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789B1 -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 - Google Patents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3789B1 KR102083789B1 KR1020190046025A KR20190046025A KR102083789B1 KR 102083789 B1 KR102083789 B1 KR 102083789B1 KR 1020190046025 A KR1020190046025 A KR 1020190046025A KR 20190046025 A KR20190046025 A KR 20190046025A KR 102083789 B1 KR102083789 B1 KR 1020837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tube
- main body
- perforated
- grou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토양 또는 모래 등으로 인해서 유공관에 형성된 배수 구멍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유공관의 시공성 및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공장소의 외부 하중이 큰 경우와 작은 경우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적으로 단일 유공관 또는 이중 유공관을 사용함으로써, 안전하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투통은, 본체의 상단에 정화수단을 구비하여 유입되는 빗물을 정화한 후 땅속으로 확산 및 침투되도록 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이로 인해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지하수 자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투통에서 정화수단은, 정화통에 거름필터가 구비되어 빗물이 정화통을 통과할 때,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영양분을 빗물에 제공함으로써, 공원의 수목과 조경에 별도의 거름을 줄 필요가 없어 관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투통은, 본체의 상단에 정화수단을 구비하여 유입되는 빗물을 정화한 후 땅속으로 확산 및 침투되도록 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이로 인해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지하수 자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투통에서 정화수단은, 정화통에 거름필터가 구비되어 빗물이 정화통을 통과할 때,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영양분을 빗물에 제공함으로써, 공원의 수목과 조경에 별도의 거름을 줄 필요가 없어 관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토양 또는 모래 등으로 인해서 유공관에 형성된 배수 구멍이 막히거나 미립자의 토양이나 모래가 배수 구멍을 통해서 유공관 안으로 유입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유공관의 시공성 및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공 장소의 외부 하중이 큰 경우와 작은 경우에 따라 적당하게 단일 유공관 또는 이중 유공관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안전하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 농경지, 건축물 등의 지반에는 지표면 또는 지표면의 하부에서 유입되는 빗물 침투 또는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한 암거 배수관(또는 배수 암거)이 매설된다.
그리고 간척지, 준설토로 매립된 임해 매립지, 저습지 등은 조기에 지반을 안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논을 밭으로 전환할 때나 간척지를 농경지로 전환할 때에도 지반을 조기에 안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논을 밭으로 전환할 경우에는, 토양 내에 수분이 많고 토양이 미립질이므로 배수가 잘되지 않아서 배수 불량의 문제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지반을 조기에 안정시키기 위한 방법 중에는 지반의 잉여 수를 배수하기 위하여(예를 들면, 논을 밭으로 전환하거나 간척지 또는 갯벌을 농경지로 전환할 때 물을 배수) 굴착한 배수로에 튜브형 배수 암거(暗渠, closed conduit, covered open channel)를 포설하여 배수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굴착기 등을 이용하여 토지에 배수로를 굴착한 후에 배수로에 배수 암거를 포설하는 방법과, 백 홀(Backhoe)에 암거 공급장치를 장착하여 배수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암거를 포설하는 방법이 있다.
종래의 배수 암거는 외주면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주름관이 복수로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배수 암거는 직경 10㎝부터 직경 60㎝, 통상 길이 4m 정도의 다양한 규격을 갖으며, 합성수지소재로 성형되기 때문에 중량이 가벼워 취급이 용이한 장점과 토질, 계절, 습기, 물기 등에 관계없이 설치공정이 간단하고 빠르다는 장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과수원이나 농경지 등의 암거 배수관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빗물 침투시설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빗물 침투시설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굴착은 인력 또는 소형 굴착기계를 이용하며, 붕괴 위험이 있는 지반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토류 공사를 시행한다.
굴착 완료 후, 굴착 저면에 모래를 부설한다. 모래는 가능한 균질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바다 모래, 유기물, 기타 유해한 잡물을 포함해서는 안된다.
또한, 굴착 시에는 굴착 면에 쓸려내려오는 흙에 대해서도 유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투수시트 설치는 토사의 쇄석 내의 유입방지 및 지반 함몰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전 쇄석의 전면을 둘러싸도록 부설한다.
쇄석 충전은 쇄석 투입시 토사 유입 방지, 투입 방법, 다짐 등을 고려하여 실시한다.
