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601Y1 -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601Y1
KR200434601Y1 KR2020060026321U KR20060026321U KR200434601Y1 KR 200434601 Y1 KR200434601 Y1 KR 200434601Y1 KR 2020060026321 U KR2020060026321 U KR 2020060026321U KR 20060026321 U KR20060026321 U KR 20060026321U KR 200434601 Y1 KR200434601 Y1 KR 200434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pipe
drain
plate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3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옥교
Original Assignee
박옥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옥교 filed Critical 박옥교
Priority to KR2020060026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6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1Membranes permeable
    • E02D2450/102Membranes permeable for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23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collecting water in ba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은 지하층 바닥에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해 지하층 바닥면에 설치되는 배수판 및 배수관이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에 있어서, 지하층 바닥을 구성하는 굴토마감면에 소정의 깊이로 굴토되어 트랜치가 형성되며, 상기 트랜치에 매설되는 배수관; 상기 굴토마감면의 일부를 수평으로 덮도록 상부에 위치되되, 상기 배수관에 근접되도록 설치되는 배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바닥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지하수를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하고, 상호 교차 또는 근접되는 상기 배수판과 상기 배수관 외주연과의 인접부를 통하여,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된 지하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시키고, 상기 배수관은 집수정으로 연결되어 지하수를 배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은 상기 배수판 및 배수관을 설치함에 있어, 상기 배수판과 상기 배수관 외주연의 인접부를 통하여,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된 지하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시키되, 상기 배수판의 형상을 상기 배수관 및 트랜치의 상부를 일체로 덮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배수관 및 트랜치 상부에 개방된 단부가 위치되게 형성하거나 또는 배수관의 외주연 둘레를 하방으로 감싸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배수관이 매설되는 트랜치 내에 개방된 단부가 유입되게 형성함으로써, 배수판 및 배수관의 설치가 간단하여, 시공비용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과 배수관의 인접 부를 통하여 지하수를 유입시킴으로써, 상기 배수판에서 흡수된 지하수가 배수관으로 집수 될 때, 지하수가 유입되는 면적이 넓어져서 더욱 원활하게 상기 배수관으로 원활하게 처리해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배수관의 구조를 소정 위치에서 상향으로 절곡되게 소정높이로 연장형성하여, 굴토마감면 상부에서 단부가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압력이 일정수준 이상이 되어야만 집수정으로 배출되게 하여, 상기 배수관으로 지하수의 과도한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지하층, 바닥, 배수판, 배수관,

Description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Drain Board System Of Basement Floor Construction}
도 1a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의 배수판이 배수관에 인접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실시예들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의 트랜치 내부로 되메움층이 포설된 형상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의 배수판이 매설되는 방향 및 형상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의 배수관이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굴토마감면 20: 버림콘크리트
30: 바닥콘크리트 100: 집수정
101: 집수관 110: 트랜치(trench)
112: 되메움층 200: 배수관
300: 배수판 310: 지지기둥
