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068B1 - 식생용 개비온 - Google Patents
식생용 개비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0068B1 KR101700068B1 KR1020160092222A KR20160092222A KR101700068B1 KR 101700068 B1 KR101700068 B1 KR 101700068B1 KR 1020160092222 A KR1020160092222 A KR 1020160092222A KR 20160092222 A KR20160092222 A KR 20160092222A KR 101700068 B1 KR101700068 B1 KR 1017000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 block
- water
- vegetation block
- gav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 A01G1/00—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 A01G9/108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옹벽용 개비온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의 내면에 연결되는, 식생토, 돌 및 식물 종자를 포함한 식생용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강우가 심한 경우에도, 식생용 블록을 통해 흙이나 식물종자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어, 옹벽 시공후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수분저장공간과 수분유지심지를 통해 강우시 수분을 저장하여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어 가뭄에도 식물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식생용 블록을 개비온내에 다양하게 배치하여 시공할 수 있어, 시공현장에서의 적응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식생용 블록에서 식물종자가 발아되지 못한 경우, 식생용 개비온의 철망을 열어 발아하지 못한 식생용 블록을 교체하거나, 식물종자를 재파종할 수 있어, 사후관리에 적합하다.
다섯째, 식생용 블록과 개비온가 결합하는 부분의 철망에 식물의 뿌리가 엉김 상태로 활착 되므로, 식생용 개비온을 연결하여 시공 시 경사면이나 절개지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빠른 시간 내에 생태적, 시각적 경관을 조성할 수 있다.
상기 개비온의 내면에 연결되는, 식생토, 돌 및 식물 종자를 포함한 식생용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강우가 심한 경우에도, 식생용 블록을 통해 흙이나 식물종자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어, 옹벽 시공후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수분저장공간과 수분유지심지를 통해 강우시 수분을 저장하여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어 가뭄에도 식물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식생용 블록을 개비온내에 다양하게 배치하여 시공할 수 있어, 시공현장에서의 적응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식생용 블록에서 식물종자가 발아되지 못한 경우, 식생용 개비온의 철망을 열어 발아하지 못한 식생용 블록을 교체하거나, 식물종자를 재파종할 수 있어, 사후관리에 적합하다.
다섯째, 식생용 블록과 개비온가 결합하는 부분의 철망에 식물의 뿌리가 엉김 상태로 활착 되므로, 식생용 개비온을 연결하여 시공 시 경사면이나 절개지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빠른 시간 내에 생태적, 시각적 경관을 조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생용 개비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식생용 블록을 내측에 수용하도록 구성하므로 식물의 생장이 가능하고, 유수(流水)에 의해서 식물이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물의 공급에 의해서 생태적 시각적 경관을 조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개비온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의 구성과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개비온의 예시도이고, 도 2는 개비온으로 경사면, 절개지의 안정 작업 후 녹화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개비온(10)이란, 도 1에서처럼 아연도금 된 철사를 직교하여 기하학적으로 배열하고 그들의 교점을 전기저항으로 용접한 철망태를 박스형으로 조립한 후, 그 내부공간에 쇄석 또는 조약돌을 채워 조립한 것으로서 옹벽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개비온(10)은 사각 개비온(WELDED MESH GABION)과 육각 개비온(HEXAGONAL GABION)으로 나뉜다.
이러한 개비온(10)을 사용하여 경사면 또는 절개지 내지는 고수부지에 옹벽을 시공할 때에는 상기 개비온(10)의 내부에 자연석, 쇄석, 식생토를 충전한 후 씨앗을 파종하여 녹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한다.
