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066B1 -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066B1
KR101816066B1 KR1020150153660A KR20150153660A KR101816066B1 KR 101816066 B1 KR101816066 B1 KR 101816066B1 KR 1020150153660 A KR1020150153660 A KR 1020150153660A KR 20150153660 A KR20150153660 A KR 20150153660A KR 101816066 B1 KR101816066 B1 KR 101816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ube
sub
tank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933A (ko
Inventor
이주영
김수남
권학철
엄병헌
이재욱
박진수
차진욱
이민정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53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0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1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025/003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with an impermeable layer in the groun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공간이 마련되고 우수 유입구를 가지는 저장장치, 상기 저장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목이 식재되는 복수의 모듈 내로 분배하는 공급장치 및 상기 공급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모듈 내로 공급된 물을 집수하기 위한 회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장치에 수용된 물은 일측이 상기 회수장치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저장장치에 연결되는 순환배관을 따라 다시 상기 저장장치로 이동하는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Water supply system for green roof}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에 식물을 위한 생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건물 옥상에 녹지공간을 조성시 이물질이 걸러진 빗물이 지속적으로 재사용됨으로써, 별도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인위적인 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상녹화 시스템은 단층이나 고층 건물의 옥상에 식물 등을 조경하는 녹화시설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지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인공 구조물 상의 조경 시설 구조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옥상녹화 시스템은 자연 지반에서 분리된 부분에 인공적인 지형지질로서의 지반을 새로이 조성하여 조경공간으로 이용하는 시설이라 볼 수 있다.
현재, 우리 사회는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부작용으로 녹지공간의 감소, 생태계 파괴, 에너지 과다사용, 도시경관 악화 등 도시 환경 생태계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도시생태환경을 개선하고 환경오염 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도시옥상농원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즉, 상기 옥상녹화 시스템은 건물 옥상에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대기 오염을 완화하여 도시의 열섬 현상을 예방할 수 있고, 태양열의 차단 또는 단열작용으로 인해 건물의 냉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녹화 시스템 수목의 광합성 또는 증발 작용으로 인해 도시 내의 습도가 조절될 수 있고, 강우가 상기 수목에 일시 저장됨으로써 도심부의 홍수가 예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옥상녹화 시스템에 곤충이나 식물을 위한 생태환경이 조성되어 도시 생태계가 복원되고, 도시민에게 휴식 공간이 제공되며, 수목 조성으로 인해 도시의 생활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시생태조성 기술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수목용 관수 시스템에 대한 몇 가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67099호 문헌에는 각종 시설영농을 비롯한 채소 농사나 화훼류의 재배와 같은 식물 재배에 사용될 수 있는 식물재배용 다목적 관수장치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문헌에 따르면, 식물이 심어져 있는 토양 속에 일정 크기의 관을 매설하고 물과 액비 및 농약 등을 상기 관 속으로 주입하여 식물과 가장 인접한 뿌리 부분에 이를 공급할 수 있는 관수장치를 소개하고 있다.
다만, 건물의 옥상이라는 한정된 공간 내에 높은 밀집도로 생육되어 있는 식물에게 본 문헌에 따른 관수장치를 통해 물을 공급하는 것은 그 효율이 상당히 떨어지고, 별도의 설비를 이용하여 상기 관수장치에 물이 따로 공급되어야 하므로 유지 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식물의 종류에 대한 구분없이 물과 농약 및 액비 등이 일정하게 공급되므로 자원 낭비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사용된 농약이 그대로 도시 하수관을 통해 배출되므로 도시 농업에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67099호(2004. 07. 30. 공개)
본 발명은 관수 공급이 어려운 건물의 옥상에 별도의 설비 없이 빗물을 사용하여 도시옥상농원을 조성함으로써, 도시환경생태를 개선하고 환경오염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공간이 마련되고 우수 유입구를 가지는 저장장치, 상기 저장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목이 식재되는 복수의 모듈 내로 분배하는 공급장치 및 상기 공급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모듈 내로 공급된 물을 집수하기 위한 회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장치에 수용된 물은 일측이 상기 회수장치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저장장치에 연결되는 순환배관을 따라 다시 상기 저장장치로 이동하는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도시옥상농원 조성에 필요한 물 공급 방식을 기존의 상수도 방식이 아닌 빗물을 이용한 관수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별도의 설비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저감되고 효과적인 도시옥상농원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빗물 저장장치와 회수장치를 통해 이물질이 분리된 물이 무동력으로 수목에 공급되고, 상기 빗물 저장장치와 회수장치는 순환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환경 오염을 예방하고 도시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원 발생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량 조절이 가능한 격자형 관수 시스템은 빗물 또는 회수된 용수를 수목이 심어져 있는 각 모듈에 효율적으로 전달함으로써, 건물 옥상에서 