바닥의 쇄석 충전 후, 침투통과 트랜치를 움직이지 않게 설치한 후, 상부의 쇄석 충전을 한다. 이후, 투수 시트를 설치한 후, 되메우기를 한다. 이후, 잔토처리 및 청소와 침투능 확인을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과수원이나 농경지의 연약 지반을 빈번히 이동하는 트랙터나 경운기의 하중에 의해 연약 지반이 침하되거나, 또는 폭우에 의해 수분을 머금은 지반이 침하되면서 복수의 주름관 연결부위를 가압하기 때문에, 복수의 주름관 연결 부위에 틈이 발생하여 그 틈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암거 배수관용으로 사용되는 주름관은, 연약지반의 지반침하에 따른 토사의 하중에 의해 주름관과 주름관을 연결하는 단부에 틈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 틈으로 토사가 유입되어 빗물이나 지하수를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름관의 외주면에는 관통 구멍(배수 구멍)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지(公知)의 부직포가 감싸지게 되지만, 미세한 토사가 빗물이나 지하수와 함께 관통 구멍 안으로 유입되어 주름관의 내부에서 쌓이게 때문에 빗물이나 지하수가 주름관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주름관이 빗물이나 지하수를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틈이 발생한 주름관과 주름관의 연결부위를 찾아내어 주름관 보수 및 교체 작업을 실시하거나, 토사가 쌓인 주름관의 내부 위치를 찾아내어 토사를 청소해야하는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작업자의 육안으로 틈이 발생한 주름관과 주름관의 연결부위를 식별할 수 없고, 토사가 쌓인 주름관의 내부 위치를 찾아내기 어렵기 때문에, 작업자는 복수의 주름관이 매설된 지반을 복수의 주름관이 매설된 길이방향을 따라 파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공 작업이 힘들고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공사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배수 암거를 포설하거나 매립하는 경우에는, 암거 설치와 배수로 형성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치되는 암거의 표면이 파손될 위험성이 있고, 배수로 형성시, 토양으로 인해서 배수 암거의 배수 구멍이 막히게 되므로, 지반이나 지중의 배수가 제대로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수 암거를 매설한 후에, 자갈 또는 모래 등을 매설된 배수 암거의 둘레에 배치하여 토양의 미세 입자를 일차적으로 걸러줌으로써, 배수 암거의 배수 구멍이 막히지 않게 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은 배수 암거를 매설하고 난 후에, 매설된 배수 암거의 둘레에 자갈 또는 모래 등을 설치하는 작업을 추가해야 하기 때문에, 배수 암거를 시공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함은 물론 그에 따른 시공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 공개 공보에는, 유공관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시트와 필터를 구비하는 유공관 암거가 개시되어 있기는 하나, 종래의 유공관 암거는 단일의 유공관으로 구성되어 외부하중에 대하여 취약함은 물론 토양 또는 모래가 유공관의 배수 구멍 안으로 유입되거나 배수 구멍이 막히는 현상이 여전히 발생하며, 유공관의 시공성 및 운반성에도 취약하며,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공관 외주면에 다공성 부재와 투수성 시트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토양 또는 모래 등으로 인해서 유공관에 형성된 배수 구멍이 막히거나 토양 또는 모래가 배수 구멍 안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유공관의 시공성 및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 장소의 외부 하중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와 작은 경우에 따라 적당하게 단일 유공관 또는 이중 유공관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시공의 간편성은 물론 더욱 안전하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수통 본체의 상단에 정화수단을 구비하여 유입되는 빗물을 정화한 후, 땅속으로 확산 및 침투되도록 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이로 인해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지하수자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빗물 침투 또는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유공관에 있어서, 외면에 복수의 배수 구멍이 형성되는 인너 유공관; 상기 배수 구멍이 지중의 토양 또는 모래에 의해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너 유공관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다공성 부재; 및 상기 다공성 부재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투수성 보호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부재와 상기 투수성 보호시트 사이에는 외부하중에 견딜 수 있는 아웃터 유공관이 배치되고, 상기 아웃터 유공관의 외면에는 복수의 배수 구멍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용도 침수통은 상하단이 관통 형성되며, 지면(地面)에 매설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장착되는 다수의 통공을 갖는 덮개; 상기 덮개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로 흘러 내려온 빗물을 정화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정화수단; 지면에 일정 경로를 따라 매설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통공을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정화수단에서 정화된 빗물이 유입되어 지면에 흡수되도록 하는 일체형 침투 유공관;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유공관과 연결되며, 상기 유공관에 잔류하는 빗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상기 본체로 배출되는 임시 저장통; 을 포함하되,
