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742A - 지면 녹화장치 - Google Patents

지면 녹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742A
KR20120005742A KR1020100066367A KR20100066367A KR20120005742A KR 20120005742 A KR20120005742 A KR 20120005742A KR 1020100066367 A KR1020100066367 A KR 1020100066367A KR 20100066367 A KR20100066367 A KR 20100066367A KR 20120005742 A KR20120005742 A KR 20120005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hose
planting box
wat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7689B1 (ko
Inventor
조흥열
Original Assignee
조흥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흥열 filed Critical 조흥열
Priority to KR1020100066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68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5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점적관수방식으로 적은 양의 물을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척박한 곳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활착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호스본체와 호스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호스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심지를 포함하는 점적관수용 호스와, 호스본체에 저면의 일부가 결합 지지되고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심지 중의 1개 이상이 저면을 관통하여 내부의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저면에 착근구멍이 형성되는 복수의 식재상자를 포함하는 지면 녹화장치를 제공한다.
호스본체는 2개 이상이 복수의 날개체를 통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날개체에는 상기 식재상자의 저면에 형성된 착근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착근구멍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지면 녹화장치 {Planting Equipment for Surface of The Earth}
본 발명은 지면 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호안이나 암반사면 등에 식물을 식재하여 활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급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지면 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석장, 도로, 철도, 대형 건축구조물 등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경사면 또는 호안 등의 경사면의 경우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다양한 식물을 식재하는 녹화작업을 행한다.
그러나 산을 절토하여 도로 등을 건설하는 경우에 드러나는 암반사면 또는 호안을 포장한 시멘트블록이나 석재 등의 위에 식물을 식재하는 경우에는 식물이 활착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며 관리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암반사면의 경우에는 척박한 땅에서 생존할 수 있는 넝쿨식물 등의 일부 소수의 종류만이 가능하다.
또한 호안을 시멘트블록으로 포장한 경우에는 시멘트블록을 제거하는 공정을 먼저 진행한 다음 식물을 식재하여야 하므로, 호안 녹화를 위한 공사비와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된다.
종래 암반사면이나 포장된 호안의 경우 흙을 성토한 다음 식물을 식재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에는 흙을 성토하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홍수나 폭우 발생시에 유실될 우려가 높다.
나아가 식재된 식물이 충분히 활착하기 전에 번식력이 강한 수종이 침입하여, 식재된 식물의 성장을 방해할 우려가 높다.
그리고 사막이나 물이 부족한 지역의 경우에는 식물이 활착되어 성장할 환경을 인공적으로 갖추어 주는 것이 매우 어렵다. 전세계적으로 사막화가 진행되는 현 시점에서는 사막을 녹화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점적관수방식으로 적은 양의 물을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척박한 곳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활착하여 성장할 수 있는 지면 녹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안이나 암반사면 등에 식물을 식재하여 활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급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지면 녹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는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호스본체와 상기 호스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호스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심지를 포함하는 점적관수용 호스와, 상기 호스본체에 저면의 일부가 결합 지지되고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심지 중의 1개 이상이 저면을 관통하여 내부의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저면에 착근구멍이 형성되는 복수의 식재상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재상자는 생분해성 재질이나 식물성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식재된 식물의 활착이 충분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분해 소멸되어 보다 더 자연친화적인 녹화공법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식재상자의 측면에소 복수의 착근구멍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호스본체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고무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호스본체의 외주면에는 180도 서로 반대쪽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날개체를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호스본체는 2개 이상이 복수의 날개체를 통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식재상자의 저면에는 상기 호스본체의 외주면 일부를 1/3~2/3 정도 감싸며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형성한다.
상기 호스본체의 외주면에는 180도 서로 반대쪽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날개체를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고, 상기 날개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체결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식재상자의 저면에 설치되는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구멍을 관통하여 걸리는 것에 의하여 식재상자를 호스본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날개체에는 상기 식재상자의 저면에 형성된 착근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착근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호스본체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를 연결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급수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물공급원과, 상기 물공급원으롭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호스본체로 공급하며 급수개폐밸브가 설치되는 주급수관과, 상기 호스본체의 물을 배수하며 배수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배수관과, 상기 식재상자가 설치된 지역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와, 상기 식재상자가 설치된 지역의 강우여부를 감지하는 강우감지부와, 상기 온도측정부 및 강우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개폐밸브와 배수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30℃ 이상의 고온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의 개도 또는 개방시간을 최대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충분하게 유지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25∼30℃의 범위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의 개도 또는 개방시간을 중간에서 최대 사이에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중간으로 유지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5∼25℃의 범위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의 개도 또는 개방시간을 최소에서 중간 사이에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소량으로 유지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5℃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를 폐쇄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급수장치는 태양광이나 태양열, 풍력, 수력 중에서 선택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여 상기 제어부와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의하면, 심지를 통하여 모세관현상에 의한 점적관수가 이루어지므로, 식재상자에 식재된 식물에 효과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물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막이나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도 효과적으로 식물을 식재하여 녹지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며, 농작물을 재배하여 식량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의하면, 암반사면이나 호안 블록의 표면에 점적관수용 호스를 설치한 상태에서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상자를 심지가 내부로 관통되도록 호스본체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되고, 식재상자 및 점적관수용 호스의 날개체에 형성된 착근구멍을 통과하여 식물의 뿌리가 뻗어나가 활착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암반사면이나 호안 블록에도 녹화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암반사면이나 호안을 짧은 시간에 저렴하게 자연친화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호안에 설치되는 시멘트블록 등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녹화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의하면, 식재상자에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함유한 식생토를 사용하고 호스본체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생육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식물이 충분하게 활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식재하는 것이 가능하며, 암반사면이나 호안에 아름다운 조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식생토를 채운 식재상자를 점적관수용 호스에 결합하여 설치하므로, 별도로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흙을 성토할 필요가 없다.