본 고안은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굴토마감면 상에 배수판 및 배수관을 연결함에 있어, 건물의 바닥면으로 침투되는 지하수를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하고, 상호 교차되어서 인접되게 배수판 및 배수관을 설치하고, 상기 배수관의 외주연과 배수판의 인접부를 통하여,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된 지하수를 배수관으로 유입시켜서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건물 또는 건축물을 신축하게 되면 지하구조물의 시공이 필수로 수반되고, 이를 시공할 때 깊은 굴착이 이루어지므로 지하층의 바닥면에는 건축물의 사하중(자중)이 가해지며, 그와 동시에 상기 바닥면에는 지하수에 의한 상향수압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사하중보다 상향수압이 크게 작용하는 경우 상기 건축물이 부상하게 되어 건축물의 바닥면, 벽체 등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하층의 바닥면에 작용하는 상향수압을 감소시켜 주고, 상기 지하층의 바닥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지하수를 배수 처리하기 위한 적절한 배수시공 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지하층의 바닥면에 작용하는 상향수압을 감소시켜 주기 위한 일반적인 시공 방법으로는 지하 구조물의 하부 암반층에 앵커(anchor)를 정착시켜 사하중과 영구앵커(permanent anchor)에 의하여 상향수압에 저항하도록 하는 앵커공법과 굴토마감면 또는 버림콘크리트의 바닥면 상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집수정으로 지속적인 배수를 실시하여 지하수의 수위를 떨어뜨려 지하층의 바닥면에 작용하는 상향수압을 억제시키는 배수공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먼저, 상기 앵커공법은 암반층까지 천공하고, 천공부분에 스트랜드를 삽입한 후 요구되는 하중 이상으로 인장하여 정착시키는 공정에 의하여 시공되므로 각 공정에 대한 공사비가 고가이고, 시공 후 상기 천공부분에 방수하자가 많이 발생되는데 이에 대한 보수가 어려우며, 상기 앵커를 정착시키는데 고도의 기술과 다수의 공정이 요구되어 시공기간도 지하층의 바닥면에 배수로를 형성하는 배수공법보다 적어도 1개월 이상 지연되며, 상기 앵커공법에 요구되는 기술적인 문제인 인장력손실, 방청, 유지보수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국내 전문 시공업체가 희소하여 시공에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 앵커의 인장력 손실을 보완하기 위하여 재인장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에는 공사비가 시공시보다 2~3배 이상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배수공법의 경우 건축물의 지하층을 이루고 있는 바닥콘크리트의 하부에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수판 및 배수관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상기 배수로는 내방수용으로 지하층으로부터 침투되는 지하수를 차단하기 위하여 굴토마감면과 바닥콘크리트 사이에 상기 배수판 및 배수관을 상호 교차시켜 설 치하며, 집수정에 인접한 배수로의 단부를 집수정에 연결한 후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에 의하여 시공된다
도 1a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a,1b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건축물의 지하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굴토된 굴토마감면(10) 상에 지하수를 유도하기 위하여 배수판(300)이 일방향에 대하여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수판(300)으로 유도된 지하수가 집수정(100)으로 배수되도록 배수로 기능을 하는 배수관(200)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굴토마감면(10)에 소정의 깊이로 굴토되어 트랜치(trench, 110)가 형성되며, 상기 트랜치(110)에 일정 수준으로 자갈, 잔토 또는 버럭 등을 포설하여 투수층을 형성한 후 상기 투수층 상에 배수관(200)이 상기 배수판(300)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길게 매설되어 그 단부가 집수정(100)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배수판(300)의 단부가 상기 배수관(200)의 외주연에 연결되게 설치되면 다시 자갈, 잔토 또는 버럭이 채워지고, 이후 상기 굴토마감면(10) 및 상기 트랜치(110) 상에 건축물의 기준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버림콘크리트(20)가 타설되며, 상기 버림콘크리트(20)가 일정 기간에 걸쳐 양생되면 지하층 바닥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콘크리트(30)가 타설되는 공정으로 배수시공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의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은 배수로의 역할을 하는 배수관(200)이 굴토를 행한 트랜치(110)에 매설되고, 상기 배수관(200)의 외주연에 연결결합되게 배수판(300)이 설치된 후 상기 트랜치(110)를 자갈, 잔토 또는 버럭 등 으로 채우고 버림콘크리트(20) 및 바닥콘크리트(30)의 타설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배수관(200)에 연결되는 배수판(300)의 단부는 트랜치(110) 내부로 굴절되어, 연결구에 의해 직접 삽입하여 연결되게 된다.
