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655B1 -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655B1
KR101461655B1 KR1020140063138A KR20140063138A KR101461655B1 KR 101461655 B1 KR101461655 B1 KR 101461655B1 KR 1020140063138 A KR1020140063138 A KR 1020140063138A KR 20140063138 A KR20140063138 A KR 20140063138A KR 101461655 B1 KR101461655 B1 KR 101461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rainwater storage
plate
compartmen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권
이성웅
강한민
윤주영
이일환
Original Assignee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윤주영
이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윤주영, 이일환 filed Critical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063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Sewag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빗물저류함을 설치하여 빗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게 구성됨으로써 도시홍수를 방지하고 빗물저류함의 상측으로 마련된 식물식재함에 식생식물을 식재하여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휴식처를 제공함과 동시에 환경오염물질을 감소시키고 빗물저류함의 빗물 일부를 빗물재사용탱크로 저장하였다가 비강우시 식생식물에 물을 공급하여 오랫동안 녹지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GFREENIZATION SYSTEM FOR FLOOD PREVENTION}
본 발명은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저류함을 설치하여 빗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게 구성됨으로써 도시홍수를 방지하고 빗물저류함의 상측으로 마련된 식물식재함에 식생식물을 식재하여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휴식처를 제공함과 동시에 환경오염물질을 감소시키고 빗물저류함의 빗물 일부를 빗물재사용탱크로 저장하였다가 비강우시 식생식물에 물을 공급하여 오랫동안 녹지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에 따라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는 도시개발사업은 녹지공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생태계 환경을 훼손시킬 뿐만 아니라 도시의 열섬화에 따른 미세한 기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녹지공간 대신 증가된 아스팔트 등의 불투수층은 강우가 지하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홍수시 도시의 침수 피해를 가중시키고, 또한, 침투되지 못한 강우를 그대로 방류시킴으로써 비강우시에는 물부족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이상기후로 인한 집중강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지만 아스팔트와 시멘트로 덮인 도시는 빗물이 스며들고 저장될 수 있는 공원과 녹지는 줄어들어 배수시설만으로는 강우량을 감당하지 못해 종종 홍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피해가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그에 따라 국가 또는 지자체에서는 법률과 조례를 개정하여 종합운동장, 실내체육관, 공공청사의 신ㆍ중ㆍ개축 때는 빗물이용시설을 설치ㆍ운영해야하며, 빗물이용시설의 설치를 권고하거나 관리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빗물이용시설 설치에 따른 요금감면 및 설치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 홍수를 예방하기 위해 배수시설을 증설시키는 방법은 고비용이 소요되지만 집중강우가 아닌 평상시에는 상당부분이 활용되지 않아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76707호에는 집수된 빗물을 정화하는 정화장치와 상기 정화장치에서 정화된 빗물이 유입되는 저류장치를 포함하는 우수 저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류장치는 정화된 빗물이 유입되도록 일측에 유입구가 구비되고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정류시키도록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반원형상의 판으로 구성된 정류수단이 구비되며 상부에 내부 유지보수를 위해 맨홀이 구비되어 있는 제1 저류조와 상기 제1 저류조와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제1 저류조에서 정류된 빗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며 상부에 내부 유지보수를 위해 맨홀이 구비되어 있는 제2 저류조 및 상기 제2 저류조의 일측에 구비되어 정류된 빗물을 재사용하게 되는 배출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시스템의 저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우수를 정화하여 저류시키는 장점은 있지만 아스팔트와 시멘트로 덮인 도시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아스팔트와 시멘트를 걷어내고 땅속에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비용측면에서 비효율적이며 특히 토지가 부족하고 높은빌딩이 밀집한 대도심지역에 적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빗물저류함을 설치하여 빗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게 구성됨으로써 도시홍수를 방지하고 빗물저류함의 상측으로 마련된 식물식재함에 식생식물을 식재하여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휴식처를 제공함과 동시에 환경오염물질을 감소시키고 빗물저류함의 빗물 일부를 빗물재사용탱크로 저장하였다가 비강우시 식생식물에 물을 공급하여 오랫동안 녹지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다수의 배수구가 형성된 상부식물식재함과, 내면 상단부를 따라 상기 상부식물식재함 바닥면의 가장자리가 안착 지지되는 지지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식물식재함이 상측으로 적층되게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배수구를 통해 낙하되는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중앙에 상기 빗물저장공간의 빗물의 배수량을 조절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배수조절수단이 설치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단부 외측을 따라 다수의 월류구가 형성되는 하부빗물저류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식물식재함은 상부바닥판과 상기 상부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부측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배수구는 거름망을 통해 마감되고, 상기 상부측판은 상부측판의 모서리부분을 