나아가 식재상자에 식물을 식재하여 설치하므로, 각각의 식재상자에서 식물의 뿌리부분이 보호되고, 이에 따라 외부 수종이 침투하여 성장하기가 어려우며, 식재된 식물이 활착하여 번식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의하면, 물의 공급여부를 날씨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자가발전이 가능하므로, 외진 곳이나 사람이 수시로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의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식물을 식재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호스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른 A-A선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호스본체의 지름방향을 따라 자른 B-B선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점적관수용 호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식재상자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식재상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식재상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식재상자에 지지끈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식재상자의 결합홈에 걸림돌기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를 나타내는 호스본체의 지름방향을 따라 자른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식재상자의 다른 예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커넥터를 사용하여 호스본체를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연결블럭과 커넥터를 이용하여 호스본체를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점적관수용 호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점적관수용 호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를 암반사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마감테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급수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급수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자가발전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적관수용 호스(100)와, 복수의 식재상자(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점적관수용 호스(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호스본체(110)와, 상기 호스본체(1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호스본체(110)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심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호스본체(110)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연질 합성수지나 고무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호스본체(110)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면, 내마모성이 우수(예를 들면 고무호스에 비하여 2.5~5배 정도, 연성 폴리염화비닐호스에 비하여 3~4배 정도 내마모성이 우수함)하고, 가볍고 신축성이 뛰어나며,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내용물의 흐름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호스본체(110)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탄력성과 신축성이 매우 우수하고, 복원력이 좋고 영구 압축률이 낮아 내구성이 우수하며, 잘 찢겨지지 않아 쉽게 손상되지 않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스본체(110)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면, 내약품성이 크고, 자외선과 날씨 등에 대한 내후성이 우수하고, 연화점이 높고 내열성이 커서 화재시에 다른 연질 합성수지나 고무에 비해 안전하다. 또 상기 호스본체(110)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면, 저온에서 신축성이 매우 커서 겨울철에 작업하는 경우에도 부러질 위험성이 낮다.
상기 심지(120)는 상기 호스본체(1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심지(120)는 상기 호스본체(110)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심지(120)는 튜브체(122)와 점적섬유체(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체(122)는 상기 호스본체(110)의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튜브체(122)는 외력이 가해지면 형상의 변경되는 연질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점적섬유체(124)는 상기 튜브체(122)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점적섬유체(124)는 상기 호스본체(110)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를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외부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점적섬유체(124)는 다수의 섬유로 구성된다.
상기 점적섬유체(124)는 실과 같은 섬유 여러 가닥이 일체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튜브체(122)에 삽입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다수의 섬유 가닥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묶음으로 일체화된 상태에서 튜브체(122)에 삽입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점적섬유체(124)를 구성하는 섬유로는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재질의 섬유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심지(120)는 상기 호스본체(110)에 형성되는 심지구멍(112)에 압입되어 설치된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의 심지구멍(112) 내경을 상기 심지(120)의 튜브체(122) 외경보다 작게 형성한 다음, 상기 심지(120)의 점적섬유체(124)가 설치된 튜브체(122)를 심지구멍(112)에 강제로 압입하게 되면, 호스본체(110)가 탄성력에 의하여 튜브체(122) 외면을 조이면서 가압하게 되고, 튜브체(122) 및 점적섬유체(124)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호스본체(1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강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연질의 튜브체(122)가 호스본체(11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되면, 점적섬유체(124)와 튜브체(122)가 일체로 밀착되는 상태로 되고, 튜브체(122)의 외면과 호스본체(110)의 심지구멍(112) 내면이 서로 강하게 밀착되어 자연스럽게 누수가 방지되는 수밀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호스본체(11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튜브체(122)에 대한 고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호스본체(110)의 두께를 1mm 이상(바람직하게는 1~10mm)으로 형성하는 것이 튜브체(12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탄성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의 두께를 너무 두껍게 형성하게 되면, 튜브체(122)를 삽입하는 작업이 어렵고, 탄성력(복원력)이 커져서 설치공간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휘면서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성과 시공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체(122)의 외면과 심지구멍(112)의 내면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거나 도포하여 상기 심지(120)를 호스본체(110)에 고정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튜브체(122)와 호스본체(110)를 초음파나 유도가열 등을 이용하여 융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심지(1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스본체(110)에 1열로 배치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에 설치되는 심지(120) 사이의 간격은 2~60cm 정도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cm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심지(120)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으면, 식물의 식재 간격에 비하여 너무 좁은 공간에서 점적관수가 이루어지므로, 물의 낭비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심지(120)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으면, 식물의 식재 간격에 비하여 너무 넓은 공간에서 점적관수가 이루어지므로, 식물의 생장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나아가 상기 심지(120) 사이의 간격은 식물의 식재 간격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식물을 1m 이상의 간격으로 식재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심지(120) 사이의 간격을 1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심지(120)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호스본체(1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2~5열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심지(120)는 상기 호스본체(110)에 둘레를 따라 지그재그형태(서로 어긋나는 형태)로 배치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식재상자(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스본체(110)에 저면의 일부가 결합되어 지지된다.
