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645B1 -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 - Google Patents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645B1
KR100867645B1 KR1020070037950A KR20070037950A KR100867645B1 KR 100867645 B1 KR100867645 B1 KR 100867645B1 KR 1020070037950 A KR1020070037950 A KR 1020070037950A KR 20070037950 A KR20070037950 A KR 20070037950A KR 100867645 B1 KR100867645 B1 KR 100867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enclosure
rooftop
drain pipe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3762A (ko
Inventor
윤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37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645B1/ko
Publication of KR2008009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에 내린 빗물을 일시 저장해 둠으로써 하천 또는 강의 범람 및 저지대의 침수를 예방하며, 특히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옥상을 녹지화할 수 있게 구성한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은 내부가 빈 구조로서, 상면에는 빗물유입구가 형성되어 상부에 내린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며, 저면에는 옥상 바닥과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받침대가 형성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저면에 연장된 배수관 및, 상기 함체와 다른 함체를 연결할 수 있게 상기 함체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037950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 함체, 배수관, 연결부, 분기관

Description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Rain Container for Roof Gardening}
도 1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빗물저류함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빗물저류함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빗물저류함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빗물저류함이 옥상 바닥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4웨이 분기관이 장착된 빗물저류함의 저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빗물저류함 110 : 함체
111 : 빗물유입구 113 : 월류구
120 : 연결부 121 : 꺾쇠
123 : 홈 130 : 받침대
140 : 배수시설 141 : 분기관
145 : 배수관 146 : 개방된 배수관
148 : 밸브 150 : 필터매트
160 : 조경토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에 내린 빗물을 일시 저장해 둠으로써 하천 또는 강의 범람 및 저지대의 침수를 예방하며, 특히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옥상을 녹지화할 수 있게 구성한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지층이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로 덮이면서, 내린 빗물이 지중으로 유입되지 않고 지층에서 하수구로 유도되어 일시에 하천 또는 강으로 배수된다. 따라서 집중 호우 시에는 하천 또는 강이 범람하거나 또는 배수가 원활하지 않아 역류함으로써 저지대가 침수되기도 한다.
한편, 도시화됨에 따라 지층이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로 뒤덮여 식물들을 식생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해지고, 그에 따라 대기가 심각하게 오염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건물 옥상에 식물을 식생하여 녹지화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은 물론 도시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구현하며, 옥상 아래층의 단열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옥상을 녹지화하기 위해서는 건물 옥상의 방수상태가 가장 중요하다. 옥상의 방수상태가 부실할 경우, 옥상에 깔린 조경토에 저장된 빗물이 서서히 옥상 아래층으로 스며들기 때문이다.
또한 옥상에 조경토를 깔고 식생할 경우에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급수시설이 필요하다.
더불어 하천 또는 강의 범람 및 저지대의 침수를 예방할 정도로 빗물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조경토의 양이 많아야 하지만, 옥상에 많은 조경토를 깔기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조경토의 양이 많으면 하중의 증가로 구조보완이 필요하고, 조경토의 양이 많아진 만큼 저장된 빗물의 양이 많아져 옥상의 방수 조건이 보다 완벽하게 갖춰져야 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조경토의 아래에 위치하여 조경토를 통과한 빗물을 저장함으로써, 조경토에 식생하는 식물에 급수할 수 있으며, 또한 빗물만을 별도로 저장함으로써 많은 양의 빗물을 저장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조경토의 양은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은 내부가 빈 구조로서, 상면에는 빗물유입구가 형성되어 상부에 내린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며, 저면에는 옥상 바닥과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받침대가 형성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저면에 연장된 배수관 및, 상기 함체와 다른 함체를 연결할 수 있게 상기 함체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받침대의 바깥 측면으로 돌출된 꺾쇠로서, 상기 꺾쇠의 안쪽으로 다른 함체의 받침대가 끼워져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함체의 저면에는 복수 방향으로 분기된 분기관이 연통되고, 상기 배수관의 양단이 2개의 함체의 분기관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기관에 연결된 배수관 중 어느 한 배수관은 그 일단이 분기관에 연결되지 않고 개방되며, 상기 어느 한 배수관에 밸브가 장착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빗물저류함의 저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빗물저류함들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빗물저류함의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빗물저류함이 옥상 바닥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4웨이 분기관이 장착된 빗물저류함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100)은 육면체 구조의 함체(110)로서, 함체(110)의 상면에 빗물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배수시설(140)이 구비되며, 측면으로는 다른 함체(110)와 연결되도록 연결부(120)가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함체(110)들은 연결부(120)에 의해 평면적으로 연 결되고 그 아래에는 배수시설(140)이 구비된 상태로, 옥상 바닥에 위치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는 육면체의 구조로서, 빗물유입구(111)가 함체(110)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함체(110)의 측면 상단에는 월류구(113)가 다수 개 형성되며, 저면에는 배수시설(140)이 장착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시설(140)은 함체(110)의 저면에 연통되며 다수 방향으로 분기된 분기관(141)과, 2개의 함체(110)에 연통된 분기관(141)에 양단이 끼워져 연결되는 다수 개의 배수관(145)들을 포함한다. 또한 도 3에 보이듯이, 상기 배수관(145)들 중에는 일단이 분기관(141)에 연결되지 않고 개방된 배수관(146)이 한 개 이상 위치하며, 개방된 배수관(146)에는 배수관을 개폐하는 밸브(148)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배수시설에 따르면, 모든 함체(110)는 배수관(145)에 의해 연결되며, 개방된 배수관(146)의 밸브(148)를 잠그면 전체 배수관(145)은 폐쇄되어 함체(110) 및 배수관(145)에 빗물이 저장되지만, 밸브(148)를 열면 함체(110) 및 배수관(145)에 저장된 빗물은 개방된 배수관(146)을 통해 배수된다.