또한, 원통 또는 사각관 등의 소켓형태로 형성되는 커넥터(미도시)를 사용하여 상기 배수판(300)과 배수관(200)을 상호 연결시켰는데, 상기 커넥터는 배수관(200)과 배수판(300)을 상호 연결되도록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분리되어 상기 배수관(200)을 감싸서 조립되고,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삽입홈 및 삽입돌기가 적어도 한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삽입홈 및 삽입돌기에 상기 배수판(300)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구가 삽입결합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연결구 및 커넥터를 구비하여, 상기 배수관(200)과 배수판(300)이 상호 연결되므로, 시공이 번거롭고, 시공비용 및 시공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구 및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수판(300)에서 흡수된 지하수가 집수정(100)에 연결된 배수관(200)으로 집수되기 때문에 강수량의 증가로 인하여 지하수의 발생량이 증가할 경우 이를 상기 배수관(200)으로 원활하게 처리해줄 수 없게 되어 결국 지하층 바닥면에 상향수압이 가해져 구조물이 변형되거나 지하수가 침투될 수 있는 문제점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판 및 배수관을 설 치할 때, 배수판과 배수관 외주연의 인접부를 통하여 배수판으로 유도된 지하수를 배수관으로 유입시키도록 하여, 배수판 및 배수관의 설치가 간단하고, 시공비용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배수판과 배수관의 인접부를 통하여 지하수를 유입시켜, 지하수가 유입되는 면적이 넓어져서 더욱 원활하게 상기 배수관으로 원활하게 처리해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배수관의 구조를 소정 위치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소정높이로 연장형성되고, 굴토마감면 상부에서 단부가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되게 형성하여,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압력이 일정수준 이상이 되어야만 집수정으로 배출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하층 바닥에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해 지하층 바닥면에 설치되는 배수판 및 배수관이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에 있어서, 지하층 바닥을 구성하는 굴토마감면에 소정의 깊이로 굴토되어 트랜치가 형성되며, 상기 트랜치에 매설되는 배수관; 상기 굴토마감면의 일부를 수평으로 덮도록 상부에 위치되되, 상기 배수관에 근접되도록 설치되는 배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바닥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지하수를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하고, 상호 교차 또는 근접되는 상기 배수판과 상기 배수관 외주연과의 인접부를 통하여,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된 지하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시 키고, 상기 배수관은 집수정으로 연결되어 지하수를 배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은 이중관, 무공관, 다발관, 유공관, 중공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굴토마감면에 굴토되는 트랜치는 상기 배수관이 매설될 때, 상기 배수관 둘레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배수관의 단면적에 일치하게 굴토되며, 배수관과 트랜치 사이 틈에는 잔토, 버럭 등을 되메우는 되메움층을 더 형성하고, 상기 배수관의 외주연이 상기 배수판에 인접하도록 매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굴토마감면에 굴토되는 트랜치는 상기 배수관이 매설될 때, 상기 배수관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깊이와 너비로 굴토되고, 상기 배수관의 외주연이 상기 배수판에 인접하도록 매설되어 이루어지고, 그 상부로는 버림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일부유입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은 상기 굴토마감면의 상부를 덮는 동시에, 상기 배수관 및 트랜치의 상부를 일체로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이 인접되는 위치의 상기 배수판 하부를 통해,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된 지하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은 상기 배수관 및 트랜치 상부에 개방된 단부가 위치되어, 상기 배수관이 인접되는 배수판 단부에서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된 지하수가 흘러나와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은 배수관의 외주연 둘레를 하방으로 감싸도록, ∪형의 만곡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수관이 올려지는 만곡부를 통해,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된 지하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은 상기 배수관이 매설되는 트랜치 내에 개방된 단부가 유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트랜치 내로 유입되는 배수판 단부에서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된 지하수가 흘러나와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은 상기 배수관이 매설되는 트랜치 내에 개방된 단부가 유입되고, 그 단부가 상기 배수관의 외주연으로 삽입연결되어,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된 지하를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관은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될 때,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소정 위치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소정높이로 연장형성되어, 굴토마감면 상부에서 단부가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되어 지하수를 배수하게 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은 평판형상으로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기둥이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굴토마감면을 수평으로 덮도록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은 평판형상으로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기둥이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굴토마감면을 수평으로 덮도록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은 평판형상으로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기둥이 상방을 향하는 배수판과, 평판형상으로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기둥이 하방을 향하는 배수판이 상호 겹쳐지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의 지지기둥이 상,하방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굴토마감면을 수평으로 덮도록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의 단부에는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되는 지하수를 인접되는 상기 배수관의 외주연으로 유입시키도록 유입방향을 가이드하는 노즐관;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의 단부에는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되는 지하수를 인접되는 상기 배수관의 외주연으로 유입시키도록 유입방향을 가이드하는 노즐관;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관 또는 배수판은 토목섬유에 의하여 표면이 감싸진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은 다발관, 유공관, 중공관, 드레인보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의 소정위치에는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통공;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 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는 건축물의 지하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굴토된 굴토마감면(10) 상에 지하수를 유도하기 위하여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수판(300)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배수판(300)으로 상기 배수판(300)으로 유도된 지하수가 집수정(100)으로 배수되도록 배수로 기능을 하는 배수관(200)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굴토마감면(10)에 소정의 깊이로 굴토되어 트랜치(trench, 110)가 형성된다.