상기 식재상자(200)의 저면에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스본체(110)의 외주면 일부를 1/3~2/3 정도 감싸며 결합되도록 결합홈(210)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호스본체(110)를 지름방향으로 단면하였을 때에, 상기 호스본체(110) 단면적의 1/3~2/3 정도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상기 결합홈(210)을 형성하는 것이, 결합홈(210)에 결합된 호스본체(110)에 대한 지지력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식재상자(200)는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식재상자(200)는 한쪽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하며, 사각통형상이나 육각통형상, 원통형상, 타원통형상, 속이 빈 구형상, 속이 빈 과일형상 등의 다양한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식재상자(200)는 별모양이나 나뭇잎, 하트모양, 꽃모양 등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식재상자(200)는 가볍고 강도가 우수하며 내구성 및 내후성 등이 우수한 합성수지나 세라믹, 유리 등의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식재상자(200)는 한변의 길이 또는 지름을 대략 3cm 정도로부터 1m 정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식재상자(200)의 크기가 클 경우(예를 들면, 한변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측면의 중앙부 내면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돌기(25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6 참조).
상기 보강돌기(250)에는 필요에 따라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감아서 보다 확실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뿌리지지구멍(252)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7 참조).
상기와 같이 뿌리지지구멍(252)을 형성하게 되면, 식물의 뿌리가 뻗어나가면서 뿌리지지구멍(252)을 감싸게 되어 지지력이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식재상자(200)에는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손잡이홈(242)을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에 설치되는 심지(120) 중의 1개 이상이 상기 식재상자(200)의 저면을 관통하여 내부의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식재상자(200)의 저면에는 상기 심지(120)가 관통 삽입되는 급수구멍(212)이 형성한다. 상기 급수구멍(212)은 상기 결합홈(210)에 위치하여 형성된다.
상기 식재상자(200)의 측면에는 복수의 통기구멍(222)을 형성한다. 상기 통기구멍(222)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 대응하여 형성하는 것이 통기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통기구멍(222)은 측면 전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통기구멍(222)은 내부로 충분하게 산소가 공급되도록 적절한 수와 크기, 간격 등을 설정하여 형성한다.
상기 통기구멍(222)으로는 비가 오는 경우나 물이 과도하게 공급된 경우에 물의 배출도 이루어진다.
상기 통기구멍(222)의 크기는 상기 식재상자(200)의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인공토양이나 모래, 흙 등)이 용이하게 유출되지 않도록 토양(식생토)의 입도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식재상자(200)의 내면에 토양이 통기구멍(222)을 통하여 유출되지 않도록 천이나 망 등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식재상자(200)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재되는 식물이나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이 쉽게 쏟아지지 않도록 복수의 지지끈(26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끈(260)은 통기구멍(222)을 통하여 서로 엇갈리도록 설치하며, 다단으로 얼기설기 엮어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끈(260)으로는 천연섬유나 합성섬유, 금속 와이어, 나무토막, 석재나 세라믹 등의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지지끈(260)을 설치하게 되면, 식재상자(200)를 옆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쉽게 내부의 토양이나 식재된 식물이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나아가 다수의 지지끈(260)을 다단으로 설치하게 되면,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지지끈(260)을 휘감으면서 성장하므로, 식재상자(200) 내부에 확고하게 위치를 잡아 지지력을 확보하게 되고, 식물의 뿌리가 내부의 토양도 잡아주게 되어 식재상자(200)를 옆으로 또는 거꾸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식재상자(200)의 저면 결합홈(210)에는 결합되는 호스본체(110)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돌기(214)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9 참조).
상기와 같이 걸림돌기(214)를 형성하게 되면, 호스본체(110)가 일시적으로 변형되면서 걸림돌기(214)를 타넘어 결합홈(210) 안쪽으로 삽입되고, 이후 상기 걸림돌기(214)에 의하여 호스본체(110)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식재상자(200)의 저면에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근구멍(280)을 형성한다.