그런데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개비온(10)에 파종할 경우, 개비온(10)의 상부에 씨를 뿌리게 되는데 쇄석 때문에 뿌리를 깊이 내릴 수 없어서 식물의 성장이 어려워 녹화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파종된 씨앗이 발아하여 식물이 성장한다고 하더라도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지 않으므로 식물이 말라죽게 되어 녹화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고수부지에 개비온(10)을 옹벽으로 시공한 경우, 하천의 침수에 의해서 식물이 유실되어 녹화를 지속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파종된 씨앗이 발아될 때, 뿌리가 상기 자연석이나 쇄석에 부딪치지 않고 용이하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므로 용이한 녹화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둘째,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므로 녹화 환경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고수부지 등에 옹벽으로 시공된 경우, 유수에 의해 상기 식물이 뿌리째 뽑혀서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식생용 개비온에 있어서, 상기 식생용 개비온에 수용되는 식생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식생용 블록은 내부에 식생토 및 식물 종자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식생용 블록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연분해되는 친환경 소재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식생용 블록은, 상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상부 측면에 내부와 외부가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며, 하부는 이중구조로서, 강우시 상기 통 형상의 측면과 함께 수분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통 형상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바닥판과, 상기 하부바닥판과 이격되고 수분이동구멍이 형성된 상부바닥판 및 상기 상부바닥판을 관통하여 상기 식생용 블록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분저장공간에 연결된 연결된 수분유지심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분유지심지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용 블록의 하부가 다른 상기 식생용 블록의 상부에 삽입되어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식생용 블록 하부의 단면적이, 상기 식생용 블록 상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 것이고, 상기 식생용 블록의 측면 상부가 상기 식생용 개비온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생용 개비온에서 상기 식생용 블록이 연결된 일측면이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식생용 블록이 상기 식생용 개비온의 내부에 위치하여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일측면과 이격된 내부철망을 포함하고, 상기 식생용 개비온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식생용 블록에 충전된 식생토에 물을 공급하는 수분공급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분 공급기는,
상방으로 개방된 물통과, 상기 물통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식생용 개비온에 걸리는 고리가 연결된 호퍼와, 상기 물통의 내측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회동지점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판을 상방으로 회동되도록 힘을 가하는 비틀림 스프링과, 상기 물통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개폐판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물통의 상부가 닫히도록 하는 돌기와, 상기 물통의 외측면에 부착된 영구자석과, 상기 물통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물통에 유입된 물이 여과되도록 하는 스크린과, 상기 물통의 하방에 형성된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물통의 하단에 고정되고 내부에 솜이 충전된 매니폴더와, 상기 매니폴더에 연결되어 상기 식생용 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식생토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호스와, 상기 호스에 충전된 솜과, 상기 물통, 호퍼, 매니폴더, 호스의 외측면에 부착된 녹색의 털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강우가 심한 경우에도, 식생용 블록을 통해 흙이나 식물종자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어, 옹벽 시공 후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수분저장공간과 수분유지심지를 통해 강우시 수분을 저장하여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어 가뭄에도 식물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식생용 블록을 개비온 내에 다양하게 배치하여 시공할 수 있어, 시공현장에서의 적응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식생용 블록에서 식물종자가 발아되지 못 한경우, 식생용 개비온의 철망을 열어 발아하지 못한 식생용 블록을 교체하거나, 식물종자를 재파종할 수 있어, 사후관리에 적합하다.
