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283B1 -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 Google Patents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5283B1 KR101315283B1 KR1020130003468A KR20130003468A KR101315283B1 KR 101315283 B1 KR101315283 B1 KR 101315283B1 KR 1020130003468 A KR1020130003468 A KR 1020130003468A KR 20130003468 A KR20130003468 A KR 20130003468A KR 101315283 B1 KR101315283 B1 KR 1013152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nting
- reservoirs
- water
- planting soil
- reservo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otan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식재 모듈은, 바닥판과 바닥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와 펜스의 안쪽에 마련되는 저수실을 갖는 저수조와, 받침판과 받침판의 하면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와 받침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와 펜스의 안쪽에 마련되는 식재토 수용실을 갖는 식재 블록과, 저수실과 식재토 수용실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식재 블록의 받침판을 관통하여 식재토 수용실과 저수실을 연결하는 심지와, 저수실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저수실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에 연결되는 유로를 갖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저수조는 연결관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수조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재 모듈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운반이 쉽다. 그리고 급수 및 배수가 용이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하여, 옥상이나 인공 정원, 쓰레기 매립장 등 다양한 인공 구조물에 적용되어 인공 구조물을 다양한 식물로 녹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식물이 식재되어 옥상 등의 인공 구조물을 식물로 녹화하는데 이용되는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하고 과밀한 도시화의 결과로 도시의 생태환경이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 크게 악화되고 있다. 도시의 생태환경 문제는 환경오염의 축적,도시생태계의 균형파괴,도시 기후변화로 요약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도시 생태계의 파괴는 도시 내 동식물 서식공간의 감소 및 오염,생물종의 감소, 더 나아가 생태계의 안정과 균형 파괴로 인한 복원력과 자생력의 상실로 이어진다. 도심의 생태환경을 악화시키는 근본적 원인은 녹지 공간의 감소이다.
이러한 녹지 공간의 감소로 인한 문제를 줄이기 위해 최근 녹지가 부족한 도시에서 대부분의 토지를 차지하고 있는 건축물, 토목 구조물 등을 녹지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자연공간이 아닌 인간의 도시 활동에 의하여 생겨나게 된 인공지반을 녹화하는 것을 인공지반 녹화라 한다.
인공지반이라고 할 수 있는 곳은 건축물이나 고가,주차장 상부,방음벽 등 인간에 의해 조성된 공간으로, 자연지반과 분리되어 있으므로 인위적으로 새로운 토양층을 만들어 녹화하여야 한다. 녹화된 인공지반은 자연상태의 녹지와 마찬가지로 주변의 동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건축물의 냉난방 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킴과 동시에 옥상의 축열 현상을 감소시켜 도시열섬 현상을 완화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외에 대기정화,산소발생,미기후 조절,소음경감 등도 인공지반 녹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혜택이다.
인공지반 녹화의 구체적인 예로 옥상 녹화, 벽면 녹화, 가로 녹화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녹화 기술을 이용하여 인공 구조물의 표면을 식물로 피복하면 태양열을 차단함으로써 인공 구조물들의 환경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인공 구조물에는 식물을 직접 식재하기 어려우므로, 인공 구조물을 식물로 녹화하기 위해서는 인공 구조물에 설치되어 식물이 뿌리내리고 생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 인공 구조물을 식물로 녹화하기 위한 녹화장치나 녹화방법으로는 다양한 것이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332076호(2002. 01. 16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36847호(2007. 07. 02 등록) 등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332076호에 개시된 발명은 지붕 상에 단열재와 다수개의 각재를 고정시키고, 각재 상부에 루바를 거취시키되 단열재와 루바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며, 루바 상단부에 방수쉬트를 설치하고 방수쉬트 상부에 세덤이 식재될 수 있는 세덤 블럭을 고정하여 옥상 녹화 시스템을 구성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36847호에는 건축물 콘크리트 바닥면에 조경용 방수 페인트와 같은 조경용 방수층을 성형하고, 방수층 위에 요철형으로 이루어진 플러그와 플러그 상부를 덮는 부직포를 연속적으로 깔고, 플러그와 부직포가 깔려있는 외측으로 일정 높이의 벽체를 설치하며, 벽체 내부에 부직포의 상측으로 3차원 식물네트를 깔아 고정한 후, 식재 소재를 3차원 식물네트의 상측에서 공급하여 물이나 빗물에 의해 녹화용 이끼가 생육할 수 있도록 하는 옥상녹화용 식물식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은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 및 해체가 어려우며, 급수 및 배수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단순하고, 설치 및 해체가 쉬우며, 급수 및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재 모듈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와 상기 바닥판에 결합된 상기 펜스의 안쪽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수실을 갖는 저수조와, 받침판과 상기 저수조의 바닥판 위에 놓여 상기 받침판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의 하면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와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와 상기 받침판에 결합된 상기 펜스의 안쪽에 식재토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식재토 수용실을 갖는 식재 블록과, 상기 저수실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의 받침판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과 상기 저수실을 연결하는 심지와, 상기 저수조의 펜스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에 연결되는 유로를 갖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는 상기 연결관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수조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재 모듈은, 상기 식재토 수용실에 과공급된 물을 상기 저수실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의 받침판에 마련되는 다수의 통공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에 담긴 식재토는 통과하지 못하고 물은 통과할 수 있는 내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식재 블록의 받침판 위에 놓여 상기 다수의 통공을 덮는 거름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재 모듈은, 상기 연결관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의 펜스에 형성되는 연결구멍과, 상기 연결관의 양쪽 단부에 구비되는 제 1 나사부 및 제 2 나사부와, 상기 연결관의 제 1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고정 너트와, 상기 연결관의 제 2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 2 고정 너트와, 상기 제 1 고정 너트에 의해 상기 제 2 고정 너트 쪽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제 1 실링부재와, 상기 제 2 고정 너트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 너트 쪽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제 2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재 모듈은, 상기 연결관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의 펜스에 형성되는 연결구멍과, 상기 연결관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관의 유로와 연결되는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고정 헤드와,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나사부와, 상기 연결관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 너트와, 상기 고정 헤드에 의해 상기 고정 너트 쪽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제 1 실링부재와, 상기 고정 너트에 의해 상기 고정 헤드 쪽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제 2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재 모듈은 상기 식재 블록의 받침판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의 바닥판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받침 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조의 펜스 상단에는 상기 식재 블록의 받침판 가장자리 둘레를 떠받치기 위한 식재 블록 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식재 블록 안착면의 둘레에는 상기 식재 블록의 펜스 하부 둘레를 감싸기 위한 고정 펜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식재 블록에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식재 블록은 이에 구비된 상기 결합돌기가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식재 블록의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고, 이에 구비된 상기 결합홈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또 다른 식재 블록의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됨으로써, 다른 식재 블록들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심지는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흡수부재와, 상기 흡수부재가 감겨 지지되는 지지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봉은 내부에 통로가 구비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봉의 측면에는 상기 통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개방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심지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부재와, 상기 흡수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중공형의 지지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튜브에는 상기 지지튜브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개방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의 바닥판에는 그 일부가 상기 저수조 쪽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저수조 펜스의 서로 마주하는 두 내면을 연결하는 보강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식재 모듈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와 상기 바닥판에 결합된 상기 펜스의 안쪽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수실과 상기 바닥판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받침 기둥을 갖는 저수조와, 상기 복수의 받침 기둥에 의해 떠받쳐지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와 상기 받침판에 결합된 상기 펜스의 안쪽에 식재토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식재토 수용실을 갖는 식재 블록과, 상기 저수실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의 받침판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과 상기 저수실을 연결하는 심지와, 상기 저수조의 펜스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에 연결되는 유로를 갖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는 상기 연결관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수조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식재 모듈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를 갖는 식재 케이스와, 받침판과 상기 바닥판 위에 놓여 상기 받침판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의 하면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를 갖고 상기 복수의 다리가 상기 바닥판 위에 놓이도록 상기 식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재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기 받침판 상부의 식재토 수용실과 상기 받침판 하부의 저수실로 구획하는 받침대와, 상기 저수실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받침대의 받침판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과 상기 저수실을 연결하는 심지와, 상기 식재 케이스의 펜스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에 연결되는 유로를 갖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식재 케이스는 상기 연결관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식재 케이스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식재 모듈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와 상기 바닥판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받침 기둥을 갖는 식재 케이스와, 상기 복수의 받침 기둥에 의해 떠받쳐질 수 있도록 상기 식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재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부의 식재토 수용실과 하부의 저수실로 구획하는 받침대와, 상기 저수실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과 상기 저수실을 연결하는 심지와, 상기 식재 케이스의 펜스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에 연결되는 유로를 갖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식재 케이스는 상기 연결관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식재 케이스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는, 바닥에 각각의 측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차례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닥을 덮는 복수의 식재 모듈과, 상기 복수의 식재 모듈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와, 서로 결합된 상기 복수의 식재 모듈 중 하나 이상의 식재 모듈과 상기 급수장치를 연결하는 급수관을 포함한다. 