상기 착근구멍(280)은 하나 이상을 형성하며, 식재상자(20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와 수를 설정하여 형성한다. 예를 들면, 식재상자(200)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착근구멍(280)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근구멍(280)의 크기는 식재상자(200)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이나 식생토가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착근구멍(280)을 형성하게 되면, 식재상자(200) 내부에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착근구멍(280)을 통과하여 지면쪽으로 뻗어나가는 것이 가능하고, 암반사면이나 지면의 원지반에 착생되어 활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식재상자(200)의 측면에도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근구멍(29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식재상자(200)의 측면에 착근구멍(290)을 형성하게 되면, 이웃하는 식재상자(200)로 식물의 뿌리가 뻗어나가 식물이 전체적으로 서로 얼기설기 엮이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가 되고, 보다 용이하게 활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식재상자(200)가 호스본체(110)에 조립되어 설치되는 경우 테두리쪽에 위치하는 식재상자(200)의 측면에 형성된 착근구멍(290)으로 뻗어나온 식물의 뿌리는 주변의 지면에 직접 활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식재상자(200)의 측면 및 저면에 착근구멍(280), (290)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식재상자(20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용이하게 지면과 접하여 원지반에 활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식재상자(200)는 생분해성 재질이나 식물성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식재상자(200)를 생분해성 재질이나 식물성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면, 식재된 식물의 활착이 충분하게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식재상자(200)가 식물을 지지해주지만,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식재상자(200)는 분해 소멸되어 더 자연친화적인 녹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는 도 10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스본체(110)의 외주면에는 180도 서로 반대쪽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날개체(130)를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고, 상기 날개체(13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체결구멍(132)을 형성하고, 상기 식재상자(200)의 저면에 설치되는 체결부재(230)가 상기 체결구멍(132)을 관통하여 걸리는 것에 의하여 식재상자(200)를 호스본체(110)에 설치한다.
상기 날개체(130)는 연속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일정 간격을 두고 단절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날개체(130)에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식재상자(200)의 저면에 형성된 착근구멍(280)에 대응하는 위치에 착근구멍(19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날개체(130)에 착근구멍(190)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식재상자(200)이 착근구멍(280)을 통과하여 뻗어나오는 식물의 뿌리가 착근구멍(190)을 통과하여 지면과 직접 접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23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식재상자(20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체결부재(23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멍(132)을 관통한 다음, 걸려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끝부분에 걸림턱(23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230)는 상기 체결구멍(132)에 삽입될 때에 체결구멍(132)을 자연스럽게 확장시키면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끝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230)와 체결구멍(132)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체결부재(230)를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식재상자(200)에 형성하는 체결구멍과 상기 호스본체(110)에 형성된 체결구멍(132)을 체결부재(230)로 관통시켜 상기 식재상자(200)를 호스본체(110)에 일체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는, 상기 호스본체(110)의 2개 이상을 날개체(130)를 통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식재상자(200)를 복수의 열로 상기 호스본체(110)에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호스본체(110)를 복수의 날개체(130)를 통하여 서로 연결하여 평판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유로가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 10개 이상을 날개체(130)를 통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압출성형 또는 사출성형으로 이루어지는 제조공정의 특성상 제조원가의 급격한 상승으로 경제적이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2~6개의 호스본체(110)가 일체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식재상자(200)는 각 호스본체(110)에 각각 1열씩 대응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식재상자(200)를 2개 이상의 호스본체(110)에 걸쳐지는 크기로 형성하여 하나의 식재상자(200)가 2열 이상의 호스본체(110)에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의하면, 암반사면이나 호안 블럭 등에 상기 점적관수용 호스(100)를 고정 설치한 다음, 각 심지(120)에 대응하여 식물이 식재된 식재상자(200)를 호스본체(110)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녹화작업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는 암반사면이나 호안의 형태와 조경 디자인에 대응하여 상기 호스본체(110)에 대한 고정을 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어떠한 형태의 조경 디자인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효용성이 매우 크며, 최소한의 구조로 조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는 상기 호스본체(110)를 통하여 물을 점적관수 방식으로 식물이 식재된 상기 식재상자(200) 내부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지속적으로 식물의 생장에 적합한 상태로 수분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를 이용하여 암반사면, 호안, 사막, 황무지 등의 식물의 생장 조건이 열악한 지역에 조경 및 녹화를 행하게 되면, 점적관수용 호스(100)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물의 낭비를 최소화하면서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식물의 활착을 충분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녹지면적을 크게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를 이용하여 녹화를 행하게 되면, 상기 식재상자(200)에 식재된 식물을 교체(또는 다른 식물이 식재된 식재상자(200)로 교체)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경의 분위기와 형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요자가 원하는 대로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식재하는 것이 가능하고, 식물의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웃하는 점적관수용 호스(100)를 커넥터(31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310)에는 상기 호스본체(110)에 삽입될 때에 내면에 밀착되면서 누수가 방지되는 수밀구조를 이루도록 하나이상의 수밀돌기(312)를 양쪽에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310)는 중앙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파지돌기(314)를 형성한다.
상기 파지돌기(314)의 외주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요철이나 주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점적관수용 호스(100)를 십자(+)형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블럭(330)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블럭(330)과 점적관수용 호스(100)는 상기 커넥터(31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한다.