상기 일체형 침투 유공관은 외면에 복수의 배수 구멍이 형성되는 인너 유공관; 상기 배수 구멍이 지반 지중의 토양 또는 모래에 의해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너 유공관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다공성 부재; 및 상기 다공성 부재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투수성 보호시트;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일체형 침투 유공관은 상기 다공성 부재와 상기 투수성 보호시트 사이에는 외부하중에 견딜 수 있는 아웃터 유공관이 배치되고, 상기 아웃터 유공관의 외면에는 복수의 배수 구멍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공관 외주면에 다공성 부재와 투수성 시트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토양 또는 모래 등으로 인해서 유공관에 형성된 배수 구멍이 막히거나 토양 또는 모래가 배수 구멍 안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유공관의 시공성 및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장소의 외부 하중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와 작은 경우에 따라 적당하게 단일 유공관 또는 이중 유공관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시공의 간편성은 물론 더욱 안전하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투통은, 본체의 상단에 정화수단을 구비하여 유입되는 빗물을 정화한 후 땅속으로 확산 및 침투되도록 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이로 인해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지하수자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투통에서 정화수단은, 정화통에 거름필터가 구비되어 빗물이 정화통을 통과할 때,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영양분을 빗물에 제공되게 함으로써, 공원의 수목과 조경에 별도의 거름을 줄 필요가 없어 관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빗물 침투시설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의 변형 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체형 침투 유공관 시공방법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의 변형 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체형 침투 유공관 시공방법을 보인 블록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 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 및 일체형 침투 유공관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침투 유공관은 빗물 침투 또는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유공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공관이 단일구조로 구성된 것(제1 실시 예)과, 이중구조로 구성된 것(제2 실시 예)을 모두 포함하는 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은 인너 유공관만을 구비하는 구성이고,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은 인너 유공관과 아웃터 유공관을 함께 구비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에서는 인너 유공관만 구비하므로 외부 하중이 작은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에서는 인너 유공관과 아웃터 유공관을 함께 구비하므로 외부 하중이 큰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체형 침투 유공관은 약, 직경 10㎝부터 직경 60㎝, 길이 4m 정도의 다양한 규격을 가질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은 외면에 복수의 배수 구멍(411)이 형성되는 인너 유공관(410); 배수 구멍(411)이 지중의 토양 또는 모래에 의해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너 유공관(41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다공성 부재(420); 및 다공성 부재(42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투수성 보호시트(440)를 포함한다.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너 유공관(410)은 외면에 형성된 배수 구멍(411)은 일정크기로 균일하게 일렬로 배열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지그지그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인너 유공관(410)은 원형이나 타원형 등도 가능하고, 경화성 합성수지나 연질 합성수지로 제조 가능하다.