상기 식재 모듈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와 상기 바닥판에 결합된 상기 펜스의 안쪽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수실을 갖는 저수조와, 받침판과 상기 저수조의 바닥판 위에 놓여 상기 받침판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의 하면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와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와 상기 받침판에 결합된 상기 펜스의 안쪽에 식재토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식재토 수용실을 갖는 식재 블록과, 상기 저수실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의 받침판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과 상기 저수실을 연결하는 심지와, 상기 저수조의 펜스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에 연결되는 유로를 갖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는 상기 연결관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수조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는, 바닥에 각각의 측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차례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닥을 덮는 복수의 식재 모듈과, 상기 복수의 식재 모듈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와, 서로 결합된 상기 복수의 식재 모듈 중 하나 이상의 식재 모듈과 상기 급수장치를 연결하는 급수관을 포함한다. 상기 식재 모듈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와 상기 바닥판에 결합된 상기 펜스의 안쪽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수실과 상기 바닥판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받침 기둥을 갖는 저수조와, 상기 복수의 받침 기둥에 의해 떠받쳐지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와 상기 받침판에 결합된 상기 펜스의 안쪽에 식재토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식재토 수용실을 갖는 식재 블록과, 상기 저수실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의 받침판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과 상기 저수실을 연결하는 심지와, 상기 저수조의 펜스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에 연결되는 유로를 갖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는 상기 연결관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수조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은, (a)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토를 수용할 수 있는 식재토 수용실과,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식재토 수용실 하부에 배치되는 저수실과, 상기 저수실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토 수용실과 상기 저수실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심지와, 상기 저수실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에 연결되는 유로를 갖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복수의 식재 모듈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복수의 식재 모듈에 식재토를 담고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와, (c) 상기 복수의 식재 모듈을 각각의 측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차례로 결합하여 인공 구조물 위에 배치하되, 상기 복수의 식재 모듈 중에서 이웃하는 것들을 상기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각각의 저수실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와, (d) 서로 연결된 상기 복수의 식재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식재 모듈에 급수관을 연결하고, 상기 급수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는 구조가 단순하고, 식재 모듈에 풀이나 이끼 등의 식물을 식재한 후, 식재 모듈들을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가 맞닿도록 결합함으로써, 옥상이나 쓰레기 매립장 등 각종 인공 구조물을 쉽게 녹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는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운반이 쉽다. 그리고 급수 및 배수가 용이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하여, 옥상이나 인공 정원, 쓰레기 매립장 등 다양한 인공 구조물에 적용되어 인공 구조물을 다양한 식물로 녹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가 쓰레기 매립장에 적용되는 경우, 쓰레기를 매립하고 그 위에 흙을 덮은 후, 복수의 식재 모듈을 연결하여 매립 구역을 덮음으로써, 쓰레기 매립장의 환경을 개선하고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식재토가 채워진 복수의 식재 모듈은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도록 결합되어 넓은 평지를 형성함으로써, 쓰레기 매립 구역을 다양한 야외 활동 공간이나 녹지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를 옥상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의 저수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의 식재 블록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다른 식재 모듈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의 식재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의 받침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의 식재 케이스를 다른 식재 케이스들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다른 식재 모듈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의 저수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다른 식재 모듈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다른 식재 모듈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의 저수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의 식재 블록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다른 식재 모듈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의 식재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의 받침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의 식재 케이스를 다른 식재 케이스들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다른 식재 모듈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의 저수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다른 식재 모듈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다른 식재 모듈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를 옥상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100)는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복수의 식재 모듈(110)과, 물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140) 및 급수관(145)과, 복수의 식재 모듈(110)에 공급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147)을 포함한다. 복수의 식재 모듈(110)은 각각의 측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차례로 연결된다. 급수장치(140)는 물을 저장하는 급수 탱크(141)와, 급수 탱크(141)에 저장된 물을 식재 모듈(110) 쪽으로 펌핑하기 위해 급수 탱크(141)에 연결되는 급수 펌프(142)를 포함한다.
식재 모듈(110)은 저수실(112)을 갖는 저수조(111)와, 식재토 수용실(120)을 갖는 식재 블록(119)과, 저수실(112)과 식재토 수용실(120)을 연결하는 복수의 심지(130)와, 저수조(111)에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관(135)을 포함한다. 저수실(112)에는 식물(P)의 생장에 필요한 물이 저장되고, 식재토 수용실(120)에는 식물(P)이 식재되는 식재토(S)가 수용된다. 저수실(112)에 저장된 물은 심지(130)를 통해 식재토 수용실(120)의 식재토(S)로 유동하여 식물(P)에 공급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옥상(10)에 설치되어 옥상 녹화에 이용될 수도 있고, 그 밖에 쓰레기 매립장, 인공 정원 등 다양한 인공 구조물을 녹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100)가 인공 구조물의 녹화에 이용될 때, 복수의 식재 모듈(110)은 가능한 이웃하게 배치되는 것들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차례로 결합되는데, 이때 서로 결합되는 식재 모듈들(110)은 각각의 저수조(111)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저수조(111)에서 다른 저수조(111)로 물이 이동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저수조(111)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바닥판(113)과 바닥판(113)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14)를 포함한다. 저수실(112)은 펜스(114)의 안쪽에 형성된다. 바닥판(113)에는 복수의 다리 삽입홈(113a)과 복수의 심지 삽입홈(113b)이 형성되고, 펜스(114)에는 복수의 연결구멍(116)이 마련된다.
연결구멍(116)은 연결관(135)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연결구멍(116)에 결합된 연결관(135)을 통해 저수조(111) 내부로 물이 유입되거나, 저수조(111) 내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 저수조(111)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는 연결구멍(116)의 형성 위치로 제한되므로, 연결구멍(116)의 형성 위치나 크기는 저수조(111)의 저수 용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100)의 설치 시 하나의 저수조(111)는 네 개의 측벽 각각에 다른 저수조들(111)이 연결될 수 있는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저수조(111)는 상호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연결구멍(116)은 펜스(114)의 네 측벽에 적어도 하나씩 형성되어야 한다.
중간에 배치되어 사방이 다른 저수조(111)와 연결되는 저수조(111)는 모든 연결구멍(116)에 연결관(135)이 결합되지만,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저수조(111)는 연결관(135)이 결합되지 않는 연결구멍(116)이 있을 수 있다. 연결관(135)이 결합되지 않은 연결구멍(116)이 개방된 상태로 방치되면 급수장치(140)에서 공급되는 물이 개방된 연결구멍(116)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식재 모듈(110) 중 일부 연결구멍(116)은 개방된 상태로 방치되어도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서로 결합된 복수의 식재 모듈(110) 중 일부 식재 모듈(110)에 물이 공급되어 이에 차례로 연결된 다른 식재 모듈(110)로 물이 공급되는 경우 외부로 개방된 연결구멍(116)이 없어야 모든 식재 모듈(110)에 급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배수를 위한 배수로가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외부로 개방된 연결구멍(116)이 존재하면 식재 모듈(110)에서 배출되는 물을 특정 배수로로 원활하게 안내하기 어렵다.
따라서, 복수의 식재 모듈(110)을 연결관(135)을 통해 연결할 때 연결관(135)이 결합되지 않는 연결구멍(116)은 폐쇄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연결관(135)이 결합되지 않는 연결구멍(116)에는 마개(117)가 결합되어 이를 막는다. 마개(117)는 일단에서 타단 쪽으로 가면서 그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수조(111)의 안쪽에서 연결구멍(116)에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구멍(116)에 결합된 마개(117)는 저수조(111)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밀면 연결구멍(116)에서 벗어나지 못하지만, 연결관(135) 등으로 저수조(111)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밀면 마개(117)는 연결구멍(116)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식재 블록(119)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받침대(121)와 받침대(121)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26)를 포함한다. 받침대(121)는 다수의 받침판(122)과 받침판(122)의 하면에 구비된 복수의 다리(123)를 갖는다. 받침대(121)의 다리들(123) 사이에는 복수의 관통구멍(124)이 마련되고 이 관통구멍(124)에 심지(130)가 결합된다. 받침대(121)의 하부에는 받침판(122)과 다리(123)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리브(125)가 구비된다. 받침판(122)에는 식재토 수용실(120)로 과공급된 물 또는 우수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을 저수조(111)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통공(122a)이 형성된다.