한편, 함체(110)의 저면 양측에는 받침대(130)가 평행하게 위치한다. 상기 받침대(130)는 함체(110) 저면에 설치되는 배수시설(140)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평행하게 위치한 받침대(130) 중에서 어느 한 쪽의 받 침대에는 바깥방향으로 절곡된 꺾쇠(121)가 형성되고, 상기 다른 한 쪽의 받침대에는 상기 꺾쇠(121)의 두께만큼의 홈(12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꺾쇠(121)와 홈(123)은 함체(110)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20)로서, 한 함체(110)의 꺾쇠(121)를 다른 함체(110)의 홈(123) 안쪽에 대응시킨 후에 다른 함체(110)의 받침대(130)가 꺾쇠(121)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누르면, 꺾쇠(121)에 다른 함체의 받침대(130)가 끼워져 측방향으로 함체(110)들이 연결된다. 이때 홈(123)의 깊이는 꺾쇠(121)의 두께를 보상함으로써, 연결된 다수 개의 함체(110)는 그 바닥이 평탄하다.
이와 같이 연결된 다수 개의 함체(110)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로 연결된 상태로 옥상 바닥에 놓인다. 도 3에 보이듯이, 함체(110)를 사각형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함체(110)의 위치에 따라 분기관(141)을 3웨이 분기관(141a)을 사용하거나 또는 4웨이 분기관(141b)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함체(110)를 세로방향으로 연결한 후에 연결된 함체(110)들을 가로방향으로 배열하였을 때에,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는 함체(110)들 중에 양단에 위치한 함체(110)에는 4웨이 분기관(141b)을 설치하여 세로방향으로 연결된 배수관을 따라 유동하는 빗물이 가로방향으로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유동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세로방향으로 연결된 함체(110)들 중 안쪽에 위치한 함체들은 3웨이 분기관(141a)이 설치된다.
한편, 가로방향으로 연결된 배수관 중에 맨 끝단에 위치한 배수관은 개방된 배수관(146)으로서, 가로방향으로 연결된 배수관을 따라 유동한 빗물이 옥상으로 배수된다. 하지만, 평상시에는 개방된 배수관(146)에 장착된 밸브(148)를 잠금으로써, 저장된 빗물이 배수되지 않는다.
또한 가로방향으로 연결된 배수관(14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30)에 형성된 홈(131)을 통해 지나간다.
이와 같이 연결된 함체(110)들을 옥상 바닥에 위치하고, 함체(110)의 상면에 필터매트(150)를 깐 후에 조경토(160)를 덮고 식생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의 빗물 저장 및 배수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개방된 배수관(146)의 밸브(148)를 잠근 상태에서, 비가 내리면 빗물은 조경토(160)와 필터매트(150)를 적시고, 아래로 흘러내린다. 흘러내린 빗물은 함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빗물유입구(111)를 통해 함체(110) 내부로 유입된 후 배수관(145)을 통해 유동하지만, 개방된 배수관(146)의 밸브(148)가 잠겨 있기 때문에, 배수관(145)부터 빗물이 채워진다. 빗물이 배수관(145)을 채운 후에 함체(110) 내부에 계속해서 저장되는데, 수위가 점차 높아져 월류구(113) 이상이 되면 빗물이 월류구(113)를 통해 범람하게 된다. 범람한 빗물을 건물 자체에 설치된 배수시설을 통해 배수된다.
