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294B1 -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 - Google Patents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294B1
KR101908294B1 KR1020180014311A KR20180014311A KR101908294B1 KR 101908294 B1 KR101908294 B1 KR 101908294B1 KR 1020180014311 A KR1020180014311 A KR 1020180014311A KR 20180014311 A KR20180014311 A KR 20180014311A KR 101908294 B1 KR101908294 B1 KR 101908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wall
aggregate
soft
external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김종환
주진철
최종수
김용혁
오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1020180014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6Temporary dy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leont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중호우시 발생되는 탁수를 여과할 수 있고, 미세한 흙인 모래가 유출됨에 의해 침사지와 배수로의 막힘과 제방 및 둑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를 예측할 수 있는 표식을 구비하여 시공시 무게를 감당할 수 있는 장비의 수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gabion having muddy water filtering function and preventing the leakage sand}
본 발명은 개비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집중호우시 건설현장과 고랭지밭 등에서 발생되는 탁수를 여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한 흙인 모래가 유출됨에 의해 침사지와 배수로의 막힘과 제방 및 둑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를 예측할 수 있는 표식을 구비하여 시공시 무게를 감당할 수 있는 장비의 수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에 관한 것이다.
개비온(gabion)은 철선으로 짠 망태로 내부에 호박돌, 조약돌, 또는 잡석으로 채워 하천제방, 도로옹벽 또는 절개지 등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토목용 자재이다.
이러한 개비온은 보다 시공을 용이하게 하거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다양한 기능을 부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 특허문헌 1내지 4가 있다.
특허문헌 1은 내부에 철근이나 철선 등의 골조를 매립 성형하되, 좌우측면과 배면이 일체로 되어 형으로 되게 한 콘크리트구조물과, 콘크리트구조물의 개방된 부분, 즉 정면을 비롯하여 상하면에 결합시킬수 있는 정면망과 덮개망 및 바닥망을 구비하되, 콘크리트구조물의 내측면 선단부와 상하부에 정면망과 덮개망 및 바닥망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골조와 연결된 결합부를 돌출 형성하여 공지의 결속부재로 조립함으로써 개비온을 구성할 수 있게 한 콘크리트구조물과 철망조립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개비온이고,
특허문헌 2는 가로·세로선재가 격자 결합된 격자면이 양 측면벽과 전·후면벽으로 적용되고 힌지부재를 매개로 상호 결합하여 사각틀을 이루되, 힌재부재 중 하나 이상은 굴곡이 반복되는 스크류선재로서, 인접한 격자면의 측부 세로선재를 함께 감아 돌아 내려가면서 가로선재를 교차로 엮어 인접한 격자면을 결속시키고, 스크류선재가 내려갈 때의 반대방향으로 돌아 올라가 빠짐으로서, 인접한 격자면의 결속이 해체되도록 구성된 접이식 개비온이고,
특허문헌 3은 식생용 개비온에 있어서, 식생용 개비온에 수용되는 식생용 블록을 포함하고, 식생용 블록은 내부에 식생토 및 식물 종자가 수용되고, 식생용 블록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연분해되는 친환경 소재로 형성되며, 식생용 블록은, 상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상부 측면에 내부와 외부가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며, 하부는 이중구조로서, 강우시 통 형상의 측면과 함께 수분저장공간을 형성하며 통 형상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바닥판; 하부바닥판과 이격되고 수분이동구멍이 형성된 상부바닥판; 및 상부바닥판을 관통하여 식생용 블록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며 수분저장공간에 연결된 연결된 수분유지심지를 포함하며, 수분유지심지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고, 식생용 블록의 하부가 다른 식생용 블록의 상부에 삽입되어 적층될 수 있도록, 식생용 블록 하부의 단면적이, 식생용 블록 상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 것이고, 식생용 블록의 측면 상부가 식생용 개비온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식생용 개비온에서 식생용 블록이 연결된 일측면이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식생용 블록이 식생용 개비온의 내부에 위치하여 연결되는 것으로서 일측면과 이격된 내부철망을 포함하고, 식생용 개비온의 외측에 장착되어 식생용 블록에 충전된 식생토에 물을 공급하는 수분공급기를 포함하며, 수분 공급기는, 상방으로 개방된 물통과, 물통의 상단에 연결되고 식생용 개비온에 걸리는 고리가 연결된 호퍼와, 물통의 내측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는 개폐판과, 개폐판의 회동지점에 장착되어 개폐판을 상방으로 회동되도록 힘을 가하는 비틀림 스프링과, 물통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개폐판이 걸리도록 하여 물통의 상부가 닫히도록 하는 돌기와, 물통의 외측면에 부착된 영구자석과, 물통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물통에 유입된 물이 여과되도록 하는 스크린과, 물통의 하방에 형성된 관통구와, 관통구에 연결되도록 물통의 하단에 고정되고 내부에 솜이 충전된 매니폴더와, 매니폴더에 연결되어 식생용 블록을 관통하여 식생토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호스와, 호스에 충전된 솜을 포함하는 식생용 개비온이며,