펜스(126)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복수의 결합돌기(127)와 안쪽으로 함몰된 복수의 결합홈(128)이 구비된다. 펜스(126)의 네 개의 측벽 중 두 개에는 결합돌기(127)가 구비되고 나머지 두 개에는 결합홈(128)이 구비되는데, 결합돌기(127)가 배치된 측벽과 마주하는 다른 측벽에 결합홈(128)이 배치된다. 식재 모듈들(110)이 차례로 결합될 때, 하나의 식재 블록(119)은 이에 구비된 결합돌기(127)가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식재 블록(119)의 결합홈(128)에 결합되고 이에 구비된 결합홈(128)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또 다른 식재 블록(119)의 결합돌기(127)가 결합됨으로써, 다른 식재 블록들(119)과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결합돌기(127)와 결합홈(128)의 형상과 크기가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결합돌기(127)와 결합홈(128)은 결합돌기(127)가 결합홈(128)에 억지 끼워맞춤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밖에 결합돌기(127)와 결합홈(128)은 결합돌기(127)가 결합홈(128)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고, 수평 방향으로는 분리될 수 없는 구조를 갖거나, 결합홈(128) 내에 삽입된 결합돌기(127)가 결합홈(128) 속에서 록킹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밖에 식재 블록(119)은 받침대(121)와 펜스(126)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리브(129)를 포함한다. 복수의 보강리브(129)는 펜스(126)의 안쪽에 받침대(1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펜스(126)의 강도를 보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심지(130)는 식재토 수용실(120)과 저수실(112)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저수실(112)과 식재토 수용실(120) 사이에 물을 유동시킨다. 심지(130)는 부직포 등과 같이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흡수부재(131)와 흡수부재(131)가 감겨 지지되는 지지봉(132)을 포함한다. 이러한 심지(130)는 식재 블록(119)의 받침대(121)에 형성된 관통구멍(124)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받침대(121)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일단은 저수실(112)에 배치되고 타단은 식재토 수용실(120)에 배치된다. 따라서, 저수실(112)에 저장된 물은 심지(130)를 타고 식재토 수용실(120)에 담긴 식재토(S)로 이동할 수 있고, 식재토(S)에 과공급된 물은 일부가 심지(130)를 타고 저수실(112)로 이동할 수 있다.
빗물 등 식재토 수용실(120)로 과공급된 물은 일부가 심지(130)를 타고 저수실(112)로 이동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받침대(121)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22a)을 통해 저수실(112)로 이동한다. 식재토 수용실(120)의 물이 통공(122a)을 통해 저수실(112)로 이동할 때 식재토(S)도 물에 섞여 저수실(112)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 경우 통공(122a)이 식재토(S)로 막히거나 저수실(112)에 식재토(S)가 쌓여 저수실(112)의 저수 용량이 저감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받침대(121)의 받침판(122) 위에는 거름망(133)이 배치된다. 거름망(133)은 부직포 등 식재토(S)는 통과하지 못하고 물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에 다수의 내부 통로가 형성된 소재로 이루어진다. 거름망(133)의 중간에는 심지(130)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멍(134)이 마련된다. 거름망(133)을 식재 블록(119) 내부에 설치한 후, 그 위에 식재토(S)를 적재하면 식재토(S)가 저수실(112)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관(135)은 내부에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유로(136)를 가지며, 저수조(111)의 연결구멍(116)에 결합되어 저수조(111) 내부에서 저수조(111) 외부로, 또는 저수조(111) 외부에서 저수조(111) 내부로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관(135)의 외주면 일측에는 고정홈(137)이 형성되고, 이 고정홈(137)에 실링부재(138)가 결합된다. 복수의 식재 모듈(110)이 차례로 결합될 때, 이웃하게 배치되는 저수조들(111)은 연결관(135)을 통해 연결되며, 이 연결관(135)을 통해 두 저수조들(111) 사이에 물이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실링부재(138)는 서로 연결되는 두 저수조들(111) 사이의 연결부에 개재됨으로써, 저수조들(111)과 연결관(135) 사이의 틈새 및 저수조(111)와 저수조(111)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여 저수조(111) 내부의 물이 누출되지 못하게 막는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식재토(S)가 담긴 후 식물(P)이 식재된 식재 블록(119)은 복수의 다리(123) 및 심지(130)가 저수실(112)에 놓이도록 저수조(111) 위에 결합된다. 이때 식재 블록(119)의 다리(123)는 저수조(111)의 다리 삽입홈(113a)에 삽입되고, 심지(130)의 끝단은 저수조(111)의 심지 삽입홈(113b)에 삽입된다.
이렇게 식물(P)이 식재된 식재 모듈(110)은 다른 식재 모듈(110)과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도록 차례로 결합된다. 이때, 하나의 식재 블록(119)에 구비된 결합돌기(127)는 다른 식재 블록(119)의 결합홈(128)에 삽입되고, 하나의 저수조(111)는 연결관(135)을 통해 다른 저수조(111)와 물이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서로 연결되는 두 저수조들(111) 사이에 실링부재(138)가 개재되어 저수조들(111) 사이의 연결부에서 물이 누출되는 것을 막는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결합된 복수의 식재 모듈(110)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급수관(145)이 연결되고, 또 다른 어느 하나의 식재 모듈(110)에는 배수관(147)이 연결된다. 여기에서, 급수관(145)은 저수조(111)의 연결구멍(116)에 직접 연결되거나, 연결구멍(116)에 결합된 연결관(13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식재 모듈(110)이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으면서 각각의 저수조(111)가 물의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급수 펌프(142)가 작동하면 급수 탱크(141)에 저장된 물이 급수관(145)을 통해 하나의 식재 모듈(110)에 공급된다. 하나의 식재 모듈(110)의 저수실(112)로 공급되는 물은 연결관(135)을 통해 연결된 다른 식재 모듈(110)의 저수실(112)로 유입됨으로써, 모든 식재 모듈(110)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저수실(112)에 공급된 물은 심지(130)를 타고 식재토 수용실(120)로 상승하여 식재토(S)에 공급되고 식재토(S)에 식재된 식물(P)이 이를 흡수하게 된다.
한편, 비가 내리는 경우 식재 모듈(110)로 떨어지는 빗물은 식재토(S)에 흡수되며, 식재토(S)의 수분 함유량이 과도한 경우, 식재토(S)에 흡수된 물은 심지(130)를 타고 저수실(112)로 유동할 수 있다. 저수실(112)의 수위가 연결관(135)의 설치 높이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저수실(112)의 물은 연결관(135)을 따라 다른 저수실(112)로 유동하고, 배수관(147)이 연결된 저수실(112)의 수위가 상승하면 물이 배수관(14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100)는 구조가 단순하고, 식재 모듈(110)에 풀이나 이끼 등의 식물을 식재한 후, 식재 모듈들(110)을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가 맞닿도록 결합함으로써, 옥상이나 쓰레기 매립장 등 각종 인공 구조물을 손쉽게 녹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100)는 식재 모듈(110)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운반이 쉽다. 그리고 급수 및 배수가 용이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하여, 옥상이나 인공 정원, 쓰레기 매립장 등 다양한 인공 구조물에 적용되어 인공 구조물을 다양한 식물로 녹화할 수 있다.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100)가 쓰레기 매립장에 적용되는 경우, 쓰레기를 매립하고 그 위에 흙을 덮은 후, 복수의 식재 모듈(110)을 연결하여 매립 구역을 덮음으로써 쓰레기 매립장의 환경을 개선하고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식재토(S)가 채워진 복수의 식재 모듈(110)은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도록 결합되어 넓은 평지를 형성함으로써, 쓰레기 매립 구역을 다양한 야외 활동 공간이나 녹지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식재 블록(119)의 구체적인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다른 식재 블록(119)과의 결합 구조도 도시된 것과 같은 홈-돌기 구조의 결합 구조 이외의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저수조(111)의 구조나 다른 저수조(111)와의 연결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저수조(111)나 식재 블록(119)의 형상은 사각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식재 블록(119)을 저수조(111) 위에 지지하기 위한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식재 블록(119)에서 다리(123)는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저수조(111)의 바닥판(113)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기둥을 설치하여 식재 블록(119)을 지지할 수도 있다.
저수조(111)와 다른 저수조(111)를 물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로(136)를 제공하는 연결관(135)은 다른 형태의 관, 또는 다른 연결 수단으로 변경될 수 있다. 연결관(135)을 막기 위한 마개(117)의 구조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마개(117) 대신 연결관(135)에 체크 밸브 구조가 도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심지(130)의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식재 모듈(1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140)로는 도시된 것과 같이, 급수 펌프(142)가 결합된 급수 탱크(141) 이외에, 상수 설비나, 낙차식 우수 저장 탱크 등 다른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150)은 식재 케이스(151)와, 식재 케이스(151) 내부에 배치되는 받침대(165)와, 복수의 심지(170)와, 식재 케이스(151) 내부에 배치되어 받침대(165)를 덮는 거름망(175)을 포함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식재 케이스(151)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바닥판(152)과 바닥판(152)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53)를 포함한다. 펜스(153)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결합돌기(154)와 복수의 결합홈(155)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는데, 결합돌기(154)와 다른 결합돌기(154) 사이에 하나의 결합홈(155)이 배치되고, 결합홈(155)과 다른 결합홈(155) 사이에 하나의 결합돌기(154)가 배치된다.
또한 식재 케이스(151)는 내부에 유로(157)가 형성된 복수의 암 연결관(156)과 내부에 유로(159)가 형성된 복수의 수 연결관(158)을 포함한다. 펜스(153)의 네 측면 중 두 개에는 암 연결관(156)이 배치되고, 나머지 두 개의 측면에는 수 연결관(158)이 배치되는데, 암 연결관(156)이 배치된 측벽과 마주하는 다른 측벽에 수 연결관(158)이 배치된다. 암 연결관(156)과 수 연결관(158)의 배치 높이는 같고, 암 연결관(156)에 다른 식재 케이스(151)의 수 연결관(158)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암 연결관(156)의 내경은 수 연결관(158)의 외경보다 다소 크다.