이와 같이 함체(110)에 빗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비가 그치고 날씨가 맑아지면, 저장된 빗물이 증기상태로 증발하거나 또는 펌핑에 의해 상부에 덮인 조경토(160)에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기상예보를 통해 집중호우가 예상될 경우에 사용자는 개방된 배수 관(146)의 밸브(148)를 열어 함체(110) 및 배수관(145)에 저장된 빗물을 방류한다. 방류된 빗물은 건물 자체에 설치된 배수시설을 통해 배수된다. 이와 같이 함체(110)의 빗물을 방류하여 비워둠으로써, 우천시에 다량의 빗물을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은 내린 빗물을 일시 저장해 둠으로써, 하천 또는 강의 범람 및 저지대 침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은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옥상의 식물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옥상에 식생된 식물을 위한 별도의 급수시설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은 그 상면에 조경토가 위치함에 따라 옥상에 조경토만을 덮은 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방수의 조건이 까다롭지 않고 소량의 조경토가 소요되기 때문에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1. 내부가 빈 구조로서, 상면에는 빗물유입구(111)가 형성되어 상부에 내린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며, 저면에는 옥상 바닥과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받침대(130)가 형성된 함체(110)와,
    상기 함체의 저면에 연장된 배수관(145) 및,
    상기 함체와 다른 함체를 연결할 수 있게 상기 함체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110)의 저면에는 복수 방향으로 분기된 분기관(141)이 연통되고, 상기 배수관(145)의 양단이 2개의 함체(110)의 분기관(141)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받침대(130)의 바깥 측면으로 돌출된 꺾쇠(121)로서, 상기 꺾쇠(121)의 안쪽으로 다른 함체의 받침대가 끼워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141)에 연결된 배수관 중 어느 한 배수관(146)은 그 일단이 분기관에 연결되지 않고 개방되며, 상기 어느 한 배수관에 밸브(148)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
KR1020070037950A 2007-04-18 2007-04-18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 KR100867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950A KR100867645B1 (ko) 2007-04-18 2007-04-18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950A KR100867645B1 (ko) 2007-04-18 2007-04-18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762A KR20080093762A (ko) 2008-10-22
KR100867645B1 true KR100867645B1 (ko) 2008-11-10

Family

ID=4015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950A KR100867645B1 (ko) 2007-04-18 2007-04-18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6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78B1 (ko) * 2011-11-28 2013-12-10 박병훈 홍수 예방을 위한 다목적 저류조와 빗물 유입 구조
KR101472449B1 (ko) * 2014-03-11 2014-12-15 (주)허니컴테크 건축물 옥상 저류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996A (ko) * 2000-10-30 2001-02-05 유연실 빗물 집수 재활용 시스템
KR20040089309A (ko) * 2003-04-11 2004-10-21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66934B1 (ko) * 2003-12-27 2006-03-31 주식회사 오륙개발 녹지조성용 블록
KR100725029B1 (ko) 2006-08-10 2007-06-07 주식회사환경과생명 옥상녹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996A (ko) * 2000-10-30 2001-02-05 유연실 빗물 집수 재활용 시스템
KR20040089309A (ko) * 2003-04-11 2004-10-21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66934B1 (ko) * 2003-12-27 2006-03-31 주식회사 오륙개발 녹지조성용 블록
KR100725029B1 (ko) 2006-08-10 2007-06-07 주식회사환경과생명 옥상녹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762A (ko)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899B1 (ko) 지하수 확보 기능이 향상된 측구 겸용 친환경 집수정 및 그것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친환경 도로 구조물
EP3011826A1 (en) A green wall and rainwater drainage module and assembly, and a method of draining rainwater
KR101461655B1 (ko)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CN210226354U (zh) 一种用于房屋顶板景观的渗排水结构
KR101010730B1 (ko) 녹화용 식생패널
KR20110072559A (ko) 집수 우수를 인공함양하기 위한 시스템
KR100867645B1 (ko)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
JP2007071019A (ja) 雨水の貯水施設
KR101019776B1 (ko) 식생블록의 수분공급 시스템
US20090285632A1 (en) Water conserv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KR20180022012A (ko) 에코 도시 조경시스템
KR100729389B1 (ko)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CN213086850U (zh) 一种预制装配式水工挡土墙
CN102776989B (zh) 疏导式楼顶排水装置
KR101230730B1 (ko)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JP4472501B2 (ja) 雨水等貯留用ユニットと該雨水等貯留用ユニットを用いた緑化設備並びに地下貯水設備
JP2005120658A (ja) 雨水等の貯水施設
CN206844095U (zh) 网格型雨水排水与收集系统
CN106869236B (zh) 一种海绵城市雨水收集系统用卧式调蓄罐及其施工方法
CN103938807A (zh) 一种绿色生态环保屋顶及其施工方法
CN105862969B (zh) 集水构件及用于坡体道路的雨水收集净化系统
AU2004205094B2 (en) Storage System for Water
KR101878286B1 (ko) 분할 조립형 pc 블록을 갖는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CN203821546U (zh) 一种生态雨水井构造
KR101716268B1 (ko) 상부녹화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