특허문헌 4는 상단에 관상용 식물의 씨앗이 구비된 식생토낭이 수납되는 제1수납부와, 내부에 다수의 석재가 수납되는 제2수납부가 각각 형성되며, 둘레면에 관상용 식물의 씨앗이 구비된 식생부직포가 설치되는 메쉬망; 메쉬망의 상단 둘레면을 일부 둘러싸는 차단커버와, 메쉬망의 상단 둘레면에서 외부로 노출된 노출부에 대응하는 구조로 노출부에 힌지 결합되는 이동커버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메쉬망의 상단에 관통 삽입되는 우수조와, 우수조의 기준수위 상에 각각 배치되는 제1플로터 및 제2플로터와, 제1플로터와 결합되며 우수조의 하면에 관통된 배수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수캡과, 제2플로터와 이동커버의 내면을 서로 연결하는 우수줄과, 제2플로터에 일단이 결합되는 힌지축과, 기 힌지축의 중심이 힌지 결합되며 우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주를 포함하는 우수연동유닛을 포함하며, 우수연동유닛은 우수조의 수위가 기준수위를 초과하면 제1플로터와 우수캡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배수관이 개방되며 제2플로터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우수줄을 잡아당겨서 이동커버가 노출부를 덮는 도록 구성된 복합형 식생개비온이다.
이렇게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개비온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들 중 일부는 집중호우시 발생되는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여과할 수 없어 탁수가 개비온을 통과한 후에도 여과되지 못하고, 이러한 탁수가 농작물에 공급될 경우 농작물의 성장에 해를 끼치고, 어류의 경우 어류가 폐사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개비온은 무거워 견인 장비를 이용하여 견인하여 시공하여야 하고, 견인할 때 개비온의 무게를 확인할 수 없음에 따라 용량이 충분치 못한 견인 장비료 견인할 때에는 견인 장비가 전도되고, 지나치게 용량이 큰 견인 장비를 사용할 경우 장비를 임대하는 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장비의 수급을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0920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0906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00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445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집중호우시 건설현장과 고랭지밭 등에서 발생되는 탁수를 여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한 흙인 모래가 유출됨에 의해 침사지와 배수로의 막힘과 제방 및 둑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를 예측할 수 있는 표식을 구비하여 시공시 무게를 감당할 수 있는 장비의 수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어 부자재의 운반에 소요되는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외부보강망; 상기 외부보강망의 내부에 설치되고 연질 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외부보강망의 망눈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망눈을 갖으며, 중간에 하나 이상의 중량표식이 형성된 내부연질망; 및 상기 내부연질망의 내부에 채워지는 골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보강망은 바닥망과, 상기 바닥망의 네 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4개의 벽망, 및 상기 벽망들 사이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져, 보관 및 운반시에는 절첩되고, 시공시 현장에서 펼쳐 조립하여 하나의 외부보강망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재는 입도가 8mm 내지 60mm인 바텀애쉬(bottom ash)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재의 최 상부에는 식생매트가 더 적층될 수 있고, 상기 식생매트는 식물성 섬유질로 만들어진 직포 또는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탁수여과 및 모래유출 방지용 개비온 제조방법은 바닥망과, 상기 바닥망의 네 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4개의 벽망, 및 상기 벽망들 사이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진 외부보강망의 벽망을 세워 벽망들 사이의 양측단부가 서로 접하게 한 후, 결합부재로 벽망들 사이를 결합하여 외부보강망을 조립하는 외부보강망조립단계; 조립된 외부보강망의 내부에 내부연질망을 넣은 후, 내부연질망이 외부보강망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펼치는 내부연질망 설치단계; 내부연질망의 내부에 골재를 채운 후 다짐질하여 내부연질망의 내부에 골재가 견고하게 충진되게 하는 골재채움단계; 채워진 골재의 상부에 덮개를 덮은 후, 골재가 채워진 개비온의 내부연질망에 표시된 중량표식을 통해 개비온의 무게를 인지하고, 해당 무게를 견인할 수 있는 견인장비를 이용하여 운반하여 시공 또는 보관하는 개비온 운반단계를 포함하는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은 상대적으로 망눈이 큰 외부보강망의 내부에 망눈이 작은 내부연질망을 설치하고 골재를 채움에 의해 탁수를 여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한 흙인 모래가 유출됨에 의해 침사지와 배수로의 막힘과 제방 및 둑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내부연질망의 내부에 입도가 작고 탁수 여과 기능을 갖는 바텀 애쉬 등의 골재를 채움에 의해 골재가 탁수를 정화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개비온이 설치된 벽의 안쪽으로부터 흙이나 모래가 개비온을 통과하여 유출되지 못하게 함에 따라 침사지와 배수로의 막힘과 제방 및 둑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연질망에 무게를 예측할 수 있는 표식을 구비하여 시공시 게비온의 무게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에 따라 