다섯째, 식생용 블록과 개비온가 결합하는 부분의 철망에 식물의 뿌리가 엉김 상태로 활착 되므로, 식생용 개비온을 연결하여 시공 시 경사면이나 절개지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빠른시간 내에 생태적, 시각적 경관을 조성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식생용 블록의 수분저장공간에 수용된 물이 소진되더라도 상기 식생토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므로 식물이 말라죽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녹화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개비온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개비온를 경사지에 시공한 경우 녹화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 2a는 시공직후, 도 2b는 3년후, 도2c는 10년후의 녹화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예시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연결부가 포함된 식생용 블록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식생용 블록이 연결부로 연결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연결부가 포함된 식생용 블록을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식생용 블록에 충전물이 채워진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에 식생용 블록이 연결되는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식생용 블록이 연결된 식생용 개비온의 측면이 개폐되는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식생용 블록이 연결된 식생용 개비온의 상면이 개폐되는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내에 식생용 블록이 연결되는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이 시공된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식생용 블록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해되는 과정을 설명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에 수분 공급기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에 장착되는 수분 공급기에서 호스를 이탈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에 장착되는 수분 공급기가 호스에 의해서 식생용 블록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개비온를 경사지에 시공한 경우 녹화되는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 2a는 시공직후, 도 2b는 3년후, 도2c는 10년후의 녹화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예시도.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연결부가 포함된 식생용 블록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식생용 블록이 연결부로 연결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연결부가 포함된 식생용 블록을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식생용 블록에 충전물이 채워진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에 식생용 블록이 연결되는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식생용 블록이 연결된 식생용 개비온의 측면이 개폐되는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식생용 블록이 연결된 식생용 개비온의 상면이 개폐되는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내에 식생용 블록이 연결되는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이 시공된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식생용 블록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해되는 과정을 설명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에 수분 공급기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에 장착되는 수분 공급기에서 호스를 이탈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에 장착되는 수분 공급기가 호스에 의해서 식생용 블록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연결부가 포함된 식생용 블록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식생용 블록이 연결부로 연결되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연결부가 포함된 식생용 블록을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식생용 블록에 충전물이 채워진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에 식생용 블록이 연결되는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식생용 블록이 연결된 식생용 개비온의 측면이 개폐되는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식생용 블록이 연결된 식생용 개비온의 상면이 개폐되는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 내에 식생용 블록이 연결되는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이 시공된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의 식생용 블록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해되는 과정을 설명한 예시도로써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100)은 자연석과 자연석( 수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식생용 블록(120)이 더 수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식생용 블록(120)에는 식생토(122), 식물종자(126)가 채워지고, 거름과 같은 부식토도 같이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식생용 블록(120) 자체에서 식물이 발아하여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이 시공된 절개지나 경사면의 녹화의 진행이 빨라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용 블록(120)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연분해되는 친환경 소재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친환경 소재는, 주 소재는 생분해성플라스틱 기초 원료인 PLA(Polylactide, 옥수수전분)[미국, Natureworks 특허보유 소재]에 12가지의 친환경소재에서 추출한 고분자가 배합된 나노복합 물질(특허등록, 10-0655914)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가 배합된 나노복합 물질은, 저탄소 녹색성장에도 부합되는 친환경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로서, 기존의 범용 플라스틱 합성수지 소재를 대체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해되어 친환경적인 특징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용 블록(120)은, 상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상부 측면에 다수개의 내부와 외부가 관통된 구멍(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식생용 블록(120)은 상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을 띠도록 할 수 있다. 