인너 유공관(410)이 경화성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경우는, 인너 유공관(410)은 원형이나 타원형 등으로 자신의 형태를 항상 그대로 유지하고 있지만, 연질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경우는, 시공 전에 인너 유공관(410) 내부 공기를 배출하여 납작하게 유지하고, 시공 후에 인너 유공관(410)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인너 유공관(410)은 원형이나 타원형 등으로 자신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공성 부재(420)는 다수의 코르크(cork)를 압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기공율은 70~95%로 설정할 수 있다. 다공성 부재(420)는 환형으로 구성되고, 그 중심에 형성된 구멍에 인너 유공관(410)이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투수성 보호시트(440)는 다공성 부재(42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지중의 토양 또는 모래 등이 배수 구멍(411) 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부직포나 투수성 직물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투수성 보호시트(440)는 31×10-2~ 33×10-2cm/sec의 투수 계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의 변형 예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다공성 부재(420)의 내측 면에는 엠보싱이나 돌기(421)가 형성되어 다공성 부재(420)와 인너 유공관(410) 사이에 유격(G)을 형성함으로써, 배수를 더욱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엠보싱이나 돌기(421)가 인너 유공관(410)의 외주면을 더욱 압착하여서 인너 유공관(410)과의 결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1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1400)은 외면에 복수의 배수 구멍(1411)이 형성되는 인너 유공관(1410); 배수 구멍(1411)이 지중의 토양 또는 모래에 의해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너 유공관(141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다공성 부재(1420); 및 외부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다공성 부재(142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아웃터 유공관(1430); 및 아웃터 유공관(143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투수성 보호시트(1440)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터 유공관(1430)의 외면에는 복수의 배수 구멍(143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1400)은 인너 유공관(1410) 뿐만 아니라 아웃터 유공관(1430)을 함께 구비하므로, 상대적으로 외부 하중이 큰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더 나아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1400)의 변형 예로서, 인너 유공관(1410)과 아웃터 유공관(1430)이 일체로 형성되고, 인너 유공관(1410)과 아웃터 유공관(1430)은 서로 일정 유격(G)을 두고, 그 사이에 다공성 부재(1420)가 압축되어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공성 부재(1420)의 외주면에는 투수 시트(1440)가 감싸도록 구성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일체형 침투 유공관은 인너 유공관(1410)과 아웃터 유공관(1430)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인너 유공관(1410)과 아웃터 유공관(1430) 사이의 유격(틈새)(G)에 다공성 부재(1420)가 압축되어 충전됨으로써, 외부 하중에 대하여 인너 유공관(1410)과 아웃터 유공관(1430)이 동시에 지지하므로, 응력 강도가 더욱 강해져서 상대적으로 외부 하중이 큰 장소에서 더욱 견고하게 시공이 가능하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침수통은 상하단이 관통 형성되며, 지면(10)에 매설되는 본체(100); 본체(100)의 상단에 장착되는 다수의 통공을 갖는 덮개(200); 덮개(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본체(100)로 흘러 내려온 빗물을 정화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정화수단(300); 지면(10)에 일정 경로를 따라 매설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통공을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100)와 연결되며, 정화수단(300)에서 정화된 빗물이 유입되어 지면(10)에 흡수되도록 하는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 그리고, 본체(100) 및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과 연결되며,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에 잔류하는 빗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본체(100)로 배출되는 임시 저장통(500);을 포함하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은 외면에 복수의 배수 구멍(411)이 형성되는 인너 유공관(410); 배수 구멍(411)이 지반 지중의 토양 또는 모래에 의해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너 유공관(41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다공성 부재(420); 및 다공성 부재(42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투수성 보호시트(44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상하로 긴 육면체 형상이며, 상하가 관통된 통 형상이고,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된다.
본체(100)는 지면(10)에 매설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주로 공원이나 화단, 조경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에 적합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덮개(200)와 정화수단(300)이 장착되는 제1 공간부(110), 제1 공간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유공관(400)과 연결되는 제2 공간부(120), 및 제2 공간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단에 투수판(140)이 구비된 제3 공간부(130)로 이루어진다.
제1 공간부(110), 제2 공간부(120), 및 제3 공간부(130)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점점 작게 형성되며, 제3 공간부(130)의 투수판(140)을 통해 하부로 빗물이 배출된다.
또한, 제1 공간부(110)의 상단에는 덮개(200)와 정화수단(300)이 장착된다.
덮개(20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으로, 본체(100)의 상단 단면과 동일하게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본체(10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덮개(200)는 빗물 등을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쓰레기나 낙엽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어서, 쓰레기나 낙엽 등이 본체(10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정화수단(300)은 본체(100)의 상단 내부에 장착되며, 덮개(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본체(100)로 흘러 내려온 빗물을 정화하여 하부로 배출한다.
정화수단(300)은 빗물의 중금속 및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활성탄 필터 또는 세라믹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활성탄 필터는 야자수 열매껍질이나 코코넛 껍질을 태워 만든 숯인 활성탄을 이용한 것으로, 물 토출량이 많고 가격이 저렴하여 유지비도 적을 뿐만 아니라 설치도 간편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정화수단에 적합하다.