이 무게를 감당할 수 있는 장비의 수급하여 시공할 수 있어 장비의 수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보강망을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구성하고, 내부에 내부연질망을 설치한 후, 골재를 채울 수 있도록 현장 작업이 용이하게 함에 따라 부자재의 운반에 소요되는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개비온의 상부에 식생매트를 설치함에 의해 개비온의 상부에 식물이 자생할 수 있어 보다 친환경적인 제방이나 둑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을 구성하는 외부보강망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을 구성하는 내부연질망에 골재가 채워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을 구성하는 외부보강망의 결합부재 설치부분의 일예의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어 물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 용이하고, 무게를 알릴 수 있는 표식을 구비하여 무게 측정이 가능함에 따라 감당할 수 있는 장비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탁수여과 및 모래유출 방지용 개비온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외부보강망(10); 상기 외부보강망의 내부에 설치되고 연질 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외부보강망의 망눈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망눈을 갖으며, 중간에 하나 이상의 중량표식(20d)이 형성된 내부연질망(20); 및 상기 내부연질망의 내부에 채워지는 골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보강망(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망눈이 큰 금속망으로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연질망(20)을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상기 외부보강망(10)은 강철이나 고강도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외부보강망(10)은 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렇게 육면체로 조립된 것은 운반 및 보관할 때 많은 공간을 차지함에 따라 물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외부보강망(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망(11)과, 상기 바닥망의 네 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4개의 벽망(12), 및 상기 벽망들 사이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로 이루어져, 보관 및 운반시에는 절첩되고, 시공시 현장에서 펼쳐 조립하여 하나의 외부보강망을 이루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강이 조립식으로 제작함에 의해 운반할 때에는 바닥망, 벽망을 서로 절첩하여 하나의 판체 형상이 되게 함에 따라 차지하는 공간이 축소되어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시고현장에서 펼쳐 조립하여 개비온을 만들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즉, 바닥망을 중심으로 네변의 벽망을 세운 후, 벽망들 사이에 상기 결합부재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외부보강망의 조립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13)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으나, 도 4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용 와이어를 벽망의 테둘들 사이에 엮어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여타의 다양한 구조를 갖는 결합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보강망(10)의 상부에는 덮개망(14)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덮개망(1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개가 벽망 중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외부보강망의 내부에 내부연질망과 골재가 채워진 후, 덮개망을 회동시켜 상부를 덮은 후, 결합부재로 나머지 가장자리를 벽망에 결합하여 개비온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연질망(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망눈이 작은 망으로, 내구성이 강한 일반 섬유나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망눈은 입도 골재가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어야 한다.
상기 내부연질망(20)은 외부보강망(10)의 내부에 넣어진 상태에서 펼침에 의해 외부보강망의 내벽에 의해 지지되어 내부에 골재가 투입되어도 외부보강망에 의해 육면체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연질망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중량표식(20d)이 그려져 있다.
상기 중량표식(20d)은 내부에 채워진 골재와 외부보강망 및 내부연질망의 무게를 표시하는 표식으로, 골재의 종류에 따라 해당 중량표식까지 골재를 채웠을 때 개비온의 무게를 알릴 수 있게 하였다.
즉, 상기 내부연질망(20)의 일측에는 중량표식까지 골재가 채워졌을 때의 무게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 무게는 골재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기재되어 있음에 따라 작업자가 사용하는 골재의 종류에 맞추어 무게를 알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내부연질망(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21)의 상부에 견인고리(22)를 일체로 설치하여 골재가 채워진 상태에서 견인고리를 견인하여 개비온을 운반할 수있게 하였다.
상기 골재(30)는 시공 현장의 잡석, 재생골재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바텀애쉬(bottom ash)를 사용하는 것이다.