대각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상부측판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대각지지판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바닥판의 상면에는 격자형상의 상부구획판이 배치되어 상부구획판의 내부에 다수의 상부구획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빗물저류함은 하부바닥판과 상기 하부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하부측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측판에는 상기 배출구에서 시작되고 하부측판의 중앙 부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수되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로가 형성되고, 하부측판의 모서리부분을 대각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하부측판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대각지지판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바닥판의 상면에는 격자형상의 하부구획판이 배치되어 하부구획판의 내부에 다수의 하부구획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수조절수단은 상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측에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로 그 직경이 작아지는 깔대기 형상의 오리피스배수구로 구성되되, 상기 오리피스배수구는 배출구의 직경을 달리하게 다수개로 마련하여 상기 배출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빗물저장공간에서 배출되는 빗물의 배수량을 조절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오리피스배수구의 내측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여과망이 설치되며, 상기 오리피스배수구의 외면에는 외주를 따라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오리피스배수구가 상기 배출구에 끼워지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배출구의 저면 외측에 걸림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월류구에는 다수개의 월류조절판이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어 상기 월류구를 통해 월류되는 빗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가변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월류구의 상측 전면에는 월류조절판의 양측단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고, 월류구의 양단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 월류조절판의 양단이 끼워져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이동되는 상하이동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빗물저류함의 양측에는 암결합구 및 수결합구로 이루어진 체결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결합을 통해 인접하는 하부빗물저류함가 연속적으로 나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되, 상기 수결합구는 그 단부가 양측으로 확장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결합구는 상기 걸림부가 상부 또는 하부 측에서 끼워지도록 내벽이 양측으로 확장된 대응걸림홈이 형성되어 서로 상하로 끼워짐이 가능하고, 측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빗물저류함은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하부빗물저류함의 측면에는 인접하는 하부빗물저류함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는 배수부가 녹아웃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부가 녹아웃되어 이탈된 배수공에는 배수관이 결합되어 인접하는 하부빗물저류함을 서로 연결하여, 다수개의 하부빗물저류함이 연통되게 구성되며, 상기 나열된 하부빗물저류함 중 말단의 하부빗물저류함에는 빗물재사용탱크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은 상부식물식재함에 식생식물을 식재하여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휴식처를 제공함과 동시에 환경오염물질을 감소시키고, 상기 상부식물식재함의 하부에 하부빗물저류함을 설치하여 상부식물식재함에서 배수되는 빗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게 구성됨으로써 도시홍수를 방지하며, 하부빗물저류함의 빗물 일부를 빗물재사용탱크로 저장하였다가 비강우시 식생식물에 물을 공급하여 오랫동안 녹지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에서 배수조절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에서 월류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에서 배수조절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7 내지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에서 월류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녹지하부, 대상지, 지반, 옥상 및 건물의 사이 등에 빗물저류함을 설치하여 빗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게 구성됨으로써 도시홍수를 방지하고 식물식재함에 식생식물을 식재하여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휴식처를 제공함과 동시에 환경오염물질을 감소시킬 수 있게 구성된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부식물식재함(100)과 하부빗물저류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상부식물식재함(100)은 식생식물을 식재하여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휴식처를 제공하기 위해 구성되는 부분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재공간(S1)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다수의 배수구(1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식물식재함(100)은 식재공간(S1)에 토양층(10)을 형성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게 구성되고,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110)를 통해 상부식물식재함(100)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식재공간(S1)의 하부에는 토양층(10)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도시된 부직포를 깔아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식재공간(S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천연여재가 적층되어 형성된 수직흐름 여재층을 마련하여 식재공간(S1)으로 유입된 빗물에 포함된 슬러지, 부유물질을 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토양층(10)을 거친 빗물은 오염물질이 걸러지면서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환경오염물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식물식재함(100)은 