사각통 형상으로 하는 것은 개비온(110)의 형상이 육면체이므로 상기 식생용 블록(120)을 단일 개 내지는 다수 개로 사용하면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의 내측 높이와 길이가 일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식생용 블록(120) 하나만으로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 내부의 일측면과 동일할 수 있고, 상기 식생용 블록(120) 다수 개를 사용하여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의 내부의 일측면과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사각통 형상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어서 원통 이외의 다각형의 통 형상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된 구멍(130)은,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대기 및 수분의 유출입과 더불어 식물의 뿌리나 줄기가 상기 식생용 블록(120) 외부로 생장해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멍(130)은 후술하는 수분저장공간(170)에는 일치하지 않도록 배치하므로 물이 배수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용 블록의 하부(140)는, 이중구조로서, 강우시 상기 통 형상의 측면과 함께 수분저장공간(170)을 형성하며 상기 통 형상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바닥판(142)과, 상기 하부바닥판(142)과 이격되고 수분이동구멍(132)이 형성된 상부바닥판(144) 및 상기 상부바닥판(144)을 관통하여 상기 식생용 블록(120)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분저장공간(170)과 연결된 수분유지심지(14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유지심지(146)의 측면에 돌기(148)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바닥판(142)과 상기 상부바닥판(144)은 이격되어 수분저장공간(170)을 형성하며, 강우시, 개방된 상기 식생용 블록(120)의 상부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상기 상부바닥판(142)의 상기 수분이동구멍(132)을 통해 상기 수분저장공간(170)에 물(W)이 저장된다. 물(W)이 너무 많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식생용 블록(120)의 측면 구멍(130)으로 물이 유출된다. 가뭄의 경우, 상기 수분저장공간(170)에 저장된 물(W)이 상기 수분유지심지(146)를 통해 식물에 공급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수분유지심지(146)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148)가 그 역할을 보다 충실히 한다. 상기 수분유지심지(146)와 돌기(148)는 수분을 흡수하여 상승시킬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 분해되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일례로 디퓨저용으로 사용되는 리드스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용 블록의 하부(140)가 상기 식생용 블록의 상부(150)에 삽입되어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식생용 블록 하부(140)의 단면적이, 상기 식생용 블록 상부(150)의 단면적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식생용 블록(120)은 두 가지 형상이 가능한데, 첫번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 형상 중 육면체 형상을 일례로 하여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형상이며, 두 번째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 형상을 일례로 하여 상부가 개방되어 있되, 하부의 단면적이 상부의 단면적 보다 작은 형상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형상은,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 내에서 최하부에 연결하거나, 도 8에서처럼 최상부에 연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식생용 블록(120)을 서로 연결시키지 않고 하나만으로 식생용 개비온(100) 내에 수용할 수도 있다. 상기 두 번째 형상은, 도 7에서처럼 상기 식생용 블록(120)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에 수용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즉, 두 번째 형상은 하나의 식생용 블록의 하부(140)가 다른 식생용 블록의 상부(15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어서,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의 높이 방향으로 식생용 블록(120)을 적층하는데 편리하고 안정적이다.
또한, 상기 식생용 블록(120)의 크기는, 식생용 개비온(100)의 측면이나 상면의 크기와 동일하게 하여 상기 식생용 블록(120)을 다수로 할 필요없이 하나만으로 식생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식생용 블록(120)의 크기를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 보다 작게 하여,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의 측면이나 상면에 다수 개의 식생용 블록(120)을 연결하여 식생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용 블록(120)의 측면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비온(11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절곡되어 ㄱ형으로 형성된 철사인, 연결부(160)가 구성된다. 연결부(160)의 사용 방법은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과 상기 식생용 블록(120)의 연결상태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에서 상기 식생용 블록(120)이 수직으로 적측되어 구성될 때, 외측방으로 접하는 망상의 일측면(102)이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식생용 블록(120)이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일측면(102)과 이격된 내부철망(104)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부철망(104)은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 내에 상기 식생용 블록(120)의 자리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내부철망(104)과 일측면(102) 사이에 식생용 블록(120)이 배치되고 식생용 블록(120)은 상기 연결부(160)를 통해서 내부철망(104)에 걸려서 연결된다. 이처럼 식생용 블록(120)이 상방으로 적층된 경우에는 맨 상부에 배치된 식생용 블록(120)의 개방된 상방으로 식물이 성장하게 되고, 그 아래에 배치된 식생용 블록(120)은 상기 구멍(130)을 통해서 측방으로 식물이 성장하게 된다.
또한, 도 8에서처럼 상기 식생용 블록(120)이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의 상부에 배치될 때도 마찬가지로 상기 식생용 블록(120)에 접하는 일측면(102)이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일측면(102)에서 내측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식생용 블록(120)이 안착되는 내부철망(104)이 구성된다. 상기 내부철망(104)은 식생용블록(120)을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160)는 구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 경우, 식물은 상기 식생용 블록(120)의 개방된 상방으로 성장하게 된다.