암 연결관(156)과 수 연결관(158)은 식재 모듈들(150)을 물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식재 케이스(151)에 구비된 수 연결관(158)은 다른 식재 케이스(151)에 구비된 암 연결관(156)에 결합된다. 수 연결관(158)의 외주면 일측에는 고정홈(160)이 구비되고, 이 고정홈(160)에는 실링부재(161)가 결합된다. 실링부재(161)는 암 연결관(156)과 수 연결관(158)의 결합 시 이들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두 식재 모듈(150) 사이의 연결부 틈새를 실링하여 물의 누출을 막아준다.
식재 모듈(150)의 연결 시 하나의 식재 케이스(151)는 네 개의 측벽 각각에 다른 식재 케이스들(151)이 연결될 수 있는데,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식재 케이스(151)는 상호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펜스(153)의 네 측벽 각각에는 암 연결관(156)이나 수 연결관(158)이 하나 이상씩 배치되어야 한다. 식재 모듈들(150)이 차례로 결합될 때, 다른 수 연결관(158) 또는 다른 암 연결관(156)과 연결되지 않는 암 연결관(156) 또는 수 연결관(158)은 마개(162)에 의해 폐쇄된다.
도 6,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받침대(165)는 받침판(166)과 받침판(166)의 하면에 구비된 복수의 다리(167)를 갖는다. 받침대(165)의 다리들(167) 사이에는 복수의 관통구멍(168)이 마련되고 이 관통구멍(168)에 심지(170)가 결합된다. 받침대(165)는 복수의 다리(167)가 식재 케이스(151)의 바닥판(152) 위에 놓이도록 식재 케이스(151) 내부에 설치되며, 식재 케이스(151)의 내부 공간을 받침판(166) 상부의 식재토 수용실(164)과 받침판(166) 하부의 저수실(163)로 구획한다. 받침대(165)가 식재 케이스(151) 내부에 설치될 때 받침대(165)의 받침판(166)은 암 연결관(156) 또는 수 연결관(158)의 설치 높이보다 높게 배치되며, 이에 의해 저수실(163)은 그 상부 높이가 암 연결관(156) 또는 수 연결관(158)의 설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받침판(166)에는 식재토 수용실(164)에 과공급된 물을 저수실(163)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통공(166a)이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심지(170)는 부직포 등과 같이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흡수부재(171)와, 흡수부재(171)를 내부에 수용하여 흡수부재(171)를 지지하는 중공형의 지지튜브(172)를 포함한다. 지지튜브(172)에는 흡수부재(171)가 수용된 지지튜브(172)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개방구(173)가 마련된다. 이러한 심지(170)는 관통구멍(168)을 통해 받침대(165)를 관통하도록 식재 케이스(151)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물이 저장된 받침대(165) 하부의 저수실(163)과 식재토(S)가 수용된 받침대(165) 상부의 식재토 수용실(164)을 연결한다. 따라서, 저수실(163)에 저장된 물은 심지(170)를 타고 식재토 수용실(164)에 담긴 식재토(S)로 이동할 수 있고, 식재토(S)에 과공급된 물은 심지(170)를 타고 저수실(163)로 이동할 수 있다.
거름망(175)은 부직포 등 식재토(S)는 통과하지 못하고 물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내부 통로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받침대(165)가 식재 케이스(151) 내부에 놓인 후 식재 케이스(151) 내부에 배치되어 식재토 수용실(164)을 둘러싼다. 거름망(175)의 중간에는 심지(170)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멍(176)이 마련된다. 식재 케이스(151) 내부에 받침대(165)가 놓인 후, 식재토(S)가 받침대(165) 위에 그대로 놓이게 되면 식재토(S)가 받침대(165)의 통공(166a) 및 식재 케이스(151)의 내면과 받침대(165)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받침대(165) 하부의 저수실(163)로 유입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반해, 거름망(175)을 식재 케이스(151) 내부에 설치하여 식재토 수용실(164)을 둘러싼 후, 그 위에 식재토(S)를 적재하면 식재토(S)가 저수실(163)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15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식재 모듈(150)과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가 맞닿도록 차례로 결합된다. 이때, 하나의 식재 케이스(151)에 구비된 결합돌기(154)와 결합홈(155)에는 다른 식재 케이스(151)의 결합홈(155)과 결합돌기(154)가 결합되고, 하나의 식재 케이스(151)는 암 연결관(156)과 수 연결관(158)을 통해 다른 식재 케이스(151)와 물의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나의 식재 케이스(151)에 구비된 수 연결관(158)은 다른 식재 케이스(151)에 구비된 암 연결관(156)에 삽입되는데, 이때 수 연결관(158)에 결합된 실링부재(161)는 수 연결관(158)과 암 연결관(156)의 사이를 실링한다.
복수의 식재 모듈(150)이 그 상부 가장자리가 맞닿고 물의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후, 복수의 식재 모듈(150)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급수관(145)이 연결되고, 또 다른 어느 하나의 식재 모듈(150)에는 배수관(147)이 연결된다. 급수관(145)을 통해 급수장치(140)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하나의 식재 모듈(150)로 유입된 후, 암 연결관(156) 및 수 연결관(158)으로 연결된 다른 식재 모듈(150)에 공급됨으로써, 서로 결합된 모든 식재 모듈(150)에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식재 케이스(151) 내의 최대 수위 높이까지 공급된 물은 어느 하나의 식재 모듈(150)에 연결된 배수관(14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식재 케이스(151)나 받침대(165)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받침대(165)에서 다리(167)는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식재 케이스(151)의 바닥판(152)에 받침대(165)를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기둥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180)은 저수실(182)이 마련된 저수조(181)와, 식재토 수용실(187)이 마련된 식재 블록(186)과, 심지(170)를 포함한다. 심지(17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것이다. 이 밖에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저수조(181)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바닥판(183)과 바닥판(183)의 가장자리를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84)를 포함한다. 펜스(184)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결합돌기(154)와 복수의 결합홈(155)이 교번적으로 배치되는데, 결합돌기(154)와 다른 결합돌기(154) 사이에 하나의 결합홈(155)이 배치되고, 결합홈(155)과 다른 결합홈(155) 사이에 하나의 결합돌기(154)가 배치된다. 이러한 결합돌기(154) 및 결합홈(155)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이다. 그리고 펜스(184)의 상부 가장자리의 복수의 결합돌기(154)와 결합홈(155) 안쪽에는 끼움홈(185)이 형성된다. 또한 저수조(181)의 펜스(184)에는 복수의 암 연결관(156)과 복수의 수 연결관(158)이 구비된다. 이들 암 연결관(156)과 수 연결관(158)은 상술한 것과 같다.
식재 블록(186)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받침대(188)와 받침대(188)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92)를 포함한다. 펜스(192)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부(193)가 구비된다. 받침대(188)는 받침판(189)과 받침판(189)의 하면에 구비된 복수의 다리(190)를 갖는다. 받침대(188)의 다리들(190) 사이에는 복수의 관통구멍(191)이 마련되고 이 관통구멍(191)에 심지(170)가 결합된다. 받침대(188)에는 식재토 수용실(187)에 과공급된 물을 저수조(181)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통공(미도시)이 구비되고, 받침대(188) 위에는 부직포 등 식재토(S)는 통과하지 못하고 물은 통과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거름망(195)이 배치된다. 거름망(195)의 중간에는 심지(170)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멍(196)이 마련된다.
이러한 식재 블록(186)은 복수의 다리(190)가 저수조(181)의 바닥판(183)에 닿도록 저수조(181) 안에 삽입되는데, 이때 식재 블록(186)의 식재토 수용실(187)의 상단부는 저수조(181)의 펜스(184) 상단부와 같거나 이보다 높게 위치하고, 식재 블록(186)의 플랜지부(193)는 저수조(181)의 끼움홈(185)에 삽입되면서 저수조(181)와 식재 블록(186)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덮는다. 이렇게 식재 블록(186)의 플랜지부(193)에 의해 저수조(181)와 식재 블록(186) 사이의 틈새가 완전히 덮이면, 저수조(181)와 식재 블록(186)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제 3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180)은 다른 식재 모듈(180)과 각각의 상부 가장자리가 맞닿도록 차례로 결합된다. 이때, 하나의 저수조(181)에 구비된 결합돌기(154)와 결합홈(155)에는 다른 저수조(181)의 결합홈(155)과 결합돌기(154)가 결합되고, 하나의 저수조(181)는 암 연결관(156)과 수 연결관(158)을 통해 다른 저수조(181)와 물의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렇게 복수의 식재 모듈(180)이 연결된 후, 복수의 식재 모듈(180)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급수관(145)이 연결되고, 또 다른 어느 하나의 식재 모듈(180)에는 배수관(147)이 연결된다. 급수관(145)을 통해 급수장치(140)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하나의 식재 모듈(180)로 유입된 후, 암 연결관(156) 및 수 연결관(158)으로 연결된 다른 식재 모듈(180)에 공급됨으로써, 서로 결합된 모든 식재 모듈(180)에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저수조(181) 내의 최대 수위 높이까지 공급된 물은 어느 하나의 식재 모듈(180)에 연결된 배수관(14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다른 식재 모듈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200)은 저수실(211)을 갖는 저수조(210)와, 식재토 수용실(226)을 갖는 식재 블록(225)과, 식재 블록(225)의 바닥에 배치되는 거름망(235)과, 저수실(211)과 식재토 수용실(226)을 연결하는 복수의 심지(240)와, 저수조(210)에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관(245)을 포함한다. 저수실(211)에는 식물(P)의 생장에 필요한 물이 저장되고, 식재토 수용실(226)에는 식물(P)이 식재되는 식재토(S)가 수용된다. 저수실(211)에 저장된 물은 심지(240)를 통해 식재토 수용실(226)의 식재토(S)로 유동하여 식물(P)에 공급된다.