상부바닥판(101)과 상기 상부바닥판(101)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부측판(10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110)는 거름망(111)을 통해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측판(102)은 상부측판(101)의 모서리부분을 대각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상부측판(101)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대각지지판(120)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바닥판(101)의 상면에는 격자형상의 상부구획판(130)이 배치되어 상부구획판(130)의 내부에 다수의 상부구획공간(131)이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식물식재함(100)은 대각지지판(120)을 통해 상부측판(102)의 지지력이 보강되어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고, 상기 상부구획판(130)을 통해 형성된 상부구획공간(131)에 토양이 구획 수용되어 토양이 측판에 가하는 압력이 현저하게 감소되기 때문에 상부식물식재함(100)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빗물저류함(200)은 상기 상부식물식재함(100)에서 배수되는 빗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게 구성됨으로써 도시홍수를 방지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내면 상단부를 따라 상기 상부식물식재함(100) 바닥면의 가장자리가 안착 지지되는 지지단턱(210)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식물식재함(100)이 상측으로 적층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빗물저류함(200)의 상측으로 상기 상부식물식재함(100)이 적층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상부식물식재함(100)의 배수구(110)에서 배출되는 빗물이 중력에 의해 하부빗물저류함(200)으로 유입 저장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빗물저류함(200)은 내부에 상기 배수구(110)를 통해 낙하되는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공간(S2)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중앙에 상기 빗물저장공간(S2)의 빗물의 배수량을 조절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배수조절수단이 설치되는 배출구(2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식물식재함(100)의 배수구(110)에서 배출되는 빗물은 상기 빗물저장공간(S2)으로 유입 저장된 다음, 배출구(220)를 통해 적정량 배출되게 함으로써, 도시홍수를 방지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빗물저류함(200)은 그 상단부 외측을 따라 다수의 월류구(230)가 형성된다. 즉, 하부빗물저류함(200)의 내부로 빗물저장공간(S2)을 용량을 초과하는 량의 빗물이 유입되었을 때, 상기 월류구(230)를 통해 하부빗물저류함 내부의 빗물이 월류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빗물저류함(200)은 하부바닥판(201)과 상기 하부바닥판(201)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하부측판(20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측판(201)에는 상기 배출구(220)에서 시작되고 하부측판(202)의 중앙 부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220)를 통해 배수되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로(2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배출구(220)로 유입된 빗물이 상기 배수로(240)를 통해 하부빗물저류함(200)의 외측으로 배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빗물저류함(200)은 하부측판(202)의 모서리부분을 대각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하부측판(202)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대각지지판(2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바닥판(201)의 상면에는 격자형상의 하부구획판(260)이 배치되어 하부구획판(260)의 내부에 다수의 하부구획공간(26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부구획판(260)을 통해 형성된 하부구획공간(261)에 빗물이 항상 일정부분 수용되어 하부빗물저류함(200)에 항상 일정량의 빗물이 저장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조절수단은 상측에 유입구(310)가 형성되고 하측에 유출구(320)가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로 그 직경이 작아지는 깔대기 형상의 오리피스배수구(30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리피스배수구(300)는 배출구(320)의 직경을 달리하게 다수개로 마련하여 상기 배출구(2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빗물저장공간(S2)에서 배출되는 빗물의 배수량을 조절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배수구(300)의 내측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여과망(33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배수구(300)의 외면에는 외주를 따라 걸림돌기(340)이 형성되어, 오리피스배수구(300)가 상기 배출구(220)에 끼워지면 상기 걸림돌기(340)이 상기 배출구(220)의 저면 외측에 걸림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빗물저류함(200)에 형성된 상기 월류구(230)에는 다수개의 월류조절판(231)이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어 상기 월류구(230)를 통해 월류되는 빗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가변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월류구(230)의 상측 전면에는 월류조절판(231)의 양측단이 투입되는 투입구(232)가 마련되고, 월류구(230)의 양단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투입구(232)로 투입되는 월류조절판(231)의 양단이 끼워져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이동되는 상하이동홈(233)이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월류구(230)의 상측 전면에 형성된 투입구(232)에 월류조절판(231)의 양단을 밀어 투입시킨 다음, 상하이동홈(233)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시켜 월류구(230)에 월류조절판(231)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월류구(230)에 결합되는 월류조절판(231)의 갯수를 조절하여 월류구(230)의 면적을 조절하여줌으로써 월류구(230)를 통해 월류되는 빗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빗물저류함(200)의 양측에는 암결합구(270) 및 수결합구(280)로 이루어진 