상기 연결블럭(330)에는 상기 점적관수용 호스(100)의 호스본체(110)와 연결되는 유로(332)가 중앙에 십자(+)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호스본체(11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물이 공급되는 수도꼭지나 물탱크, 하천, 수로 등과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기 호스본체(110)에는 물의 공급여부 및 급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밸브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물을 압송시키거나 순환시키기 위한 급수펌프를 연결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의 수도꼭지나 물탱크 등에 연결되는 반대쪽 끝부분은 폐쇄하여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고, 하수구쪽으로 연결하여 공급되고 남은 물이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물이 순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호스본체(110)를 통과하는 급수량의 조절은 상기 개폐밸브 또는 급수펌프에 타임스위치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는 도 17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적관수용 호스(100)의 날개체(130)에 지면 또는 벽면 등과 접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받침부재(170)와 보호부재(180)를 형성한다.
상기 받침부재(170)는 각 호스본체(110)의 열마다 좌우로 평행하게 배열하여 수직으로 돌출시켜 형성한다. 즉 상기 받침부재(170)는 두께가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보호부재(180)는 상기 호스본체(110)를 보호하도록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즉 상기 보호부재(180)는 모자형상 또는 컵형상의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보호부재(180)와 상기 호스본체(110)는 연결부재(182)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182)를 통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호스본체(110)와 외부를 감싸는 보호부재(180)를 연결하게 되면, 상기 호스본체(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호부재(180)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중앙부분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받침부재(170) 사이의 날개체(130) 부분에는 절곡홈(174)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절곡홈(174)을 형성하게 되면, 복수개의 열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호스본체(110)를 서로 연결하는 날개체(130)를 호스본체(110)의 열별로 필요에 따라 절곡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지면이나 벽면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설치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날개체(130)에는 암반사면이나 호안 등의 지면에 앵커볼트나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구멍(150)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에 있어서, 좌우양쪽 끝면의 경우 상하에 위치하는 호스본체(110)는 서로 "U"형상으로 연결구(350)를 이용하여 하나의 라인(line)을 이루도록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점적관수용 호스(100)의 외곽에 위치하는 받침부재(170) 외면 둘레를 따라 링형상으로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마감테(49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마감테(490)는 상기 받침부재(170) 또는 벽면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마감테(490)는 상기 점적관수용 호스(100)가 이루는 테두리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구성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는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스본체(11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5실시예의 급수장치(600)는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모두에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도 22에는 제4실시예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대표적인 예시로 나타낸다.
상기 급수장치(600)는 물공급원(610)과, 주급수관(620)과, 배수관(630)과, 온도측정부(642), 강우감지부(644), 제어부(6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공급원(610)으로는 상기 식재상자(200)에 식재된 식물(잔디, 풀, 꽃, 소형 관목, 교목, 채소, 과일 등)에 공급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나 수도관, 지하수관 등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물공급원(6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는 필요에 따라 식재상자(200)에 식재된 식물에 적합한 영양분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물공급원(610)을 물탱크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점적관수용 호스(100)쪽으로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식재상자(200)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주급수관(620)에는 급수개폐밸브(624)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급수관(620)은 상기 물공급원(610)과 상기 호스본체(11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물공급원(610)의 물은 주급수관(620)을 통하여 상기 호스본체(110)로 공급된다.
상기 배수관(630)에는 배수개폐밸브(634)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개폐밸브(634)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관(630)은 상기 호스본체(110) 종단부(끝부분)에 연결되고 지면이나 하수구 또는 배수구쪽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배수관(630)을 통하여 상기 호스본체(110)에 잔류하는 물이 지면이나 하수구 쪽으로 배출된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630)의 배수개폐밸브(634)가 설치되기 이전 지점에서 분기하여 드레인관(69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드레인관(690)은 호스본체(110)의 물을 다시 물공급원(610)쪽으로 환수하여 재사용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온도측정부(642)는 베이스판(400) 또는 마감테(490)의 한쪽에 설치되어 식재상자(200)가 설치된 지역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온도측정부(642)는 온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어부(660)로 측정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디지털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우감지부(644)는 상기 베이스판(400) 또는 마감테(490)의 한쪽에 설치되어 식재상자(200)가 설치된 지역의 강우여부(비가 내리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강우감지부(644)는 강우량계나 강우감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온도측정부(642)와 강우감지부(644)는 하나의 기판에 세트로 구성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온도측정부(642)와 강우감지부(644)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와 배수개폐밸브(634)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개방하여 물공급원(610)의 물을 상기 호스본체(110)로 공급하는 물공급상태와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폐쇄하고 상기 배수개폐밸브(634)를 개방하여 상기 호스본체(110)에 잔류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상태를 상기 온도측정부(642)와 강우감지부(644)로부터의 측정신호에 따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온도측정부(642)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온도(예를 들면 0℃) 미만이면,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배수개폐밸브(634)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은 배수상태로 전환하여 제어부(660)에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호스본체(110)에 공급되는 물은 차단된 상태에서, 호스본체(110)에 잔류하는 물은 배수관(630)을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호스본체(110) 내부의 물이 얼어 파손되는 사고(동파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온도측정부(642)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온도(예를 들면 0℃) 이상이면,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배수개폐밸브(634)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이 때 상기 물공급원(6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흘러내리는 물(예를 들면 샘물이나 냇물, 강물 등)이어서 계속하여 흘려보내는 것이 가능할 경우에는 배수개폐밸브(634)를 폐쇄상태로 변경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물공급상태로 전환하여 제어부(660)에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호스본체(110)에 물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물이 어는 온도인 0℃를 기준으로 제어부(660)에서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질적으로 식물이 물을 별로 필요로 하지 않는 낮은 온도(예를 들면 5℃ 또는 10℃, 15℃ 이하)에서는 물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부(66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식재상자(200)에 식재되는 식물이 지속적인 물의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식물(예를 들면 선인장 등)인 경우에는 타이머(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제어부(660)에 연결하여 일정 주기별(예를 들면 시간단위나 일단위, 주단위 등)로 물의 공급과 차단을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강우감지부(644)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에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상기 온도측정부(642)로부터 입력되는 온도 측정값에 관계없이 상기 강우감지부(644)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에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즉 비가 오는 날씨에서는 별도로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호스본체(110)로 물을 공급하는 주급수관(620)의 급수개폐밸브(624)를 폐쇄상태로 변경한다.