바텀애쉬는 석탄이 화력발전소에서 연소될때 괴상 또는 입자의 크기가 큰 회성분이 보일러 하부로 떨어진 것으로, 이를 수거하여 분쇄하여 입도가 8mm 내지 60mm가 되게 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재의 입도를 8mm 이하로 할 경우에는 골재사이의 틈이 지나치게 작아 물이 배출되지 못하고, 60mm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골재 사이의 공극이 너무커 여과 기능이 떨어지므로 상기 범위의 입도를 갖는 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골재의 최 상부에는 식생매트(40)가 더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매트(40)는 내부연질망의 내부에 채워진 골재가 빗물에 의해 씻겨 내려가지 않게 함과 동시에 식물이 자생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섬유질로 만들어진 직포 또는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생매트는 식물이 자라기에 충분한 두께로 만들어지며, 그 두께는 적어도 10m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생매트에는 설치후 싹이터 자랄 수 있도록 식물의 씨앗을 포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개비온을 제적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외부보강망을 조립한다.
즉, 바닥망(11)과, 상기 바닥망의 네 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4개의 벽망(12), 어느 하나의 벽망(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망(14) 및 상기 벽망들과 덮개망 사이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로 이루어진 외부보강망(10)의 벽망을 세워 벽망들 사이의 양측단부가 서로 접하게 한 후, 결합부재(13)로 벽망들 사이를 결합하여 외부보강망을 조립한다.
조립된 외부보강망의 내부에 내부연질망을 넣은 후, 내부연질망이 외부보강망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펼치는 내부연질망을 설치한다.
내부연질망의 내부에 골재를 채운 후 다짐질하여 내부연질망의 내부에 골재가 견고하게 충진되게 한다.
골재가 채워진 내부연질망의 상부에 덮개망을 덮고 결합부재(13)로 상기 벽망들과 덮개망을 결합시킨 후, 골재가 채워진 개비온의 내부연질망에 표시된 중량표식을 통해 개비온의 무게를 인지하고, 해당 무게를 견인할 수 있는 견인장비를 이용하여 운반 및 시공 또는 보관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개비온 제작 과정에서 덮개망은 운반이 종료된 후에 덮을 수도 있고, 견인 장비를 이용하여 개비온을 견인 할때에는 내부연질망에 일체로 만들어진 견인고리를 견인 장비로 견인한다.
삭제
삭제
10: 외부보강망
11: 바닥망 12: 벽망 13: 결합부재
14: 덮개망
20: 내부연질망
20d: 중량표식
21: 본체 22: 견인고리
30: 골재
40: 식생매트

Claims (6)

  1. 금속으로 만들어진 외부보강망(10);
    상기 외부보강망의 내부에 설치되고 연질 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외부보강망의 망눈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망눈을 갖고, 상부에 견인고리(22)가 형성되며, 중간에 하나 이상의 중량표식(20d)이 형성된 내부연질망(20); 및
    상기 내부연질망의 내부에 채워지는 골재(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보강망(10)은 바닥망(11)과, 상기 바닥망의 네 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4개의 벽망(12), 상기 어느 하나의 벽망(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망(14) 및 상기 벽망들과 덮개망 사이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로 이루어져, 보관 및 운반시에는 절첩되고, 시공시 현장에서 펼쳐 조립하여 하나의 외부보강망을 이루고,
    상기 골재(30)는 입도가 8mm 내지 60mm인 바텀애쉬(bottom a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수여과 및 모래유출 방지용 개비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으로 이루어지는 개비온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닥망(11)과, 상기 바닥망의 네 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4개의 벽망(12), 어느 하나의 벽망(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망(14) 및 상기 벽망들 과 덮개망 사이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로 이루어진 외부보강망(10)의 벽망을 세워 벽망들 사이의 양측단부가 서로 접하게 한 후, 결합부재(13)로 벽망들 사이를 결합하여 외부보강망을 조립하는 외부보강망조립단계;
    조립된 외부보강망의 내부에 내부연질망을 넣은 후, 내부연질망이 외부보강망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펼치는 내부연질망 설치단계;
    내부연질망의 내부에 골재를 채운 후 다짐질하여 내부연질망의 내부에 골재가 견고하게 충진되게 하는 골재채움단계;
    골재가 채워진 내부연질망의 상부에 덮개망을 덮고 결합부재(13)로 벽망들과 덮개망을 결합시킨 후, 골재가 채워진 개비온의 내부연질망에 표시된 중량표식을 통해 개비온의 무게를 인지하고, 해당 무게를 견인할 수 있는 견인장비를 이용하여 운반하여 시공 또는 보관하는 개비온 운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수여과 및 모래유출 방지용 개비온 제조방법.