체결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결합을 통해 인접하는 하부빗물저류함(200)가 연속적으로 나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녹지하부, 대상지, 지반, 옥상 및 건물의 사이의 면적에 따라 설치하고자 하는 너비 만큼 상측에 식물적재함(100)이 적층된 하부빗물저류함(200)을 연속적으로 나열 설치되게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결합구(280)는 그 단부가 양측으로 확장된 걸림부(281)가 형성되고, 상기 암결합구(270)는 상기 걸림부(281)가 상부 또는 하부 측에서 끼워지도록 내벽이 양측으로 확장된 대응걸림홈(271)이 형성되어 서로 상하로 끼워짐이 가능하고, 측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빗물저류함(200)은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하부빗물저류함(200)의 측면에는 인접하는 하부빗물저류함(20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수관(400)이 연결될 수 있는 배수부(290)가 녹아웃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부(290)가 녹아웃되어 이탈된 배수공(291)에는 배수관(400)이 결합되어 인접하는 하부빗물저류함(200)을 서로 연결하여, 다수개의 하부빗물저류함(200)이 연통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나열된 하부빗물저류함(200) 중 말단의 하부빗물저류함에는 빗물재사용탱크(500)가 연결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빗물재사용탱크(500)는 하부빗물저류함(200)에서 공급받은 빗물을 저장해 두었다가 비강우 일수가 일정기간 지속되었을 때 미도시된 관수펌프를 가동하여 노즐로 빗물을 상부식물식재함(100)에 분사하여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빗물재사용탱크(500)를 통해 비강우시 식물에 물을 공급하여 오랫동안 녹지공간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은 상부식물식재함에 식생식물을 식재하여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휴식처를 제공함과 동시에 환경오염물질을 감소시키고, 상기 상부식물식재함의 하부에 하부빗물저류함을 설치하여 상부식물식재함에서 배수되는 빗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게 구성됨으로써 도시홍수를 방지하며, 하부빗물저류함의 빗물 일부를 빗물재사용탱크로 저장하였다가 비강우시 식생식물에 물을 공급하여 오랫동안 녹지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토양층
100: 상부식물식재함 110: 배수구
120: 대각지지판 130: 상부구획판
200: 하부빗물저류함 210: 지지단턱
220: 배출구 230: 월류구
240: 배수로 250: 대각지지판
260: 하부구획판 270: 암결합구
280: 수결합구 290: 배수부
300: 오리피스배수구 400: 배수관
500: 빗물재사용탱크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다수의 배수구가 형성된 상부식물식재함과, 내면 상단부를 따라 상기 상부식물식재함 바닥면의 가장자리가 안착 지지되는 지지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식물식재함이 상측으로 적층되게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배수구를 통해 낙하되는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중앙에 상기 빗물저장공간의 빗물의 배수량을 조절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배수조절수단이 설치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단부 외측을 따라 다수의 월류구가 형성되는 하부빗물저류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식물식재함은 상부바닥판과 상기 상부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부측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배수구는 거름망을 통해 마감되고, 상기 상부측판은 상부측판의 모서리부분을 대각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상부측판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대각지지판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바닥판의 상면에는 격자형상의 상부구획판이 배치되어 상부구획판의 내부에 다수의 상부구획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빗물저류함은 하부바닥판과 상기 하부바닥판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하부측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측판에는 상기 배출구에서 시작되고 하부측판의 중앙 부분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수되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로가 형성되고, 하부측판의 모서리부분을 대각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하부측판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대각지지판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바닥판의 상면에는 격자형상의 하부구획판이 배치되어 하부구획판의 내부에 다수의 하부구획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조절수단은 상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측에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로 그 직경이 작아지는 깔대기 형상의 오리피스배수구로 구성되되,
    상기 오리피스배수구는 배출구의 직경을 달리하게 다수개로 마련하여 상기 배출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빗물저장공간에서 배출되는 빗물의 배수량을 조절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오리피스배수구의 내측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여과망이 설치되며,
    상기 오리피스배수구의 외면에는 외주를 따라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오리피스배수구가 상기 배출구에 끼워지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배출구의 저면 외측에 걸림 고정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구에는 다수개의 월류조절판이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어 상기 월류구를 통해 월류되는 빗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가변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월류구의 상측 전면에는 월류조절판의 양측단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고, 월류구의 양단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 월류조절판의 양단이 끼워져 상하방향으로 가이드 이동되는 상하이동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빗물저류함의 양측에는 암결합구 및 수결합구로 이루어진 체결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결합을 통해 인접하는 하부빗물저류함가 연속적으로 나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되,