상기에서 강우감지부(644)로부터 입력된 강우신호에 의하여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개폐밸브(634)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비가 오는 날씨의 경우에는 상기 호스본체(110)에 물이 잔류하는 것도 가능하고, 호스본체(110)의 물을 배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에 물이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빗물이 식재상자(200)의 식재공간에 스며드는 물의 배수가 원활하지 않을 수가 있으므로, 배수개폐밸브(634)를 개방하여 호스본체(110)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강우감지부(644)로부터 비가 오는 것으로 측정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측정부(642)로부터 설정온도 미만으로 온도 측정값이 입력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수상태로 제어를 전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강우감지부(644)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측정부(642)로부터 입력되는 온도 측정값에 따라 제어를 행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상기 강우감지부(644)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다가 비가 오지 않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에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660)에서 강우감지부(644)의 측정신호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비가 올 경우에는 호스본체(110)에 물의 공급이 차단되어,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비가 내릴 경우에는 식재상자(200)에 식재된 식물이나 토양이 비로부터 충분하게 수분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추가적인 물의 공급이 필요없다.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온도측정부(642)에서 측정되는 온도 측정값에 따라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온도측정부(642)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30℃ 이상의 고온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도를 최대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충분하게 유지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660)를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도를 최대로 조절하는 대신에 개방시간을 최대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충분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방시간은 관수시간(급수개폐밸브(624)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시간)과 관수횟수(1일 동안에 급수개폐밸브(624)를 개방하는 횟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조절가능하다.
예를 들면, 관수시간을 증가(예를 들면 25℃일 경우 1회의 관수를 30분 행하는 경우 35℃일 경우 1회의 관수를 1~2시간 행하도록 증가)시키거나 1일 관수횟수를 증가(예를 들면 25℃일 경우 1일 4회 관수를 행하는 경우 35℃일 경우 1일 6~8회 관수를 행하도록 증가)시키면, 물의 공급량을 최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온도측정부(642)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25∼30℃의 범위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도 또는 개방시간을 중간에서 최대 사이에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중간으로 유지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온도측정부(642)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5∼25℃의 범위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도 또는 개방시간을 최소에서 중간 사이에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소량으로 유지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온도측정부(642)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5∼15℃의 범위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도를 폐쇄상태로 변경하여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온도가 5∼15℃의 범위일 경우에는 수분의 증발이 잘 발생하지 않으므로, 장기간(예를 들면 1주일 또는 1개월) 동안 수분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온도측정부(642)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5℃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폐쇄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온도측정부(642)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0℃ 이하여서 공급되는 물이 얼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폐쇄함과 동시에 동파 방지를 위하여 호스본체(110)에 남아있는 물을 배수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수압을 작게 유지하면, 식재상자(200)에 식재된 식물이 토양으로부터 수분을 빨아들이는 정도에 따라 호스본체(110)의 물이 소비되면서 이에 따라 물의 공급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660)에 있어서 정상적인 물공급상태는 급수개폐밸브(624)를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고, 식재상자(200)에 식재된 식물에 의하여 소비되는 물의 양에 따라 단속적 또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60)는 물공급상태에서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도를 최소에서 최대 사이에서 물의 소비량에 따라서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방과 폐쇄를 일정 주기(시간대별, 일단위별, 주단위별, 월단위별)마다 반복 행하여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날씨나 온도, 식물의 종류 등에 따라서 맞춤형으로 물의 공급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부(660)를 프로그래밍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급수장치(600)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공급원(610)과 주급수관(620) 사이에 펌프(67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펌프(670)를 설치하게 되면 물공급원(610)의 높이(예를 들면 물탱크의 높이)를 식재상자(200)가 설치된 베이스판(400)의 높이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펌프(670)의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660)에서 작동여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경우에 펌프(67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경우에 펌프(670)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이 펌프(67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가 개방상태로 변경되어도 펌프(67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의 공급이 제한적이므로, 펌프(670)의 작동여부를 상기 제어부(660)에서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에 있어서 급수장치(600)는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양광이나 태양열, 풍력, 수력 등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여 상기 제어부(660)와 펌프(670)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부(65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자가발전부(650)를 설치하게 되면, 장기간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자동제어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원의 공급이 어려운 지역이나 지점에서도 효과적으로 식재상자(200)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외진 곳이나 사람이 수시로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 식재상자(200)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자연력에 의한 발전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효과적으로 식물의 활착 및 성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자가발전부(650)는 태양전지모듈(652)과, 상기 태양전지모듈(6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축전지(654)와, 상기 축전지(6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버터(6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태양전지모듈(652)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태양광 발전을 위하여 사용되는 태양전지모듈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태양전지모듈(652)은 태양광의 조사가 용이하도록 기둥을 이용하여 소정의 높이로 경사지게 설치한다.