또한, 세라믹 필터는 다공질의 분말을 성형하여 고온에서 소성시켜 만든 필터인데, 그 속에 활성탄 및 은 코팅한 성분을 추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세라믹 필터의 기공은 주로 0.1 미크론에서 1 미크론이고, 평균적으로 기공의 크기는 0.5 미크론 정도이므로 대장균까지 걸러낼 수 있으며, 은 코팅 카본을 사용함으로써, 세균의 번식을 막고 활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은 외주면에 다수의 통공을 갖는 관이며, 지면(10)에 일정 경로를 따라 매설되고, 본체(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본체(100)에서 정화된 빗물이 유입된다.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은 공원의 수목이나 조경이 있는 장소를 따라 배치되며, 본체(100)에서 정화되고 영양분이 공급된 빗물이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을 따라 흐르면서 지면(10)에 흡수된다.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은 본체(100)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정화수단(300)보다 낮게 배치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의 시공시,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해 본체(100)와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 사이에는 후술할 연결관(6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임시 저장통(500)은 본체(100) 및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에 연결되며,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에 잔류하는 빗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본체(100)로 배출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임시 저장통(500)은 지면(10)에 매설되며,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남았을 경우, 임시 저장통(500)으로 이동하여 임시 저장된다.
만약, 건기(乾期)가 지속되어 지면(10)이 말랐을 경우 임시 저장통(500)에 저장된 빗물을 워터펌프(미도시)로 끌어올려 본체(100)에 제공하고, 빗물은 본체(100)에서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을 따라 흐르면서 지면(1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물론, 워터펌프 없이 임시 저장통(500)의 높이를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 더욱 높게 배치함으로써, 본체(100)에 빗물이 유입되지 않을 때에 중력에 의해 임시 저장통(500)에 저장된 빗물을 본체(100)에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빗물이 갑자기 증가하여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으로 배출되는 빗물의 양이 본체(100)로 유입되는 양보다 많아질 경우, 초과하는 빗물을 임시 저장통(500)에 저장하여 빗물이 본체(100)의 상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관(600)은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을 본체(100)에 연결하는 것으로, 특히 일체형 침투 유공관(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침수통은 상하단이 관통 형성되며, 지면(10)에 매설되는 본체(100); 본체(100)의 상단에 장착되는 다수의 통공을 갖는 덮개(200); 덮개(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본체(100)로 흘러 내려온 빗물을 정화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정화수단(300); 지면(10)에 일정 경로를 따라 매설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통공을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100)와 연결되며, 정화수단(300)에서 정화된 빗물이 유입되어 지면(10)에 흡수되도록 하는 일체형 침투 유공관(1400); 그리고, 본체(100) 및 일체형 침투 유공관(1400)과 연결되며, 일체형 침투 유공관(1400)에 잔류하는 빗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본체(100)로 배출되는 임시 저장통(500); 을 포함하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체형 침투 유공관(1400)은 외면에 복수의 배수 구멍(411)이 형성되는 인너 유공관(1410); 배수 구멍(1421)이 지중의 토양 또는 모래에 의해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너 유공관(41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다공성 부재(1420); 및 외부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다공성 부재(142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아웃터 유공관(1430); 및 아웃터 유공관(143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투수성 보호시트(1440)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터 유공관(1430)의 외면에는 복수의 배수 구멍(1431)이 형성된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일체형 침투 유공관 시공방법을 보인 블록도 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발명의 일체형 침투 유공관 시공 방법은, 지면을 일정깊이로 굴착하는 단계(S10); 굴착완료 후, 굴착 저면에 상기 일체형 침투 유공관을 설치하는 단계(S20); 상기 일체형 침투 유공관을 덮은 후 되메우기를 하는 단계(S30); 및 잔토 처리와 침투능 확인을 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침투 유공관 시공방법에서는, 종전과 같이 굴착 후 쇄석층이나 투수시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 