식물종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생산량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옥상 녹화용 관수 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관수 시스템 중 빗물을 수용하는 저장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저장장치의 하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저장장치에 수용된 물을 수목에 분배하기 위한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저장장치와 공급장치의 연결 부분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6은 상기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메인튜브와 서브튜브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공급장치가 설치되는 지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I-I' 부분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1)은 단층 또는 다층 건물의 옥상에 수목 등을 식재하여 도시옥상농원을 조성하기 위하여 물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옥상은 지표면과 상당 거리 이격하게 위치하므로 상수도와 같은 특수 설비를 통해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설비들은 비용이 많이 소모되고 유지 또는 관리에 적지 않은 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관수 시스템은(1)은 빗물을 이용하여 도시옥상농원을 조성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수 시스템(1)은 빗물을 수용하는 저장장치(1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장치(10)에 수용된 물은 수목이 식재하는 각 모듈에 분배하는 공급장치(20)로 이동한다. 즉, 상기 공급장치(20)에는 열과 행이 나란하게 맞춰진 격자형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모듈 각각에 여러 가지의 수목이 식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모듈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수목이 각각 분리되어 각 모듈에 식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장치(20)에 의해 수목에 공급된 물은 소정의 배관을 따라 회수장치(3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회수장치(30)는 수목에 과다한 양의 물이 제공될 때, 남은 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저장장치(10)와 상기 회수장치(30)는 순환배관(4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배관(40)에는 상기 회수장치(30)로부터 상기 저장장치(10)로 물의 이동을 일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류방지밸브(41)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수장치(3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저장장치(10)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저장장치(10)에 수용된 빗물이 지속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관수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상기 저장장치(10)와 상기 회수장치(30)는 그 형상과 내부 구성이 서로 동일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저장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상기 회수장치(3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2는 상기 관수 시스템 중 빗물을 수용하는 저장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저장장치의 하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장치(10)는 폴리염화비닐(PVC) 재질로 이루어지는 저장탱크(13)에 의해 그 외형이 구성된다. 상기 저장탱크(13) 내에는 빗물 수용부(5)를 통해 수집된 빗물이 저장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탱크(13) 내에 수용되는 물의 양은 옥상농원의 면적에 따라 약 50L 내지 1000L의 물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빗물 수용부(5)는 상기 저장탱크(13)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유출구 측에는 집수된 빗물 중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 필터(5a)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13)에는 상부를 커버하고, 중앙에 우수 유입구를 가지는 캡(11)이 설치된다. 상기 캡(11)은 중앙이 비어 있고, 이러한 비어 있는 공간에 망 형태의 메쉬(12)가 설치된다. 상기 메쉬(12)는 상기 스크린 필터(5a)를 통과한 빗물 중의 이물질을 2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저장탱크(13)의 일측에는 상기 공급장치(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탱크 밸브(15)가 설치된다. 상기 탱크 밸브(15)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13)로부터 상기 공급장치(20)로 물의 이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탱크 밸브(15)는 공급배관(21)과 연결되어 상기 공급장치(20)와 연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저장탱크(13) 내에 물이 일정량을 초과하여 채워지는 경우, 초과되는 물의 양을 외부로 배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을 담당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탱크(13)의 다른 일측에는 역류관(14)이 설치된다. 상기 탱크 밸브(15)는 상기 공급장치(20)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함에 비해, 상기 역류관(14)은 상기 저장탱크(13) 내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각각의 기능을 고려하여 볼 때 상기 역류관(14)은 상기 탱크 밸브(15)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 설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역류관(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물은 별도의 보관통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보관통에 저장된 물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시 상기 빗물 수용부(5)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13)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탱크(13)의 하부, 구체적으로 바닥 부분에는 상기 저장탱크(13) 내의 공간을 기준으로 외측으로부터 중앙 부분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는 경사체(18)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체(18)는 하면이 상기 저장탱크(13)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중앙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는 형상을 가지는 구성이다.