상기 인버터(656)는 상기 축전지(654)의 12~24V직류전압을 220V교류전압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펌프(670)가 교류전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인버터(656)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버터(656)는 펌프(670)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660) 등과 연결된다.
상기에서 펌프(670)를 직류펌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버터(656)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상기 자가발전부(650)는 필요에 따라 안정적으로 일정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력안정화장치 등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자가발전부(65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펌프(670)와 제어부(660) 이외에 유량제어밸브, 조명장치 등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자가발전부(650)를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는 태양전지모듈(652)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풍력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는 소형 풍력발전시스템을 적용하여 자가발전부(65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태양광 및 풍력을 함께 이용하도록 2가지 시스템을 함께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제5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면 녹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점적관수용 호스, 110 - 호스본체, 112 - 심지구멍, 120 - 심지
122- 튜브체, 124 - 점적섬유체, 130 - 날개체, 132 - 체결구멍
150 - 고정구멍, 170 - 받침부재, 174 - 절곡홈, 180 - 보호부재
182 - 연결부재, 190 - 착근구멍, 200 - 식재상자, 210 - 결합홈
212 - 급수구멍, 214 - 걸림돌기, 222 - 통기구멍, 230 - 체결부재
242 - 손잡이홈, 250 - 보강돌기, 252 - 뿌리지지구멍, 260 - 지지끈
280 - 착근구멍, 290 - 착근구멍. 310 - 커넥터, 312 - 수밀돌기
314 - 파지돌기, 330 - 연결블럭, 332 - 유로, 490 - 마감테
600 - 급수장치, 610 - 물공급원, 620 - 주급수관, 624 - 급수개폐밸브
630 - 배수관, 634 - 배수개폐밸브, 642 - 온도측정부, 644 - 강우감지부
650 - 자가발전부, 652 - 태양전지모듈, 654 - 축전지, 656 - 인버터
660 - 제어부, 670 - 펌프, 690 - 드레인관

Claims (16)

  1.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호스본체와 상기 호스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호스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심지를 포함하는 점적관수용 호스와,
    상기 호스본체에 저면의 일부가 결합 지지되고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심지 중의 1개 이상이 저면을 관통하여 내부의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저면에 착근구멍이 형성되는 복수의 식재상자를 포함하는 지면 녹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재상자는 생분해성 재질이나 식물성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지면 녹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재상자의 측면에도 복수의 착근구멍이 형성되는 지면 녹화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재상자의 저면에는 상기 호스본체의 외주면 일부를 1/3~2/3 감싸며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심지가 관통 삽입되는 급수구멍이 형성되는 지면 녹화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재상자에는 측면의 중앙부 내면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돌기를 형성하는 지면 녹화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본체의 외주면에는 180도 서로 반대쪽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날개체를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고, 상기 날개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체결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식재상자의 저면에 설치되는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구멍을 관통하여 걸리는 것에 의하여 식재상자를 호스본체에 설치하는 지면 녹화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점적관수용 호스는 2개 이상의 호스본체가 복수의 날개체를 통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지면 녹화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날개체에 받침부재와 보호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각 호스본체의 열마다 좌우로 평행하게 배열하여 수직으로 돌출시켜 두께가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호스본체를 보호하도록 감싸는 모자형상 또는 컵형상의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호스본체는 연결부재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지면 녹화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여 위치하는 호스본체의 좌우에 형성됨에 따라 근접된 위치에 형성되는 받침부재 사이의 날개체 부분에는 절곡홈을 형성하는 지면 녹화장치.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체에는 상기 식재상자의 저면에 형성된 착근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착근구멍을 형성하는 지면 녹화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점적관수용 호스를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호스본체에 삽입될 때에 내면에 밀착되면서 누수가 방지되는 수밀구조를 이루도록 하나이상의 수밀돌기를 양쪽에 형성하는 지면 녹화장치.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점적관수용 호스를 십자(+)형상으로 연결하며 상기 호스본체와 연결되는 유로가 중앙에 십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블럭을 더 포함하는 지면 녹화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본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물공급원과, 상기 물공급원으롭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호스본체로 공급하며 급수개폐밸브가 설치되는 주급수관과, 상기 호스본체의 물을 배수하며 배수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배수관과, 상기 식재상자가 설치된 지역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와, 상기 식재상자가 설치된 지역의 강우여부를 감지하는 강우감지부와, 상기 온도측정부 및 강우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개폐밸브와 배수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면 녹화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30℃ 이상의 고온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의 개도 및 개방시간을 최대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충분하게 유지하고,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25∼30℃의 범위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의 개도 및 개방시간을 중간에서 최대 사이에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중간으로 유지하고,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5∼25℃의 범위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의 개도 및 개방시간을 최소에서 중간 사이에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소량으로 유지하고,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5℃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를 폐쇄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지면 녹화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는 상기 물공급원과 주급수관 사이에 펌프를 설치하는 지면 녹화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는 태양광이나 태양열, 풍력, 수력 중에서 선택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여 상기 제어부와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지면 녹화장치.