KR1020180014311A 2018-02-06 2018-02-06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 KR101908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311A KR101908294B1 (ko) 2018-02-06 2018-02-06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311A KR101908294B1 (ko) 2018-02-06 2018-02-06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294B1 true KR101908294B1 (ko) 2018-10-16

Family

ID=6413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311A KR101908294B1 (ko) 2018-02-06 2018-02-06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2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69262A (zh) * 2024-01-06 2024-02-20 安平县鑫渤源丝网制品有限公司 一种耐冲击的石笼网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4117U (ko) * 1987-06-01 1988-12-14
JPH0710468A (ja) * 1993-06-30 1995-01-13 Kunihiro Hasegawa 物体移動装置
KR20060105916A (ko) * 2005-04-01 2006-10-12 박재희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시공방법
KR101012708B1 (ko) * 2010-12-23 2011-02-09 석성기업주식회사 수질정화용 소결체와 그 제조방법
KR101535499B1 (ko) * 2015-01-16 2015-07-10 주식회사 빌드 해제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
KR20160109206A (ko) 2015-03-09 2016-09-21 곽선경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망조립체의 경합으로 이루어진 개비온
KR101704458B1 (ko) 2016-08-26 2017-02-09 한월드건설(주) 복합형 식생개비온
KR101700068B1 (ko) 2016-07-20 2017-02-13 김제용 식생용 개비온
KR20180009069A (ko) 2016-07-18 2018-01-26 이중형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4117U (ko) * 1987-06-01 1988-12-14
JPH0710468A (ja) * 1993-06-30 1995-01-13 Kunihiro Hasegawa 物体移動装置
KR20060105916A (ko) * 2005-04-01 2006-10-12 박재희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시공방법
KR101012708B1 (ko) * 2010-12-23 2011-02-09 석성기업주식회사 수질정화용 소결체와 그 제조방법
KR101535499B1 (ko) * 2015-01-16 2015-07-10 주식회사 빌드 해제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
KR20160109206A (ko) 2015-03-09 2016-09-21 곽선경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망조립체의 경합으로 이루어진 개비온
KR20180009069A (ko) 2016-07-18 2018-01-26 이중형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
KR101700068B1 (ko) 2016-07-20 2017-02-13 김제용 식생용 개비온
KR101704458B1 (ko) 2016-08-26 2017-02-09 한월드건설(주) 복합형 식생개비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69262A (zh) * 2024-01-06 2024-02-20 安平县鑫渤源丝网制品有限公司 一种耐冲击的石笼网
CN117569262B (zh) * 2024-01-06 2024-05-28 安平县鑫渤源丝网制品有限公司 一种耐冲击的石笼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2737B2 (en) Free-flowing waterproofing system
KR100917790B1 (ko) 제방 생태복원용 격자형 중공블록 및 그것들을 이용한 제방의 구축공법
RU139393U1 (ru) Легкий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с фильтром матрасного типа
CN106193247A (zh) 用于海绵城市的一体化雨水系统及其施工方法
US9057168B1 (en) Gabion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device
KR101244710B1 (ko) 필터격벽을 구비한 언폴딩 개비온, 박스형 개비온 및 개비온 중첩-일체화 시공을 통한 호안 보강공법
KR101908294B1 (ko)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
CN110374181A (zh) 一种雨水收集池及其施工方法
KR20090039448A (ko) 환경친화형 산마루 측구
CN108867691B (zh) 植草沟雨水排水管廊系统及施工方法
KR101840708B1 (ko) 법면을 포함하는 친환경 수로 시공방법
KR101694512B1 (ko) 수분배출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라운드 식생바구니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바구니 시공방법
KR101311313B1 (ko) 친환경 개비온 철망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261999B1 (ko) 친환경 식생 토낭 철망 키트를 이용한 배수로 및 경사면 사방복구 옹벽 쌓기 시공방법
KR102083789B1 (ko)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
CN112942394B (zh) 一种装配化排水装置及其制作方法
JP3974214B2 (ja) ボックス配置型貯留浸透槽
CN211816750U (zh) 一种海绵城市雨水再利用系统
KR101501733B1 (ko) 친환경 프리캐스트 앵커고정 옹벽 구조물
KR101171960B1 (ko) 농수로의 친환경 저류형 개량공법
JP3157131B2 (ja) 汚泥・ゴミ等の流出抑制型側溝構造
CN205530633U (zh) 一种长大挖方段路堑排水装置
RU2439243C1 (ru) Дренажная кассета
KR20060075707A (ko) 앵커식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 매트의 설치 구조와 이를이용한 사면 안정화 공법
CN104141299B (zh) 应用于水下钻孔灌注桩的环保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