상기 트랜치는(110) 상기 배수관(200) 둘레부가 밀착되게, 상기 배수관(200)의 단면적에 일치하는 깊이와 너비로 굴토되며, 상기 배수관(200)과 트랜치(110) 사이 생기는 틈은 잔토, 버럭, 자갈 등으로 되메워서 되메움층(11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트랜치(110)의 내부에는 배수관(200)과 트랜치(110) 사이 틈에는 잔토, 버럭, 자갈 등을 되메우는 되메움층(112)을 형성한 후 상기 되메움층(112) 상에 배수관(200)이 상기 배수판(300)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길게 매설되어 그 단부가 집수정(100) 또는 상기 집수정(100)으로 배수시키는 역할을 하는 집수관(101)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트랜치(110)의 깊이는 상기 배수관(200)의 외주연에 상응하는 깊이로 굴토하여, 별도로 잔토, 버럭, 자갈 등을 포설하지 않고 매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트랜치(110)를 배수관(200)의 외주연에 일치하는 깊이로 굴토하여 바로 매설함으로써, 시공하는데 소요하는 시간 및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배수관(200)은 지하층 바닥을 구성하는 굴토마감면(10)에 소정의 깊이로 굴토되어 트랜치(110)가 형성되며, 상기 트랜치(110)에 매설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200)은 토목섬유에 의하여 외표면이 감싸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판(300)은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지지기둥(310)이 돌출형성되는 평판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굴토마감면(10)을 수평으로 덮도록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배수판(300)은 상기 배수관(200)과 교차되어서, 서로 인접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300)의 소정위치에는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통공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판(300)의 통공을 통해서, 상기 배수판(300)으로 유도된 지하수가 빠져나가, 상기 배수관(200)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수판(300)의 형태는 이중관, 드레인매트, 다발관, 중공관, 호스, 플라스틱관, 유공관 또는 무공관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다발관의 경우 S형 다발관이나 판형 다발관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300)은 토목섬유(부직포)에 의하여 외표면이 감싸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축물의 지하구조물의 바닥면에는 지하수에 의한 상향수압이 작용하여 침투되는 지하수 유도하기 위하여 배수판(300)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판(300)에서 유도된 지하수를 상호 인접되는 배수관(200)으로 유입시키고, 상기 배수관(200)은 집수 관(101) 또는 집수정(100)으로 연결되어 지하수를 배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관(200)은 배수판(300)의 형태는 이중관, 다발관, 중공관, 유공관 또는 무공관 등 다양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는 지층에 굴토를 행하여 상기 집수정(100) 및 굴토마감면(10)을 형성하고, 그 굴토된 굴토마감면에 상기 트랜치(110)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치(110)의 내부로 상기 배수관(200)을 매설한다. 상기 굴토마감면(10)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배수관(200)과 인접되어, 상기 배수관(200)을 통해 유도된 지하수를 유입시키는 상기 배수판(300)이 일정간격으로 상측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 배수관(200)의 일단부는 상기 집수정(100)에 연결시키고, 상기 굴토마감면(10)과 배수관(200)과 배수판(300) 상에 버림콘크리트(20)를 타설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름콘크리트(20)를 타설하기전에 상기 트랜치(110) 및 매설된 배수관(200)의 상부를 통상의 PE필름(미도시)으로 덮고, 상기 버림콘크리트(20)을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버림콘크리트(20) 상에 지하층 바닥을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의 지하층 바닥을 형성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의 배수판이 배수관에 인접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실시예들의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배수판(300)은 상기 배수관(200)의 외주연과 인접하도록 설치될 때, 다양한 형 상으로 인접될 수 있다.