저수조(210)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바닥판(212)과 바닥판(212)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213)를 포함한다. 저수실(211)은 펜스(213)의 안쪽에 형성된다. 바닥판(212)에는 식재 블록(225)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받침 기둥(214)과, 한 쌍의 보강대(216)가 구비된다. 보강대(216)는 바닥판(212)의 일부가 저수실(211) 쪽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펜스(213)의 서로 마주하는 두 내면을 연결함으로써, 저수조(210)의 강도를 높여준다. 복수의 받침 기둥(214) 중에서 일부에는 보강 리브(217)가 연결된다. 보강 리브(217)는 받침 기둥(214)과 펜스(213)를 연결함으로써 저수조(210)의 강도를 높여준다.
저수조(210)의 펜스(213)에는 연결관(245)의 결합을 위한 연결구멍(218)이 마련된다. 연결구멍(218)은 보강대(216)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배치된다. 연결구멍(218)은 펜스(213)의 네 면에 형성되고, 연결구멍(218)에 연결관(245)이 삽입된다. 연결관(245)이 삽입되지 않는 연결구멍(218)은 마개(219)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펜스(213)의 상단에는 식재 블록(225)의 받침판(228) 가장자리 둘레를 떠받치기 위한 식재 블록 안착면(220)이 마련되고, 식재 블록 안착면(220)의 둘레에는 고정 펜스(221)가 구비된다. 고정 펜스(221)는 식재 블록(225)이 식재 블록 안착면(220)에 놓일 때 식재 블록(225)의 펜스(232) 하부 둘레를 감싼다. 식재 블록 안착면(220)의 높이는 받침 기둥(214)의 상단 높이와 같아 식재 블록(225)이 저수조(210)에 놓일 때, 식재 블록(225)의 받침판(228)은 식재 블록 안착면(220) 및 받침 기둥(214)에 동시에 접하게 된다.
식재 블록(225)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받침대(227)와 받침대(227)의 상부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펜스(232)를 포함한다. 받침대(227)는 다수의 받침판(228)과 받침판(228)의 하면에 구비된 복수의 다리(229)를 갖는다. 받침대(227)의 다리들(229) 사이에는 복수의 관통구멍(230)이 마련되고 이 관통구멍(230)에 심지(240)가 결합된다. 그리고 받침판(228)에는 식재토 수용실(226)로 과공급된 물 또는 우수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을 저수조(210)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통공(231)이 형성된다. 식재 블록(225)의 펜스(232) 상단에는 확장 펜스(233)가 구비된다. 식재 모듈(200)이 각각의 측면이 마주하도록 연결될 때 식재 블록(225)의 확장 펜스(233)가 다른 식재 블록(225)의 확장 펜스(233)와 접함으로써 복수의 식재 블록(225)은 이웃하는 것과 틈새 발생 없이 연결될 수 있다.
식재 블록(225)의 받침판(228) 위에는 거름망(235)이 배치되어 복수의 통공(231)을 덮는다. 거름망(235)은 부직포 등 식재토(S)는 통과하지 못하고 물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에 다수의 내부 통로가 형성된 소재로 이루어진다. 거름망(235)의 중간에는 심지(240)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구멍(236)이 마련된다.
심지(240)는 식재토 수용실(226)과 저수실(211)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저수실(211)과 식재토 수용실(226) 사이에 물을 유동시킨다. 심지(240)는 부직포 등과 같이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흡수부재(241)와 흡수부재(241)가 감겨 지지되는 지지봉(242)을 포함한다. 지지봉(242)은 내부에 통로(243)가 구비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지지봉(242)의 측면에는 통로(243)와 연결되는 복수의 개방구(244)가 구비된다.
연결관(245)은 내부에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유로(246)를 가지며, 저수조(210)의 연결구멍(218)에 결합되어 저수조(210) 내부에서 저수조(210) 외부로, 또는 저수조(210) 외부에서 저수조(210) 내부로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관(245)의 양쪽 단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 1 나사부(247) 및 제 2 나사부(248)가 구비된다.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관(245)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두 저수조(210)의 연결구멍(218)에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두 저수조(210)를 물의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한다. 연결관(245)이 저수조(210)의 연결구멍(218)에 삽입될 때 연결관(245)과 저수조(210) 사이에는 틈새가 생길 수 있고, 이 틈새를 통해 물이 샐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연결관(245)의 외주면에는 제 1 실링부재(249)와 제 2 실링부재(250)가 끼움 결합된다.
제 1 실링부재(249)는 연결관(245)의 일단으로 끼움 결합되어 이웃하는 두 저수조(210) 중 어느 하나의 저수조(210) 내면에 밀착되고, 제 2 실링부재(250)는 연결관(245)의 타단으로 끼움 결합되어 다른 저수조(210)의 내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연결관(245)의 제 1 나사부(247) 및 제 2 나사부(248)에 제 1 고정 너트(251)와 제 2 고정 너트(252)가 각각 나사 결합되어 제 1 실링부재(249)와 제 2 실링부재(250)를 저수조(210)의 내면에 압착시킨다.
한편,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을 다른 식재 모듈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제 5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260)은 제 4 실시예에 의한 식재 모듈(260)과 비교하여 연결관(265) 및 연결관(265)과 저수조(210)의 결합 구조가 일부 변형된 것이다. 연결관(265)의 일단부에는 연결관(265)의 유로(266)와 연결되는 유로(268)를 구비하고 연결관(265)의 폭보다 큰 폭의 고정 헤드(267)가 고정되고, 연결관(265)의 타단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269)가 구비된다. 연결관(265)의 외주면에는 제 1 실링부재(270) 및 제 2 실링부재(271)가 끼움 결합되고, 연결관(265)의 나사부(269)에는 고정 너트(272)가 나사 결합된다.
연결관(265)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두 저수조(210)의 연결구멍(218)에 동시에 결합된다. 이때, 제 1 실링부재(270)는 제 1 실링부재(270)는 이웃하는 두 저수조(210) 중 어느 하나의 저수조(210) 내면에 밀착되고, 제 2 실링부재(271)는 다른 저수조(210)의 내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고정 너트(272)가 연결관(265)의 나사부(269)에 나사 결합되면, 제 1 실링부재(270)는 고정 헤드(267)에 의해 저수조(210) 내면에 압착되고, 제 2 실링부재(271)는 고정 너트(272)에 의해 저수조(210) 내면에 압착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110, 150, 180, 200, 260 : 식재 모듈
111, 181, 210 : 저수조 112, 163, 182, 211 : 저수실
117, 162, 219 : 마개 119, 186, 225 : 식재 블록
120, 164, 187, 226 : 식재토 수용실 121, 165, 188, 227 : 받침대
122, 168, 189, 228 : 받침판 123, 167, 190, 229 : 다리
125, 129, 217 : 보강리브 127, 154 : 결합돌기
128, 155 : 결합홈 130, 170, 240 : 심지
131, 171, 241 : 흡수부재 132, 242 : 지지봉
133, 175, 195, 235 : 거름망 135, 245 : 연결관
138, 161 : 실링부재 140 : 급수장치
141 : 급수 탱크 145 : 급수관
147 : 배수관 151 : 식재 케이스
156 : 암 연결관 158 : 수 연결관
185 : 끼움홈 193 : 플랜지부
214 : 받침 기둥 216 : 보강대
249, 270 : 제 1 실링부재 250, 271 : 제 2 실링부재
251, 252 : 제 1, 2 고정 너트 267 : 고정 헤드
272 : 고정 너트
111, 181, 210 : 저수조 112, 163, 182, 211 : 저수실
117, 162, 219 : 마개 119, 186, 225 : 식재 블록
120, 164, 187, 226 : 식재토 수용실 121, 165, 188, 227 : 받침대
122, 168, 189, 228 : 받침판 123, 167, 190, 229 : 다리
125, 129, 217 : 보강리브 127, 154 : 결합돌기
128, 155 : 결합홈 130, 170, 240 : 심지
131, 171, 241 : 흡수부재 132, 242 : 지지봉
133, 175, 195, 235 : 거름망 135, 245 : 연결관
138, 161 : 실링부재 140 : 급수장치
141 : 급수 탱크 145 : 급수관
147 : 배수관 151 : 식재 케이스
156 : 암 연결관 158 : 수 연결관
185 : 끼움홈 193 : 플랜지부
214 : 받침 기둥 216 : 보강대
249, 270 : 제 1 실링부재 250, 271 : 제 2 실링부재
251, 252 : 제 1, 2 고정 너트 267 : 고정 헤드
272 : 고정 너트
Claims (17)
- 삭제
- 바닥판(113)(186)(212)과, 상기 바닥판(113)(186)(212)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14)(184)(213)와, 상기 바닥판(113)(186)(212)에 결합된 상기 펜스(114)(184)(213)의 안쪽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수실(112)(182)(211)을 갖는 저수조(111)(181)(210);
받침판(122)(189)(228)과,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바닥판(113)(186)(212) 위에 놓여 상기 받침판(122)(189)(228)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하면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123)(190)(229)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26)(192)(232)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에 결합된 상기 펜스(126)(192)(232)의 안쪽에 식재토(S)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을 갖는 식재 블록(119)(186)(225);
상기 저수실(112)(182)(211)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에 형성된 관통구멍(124)(191)(230)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과 상기 저수실(112)(182)(211)을 연결하는 심지(130)(170)(240);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펜스(114)(184)(213)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112)(182)(211)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112)(182)(211)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112)(182)(211)에 연결되는 유로(136)(157)(159)(246)(266)를 갖는 연결관(135)(156)(158)(245)(265);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에 과공급된 물을 상기 저수실(112)(182)(211)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에 마련되는 다수의 통공(122a)(231); 및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에 담긴 식재토(S)는 통과하지 못하고 물은 통과할 수 있는 내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 위에 놓여 상기 다수의 통공(122a)(231)을 덮는 거름망(133)(175)(235);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111)(181)(210)는 상기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수조(111)(181)(210)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모듈.