상기 경사체(18)는 상기 저장탱크(13) 내에 수용되는 물 중 하부로 침전되는 이물질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탱크(13) 내에 수용되는 이물질 중 일정 무게 이상의 침전물은 상기 경사체(18)의 상부 경사면(18a)을 따라 상기 경사체(18)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경사체(18)의 중앙 부분은 천공이 이루어지고, 천공된 부분에는 개폐 밸브(17)가 설치된다. 즉, 상기 경사체(18)의 중앙 부분은 상기 저장탱크(13)의 하부에 설치되는 침전 통(16)과 연통하고, 상기 개폐 밸브(17)의 개방에 따라 침전물이 뒤섞인 물이 상기 침전 통(16)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밸브(17)와 상기 탱크 밸브(15)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개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옥상농원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 모드가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 밸브(15)를 개방하여 상기 공급장치(20)로 물이 공급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 밸브(17)를 폐쇄하여 원활한 물의 이동 흐름을 안내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도시옥상농원에 물의 공급이 완료되어 대기 모드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 밸브(15)를 폐쇄하여 상기 공급장치(20)로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 밸브(17)를 개방하여 상기 저장탱크(13) 내에 수용된 침전물을 상기 침전 통(16)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13)에 수용된 물에서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된 상태로 상기 공급장치(20)로 이동하게 된다.
도 4는 상기 저장장치에 수용된 물을 수목에 분배하기 위한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저장장치와 공급장치의 연결 부분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메인튜브와 서브튜브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공급 모드시, 상기 저장장치(10)에 수용된 물은 상기 공급배관(21)을 따라 상기 공급장치(20)로 이동한다. 상기 공급배관(21)에는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에서 적절한 압력으로 상기 공급장치(20)로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압 조절 어셈블리(100)가 설치된다. 상기 수압 조절 어셈블리(100)는, 상기 공급배관(21)을 따라 이동하는 물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110)와, 물의 일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역류 방지기(120)와, 물의 압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압력 조절기(130)와, 상기 공급배관(21)과 상기 공급장치(2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140) 및 어댑터(150)를 포함한다(도 5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수압 조절 어셈블리(100)를 통과한 물은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압력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상기 공급장치(2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공급장치(20)는 열과 행을 맞추어 나란히 배치되는 메인튜브(22) 및 상기 메인튜브(22)로부터 분지되는 복수의 서브튜브(23, 24)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튜브(22)는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각 모듈(22a)의 경계를 구분한다. 즉, 상기 모듈(22a)은 상기 메인튜브(22)에 의해 복수 개로 구분되고, 상기 각 모듈(22a)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식물이 식재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튜브(22)의 열과 행이 만나는 지점에는 유량조절밸브(25)가 설치된다. 상기 유량조절밸브(25)는 상기 메인튜브(22)를 따라 이동하는 물의 이동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튜브(22)로부터 분지되는 서브튜브는, 상기 메인튜브(22)의 일측에 결합하는 제1 서브튜브(23) 및 상기 메인튜브(22)의 타측에 결합하는 제2 서브튜브(24)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서브튜브(23)는 상기 복수의 모듈(22a) 중 어느 하나의 모듈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서브튜브(24)는 상기 어느 하나의 모듈과 인접한 모듈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서브튜브(23)와 상기 제2 서브튜브(24)가 상기 메인튜브(22)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 서브튜브(23)와 상기 제2 서브튜브(24)의 연장 방향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서브튜브(23)의 물 분사 방향과 상기 제2 서브튜브(24)의 물 분사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서브튜브(23)와 상기 메인튜브(22)의 결합 위치는, 상기 제2 서브튜브(24)와 상기 메인튜브(22)의 결합 위치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메인튜브(22)에 상기 제1 서브튜브(23)와 상기 제2 서브튜브(24)가 서로 결합하지만, 그 위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 서브튜브(23)의 위치는 상기 제2 서브튜브(24)의 위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튜브(22)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서브튜브(23)의 위치는 상기 메인튜브(22)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서브튜브(24)의 위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튜브(23)와 상기 제2 서브튜브(24)의 위치 차이는 물의 이동 흐름과 관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튜브(22)를 따라 이동하는 물의 일부는 상기 메인튜브(22)의 열과 행이 만나는 분기점에서 3방향 또는 4방향으로 나누어져서 상기 메인튜브(22)를 따라 계속 이동하게 되고, 상기 메인튜브(22)를 따라 이동하는 물의 다른 일부는 상기 유량조절밸브(25)의 개도에 따라 적절한 양의 물이 각각 상기 제1 서브튜브(23)와 상기 제2 서브튜브(24)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1 서브튜브(23)와 상기 제2 서브튜브(24)가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면, 각 모듈에서 필요로 하는 정확한 양의 물이 각 모듈에 공급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브튜브(23)와 상기 제2 서브튜브(24)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1 서브튜브(23)와 상기 제2 서브튜브(24) 각각에 정확한 양의 물이 분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서브튜브(23)와 상기 제2 서브튜브(24)는 모두 