(a)와 같이, 상기 배수판(300)은 상기 굴토마감면(10)의 상부를 덮는 동시에, 상기 배수관(200) 및 트랜치(110)의 상부를 일체로 덮도록 일자형태로 형성가능하다. 그에 따라, 상기 배수관(200)이 인접되는 위치의 상기 배수판(300) 하부를 통해, 상기 배수판(300)으로 유도된 지하수를 상기 배수관(200) 상부로 유입시키게 된다.
(b)와 같이, 상기 배수판(300)은 상기 배수관(200) 및 트랜치(110)와 상기 굴토마감면(10) 양측부의 상부를 각각 덮도록 분리되게 형성가능하다. 이때, 상기 배수관(200) 및 트랜치(110)의 상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배수관(200)이 인접되는 각각의 양측 배수판(300) 단부를 통해, 상기 배수판(300)으로 유도된 지하수를 상기 배수관(200)의 표면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c)와 같이, 상기 배수판(300)은 배수관(200)의 외주연 둘레를 감싸도록 ∪형의 만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배수관(200)이 올려지도록 형성가능하다. 상기 배수판(300)의 만곡부를 통해, 상기 배수판(300)으로 유도된 지하수를 상기 배수관(200)의 표면으로로 유입시키게 된다.
(d)와 같이, 상기 배수판(300)은 상기 배수관(200)이 매설되는 트랜치(110) 내에 개방된 단부가 유입되게 형성가능하다. 이때, 상기 트랜치(110) 내로 유입되는 배수판(300) 단부에서 상기 배수판(300)으로 유도된 지하수가 흘러나와 상기 배수관(200)의 표면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판(300)은 상기 배수관(200)이 매설되는 트랜치(110) 내에 개방된 단부가 유입되고, 그 단부가 상기 배수관(200)의 외주연으로 삽입연결되게 형성가능하다. 이때, 상기 배수관(200)의 외주연으로 삽입연결되는 배수판(300)의 단부에서 상기 배수판(300)으로 유도된 지하수가 직접 상기 배수관(200)의 내부로 직접 유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300)의 단부에는 상기 배수판(300)으로 유도되는 지하수를 인접되는 상기 배수관(200)의 외주연으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수판(300)에서 유도된 지하수가 상기 배수관(200)으로 유입되는 방향을 가이드 하여, 지하수의 유입을 원활히 하는 노즐관(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의 트랜치 내부로 되메움층(112)이 포설된 형상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트랜치(110)는 상기 굴토마감면(10)에 굴토되어 형성되고, 그 내부로 상기 배수관(200)이 매설되게 된다.
이때, 상기 굴토마감면(10)에 굴토되는 트랜치(110)는 상기 배수관(200) 둘레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배수관(200)의 단면적에 일치하게 굴토된다. 그러나, 상기 트랜치(110)을 굴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약간의 오차에 의해 발생하는 배수관(200)과 트랜치(110) 사이 틈에는 잔토, 버럭, 자갈 등을 되메우는 되메움층(112)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의 배수판이 매설되는 방향 및 형상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배수판(300)은 상기 굴토마감면(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200)과 인접될 때,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가능 하다.
상기 배수판(300)은 평판형상으로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기둥(3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기둥(310)이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굴토마감면(10)을 수평으로 덮도록 상부에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기둥은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굴토마감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기둥(310)이 상방을 향하는 배수판(300)과 하방을 향하는 배수판(300)이 상호 겹쳐지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의 지지기둥(310)이 상,하방으로 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굴토마감면(10)을 수평으로 덮도록 상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의 배수관이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배수관(200)은 상기 트랜치(110) 내부에 수평으로 매설되어 상기 집수정으로 지하수를 배수하도록 연결형성되게 된다.