상기 내부철망(104)으로 인해, 상기 식생용 블록(120)을 다시 교환하거나 재파종을 위해,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에서 분리해내어도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에 충전되는 자연석(S)과 쇄석(T)의 위치에 변화를 주지 않게 되어,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으로 시공된 옹벽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면(102)은 개폐되기 위해서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변이 식생용 개비온(100)에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나머지 세 개의 변은 식생용 개비온(100)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리될 수 있는 세 개의 변을 분리하여, 상기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된 하나의 변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식생용 블록(120)과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의 연결 상태는 다음과 같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용 블록(120)을, 적층하며 식생하고자 하는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의 내부의 일측 전부에 연결하거나, 상기 식생용 블록(120)을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의 내부의 일부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생용 블록(120)을 수직으로 쌓아서 배치할 경우, 상기 연결부(160)를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의 내측면 상부, 중부 및 하부 중 식생이 필요한 어느 한 부분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의 내측면 높이에 관계없이 상기 식생용 블록(120)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의 내부 즉 내부철망(104)의 상대측에 자연석(S)이나 쇄석(T)이 충전된다.
또한,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의 상부에 상기 식생용 블록(120)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자연석(S)이나 쇄석(T) 등의 충전물을 상기 식생용 블록(120)이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부분 즉, 상기 내부철망(104) 하부에 채워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일측면(102)을 닫은 후, 상기 일측면(102)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와이어로 식생용 개비온(100)에 결속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파종된 씨앗이 발아할 때 상기 식생토에 용이하게 뿌리내릴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의 성장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신속한 녹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식물의 뿌리가 상기 구멍(130)을 통해서 배출되어 측방에 배치된 식생용 블록(120)의 구멍(130)으로 통과하여 결속되기도 하고, 내부철망(104)에도 감겨서 결속되므로, 본 발명을 고수부지에 옹벽으로 시공한 경우, 유수에 의해서 식물이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분유지심지(146)와 돌기(148)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수분을 식물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이 말라서 죽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강우 시 빗물이 상기 식생용 블록(120)의 수분저장공간(170)에 저장되므로 수분 공급이 가능하다.
상기 식생용 블록(120)의 수분저장공간(170)에 저장된 물이 소진하게 될 경우에는 식생용 블록(120)에 충전된 식생토(122)가 건조하게 되면서 식물이 말라죽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에 대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수분 공급기(2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수분 공급기(200)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에 수분 공급기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에 장착되는 수분 공급기에서 호스를 이탈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개비온에 장착되는 수분 공급기가 호스에 의해서 식생용 블록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방으로 개방된 물통(201)이 구성되고, 상기 물통(201)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에 걸리는 고리(205)가 연결된 깔때기 모양의 호퍼(203)가 구성된다. 따라서, 강우 시 상기 물통(201)으로 용이하게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통(201)의 내측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는 개폐판(207)이 구성되고, 상기 개폐판(207)의 회동지점(G)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판(207)을 상방으로 회동되도록 힘을 가하는 비틀림 스프링(209)이 구성된다. 그리고 물통(201)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개폐판(207)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물통(201)의 상부가 닫히도록 하는 돌기(211)가 구성된다. 상기 돌기(211)에 의해서 개폐판(207)은 하방으로만 회동되고 상방으로 회동되어 물통(201)의 상부가 개방되는 현상은 방지된다.