시간과 시공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너 유공관의 외주면에 마련된 다공성 부재가 일차적으로 배수 구멍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재차 투수성 시트가 배수 구멍 안으로 토사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공관은 다공성 부재와 투수성 시트가 일체로 구성되므로, 운반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지반 지중의 굴착과 동시에 유공관을 설치할 수 있어서 설치 비용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투통은, 본체의 상단에 정화수단을 구비하여 유입되는 빗물을 정화한 후 땅속으로 확산 및 침투되도록 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이로 인해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지하수자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투통에서 정화수단은, 정화통에 거름필터가 구비되어 빗물이 정화통을 통과할 때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영양분을 빗물에 제공되게 함으로써, 공원의 수목과 조경에 별도의 거름을 줄 필요가 없어 관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나 다공성 부재의 직경 및 두께, 투수성 시트의 두께 등은 설계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재질이나 형상 등도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지면
100: 본체
110: 제1공간부
120: 제2공간부
130: 제3공간부
140: 투수판
200: 덮개
300: 정화수단
400: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
411: 배수 구멍
410: 인너 유공관
420: 다공성 부재
421: 엠보싱이나 띠형 돌기
440: 투수성 보호시트
500: 임시 저장통
600: 연결관
1400: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
1410: 인너 유공관
1411: 배수 구멍
1420: 다공성 부재
1430: 아웃터 유공관
1440: 투수성 보호시트
1431: 배수 구멍
G: 유격
100: 본체
110: 제1공간부
120: 제2공간부
130: 제3공간부
140: 투수판
200: 덮개
300: 정화수단
400: 제1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
411: 배수 구멍
410: 인너 유공관
420: 다공성 부재
421: 엠보싱이나 띠형 돌기
440: 투수성 보호시트
500: 임시 저장통
600: 연결관
1400: 제2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침투 유공관
1410: 인너 유공관
1411: 배수 구멍
1420: 다공성 부재
1430: 아웃터 유공관
1440: 투수성 보호시트
1431: 배수 구멍
G: 유격
Claims (5)
- 상하단이 관통 형성되며, 지면에 매설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장착되는 다수의 통공을 갖는 덮개;
상기 덮개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로 흘러 내려온 빗물을 정화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정화수단;
지면에 일정 경로를 따라 매설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통공을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정화수단에서 정화된 빗물이 유입되어 지면에 흡수되도록 하는 일체형 침투 유공관; 그리고
상기 본체 및 상기 유공관과 연결되며, 상기 유공관에 잔류하는 빗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상기 본체로 배출되는 임시 저장통; 을 포함하되,
상기 일체형 침투 유공관은 외면에 복수의 배수 구멍이 형성되는 인너 유공관; 상기 배수 구멍이 지반 지중의 토양 또는 모래에 의해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너 유공관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다공성 부재; 및 상기 다공성 부재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투수성 보호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부재의 내측 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다공성 부재와 상기 인너 유공관 사이에 유격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수통.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부재와 상기 투수성 보호시트 사이에는 외부하중에 견딜 수 있는 아웃터 유공관이 배치되고, 상기 아웃터 유공관의 외면에는 복수의 배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수통.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유공관과 아웃터 유공관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인너 유공관과 상기 아웃터 유공관 사이에 유격을 갖게 형성되고, 그 형성된 유격 사이에 상기 다공성 부재가 압축되어 충전되는 구조이고,
상기 정화수단에는, 거름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덮개와 상기 정화수단이 장착되는 제1 공간부, 제1 공간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공관과 연결되는 제2 공간부, 및 상기 제2 공간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단에 투수판이 구비된 제3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수통.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6025A KR102083789B1 (ko) | 2019-04-19 | 2019-04-19 |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6025A KR102083789B1 (ko) | 2019-04-19 | 2019-04-19 |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3789B1 true KR102083789B1 (ko) | 2020-03-03 |