상기 배수관(200)이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될 때,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소정 위치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소정높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트랜치(110) 외부로 돌출되고, 다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굴토마감면(10) 상부에서 단부가 상기 집수정(100)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굴토마감면(10) 상부로 버림콘크리트(20)가 타설될 때, 상기 배수관(200)의 상향으로 절곡되어 트랜치(110) 외부로 노출되어 집수정에 연결되는 단부는 상기 버림콘크리트(20)층 내에 매설되어 지하수를 배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수관의 트랜치(110)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의 높이는 상기 버림콘크리트(20)층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수관(200)의 단부를 소정 위치에서 상향으로 절곡되게 소정높이로 연장형성하여, 굴토마감면(10) 상부에서 단부가 상기 집수정(100)으로 연결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수관(200)으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압력이 일정수준 이상이 되어야만 집수정(100)으로 배출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배수관(200)으로 지하수가 과도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은, 상기 배수판 및 배수관을 설치함에 있어, 상기 배수판과 상기 배수관 외주연의 인접부를 통하여,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된 지하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시키되, 상기 배수판의 형상을 상기 배수관 및 트랜치의 상부를 일체로 덮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배수관 및 트랜치 상부에 개방된 단부가 위치되게 형성하거나 또는 배수관의 외주연 둘레를 하방으로 감싸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배수관이 매설되는 트랜치 내에 개방된 단부가 유입되게 형성함으로써, 배수판 및 배수관의 설치가 간단하여, 시공비용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과 배수관의 인접부를 통하여 지하수를 유입시킴으로써, 상기 배수판에서 흡수된 지하수가 배수관으로 집수 될 때, 지하수가 유입되는 면적이 넓어져서 더욱 원활하게 상기 배수관으로 원활하게 처리해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배수관의 구조를 소정 위치에서 상향으로 절곡되게 소정높이로 연장형성하여, 굴토마감면 상부에서 단부가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압력이 일정수준 이상이 되어야만 집수정으로 배출되게 하여, 상기 배수관으로 지하수의 과도한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8)

  1. 지하층 바닥에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해 지하층 바닥면에 설치되는 배수판 및 배수관이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에 있어서,
    지하층 바닥을 구성하는 굴토마감면에 소정의 깊이로 굴토되어 트랜치가 형성되며, 상기 트랜치에 매설되는 배수관;
    상기 굴토마감면의 일부를 수평으로 덮도록 상부에 위치되되, 상기 배수관에 근접되도록 설치되는 배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바닥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지하수를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하고, 상호 교차 또는 근접되는 상기 배수판과 상기 배수관 외주연과의 인접부를 통하여,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된 지하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시키고, 상기 배수관은 집수정으로 연결되어 지하수를 배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은,
    이중관, 무공관, 다발관, 유공관, 중공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토마감면에 굴토되는 트랜치는,
    상기 배수관이 매설될 때, 상기 배수관 둘레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배수관의 단면적에 일치하게 굴토되며,
    배수관과 트랜치 사이 틈에는 잔토, 버럭 등을 되메우는 되메움층을 더 형성하고, 상기 배수관의 외주연이 상기 배수판에 인접하도록 매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토마감면에 굴토되는 트랜치는,
    상기 배수관이 매설될 때, 상기 배수관의 단면적에 상응하는 깊이와 너비로 굴토되고, 상기 배수관의 외주연이 상기 배수판에 인접하도록 매설되어 이루어지고, 그 상부로는 버림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일부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5.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은 상기 굴토마감면의 상부를 덮는 동시에, 상기 배수관 및 트랜치의 상부를 일체로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이 인접되는 위치의 상기 배수판 하부를 통해,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된 지하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6.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은 상기 배수관 및 트랜치 상부에 개방된 단부가 위치되어, 상기 배수관이 인접되는 배수판 단부에서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된 지하수가 흘러나와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7.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은 배수관의 외주연 둘레를 하방으로 감싸도록, ∪형의 만곡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수관이 올려지는 만곡부를 통해,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된 지하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8.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은 상기 배수관이 매설되는 트랜치 내에 개방된 단부가 유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트랜치 내로 유입되는 배수판 단부에서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된 지하수가 흘러나와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9.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은 상기 배수관이 매설되는 트랜치 내에 개방된 단부가 유입되고, 그 단부가 상기 배수관의 외주연으로 삽입연결되어,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된 지하를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될 때,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소정 위치에서 상향으로 절곡되어 소정높이로 연장형성되어, 굴토마감면 상부에서 단부가 상기 집수정으로 연결되어 지하수를 배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은,