- 바닥판(113)(186)(212)과, 상기 바닥판(113)(186)(212)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14)(184)(213)와, 상기 바닥판(113)(186)(212)에 결합된 상기 펜스(114)(184)(213)의 안쪽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수실(112)(182)(211)을 갖는 저수조(111)(181)(210);
받침판(122)(189)(228)과,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바닥판(113)(186)(212) 위에 놓여 상기 받침판(122)(189)(228)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하면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123)(190)(229)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26)(192)(232)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에 결합된 상기 펜스(126)(192)(232)의 안쪽에 식재토(S)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을 갖는 식재 블록(119)(186)(225);
상기 저수실(112)(182)(211)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에 형성된 관통구멍(124)(191)(230)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과 상기 저수실(112)(182)(211)을 연결하는 심지(130)(170)(240);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펜스(114)(184)(213)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112)(182)(211)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112)(182)(211)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112)(182)(211)에 연결되는 유로(246)를 갖는 연결관(245);
상기 연결관(245)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펜스(114)(184)(213)에 형성되는 연결구멍(116)(218);
상기 연결관(245)의 양쪽 단부에 구비되는 제 1 나사부(247) 및 제 2 나사부(248);
상기 연결관(245)의 제 1 나사부(247)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고정 너트(251);
상기 연결관(245)의 제 2 나사부(248)에 나사 결합되는 제 2 고정 너트(252);
상기 제 1 고정 너트(251)에 의해 상기 제 2 고정 너트(252) 쪽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245)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제 1 실링부재(249); 및
상기 제 2 고정 너트(252)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 너트(251) 쪽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245)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제 2 실링부재(250);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111)(181)(210)는 상기 연결관(245)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수조(111)(181)(210)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모듈.
- 바닥판(113)(186)(212)과, 상기 바닥판(113)(186)(212)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14)(184)(213)와, 상기 바닥판(113)(186)(212)에 결합된 상기 펜스(114)(184)(213)의 안쪽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수실(112)(182)(211)을 갖는 저수조(111)(181)(210);
받침판(122)(189)(228)과,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바닥판(113)(186)(212) 위에 놓여 상기 받침판(122)(189)(228)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하면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123)(190)(229)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26)(192)(232)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에 결합된 상기 펜스(126)(192)(232)의 안쪽에 식재토(S)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을 갖는 식재 블록(119)(186)(225);
상기 저수실(112)(182)(211)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에 형성된 관통구멍(124)(191)(230)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과 상기 저수실(112)(182)(211)을 연결하는 심지(130)(170)(240);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펜스(114)(184)(213)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112)(182)(211)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112)(182)(211)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112)(182)(211)에 연결되는 유로(266)를 갖는 연결관(265);
상기 연결관(265)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펜스(114)(184)(213)에 형성되는 연결구멍(116)(218);
상기 연결관(265)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관(265)의 유로(266)와 연결되는 유로(268)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관(265)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고정 헤드(267);
상기 연결관(265)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나사부(269);
상기 연결관(265)의 나사부(269)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 너트(272);
상기 고정 헤드(267)에 의해 상기 고정 너트(272) 쪽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265)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제 1 실링부재(270); 및
상기 고정 너트(272)에 의해 상기 고정 헤드(267) 쪽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265)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제 2 실링부재(271);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111)(181)(210)는 상기 연결관(265)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수조(111)(181)(210)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모듈.
- 바닥판(113)(186)(212)과, 상기 바닥판(113)(186)(212)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14)(184)(213)와, 상기 바닥판(113)(186)(212)에 결합된 상기 펜스(114)(184)(213)의 안쪽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수실(112)(182)(211)을 갖는 저수조(111)(181)(210);
받침판(122)(189)(228)과,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바닥판(113)(186)(212) 위에 놓여 상기 받침판(122)(189)(228)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하면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123)(190)(229)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26)(192)(232)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에 결합된 상기 펜스(126)(192)(232)의 안쪽에 식재토(S)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을 갖는 식재 블록(119)(186)(225);
상기 저수실(112)(182)(211)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에 형성된 관통구멍(124)(191)(230)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과 상기 저수실(112)(182)(211)을 연결하는 심지(130)(170)(240);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펜스(114)(184)(213)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112)(182)(211)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112)(182)(211)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112)(182)(211)에 연결되는 유로(136)(157)(159)(246)(266)를 갖는 연결관(135)(156)(158)(245)(265);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에 과공급된 물을 상기 저수실(112)(182)(211)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에 마련되는 다수의 통공(122a)(231);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에 담긴 식재토(S)는 통과하지 못하고 물은 통과할 수 있는 내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 위에 놓여 상기 다수의 통공(122a)(231)을 덮는 거름망(133)(175)(235); 및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바닥판(113)(186)(212)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받침 기둥(214);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111)(181)(210)는 상기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수조(111)(181)(210)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모듈.
- 바닥판(113)(186)(212)과, 상기 바닥판(113)(186)(212)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14)(184)(213)와, 상기 바닥판(113)(186)(212)에 결합된 상기 펜스(114)(184)(213)의 안쪽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수실(112)(182)(211)을 갖는 저수조(111)(181)(210);
받침판(122)(189)(228)과,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바닥판(113)(186)(212) 위에 놓여 상기 받침판(122)(189)(228)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하면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123)(190)(229)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26)(192)(232)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에 결합된 상기 펜스(126)(192)(232)의 안쪽에 식재토(S)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을 갖는 식재 블록(119)(186)(225);
상기 저수실(112)(182)(211)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에 형성된 관통구멍(124)(191)(230)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과 상기 저수실(112)(182)(211)을 연결하는 심지(130)(170)(240); 및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펜스(114)(184)(213)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112)(182)(211)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112)(182)(211)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112)(182)(211)에 연결되는 유로(136)(157)(159)(246)(266)를 갖는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111)(181)(210)는 상기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수조(111)(181)(210)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펜스(114)(184)(213) 상단에는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 가장자리 둘레를 떠받치기 위한 식재 블록 안착면(220)이 마련되고, 상기 식재 블록 안착면(220)의 둘레에는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펜스(126)(192)(232) 하부 둘레를 감싸기 위한 고정 펜스(2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모듈.
- 바닥판(113)(186)(212)과, 상기 바닥판(113)(186)(212)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14)(184)(213)와, 상기 바닥판(113)(186)(212)에 결합된 상기 펜스(114)(184)(213)의 안쪽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수실(112)(182)(211)을 갖는 저수조(111)(181)(210);
받침판(122)(189)(228)과,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바닥판(113)(186)(212) 위에 놓여 상기 받침판(122)(189)(228)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하면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123)(190)(229)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26)(192)(232)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에 결합된 상기 펜스(126)(192)(232)의 안쪽에 식재토(S)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을 갖는 식재 블록(119)(186)(225);
상기 저수실(112)(182)(211)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에 형성된 관통구멍(124)(191)(230)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과 상기 저수실(112)(182)(211)을 연결하는 심지(130)(170)(240); 및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펜스(114)(184)(213)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112)(182)(211)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112)(182)(211)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112)(182)(211)에 연결되는 유로(136)(157)(159)(246)(266)를 갖는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111)(181)(210)는 상기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수조(111)(181)(210)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에는 결합돌기(127)와, 상기 결합돌기(127)에 대응하는 결합홈(128)이 구비되고,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은 이에 구비된 상기 결합돌기(127)가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식재 블록(119)(186)(225)의 상기 결합홈(128)에 결합되고, 이에 구비된 상기 결합홈(128)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또 다른 식재 블록(119)(186)(225)의 상기 결합돌기(127)가 결합됨으로써, 다른 식재 블록들(119)(186)(225)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모듈.