상기 비틀림 스프링(209)의 강도는 상기 호퍼(203)에 물이 가득 차면 물의 무게에 의해서 회동하도록 조정된 것이다. 따라서, 호퍼(203)에 물이 충전되면 물의 무게에 상기 개폐판(207)은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물은 물통(201)에 유입되고 개폐판(207)은 비틀림 스프링(209)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회동하여 물통(201)의 상부를 닫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통(201)의 외측면에 부착된 영구자석(213)이 구성되므로 물통(201)에 유입된 물속에 포함된 철분이 물통(201)의 내측면에 부착시켜서 걸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매니폴더(219)와 호스(225)의 내부가 폐색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통(201)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물통(201)에 유입된 물이 여과되도록 하는 스크린(215)이 구성되므로 물통(201)에 유입된 물이나 벌레 등이 걸러지도록 하므로 후술하는 매니폴더(219)와 호스(225)의 내부가 폐색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통(201)의 하방에 관통구(202)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202)에 연결되도록 상기 물통(201)의 하단에 고정되고 내부에 솜(223)이 충전된 매니폴더(219)가 구성된다. 상기 매니폴더(219) 하단에 막혀진 관 형상으로서 측면에 다수 개의 니플(221)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매니폴더(219)의 니플(221)에 연결되어 상기 식생용 블록(120)을 관통하여 상기 식생토(122)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호스(22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호스(225)에 충전된 솜(227)이 구성되고, 상기 물통(201), 호퍼(203), 매니폴더(219), 호스(225)의 외측면에 부착된 녹색의 털(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되므로 식물이 자란 후에 상기 수분 공급기(200)가 가시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100)에 의해 축조된 옹벽의 외양을 해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털은 일광(日光)을 차단하므로 내부에 충전된 물이 일광에 가열되어 식생용 블록(120)에 충전된 식생통(122)를 통과하여 대기 중으로 증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강우 시 식생용 블록(120)에 빗물이 투수되어 저장될 뿐만 아니라, 상기 수분공급기(200)에도 빗물이 저장된다. 즉, 상기 호퍼(203)를 통해서 유입된 빗물이 개폐판(207) 상부에 차오르다가 일정 높이가 되면 물의 무게에 의해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209)이 회동하게 되어 개폐판(207)은 열리게 된다. 그리고 비틀림 스프링(209)의 복원력에 의해서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처럼 개폐판(207)으로 물통(201)의 상부를 닫는 이유는 개미, 날파리 등의 벌레가 물을 먹기 위해서 모여드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매니폴더(219)와 호스(225)의 내부에 충전된 솜(223, 227)을 폐색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상기 물통(201)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영구자석(213)에 의해서 내부에 포함된 철분이 걸러지게 되고, 상기 스크린(215)에 의해서 이물질이 여과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상기 매니폴더(219)와 호스(225)의 내부에 충전된 솜(223, 227)을 폐색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물통(201)에 물이 충전되면 상기 매니폴더(219)에 수용된 솜(223)으로 스며들게 되고, 상기 솜(223)으로 흡수된 물은 상기 호스(225)의 내부에 충전된 솜(227)을 통해서 상기 식생용 블록(120)의 식생토(122)로 배출된다. 이때 물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상기 솜(223, 227)의 내부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식생용 블록(120)이 식생용 개비온(100)의 측방에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 호스(225)가 식생용 블록(120)을 측방으로 관통되어 식생토(122)에 연결되고, 상기 식생용 블록(120)이 식생용 개비온(100)의 상부에 배치된 경우에는 식생용 블록(120)의 상부에 개방된 식생토(122)에 상기 호스(225)를 집어넣음으로써 식생토(122)에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생용 블록(120)의 수분저장공간(170)에 수용된 물이 소진되더라도 상기 식생토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므로 식물이 말라죽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녹화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식생용 블록(120)을 통해서 식물이 무성하게 자란 경우, 상기 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수분공급기(200)는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식생용 블록(120)을 통해서 축조된 옹벽의 외관을 해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201)이나 호퍼(203) 내지는 호스(225)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일광에 의해서 유분이 휘발하게 되어 취성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쉽게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털에 의해서 일광을 차단하므로 본 발명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식생용 개비온