    평판형상으로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기둥이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굴토마감면을 수평으로 덮도록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은,
    평판형상으로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기둥이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굴토마감면을 수평으로 덮도록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은,
    평판형상으로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기둥이 상방을 향하는 배수판과, 평판형상으로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기둥이 하방을 향하는 배수판이 상호 겹쳐지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의 지지기둥이 상,하방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굴토마감면을 수평으로 덮도록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의 단부에는,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되는 지하수를 인접되는 상기 배수관의 외주연으로 유입시키도록 유입방향을 가이드하는 노즐관;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의 단부에는,
    상기 배수판으로 유도되는 지하수를 인접되는 상기 배수관의 외주연으로 유입시키도록 유입방향을 가이드하는 노즐관;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또는 배수판은,
    토목섬유에 의하여 표면이 감싸진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 하층 바닥 배수구조.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은,
    다발관, 유공관, 중공관, 무공관, 이중관, 드레인보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의 소정위치에는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통공;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KR2020060026321U 2006-09-28 2006-09-28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KR200434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321U KR200434601Y1 (ko) 2006-09-28 2006-09-28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321U KR200434601Y1 (ko) 2006-09-28 2006-09-28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694 Division 2006-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601Y1 true KR200434601Y1 (ko) 2006-12-22

Family

ID=41782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321U KR200434601Y1 (ko) 2006-09-28 2006-09-28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6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354B1 (ko) * 2010-01-29 2011-03-23 안덕노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배수장치
KR102083789B1 (ko) * 2019-04-19 2020-03-03 권혁중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354B1 (ko) * 2010-01-29 2011-03-23 안덕노 드레인 보드를 이용한 배수장치
KR102083789B1 (ko) * 2019-04-19 2020-03-03 권혁중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18347B (zh) 一种深基坑内盲沟和集水井排水施工方法
KR101612521B1 (ko) 변형억제 및 합벽식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0616123B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970065905A (ko) 구조물용 보강틀 및 보강틀을 이용한 건설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721225B1 (ko) 연약지반의 간극수 배수구조 및 배수방법
KR100665984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트랜치형 자연 배수로시공방법
KR100939311B1 (ko) Pc블록과 스틸파이프에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한 안벽 및그 시공방법
KR200434601Y1 (ko) 지하층 바닥 배수구조
CN113089687A (zh) 边坡防护方法及装置
KR20090039448A (ko) 환경친화형 산마루 측구
CN112627198A (zh) 具有排水功能的基坑支护系统及其施工方法
KR100655384B1 (ko)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KR200433220Y1 (ko) 집수정 구조체
KR100734047B1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설치 공정
KR100748607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지하수 배수로 시공방법 및그 시스템
CN103726514B (zh) 地下连续墙的防渗漏结构及防渗漏施工方法
KR100655383B1 (ko) 지하층 바닥 배수시공 방법
KR100326868B1 (ko) 배수판 및 배수판을 이용한 건물 지하 배수방법
KR100926694B1 (ko)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장치
KR100665985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자연 배수로 시공방법
KR200203448Y1 (ko) 조립식 옹벽
KR200314875Y1 (ko) 배수처리 구조물용 커넥터
KR200433390Y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지하수 배수로 시스템
KR200431569Y1 (ko) 판형 배수재
KR200408863Y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지하수 배수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