- 바닥판(113)(186)(212)과, 상기 바닥판(113)(186)(212)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14)(184)(213)와, 상기 바닥판(113)(186)(212)에 결합된 상기 펜스(114)(184)(213)의 안쪽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수실(112)(182)(211)을 갖는 저수조(111)(181)(210);
받침판(122)(189)(228)과,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바닥판(113)(186)(212) 위에 놓여 상기 받침판(122)(189)(228)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하면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123)(190)(229)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26)(192)(232)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에 결합된 상기 펜스(126)(192)(232)의 안쪽에 식재토(S)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을 갖는 식재 블록(119)(186)(225);
상기 저수실(112)(182)(211)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에 형성된 관통구멍(124)(191)(230)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과 상기 저수실(112)(182)(211)을 연결하는 심지(130)(170)(240); 및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펜스(114)(184)(213)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112)(182)(211)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112)(182)(211)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112)(182)(211)에 연결되는 유로(136)(157)(159)(246)(266)를 갖는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111)(181)(210)는 상기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수조(111)(181)(210)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심지(130)(240)는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흡수부재(131)(241)와, 상기 흡수부재(131)(241)가 감겨 지지되는 지지봉(132)(2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모듈.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42)은 내부에 통로(243)가 구비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봉(242)의 측면에는 상기 통로(243)와 연결되는 복수의 개방구(24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모듈.
- 바닥판(113)(186)(212)과, 상기 바닥판(113)(186)(212)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14)(184)(213)와, 상기 바닥판(113)(186)(212)에 결합된 상기 펜스(114)(184)(213)의 안쪽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수실(112)(182)(211)을 갖는 저수조(111)(181)(210);
받침판(122)(189)(228)과,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바닥판(113)(186)(212) 위에 놓여 상기 받침판(122)(189)(228)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하면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123)(190)(229)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26)(192)(232)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에 결합된 상기 펜스(126)(192)(232)의 안쪽에 식재토(S)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을 갖는 식재 블록(119)(186)(225);
상기 저수실(112)(182)(211)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에 형성된 관통구멍(124)(191)(230)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과 상기 저수실(112)(182)(211)을 연결하는 심지(130)(170)(240); 및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펜스(114)(184)(213)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112)(182)(211)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112)(182)(211)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112)(182)(211)에 연결되는 유로(136)(157)(159)(246)(266)를 갖는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111)(181)(210)는 상기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수조(111)(181)(210)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심지(170)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부재(171)와, 상기 흡수부재(171)를 내부에 수용하는 중공형의 지지튜브(17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튜브(172)에는 상기 지지튜브(172)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개방구(17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모듈.
- 바닥판(113)(186)(212)과, 상기 바닥판(113)(186)(212)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14)(184)(213)와, 상기 바닥판(113)(186)(212)에 결합된 상기 펜스(114)(184)(213)의 안쪽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수실(112)(182)(211)을 갖는 저수조(111)(181)(210);
받침판(122)(189)(228)과,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바닥판(113)(186)(212) 위에 놓여 상기 받침판(122)(189)(228)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하면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123)(190)(229)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26)(192)(232)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에 결합된 상기 펜스(126)(192)(232)의 안쪽에 식재토(S)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을 갖는 식재 블록(119)(186)(225);
상기 저수실(112)(182)(211)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에 형성된 관통구멍(124)(191)(230)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과 상기 저수실(112)(182)(211)을 연결하는 심지(130)(170)(240); 및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펜스(114)(184)(213)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112)(182)(211)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112)(182)(211)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112)(182)(211)에 연결되는 유로(136)(157)(159)(246)(266)를 갖는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111)(181)(210)는 상기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수조(111)(181)(210)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바닥판(113)(186)(212)에는 그 일부가 상기 저수조(111)(181)(210) 쪽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저수조 펜스(114)(184)(213)의 서로 마주하는 두 내면을 연결하는 보강대(2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모듈.
- 바닥판(113)(186)(212)과, 상기 바닥판(113)(186)(212)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14)(184)(213)와, 상기 바닥판(113)(186)(212)에 결합된 상기 펜스(114)(184)(213)의 안쪽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수실(112)(182)(211)과, 상기 바닥판(113)(186)(212)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받침 기둥(214)을 갖는 저수조(111)(181)(210);
상기 복수의 받침 기둥(214)에 의해 떠받쳐지는 받침판(122)(189)(228)과,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26)(192)(232)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에 결합된 상기 펜스(126)(192)(232)의 안쪽에 식재토(S)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을 갖는 식재 블록(119)(186)(225);
상기 저수실(112)(182)(211)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에 형성된 관통구멍(124)(191)(230)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과 상기 저수실(112)(182)(211)을 연결하는 심지(130)(170)(240);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펜스(114)(184)(213)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112)(182)(211)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112)(182)(211)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112)(182)(211)에 연결되는 유로(136)(157)(159)(246)(266)를 갖는 연결관(135)(156)(158)(245)(265);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에 과공급된 물을 상기 저수실(112)(182)(211)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에 마련되는 다수의 통공(122a)(231); 및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에 담긴 식재토(S)는 통과하지 못하고 물은 통과할 수 있는 내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 위에 놓여 상기 다수의 통공(122a)(231)을 덮는 거름망(133)(175)(235);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111)(181)(210)는 상기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수조(111)(181)(210)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모듈.
- 바닥판(152)과, 상기 바닥판(152)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53)를 갖는 식재 케이스(151);
받침판(166)과, 상기 바닥판(152) 위에 놓여 상기 받침판(166)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166)의 하면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167)를 갖고, 상기 복수의 다리(167)가 상기 바닥판(152) 위에 놓이도록 상기 식재 케이스(15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재 케이스(151)의 내부 공간을 상기 받침판(166) 상부의 식재토 수용실(164)과 상기 받침판 하부의 저수실(163)로 구획하는 받침대(165);
상기 저수실(163)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164)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받침대(165)의 받침판(166)에 형성된 관통구멍(168)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164)과 상기 저수실(163)을 연결하는 심지(130)(170)(240);
상기 식재 케이스(151)의 펜스(153)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163)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163)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163)에 연결되는 유로(136)(157)(159)(246)(266)를 갖는 연결관(135)(156)(158)(245)(265);
상기 식재토 수용실(164)에 과공급된 물을 상기 저수실(163)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받침판(166)에 마련되는 다수의 통공(166a); 및
상기 식재토 수용실(164)에 담긴 식재토(S)는 통과하지 못하고 물은 통과할 수 있는 내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166) 위에 놓여 상기 다수의 통공(166a)을 덮는 거름망(133)(175)(235);을 포함하고,
상기 식재 케이스(151)는 상기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식재 케이스(151)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모듈.
- 바닥판(152)과, 상기 바닥판(152)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53)와, 상기 바닥판(152)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받침 기둥(214)을 갖는 식재 케이스(151);
상기 복수의 받침 기둥(214)에 의해 떠받쳐질 수 있도록 상기 식재 케이스(15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재 케이스(151)의 내부 공간을 상부의 식재토 수용실(164)과 하부의 저수실(163)로 구획하는 받침대(165);
상기 저수실(163)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164)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받침대(165)에 형성된 관통구멍(168)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164)과 상기 저수실(163)을 연결하는 심지(130)(170)(240);
상기 식재 케이스(151)의 펜스(153)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163)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163)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163)에 연결되는 유로(136)(157)(159)(246)(266)를 갖는 연결관(135)(156)(158)(245)(265);
상기 식재토 수용실(164)에 과공급된 물을 상기 저수실(163)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165)에 마련되는 다수의 통공(166a); 및
상기 식재토 수용실(164)에 담긴 식재토(S)는 통과하지 못하고 물은 통과할 수 있는 내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165) 위에 놓여 상기 다수의 통공(166a)을 덮는 거름망(133)(175)(235);을 포함하고,
상기 식재 케이스(151)는 상기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식재 케이스(151)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모듈.