외면에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다공성 튜브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튜브(23, 24)를 따라 이동하는 물은 상기 복수의 홀을 통해 여러 방향에서 여러 갈래로 분사되므로, 상기 모듈(22a)에 골고루 물이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튜브(22), 상기 제1 서브튜브(23) 및 상기 제2 서브튜브(24)는 모두 폴리에틸렌(PE)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재료는 열에 강한 소재이므로, 건물 옥상에 강한 햇빛이 조사되더라도 상기 튜브(22, 23, 24)들의 변색 또는 변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물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기 메인튜브(22)의 직경은 상기 서브튜브(23, 24)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장치(20) 내를 순환하는 물은 튜브들의 직경에 따른 압력 차이에 의해 원활하게 순환 또는 분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튜브(22)의 직경은 40mm이고, 상기 서브튜브(23, 24)의 직경은 13 내지 20mm일 수 있으나, 상기 튜브들의 직경값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량조절밸브(25)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도값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모듈(22a) 중 일 모듈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물이 필요한 식물이 식재되고, 다른 모듈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한 식물이 식재된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조절밸브(25)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일 모듈에는 적은 양의 물을 공급하고, 상기 다른 모듈에는 많은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도시옥상농원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고, 도시옥상에서 식물종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공급장치(20)로 분배된 물이 식물의 뿌리로 흡수되기 위한 지반 내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상기 공급장치가 설치되는 지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I-I' 부분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튜브(22)와 서브튜브(23, 24)는 지반(G)의 하부, 즉 토양 내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튜브(22, 23, 24)들을 통해 물이 토양 내로 배출되면, 물의 일부는 식물의 뿌리를 통해 흡수되고, 다른 일부는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된다. 다만, 상기 튜브(22, 23, 24)들의 하부에는 모세관 스폰지 매트(27)가 설치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물의 또 다른 일부가 다시 상방으로 이동하여 식물의 뿌리를 통해 흡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세관 스폰지 매트(27)에 의해 물의 손실량을 줄이고 운영의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
상기 모세관 스폰지 매트(27)의 하부에는 흙과 물이 뒤섞인 각 모듈(22a)이 저장되는 수용체(28)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체(28)의 하부에는 방수매트(29)가 설치된다. 상기 수용체(28)와 방수매트(29)에 의해 상기 모듈(22a)이 지지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상기 공급장치(20)를 통해 각 모듈(22a)에 공급된 물 중 남은 부분은 회수배관(35)을 따라 상기 회수장치(30)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회수장치(30)에 저장된 물은 상기 순환배관(40)을 따라 다시 상기 저장장치(10)로 이동되어 빗물의 지속적인 재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시옥상농원 조성에 필요한 물 공급 방식을 기존의 상수도 방식이 아닌 빗물을 이용한 관수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별도의 설비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저감되고 효과적인 도시옥상농원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고,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관수 시스템 10: 저장장치
20: 공급장치 21: 공급배관
22: 메인튜브 23: 제1 서브튜브
24: 제2 서브튜브 30: 회수장치
35: 회수배관 40: 순환배관

Claims (11)

  1.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공간인 저장 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침전 통을 포함하고, 우수 유입구를 가지며, 상기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침전 통으로 물 또는 이물질의 이동 여부를 제어하는 개폐 밸브가 설치되는 저장장치;
    상기 저장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목이 식재되는 복수의 모듈 내로 분배하는 공급장치;
    상기 저장 탱크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장치와 연통하도록 공급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공급 장치로 물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탱크 밸브;
    상기 공급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모듈 내로 공급된 물을 집수하기 위한 회수장치; 및
    공급 모드 시 상기 탱크 밸브는 개방하고 상기 개폐 밸브는 폐쇄하여 상기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공급 장치로 물을 공급하고, 대기 모드 시 상기 탱크 밸브는 폐쇄하고 상기 개폐 밸브는 개방하여 상기 저장 탱크 내에 수용된 침전물을 상기 침전 통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장치에 수용된 물은 일측이 상기 회수장치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저장장치에 연결되는 순환배관을 따라 다시 상기 저장장치로 이동하고,
    상기 공급장치는,
    상기 공급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모듈의 윤곽을 형성하도록 열과 행을 맞추어 설치되는 메인 튜브; 상기 메인 튜브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 모듈에 물을 공급하는 제1 서브튜브; 및 상기 메인 튜브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일 모듈에 인접하는 다른 모듈에 물을 공급하는 제2 서브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튜브의 열과 행이 만나는 지점에는, 상기 메인 튜브를 따라 이동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유량조절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사이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는,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를 커버하고 상기 저장탱크로 이동하는 물 내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메쉬가 설치되는 캡; 및