Family
ID=69938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6025A KR102083789B1 (ko) | 2019-04-19 | 2019-04-19 |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378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60427A (ko) * | 2020-11-04 | 2022-05-11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암거형 생태통로용 관 및 이를 이용한 양서류를 위한 생태통로 조립체 |
KR102716625B1 (ko) * | 2024-03-08 | 2024-10-15 |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 코르크를 이용한 친환경 지층수 배수 시스템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4601Y1 (ko) * | 2006-09-28 | 2006-12-22 | 박옥교 |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
KR20150003558U (ko) | 2014-03-19 | 2015-10-01 | 김상태 | 유공관 |
KR101662758B1 (ko) * | 2015-10-29 | 2016-10-05 | (주)아록이엔지 | 도로 침수 방지, 지하수위 유지를 통한 지반안정 및 우수 재이용을 위한 우수 저류 및 관리시스템 |
KR101876825B1 (ko) | 2017-10-20 | 2018-07-10 | (주)워터매니지먼트 | 2중 필터층을 구비한 유공관 암거 |
KR101880038B1 (ko) * | 2017-11-29 | 2018-07-19 | (주)워터매니지먼트 | 유공관 암거 및 이의 시공 방법 |
KR20180124286A (ko) * | 2017-05-11 | 2018-11-21 | 이환규 | 보도블록 경사면과 저류 침투형 탄소 복합 소재 투수 보도 블록 조립체를 연계한 우수 유출 저감형 투수성 보도블록 포장 시공 시스템 |
-
2019
- 2019-04-19 KR KR1020190046025A patent/KR1020837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4601Y1 (ko) * | 2006-09-28 | 2006-12-22 | 박옥교 |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
KR20150003558U (ko) | 2014-03-19 | 2015-10-01 | 김상태 | 유공관 |
KR101662758B1 (ko) * | 2015-10-29 | 2016-10-05 | (주)아록이엔지 | 도로 침수 방지, 지하수위 유지를 통한 지반안정 및 우수 재이용을 위한 우수 저류 및 관리시스템 |
KR20180124286A (ko) * | 2017-05-11 | 2018-11-21 | 이환규 | 보도블록 경사면과 저류 침투형 탄소 복합 소재 투수 보도 블록 조립체를 연계한 우수 유출 저감형 투수성 보도블록 포장 시공 시스템 |
KR101876825B1 (ko) | 2017-10-20 | 2018-07-10 | (주)워터매니지먼트 | 2중 필터층을 구비한 유공관 암거 |
KR101880038B1 (ko) * | 2017-11-29 | 2018-07-19 | (주)워터매니지먼트 | 유공관 암거 및 이의 시공 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60427A (ko) * | 2020-11-04 | 2022-05-11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암거형 생태통로용 관 및 이를 이용한 양서류를 위한 생태통로 조립체 |
WO2022097826A1 (ko) * | 2020-11-04 | 2022-05-12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암거형 생태통로용 관 및 이를 이용한 양서류를 위한 생태통로 조립체 |
KR102455207B1 (ko) * | 2020-11-04 | 2022-10-14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암거형 생태통로용 관 및 이를 이용한 양서류를 위한 생태통로 조립체 |
KR102716625B1 (ko) * | 2024-03-08 | 2024-10-15 |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 코르크를 이용한 친환경 지층수 배수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759825B (zh) | 一种海绵城市绿地蓄水系统的施工方法 | |
US7503725B1 (en) | Subsurface drainage system | |
CN106869237A (zh) | 一种园林雨水收集蓄水系统及其施工方法 | |
CN107347481B (zh) | 箱体汇水覆土种植系统及利用其进行露天坑体复垦的方法 | |
CN109848195B (zh) | 一种果园重金属污染土壤的客土修复方法 | |
KR102083789B1 (ko) |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 | |
CN209643420U (zh) | 功能复合型雨水花坛及采用这种花坛的雨水消能净化系统 | |
CN211283925U (zh) | 一种下沉式缓冲带公路径流净化装置 | |
CN106717413B (zh) | 一种海绵城市绿化灌溉系统及其施工方法 | |
CN204898828U (zh) | 一种雨水涵养-修复一体装置 | |
CN207553247U (zh) | 下凹绿地雨水利用与收集系统 | |
KR200460322Y1 (ko) | 배수홈통을 이용한 배수구조 | |
KR101440988B1 (ko) |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을 이용한 침투형 빗물저류 시스템 | |
CN211745621U (zh) | 一种蓄水树池 | |
CN112942394B (zh) | 一种装配化排水装置及其制作方法 | |
CN212612893U (zh) | 一种垃圾填埋场修复系统 | |
CN213741199U (zh) | 一种用于水利设计工程的挡土装置 | |
KR101908294B1 (ko) |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 | |
KR102144443B1 (ko) | 다용도 침투통 | |
CN219261285U (zh) | 一种地表水溢流入渗装置 | |
CN212052805U (zh) | 一种园林生态固坡系统 | |
KR102699632B1 (ko) | 준설토 투기장의 표층 건조공법 및 복토 공법 | |
CN213296562U (zh) | 一种屋面雨水进入周边生物滞留池的排水装置 | |
CN212610129U (zh) | 一种海绵城市的园林雨水净化系统 | |
CN219182020U (zh) | 一种用于乔木栽植的隔排盐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