    상기 수결합구는 그 단부가 양측으로 확장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결합구는 상기 걸림부가 상부 또는 하부 측에서 끼워지도록 내벽이 양측으로 확장된 대응걸림홈이 형성되어 서로 상하로 끼워짐이 가능하고, 측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빗물저류함은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하부빗물저류함의 측면에는 인접하는 하부빗물저류함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는 배수부가 녹아웃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부가 녹아웃되어 이탈된 배수공에는 배수관이 결합되어 인접하는 하부빗물저류함을 서로 연결하여, 다수개의 하부빗물저류함이 연통되게 구성되며,
    상기 나열된 하부빗물저류함 중 말단의 하부빗물저류함에는 빗물재사용탱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KR1020140063138A 2014-05-26 2014-05-26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KR101461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138A KR101461655B1 (ko) 2014-05-26 2014-05-26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138A KR101461655B1 (ko) 2014-05-26 2014-05-26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655B1 true KR101461655B1 (ko) 2014-11-21

Family

ID=5229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138A KR101461655B1 (ko) 2014-05-26 2014-05-26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65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30Y1 (ko) * 2015-04-28 2015-12-21 주식회사 블루하이텍 조립식 빗물정원블록
CN106358652A (zh) * 2016-08-25 2017-02-01 四川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水灾后韭菜快速恢复生产工艺
KR101804351B1 (ko) * 2016-01-11 2017-12-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옥상경사를 고려한 저류판
CN109997559A (zh) * 2019-04-30 2019-07-12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楼顶绿化种植盘
KR20230057160A (ko) 2021-10-21 2023-04-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열저감요구도 대응형 옥상녹화 모듈
KR102603781B1 (ko) 2023-06-19 2023-11-17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과 이를 활용한 인공지반 녹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3280A (ja) * 2005-06-08 2008-12-04 ペー.エム.エム.、ホフ、ホールディング、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植物エイド、集水シート、および、集水方法
KR101315283B1 (ko) * 2013-01-11 2013-10-08 주식회사 가드닝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3280A (ja) * 2005-06-08 2008-12-04 ペー.エム.エム.、ホフ、ホールディング、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植物エイド、集水シート、および、集水方法
KR101315283B1 (ko) * 2013-01-11 2013-10-08 주식회사 가드닝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30Y1 (ko) * 2015-04-28 2015-12-21 주식회사 블루하이텍 조립식 빗물정원블록
KR101804351B1 (ko) * 2016-01-11 2017-12-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옥상경사를 고려한 저류판
CN106358652A (zh) * 2016-08-25 2017-02-01 四川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水灾后韭菜快速恢复生产工艺
CN109997559A (zh) * 2019-04-30 2019-07-12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楼顶绿化种植盘
KR20230057160A (ko) 2021-10-21 2023-04-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열저감요구도 대응형 옥상녹화 모듈
KR102603781B1 (ko) 2023-06-19 2023-11-17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과 이를 활용한 인공지반 녹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655B1 (ko)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JP6536689B2 (ja) 開孔浸透灌漑排水管及び密封式全自動浸透灌漑雨水回収全方位型プランタ
US8535533B2 (en) Bioretention system with high internal high flow bypass
US8911626B2 (en) Bioretention system with internal high flow bypass
US10696573B2 (en) Tree box filter with hydromodification panels
US9469981B2 (en) Fixture cells for bioretention systems
US9506233B2 (en) Stormwater treatment system with gutter pan flow diverter
US20110186492A1 (en) Stormwater treatment system with two chamber treatment container and overflow tray
KR101728208B1 (ko)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KR101701387B1 (ko) 빗물 침투 시설
EP3011826A1 (en) A green wall and rainwater drainage module and assembly, and a method of draining rainwater
CN111350233A (zh) 一种北方地区田间大棚区雨洪资源利用装置及构建方法
US11479487B2 (en)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with internal bypass
US8602681B1 (en) Modular storm water infiltration apparatus
JP4472501B2 (ja) 雨水等貯留用ユニットと該雨水等貯留用ユニットを用いた緑化設備並びに地下貯水設備
KR20180016224A (ko) 그레이팅룸이 구비된 수 처리 장치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가 결합된 다양한 수공간/수경 시설물의 시공법
JP2005120658A (ja) 雨水等の貯水施設
US20220268008A1 (en) Modular rain garden system
JP2003113625A (ja) 雨水貯水用タンク
CN209025237U (zh) 车库顶板分区排水结构
JP201124701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KR100945595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1327393B1 (ko) 단위 블록식 우수 저류조
JP2006141309A (ja) 緑化基盤システム及び緑化基盤システムの施行方法
CN214347485U (zh) 一种喷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