102: 식생용 블록이 연결되는 식생용 개비온의 면
104: 내부철망 110: 개비온
120: 식생용 블록 122: 식생토
126: 식물종자 130: 구멍
132: 수분이동구멍 140: 식생용 블록의 하부
142: 하부바닥판 144: 상부바닥판
146: 수분유지심지 148: 돌기
150: 식생용 블록의 상부 160: 연결부
170: 수분저장공간 200: 수분 공급기
201: 물통 203: 호퍼
205: 고리 207: 개폐판
209: 비틀림 스프링 211: 돌기
213: 영구자석 215: 스크린
219: 매니폴더 223: 솜
225: 호스 227: 솜
102: 식생용 블록이 연결되는 식생용 개비온의 면
104: 내부철망 110: 개비온
120: 식생용 블록 122: 식생토
126: 식물종자 130: 구멍
132: 수분이동구멍 140: 식생용 블록의 하부
142: 하부바닥판 144: 상부바닥판
146: 수분유지심지 148: 돌기
150: 식생용 블록의 상부 160: 연결부
170: 수분저장공간 200: 수분 공급기
201: 물통 203: 호퍼
205: 고리 207: 개폐판
209: 비틀림 스프링 211: 돌기
213: 영구자석 215: 스크린
219: 매니폴더 223: 솜
225: 호스 227: 솜
Claims (5)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식생용 개비온(100)에 있어서,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에 수용되는 식생용 블록(120)을 포함하고,
상기 식생용 블록(120)은 내부에 식생토(122) 및 식물 종자(126)가 수용되고,
상기 식생용 블록(120)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연분해되는 친환경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식생용 블록(120)은, 상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상부 측면에 내부와 외부가 관통된 구멍(130)이 형성되며,
하부(140)는 이중구조로서, 강우시 상기 통 형상의 측면과 함께 수분저장공간(170)을 형성하며 상기 통 형상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바닥판(142);
상기 하부바닥판(142)과 이격되고 수분이동구멍(132)이 형성된 상부바닥판(144); 및
상기 상부바닥판(144)을 관통하여 상기 식생용 블록의 상부(150)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분저장공간(170)에 연결된 연결된 수분유지심지(146)를 포함하며,
상기 수분유지심지(146)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148)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용 블록의 하부(140)가 다른 상기 식생용 블록의 상부(150)에 삽입되어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식생용 블록 하부(140)의 단면적이, 상기 식생용 블록 상부(15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 것이고,
상기 식생용 블록(120)의 측면 상부가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에서 상기 식생용 블록(120)이 연결된 일측면(102)이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식생용 블록(120)이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일측면(102)과 이격된 내부철망(104)을 포함하고,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식생용 블록(120)에 충전된 식생토(122)에 물을 공급하는 수분공급기(200)를 포함하며,
상기 수분 공급기(200)는,
상방으로 개방된 물통(201)과,
상기 물통(201)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에 걸리는 고리(205)가 연결된 호퍼(203)와,
상기 물통(201)의 내측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는 개폐판(207)과,
상기 개폐판(207)의 회동지점(G)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판(207)을 상방으로 회동되도록 힘을 가하는 비틀림 스프링(209)과,
상기 물통(201)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개폐판(207)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물통(201)의 상부가 닫히도록 하는 돌기(211)와,
상기 물통(201)의 외측면에 부착된 영구자석(213)과,
상기 물통(201)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물통(201)에 유입된 물이 여과되도록 하는 스크린(215)과,
상기 물통(201)의 하방에 형성된 관통구(202)와,
상기 관통구(202)에 연결되도록 상기 물통(201)의 하단에 고정되고 내부에 솜(223)이 충전된 매니폴더(219)와,