- 바닥에 각각의 측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차례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닥을 덮는 복수의 식재 모듈(110)(180)(200)(260);
상기 복수의 식재 모듈(110)(180)(200)(26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140); 및
서로 결합된 상기 복수의 식재 모듈(110)(180)(200)(260) 중 하나 이상의 식재 모듈(110)(180)(200)(260)과 상기 급수장치(140)를 연결하는 급수관(145);을 포함하고,
상기 식재 모듈(110)(180)(200)(260)은,
바닥판(113)(186)(212)과, 상기 바닥판(113)(186)(212)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14)(184)(213)와, 상기 바닥판(113)(186)(212)에 결합된 상기 펜스(114)(184)(213)의 안쪽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수실(112)(182)(211)을 갖는 저수조(111)(181)(210)와,
받침판(122)(189)(228)과,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바닥판(113)(186)(212) 위에 놓여 상기 받침판(122)(189)(228)을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하면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다리(123)(190)(229)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26)(192)(232)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에 결합된 상기 펜스(126)(192)(232)의 안쪽에 식재토(S)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을 갖는 식재 블록(119)(186)(225)과,
상기 저수실(112)(182)(211)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에 형성된 관통구멍(124)(191)(230)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과 상기 저수실(112)(182)(211)을 연결하는 심지(130)(170)(240)와,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펜스(114)(184)(213)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112)(182)(211)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112)(182)(211)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112)(182)(211)에 연결되는 유로(136)(157)(159)(246)(266)를 갖는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111)(181)(210)는 상기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수조(111)(181)(210)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 바닥에 각각의 측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차례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닥을 덮는 복수의 식재 모듈(110)(180)(200)(260);
상기 복수의 식재 모듈(110)(180)(200)(26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140); 및
서로 결합된 상기 복수의 식재 모듈(110)(180)(200)(260) 중 하나 이상의 식재 모듈(110)(180)(200)(260)과 상기 급수장치(140)를 연결하는 급수관(145);을 포함하고,
상기 식재 모듈(110)(180)(200)(260)은,
바닥판(113)(186)(212)과, 상기 바닥판(113)(186)(212)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14)(184)(213)와, 상기 바닥판(113)(186)(212)에 결합된 상기 펜스(114)(184)(213)의 안쪽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수실(112)(182)(211)과, 상기 바닥판(113)(186)(212)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받침 기둥(214)을 갖는 저수조(111)(181)(210)와,
상기 복수의 받침 기둥(214)에 의해 떠받쳐지는 받침판(122)(189)(228)과, 상기 받침판(122)(189)(228)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는 펜스(126)(192)(232)와, 상기 받침판(122)(189)(228)에 결합된 상기 펜스(126)(192)(232)의 안쪽에 식재토(S)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식재토 수용실(120)(187)(226)을 갖는 식재 블록(119)(186)(225)과,
상기 저수실(112)(182)(211)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 블록(119)(186)(225)의 받침판(122)(189)(228)에 형성된 관통구멍(124)(191)(230)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87)(226)과 상기 저수실(112)(182)(211)을 연결하는 심지(130)(170)(240)와,
상기 저수조(111)(181)(210)의 펜스(114)(184)(213)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실(112)(182)(211)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112)(182)(211)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112)(182)(211)에 연결되는 유로(136)(157)(159)(246)(266)를 갖는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111)(181)(210)는 상기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다른 저수조(111)(181)(210)와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 (a) 식물(P)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토(S)를 수용할 수 있는 식재토 수용실(120)(164)(187)(226)과,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64)(187)(226) 하부에 배치되는 저수실(112)(163)(182)(211)과, 상기 저수실(112)(163)(182)(211)과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64)(187)(226) 사이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식재토 수용실(120)(164)(187)(226)과 상기 저수실(112)(163)(182)(211)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심지(130)(170)(240)와, 상기 저수실(112)(163)(182)(211)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상기 저수실(112)(163)(182)(211)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수실(112)(163)(182)(211)에 연결되는 유로(136)(157)(159)(246)(266)를 갖는 연결관(135)(156)(158)(245)(265)을 포함하는 복수의 식재 모듈(110)(150)(180)(200)(260)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식재 모듈(110)(150)(180)(200)(260)에 식재토(S)를 담고 식물(P)을 식재하는 단계;
(c) 상기 복수의 식재 모듈(110)(150)(180)(200)(260)을 각각의 측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차례로 결합하여 인공 구조물 위에 배치하되, 상기 복수의 식재 모듈(110)(150)(180)(200)(260) 중에서 이웃하는 것들을 상기 연결관(135)(156)(158)(245)(265)으로 연결하여 각각의 저수실(112)(163)(182)(211)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 및
(d) 서로 연결된 상기 복수의 식재 모듈(110)(150)(180)(200)(26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식재 모듈(110)(150)(180)(200)(260)에 급수관(145)을 연결하고, 상기 급수관(145)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3468A KR101315283B1 (ko) | 2013-01-11 | 2013-01-11 |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3468A KR101315283B1 (ko) | 2013-01-11 | 2013-01-11 |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5283B1 true KR101315283B1 (ko) | 2013-10-08 |
Family
ID=4963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3468A KR101315283B1 (ko) | 2013-01-11 | 2013-01-11 |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5283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3373Y1 (ko) * | 2013-10-18 | 2014-07-04 | 윤병섭 | 식재용 상자 조립체 |
KR101461655B1 (ko) * | 2014-05-26 | 2014-11-21 |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
KR200475509Y1 (ko) * | 2014-03-26 | 2014-12-10 | 윤병섭 | 식재용 상자 조립체 |
WO2016182380A1 (ko) * | 2015-05-13 | 2016-11-17 | 전효찬 | 수경 재배 블록 및 이를 갖는 수경 재배 장치 |
KR101724155B1 (ko) * | 2016-07-26 | 2017-04-18 | (주) 일신네이쳐 | 수목용 빗물정화 및 물공급시설 |
KR102459275B1 (ko) * | 2022-01-27 | 2022-11-01 | (주)시스템배관 | 확장 조립이 용이한 모듈형 식생블록 |
KR20230057160A (ko) * | 2021-10-21 | 2023-04-28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열저감요구도 대응형 옥상녹화 모듈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5757A (ko) * | 1998-06-01 | 2000-01-25 | 요시다 미노루 | 식물재배매트용저수트레이및이의배열 |
KR100245336B1 (ko) | 1998-02-18 | 2000-02-15 | 왕희지 |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
KR20030000777A (ko) * | 2001-06-27 | 2003-01-06 | 강문식 | 식물 재배용 화분 |
KR20120005742A (ko) * | 2010-07-09 | 2012-01-17 | 조흥열 | 지면 녹화장치 |
-
2013
- 2013-01-11 KR KR1020130003468A patent/KR1013152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45336B1 (ko) | 1998-02-18 | 2000-02-15 | 왕희지 |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
KR20000005757A (ko) * | 1998-06-01 | 2000-01-25 | 요시다 미노루 | 식물재배매트용저수트레이및이의배열 |
KR20030000777A (ko) * | 2001-06-27 | 2003-01-06 | 강문식 | 식물 재배용 화분 |
KR20120005742A (ko) * | 2010-07-09 | 2012-01-17 | 조흥열 | 지면 녹화장치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3373Y1 (ko) * | 2013-10-18 | 2014-07-04 | 윤병섭 | 식재용 상자 조립체 |
KR200475509Y1 (ko) * | 2014-03-26 | 2014-12-10 | 윤병섭 | 식재용 상자 조립체 |
KR101461655B1 (ko) * | 2014-05-26 | 2014-11-21 |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
WO2016182380A1 (ko) * | 2015-05-13 | 2016-11-17 | 전효찬 | 수경 재배 블록 및 이를 갖는 수경 재배 장치 |
US10806107B2 (en) | 2015-05-13 | 2020-10-20 | Hyochan JUN | Water culture block and water culture device having same |
KR101724155B1 (ko) * | 2016-07-26 | 2017-04-18 | (주) 일신네이쳐 | 수목용 빗물정화 및 물공급시설 |
KR20230057160A (ko) * | 2021-10-21 | 2023-04-28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열저감요구도 대응형 옥상녹화 모듈 |
KR102684272B1 (ko) * | 2021-10-21 | 2024-07-10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열저감요구도 대응형 옥상녹화 모듈 |
KR102459275B1 (ko) * | 2022-01-27 | 2022-11-01 | (주)시스템배관 | 확장 조립이 용이한 모듈형 식생블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5283B1 (ko) |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 |
KR101315287B1 (ko) |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 |
RU2370020C2 (ru) |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озеленяемой стены | |
JP4165841B2 (ja) | 植栽マット用貯水槽トレー及びその設備 | |
KR101234615B1 (ko) | 벽면 조경용 플랜터 | |
CN208905310U (zh) | 一种活动房装配式绿化装置 | |
KR101461655B1 (ko) |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 |
KR101835881B1 (ko) | 투수성 보도블록 | |
KR200455094Y1 (ko) | 초박형 식생유니트 | |
JP4753074B2 (ja) | 緑化システム | |
KR101010730B1 (ko) | 녹화용 식생패널 | |
US1077226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in an urban environment | |
KR101441369B1 (ko) |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 |
KR101638985B1 (ko) | 조립식 식생모듈 | |
KR101230730B1 (ko) |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 |
JP2000262150A (ja) | 緑化用コンテナ | |
JP2009165400A (ja) | 植栽用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る緑化用植栽ユニット及びそのシステム | |
JP5108225B2 (ja) | 緑化容器 | |
KR101142352B1 (ko) | 벽면 녹화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JP2007189910A (ja) | 緑化ユニット及び該緑化ユニットを備える緑化システム | |
CN114991173A (zh) | 一种用于岩质边坡加固、绿化、浇灌一体化边坡支护系统 | |
JP2012010671A (ja) | 緑化用パネル及び屋上緑化構造 | |
KR101484641B1 (ko) | 옥상 녹화구조물 | |
JP4785162B2 (ja) | 緑化設備 | |
JP4645169B2 (ja) | 緑化基盤システム、スペーサ部材、及び緑化基盤システムの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