    상기 저장탱크 내의 하부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중앙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 통은 상기 경사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탱크 내에 수용된 물의 양을 제어하도록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외부로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류관이 설치되고,
    상기 역류관은 상기 탱크 밸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배관에는,
    상기 탱크 밸브를 통과한 물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와, 물의 이동 흐름을 일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류 방지기와, 물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기를 포함하는 수압 조절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튜브와 상기 제2 서브튜브는,
    복수의 홀을 가지는 다공성 튜브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튜브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
  8. 삭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 각각으로 물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서브튜브는 상기 제2 서브튜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튜브, 제1 서브튜브 및 제2 서브튜브는 지반의 하부에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튜브들의 하부에는 내부에 흙 또는 물이 저장되는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물의 이동을 제한하는 방수매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들과 상기 수용체 사이에는
    상기 튜브들을 통해 지반 하부에 배출된 물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도록 물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모세관 스폰지 매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
KR1020150153660A 2015-11-03 2015-11-03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 KR101816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660A KR101816066B1 (ko) 2015-11-03 2015-11-03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660A KR101816066B1 (ko) 2015-11-03 2015-11-03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933A KR20170051933A (ko) 2017-05-12
KR101816066B1 true KR101816066B1 (ko) 2018-01-08

Family

ID=5874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660A KR101816066B1 (ko) 2015-11-03 2015-11-03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0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228B1 (ko) * 2020-12-11 2021-03-1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참외 수경재배 전용 지면매립형 배지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369B1 (ko) * 2018-03-06 2019-07-04 성경애 농약 재사용 장치
CN111741677A (zh) * 2018-05-22 2020-10-02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浇灌系统及其控制方法,浇灌装置,及输送管
KR102182832B1 (ko) * 2018-11-21 2020-11-25 강원도 횡성군 식물 재배환경 제어 시스템
KR102252350B1 (ko) * 2019-06-24 2021-05-14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스마트 농업용 냉난방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609Y1 (ko) * 2002-12-21 2003-03-12 김제구 농작물급수시설의 점적호오스용 가변개폐 배수밸브부재
JP2003082825A (ja) * 2002-04-30 2003-03-19 Genichiro Nakamura 建築物の屋根構造体
JP2003199443A (ja) * 2001-10-22 2003-07-15 Sekisui Chem Co Ltd 建物の屋上緑化灌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9443A (ja) * 2001-10-22 2003-07-15 Sekisui Chem Co Ltd 建物の屋上緑化灌水システム
JP2003082825A (ja) * 2002-04-30 2003-03-19 Genichiro Nakamura 建築物の屋根構造体
KR200306609Y1 (ko) * 2002-12-21 2003-03-12 김제구 농작물급수시설의 점적호오스용 가변개폐 배수밸브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228B1 (ko) * 2020-12-11 2021-03-1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참외 수경재배 전용 지면매립형 배지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933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066B1 (ko) 옥상녹화용 관수 시스템
CN107182620B (zh) 滴灌式农业大棚系统及大棚种植方法
CN103964566B (zh) 旱作物农田首级退水水质强化净化装置
WO2007063815A1 (ja) 植物栽培ユニット及び植物栽培容器
US10531615B2 (en) Modular container and modular irrigation system
JP2007267732A (ja) 屋上緑化システム
CN110476670B (zh) 滴灌管、大棚及其控制方法
JP2007267731A (ja) 緑化システム
JP2007159482A (ja) 緑化システム
KR20190037756A (ko) 친환경 파고라
CN111350233A (zh) 一种北方地区田间大棚区雨洪资源利用装置及构建方法
CN103650966A (zh) 一种模块化垂直绿化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40135441A (ko) 에어컨 배출수를 활용한 관수시스템
CN106472271A (zh) 一种盆栽浮球自动供水系统
US20230063223A1 (en) Carbon neutral groundwater and rainwater dual irrigation system
KR101613833B1 (ko) 바텀애쉬를 활용한 자동화 옥상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CN112243738B (zh) 节能建筑用屋顶绿化系统
JP5970675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
CN214853391U (zh) 一种绿地免动力自循环灌溉装置
CN110820704A (zh) 一种用于农田灌溉的雨水收集回用系统
CN104631561A (zh) 自动控制液位的绿化景观的地下补水池
KR200475509Y1 (ko) 식재용 상자 조립체
CN112273092A (zh) 绿色建筑用外墙无源绿化系统
CN205894257U (zh) 带有地下蓄水池的绿地
CN110463474A (zh) 一种自循环温室灌溉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