상기 매니폴더(219)에 연결되어 상기 식생용 블록(120)을 관통하여 상기 식생토(122)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호스(225)와,
상기 호스(225)에 충전된 솜(2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개비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2222A KR101700068B1 (ko) | 2016-07-20 | 2016-07-20 | 식생용 개비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2222A KR101700068B1 (ko) | 2016-07-20 | 2016-07-20 | 식생용 개비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0068B1 true KR101700068B1 (ko) | 2017-02-13 |
Family
ID=58156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2222A KR101700068B1 (ko) | 2016-07-20 | 2016-07-20 | 식생용 개비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006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8294B1 (ko) | 2018-02-06 | 2018-10-16 |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 |
CN118360901A (zh) * | 2024-06-19 | 2024-07-19 | 山东省煤田地质局第一勘探队 | 一种海岸带泥沙侵蚀防护结构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7665A (ko) | 2000-03-07 | 2001-02-05 | 길인환 | 경사면 구축방법 |
KR100955728B1 (ko) * | 2009-06-10 | 2010-05-03 | (주)이자인 | 석재노출형 식생 돌망태 |
KR101055566B1 (ko) * | 2011-03-07 | 2011-08-08 | 장기웅 | 친환경 식생옹벽 |
KR20120005742A (ko) * | 2010-07-09 | 2012-01-17 | 조흥열 | 지면 녹화장치 |
KR20150088003A (ko) * | 2014-01-23 | 2015-07-31 | 벽화수주식회사 | 게비온형 녹화구조물 |
-
2016
- 2016-07-20 KR KR1020160092222A patent/KR1017000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7665A (ko) | 2000-03-07 | 2001-02-05 | 길인환 | 경사면 구축방법 |
KR100955728B1 (ko) * | 2009-06-10 | 2010-05-03 | (주)이자인 | 석재노출형 식생 돌망태 |
KR20120005742A (ko) * | 2010-07-09 | 2012-01-17 | 조흥열 | 지면 녹화장치 |
KR101055566B1 (ko) * | 2011-03-07 | 2011-08-08 | 장기웅 | 친환경 식생옹벽 |
KR20150088003A (ko) * | 2014-01-23 | 2015-07-31 | 벽화수주식회사 | 게비온형 녹화구조물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8294B1 (ko) | 2018-02-06 | 2018-10-16 |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 |
CN118360901A (zh) * | 2024-06-19 | 2024-07-19 | 山东省煤田地质局第一勘探队 | 一种海岸带泥沙侵蚀防护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26590B2 (en) | Planter bag | |
US20210307260A1 (en) |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a method | |
KR101273514B1 (ko) | 암비탈면의 녹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US20140020290A1 (en) | Watering system and method of implementing | |
KR20140074584A (ko) | 가로수 보호 및 생장촉진 구조를 갖는 식생매트 | |
CN107920481A (zh) | 植物灌溉装置 | |
KR101157531B1 (ko) | 생태복원을 위한 잔디식재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JP2004248533A (ja) | 植栽緑化壁 | |
KR101700068B1 (ko) | 식생용 개비온 | |
JP2011122403A (ja) | 法面保護兼緑化用擁壁 | |
KR101153454B1 (ko) | 옥상 텃밭용 작물 재배상자 | |
JP2010242422A (ja) | 緑化用石詰篭構造体及び緑化用擁壁 | |
CN111149755B (zh) | 一种鱼田共生系统 | |
JP2017225430A (ja) | 緑化用マット | |
JP4860066B2 (ja) | 埋土種子による植物導入方法 | |
KR100859853B1 (ko) | 식생매트리스의 제조 및 시공 방법 | |
KR101046650B1 (ko) | 초목 식재를 위한 축조형 화분과, 이 화분이 설치된 옹벽과, 옹벽의 시공방법 | |
JP5981062B1 (ja) | 植生マット及び法面緑化方法 | |
KR20140109635A (ko) | 식생용철망 | |
KR102227676B1 (ko) |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 |
JP6205547B2 (ja) | 草コモ緑化シート、及び施工方法 | |
JP4926344B2 (ja) | 埋土種子による植物導入方法 | |
JP2002191232A (ja) | 植栽アンカー袋体及びそれを用いた法面緑化工法 | |
KR101688778B1 (ko) | 에코매트가 포함된 식생용 개비온 | |
KR200449765Y1 (ko) |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