 상면에 지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컵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캡은 연결판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되, 상기 연결판은 중간에 상기 함몰판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함몰판에 삽입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


  4. 삭제
KR1020140101220A 2014-08-06 2014-08-06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 KR101483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220A KR101483724B1 (ko) 2014-08-06 2014-08-06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220A KR101483724B1 (ko) 2014-08-06 2014-08-06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724B1 true KR101483724B1 (ko) 2015-01-19

Family

ID=52590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220A KR101483724B1 (ko) 2014-08-06 2014-08-06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7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720B1 (ko) * 2015-08-28 2016-04-22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빗물저류형 저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시스템
CN114269150A (zh) * 2019-09-27 2022-04-01 全晓燦 水培块
KR102617557B1 (ko) * 2022-10-21 2023-12-27 박보정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294U (ko) * 2007-11-02 2009-05-08 정재홍 식생형 호안블록
KR100983707B1 (ko) * 2010-02-22 2010-09-24 삼성물산 주식회사 잔디블록 조립체
KR20100102401A (ko) * 2009-03-11 2010-09-24 김학기 인공지반녹화시스템
KR20130053270A (ko) * 2011-11-14 2013-05-23 이용붕 보온형 식생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294U (ko) * 2007-11-02 2009-05-08 정재홍 식생형 호안블록
KR20100102401A (ko) * 2009-03-11 2010-09-24 김학기 인공지반녹화시스템
KR100983707B1 (ko) * 2010-02-22 2010-09-24 삼성물산 주식회사 잔디블록 조립체
KR20130053270A (ko) * 2011-11-14 2013-05-23 이용붕 보온형 식생블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720B1 (ko) * 2015-08-28 2016-04-22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빗물저류형 저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시스템
CN114269150A (zh) * 2019-09-27 2022-04-01 全晓燦 水培块
CN114269150B (zh) * 2019-09-27 2023-12-15 全晓燦 水培块
KR102617557B1 (ko) * 2022-10-21 2023-12-27 박보정 잔디 식생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잔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724B1 (ko)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
KR101225181B1 (ko)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
EP3011826A1 (en) A green wall and rainwater drainage module and assembly, and a method of draining rainwater
KR200455094Y1 (ko) 초박형 식생유니트
CN104221755A (zh) 一种蓄水种植箱
KR101055566B1 (ko) 친환경 식생옹벽
US107722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in an urban environment
KR101441369B1 (ko)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KR100885004B1 (ko) 초박형 옥상녹화 시스템
KR101614720B1 (ko) 빗물저류형 저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시스템
CN208708230U (zh) 一种绿化装饰幕墙
CN211185107U (zh) 一种园林绿化用绿植箱
CN104285708A (zh) 一种半隔断式屋顶绿化栽培槽
CN204898774U (zh) 一种收集降水用于地表硬覆盖下土壤水补给的装置
KR101364723B1 (ko) 식생용 매트 및 시공방법
DK2755463T3 (en) CONTAINER FOR PLANTING AND CULTIVATION OF PLANTS AND APPLICATION OF THIS
KR20110092103A (ko) 온수배관을 구비한 담수 보도블록
CN202298862U (zh) 透水铺面排水兼储水管体构造
JP4785162B2 (ja) 緑化設備
KR100867645B1 (ko)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
KR102417958B1 (ko) 저류블록이 구비된 플랜터
CN220284675U (zh) 一种保持土体湿度的中央分隔带
JP5486485B2 (ja) 緑化壁用ブロック
CN104272993B (zh) 一种花坛壁防水结构
KR200262743Y1 (ko) 화분형 잔디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