KR1020100066367A 2010-07-09 2010-07-09 지면 녹화장치 KR101187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367A KR101187689B1 (ko) 2010-07-09 2010-07-09 지면 녹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367A KR101187689B1 (ko) 2010-07-09 2010-07-09 지면 녹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742A true KR20120005742A (ko) 2012-01-17
KR101187689B1 KR101187689B1 (ko) 2012-10-10

Family

ID=4561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367A KR101187689B1 (ko) 2010-07-09 2010-07-09 지면 녹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68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287B1 (ko) * 2013-07-17 2013-10-08 주식회사 가드닝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KR101315283B1 (ko) * 2013-01-11 2013-10-08 주식회사 가드닝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KR101390357B1 (ko) * 2012-06-28 2014-04-3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살수여상기능 및 정수처리기능을 갖는 자연형 하천 호안 공법
KR101700068B1 (ko) * 2016-07-20 2017-02-13 김제용 식생용 개비온
CN109457712A (zh) * 2018-12-12 2019-03-12 新疆维吾尔自治区交通规划勘察设计研究院 一种适用于干旱地区的生态护坡系统及施工方法
CN117888499A (zh) * 2024-03-13 2024-04-16 武汉市城市防洪勘测设计院有限公司 一种河岸带生态修复系统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200B1 (ko) * 2017-10-25 2018-06-20 김한종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204B1 (ko) * 2003-02-24 2004-07-14 주식회사 임원차이코 생분해성 육묘포트
KR200332463Y1 (ko) 2003-06-18 2003-11-10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식생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점적관수시스템
KR200386097Y1 (ko) 2005-03-07 2005-06-07 백영수 급수장치가 설치된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357B1 (ko) * 2012-06-28 2014-04-3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살수여상기능 및 정수처리기능을 갖는 자연형 하천 호안 공법
KR101315283B1 (ko) * 2013-01-11 2013-10-08 주식회사 가드닝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KR101315287B1 (ko) * 2013-07-17 2013-10-08 주식회사 가드닝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KR101700068B1 (ko) * 2016-07-20 2017-02-13 김제용 식생용 개비온
CN109457712A (zh) * 2018-12-12 2019-03-12 新疆维吾尔自治区交通规划勘察设计研究院 一种适用于干旱地区的生态护坡系统及施工方法
CN109457712B (zh) * 2018-12-12 2023-12-08 新疆交通规划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适用于干旱地区的生态护坡系统及施工方法
CN117888499A (zh) * 2024-03-13 2024-04-16 武汉市城市防洪勘测设计院有限公司 一种河岸带生态修复系统及其施工方法
CN117888499B (zh) * 2024-03-13 2024-06-07 武汉市城市防洪勘测设计院有限公司 一种河岸带生态修复系统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689B1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689B1 (ko) 지면 녹화장치
US8646205B2 (en) Fabricated cultivation box and fabricate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US7798746B2 (en) Modular, self contained, engineered irrigation landscape and flower bed panel
CN107182620B (zh) 滴灌式农业大棚系统及大棚种植方法
KR101187688B1 (ko)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JP6689505B2 (ja) 植物栽培装置
WO2007063815A1 (ja) 植物栽培ユニット及び植物栽培容器
KR101187686B1 (ko) 점적관수용 호스 및 점적관수장치
US20100005716A1 (en) Portable Apparatus for Promoting and Containing Plant Growth
CN104603363A (zh) 种植面结构以及用于形成这种种植面结构的模块和方法
US20090038221A1 (en) Outdoor garden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KR101816066B1 (ko)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
KR101187687B1 (ko) 점적관수용 호스를 이용한 조경장치
US5993111A (en) Method and system for flood irrigation
JP5970675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
CN104285703B (zh) 五叶地锦培养箱、绿化系统及快速绿化方法
KR101187407B1 (ko) 벽면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녹화방법
CN103947438A (zh) 植被恢复系统及利用该系统进行植被恢复的方法
WO2011010930A1 (en) A water irrigation system
CN215563521U (zh) 一种基于海绵城市建筑的绿色墙面
CN110249845B (zh) 一种高陡岩坡绿化和维护系统
US20230148491A1 (en) A Device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Upon an Undulating Surface
AU2022235587A1 (en) Modular smart planter box
KR200343113Y1 (ko) 녹화 조성을 위한 씨앗 발아용 포대
KR20220012454A (ko) 지층의 잔존수분으로 유도한 노지의 전천후 생육환경을 조성하는 식물재배관리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