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443B1 - 다용도 침투통 - Google Patents

다용도 침투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443B1
KR102144443B1 KR1020190029585A KR20190029585A KR102144443B1 KR 102144443 B1 KR102144443 B1 KR 102144443B1 KR 1020190029585 A KR1020190029585 A KR 1020190029585A KR 20190029585 A KR20190029585 A KR 20190029585A KR 102144443 B1 KR102144443 B1 KR 102144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main body
purification
perforated pip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중
Original Assignee
권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중 filed Critical 권혁중
Priority to KR1020190029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00)의 상단에 정화수단(300)을 구비하여 유입되는 빗물을 정화한 후 땅속으로 확산 및 침투되도록 하여 오엄물질을 제거하고, 이로 인해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지하수자원의 오염 및 고강르 방지할 수 있는 다용도 침투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침투통은, 상하단이 관통 형성되며, 지면(10)에 매설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장착되는 다수의 통공을 갖는 덮개(200); 상기 덮개(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100)로 흘러 내려온 빗물을 정화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정화수단(300); 지면(10)에 일정 경로를 따라 매설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통공을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와 연결되며, 상기 정화수단(300)에서 정화된 빗물이 유입되어 지면(10)에 흡수되도록 하는 유공관(400); 상기 본체(100) 및 상기 유공관(400)과 연결되며, 상기 유공관(400)에 잔류하는 빗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상기 본체(100)로 배출되는 임시저장통(50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침투통{Multipurpose infiltrating equipment}
본 발명은 다용도 침투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포장된 지면에 매설되어 빗물을 집수 및 정화하여 배수시키거나 지하로 침투시킬 수 있는 다용도 침투통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개발과 함께 지표면의 포장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지표면의 포장화는 빗물의 하천 유출량을 증가시키고 지하 침투수를 감소시키게 됨으로써 지하수의 고갈, 지반의 침하, 바닷물의 역침투에 의한 염수화 현상등 다양한 지하수 장애가 발생한다.
또한, 평상시에는 하천의 기저유량이 감소되어 수질을 더럽히며 강우시에는 하천유량이 증가하여 홍수를 일으킨다.
이에 따라 빗물의 하천 유출량을 줄이고 빗물을 최대한 자연순환으로 복원시키기 위해 다공성 침투통을 사용하여 왔다.
그 일 예로 특허출원번호 10-2015-0060506호에 확산매트 일체형 침투통이 개시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확산매트 일체형 침투통은, 일정한 크기의 내부공간을 갖고 측면과 하면에 다수 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본체(100) 통과, 상기 본체(100) 통의 측면과 하면의 외 측면에 설치되는 확산매트와, 상기 확산매트의 상하좌우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100) 통의 측면과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 개의 지지대와, 상기 확산매트의 외 측면에 설치되는 투수시트(800)와, 상기 확산매트와 투수시트(800)를 상기 본체(100) 통의 외 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확산매트는, 플라스틱 와이어를 적층 한 후 압착하여 일정한 공극률을 갖도록 하여 상기 본체(100) 통의 관통구멍을 통해서 배출되는 물을 넓게 확산시키고, 상기 투수시트(800)는, 상기 확산매트의 공극률보다 작은 공극률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져 외부에 설치되는 모래가 상기 확산시트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100) 통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0) 통의 측면과 하면에 상기 확산매트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외력에 의해서 상기 확산매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고정수단은 상기 본체(100) 통과 확산매트의 외 측면에 도포된 접착물질 또는 상기 확산매트와 투수시트(800)의 외 측면에 권취되는 밴드인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확산매트 일체형 침투통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히 지중에 매설되어 본체(100) 통 내측으로 유입된 빗물을 확산매트를 통하여 땅속으로 확산시키면서 침투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빗물에 포함된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00)의 상단에 정화수단(300)을 구비하여 유입되는 빗물을 정화한 후 땅속으로 확산 및 침투되도록 하여 오엄물질을 제거하고, 이로 인해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지하수자원의 오염 및 고강르 방지할 수 있는 다용도 침투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용도 침투통은, 상하단이 관통 형성되며, 지면(10)에 매설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장착되는 다수의 통공을 갖는 덮개(200); 상기 덮개(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100)로 흘러 내려온 빗물을 정화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정화수단(300); 지면(10)에 일정 경로를 따라 매설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통공을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와 연결되며, 상기 정화수단(300)에서 정화된 빗물이 유입되어 지면(10)에 흡수되도록 하는 유공관(400); 상기 본체(100) 및 상기 유공관(400)과 연결되며, 상기 유공관(400)에 잔류하는 빗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상기 본체(100)로 배출되는 임시저장통(500); 을 포함한다.
상기 정화수단(300)은, 상단이 개방되며, 외주면의 다수의 통공을 갖는 정화통(310), 상기 정화통(310)의 내부에 장착되어 하부로 이동하는 빗물의 중금속 및 이물질을 걸러내는 정화필터(320); 상기 정화통(310)의 내부에 장착되어 하부로 이동하는 빗물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거름필터(330); 를 포함한다.
상기 유공관(400)과 상기 본체(100)를 연결하는 연결관(60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600)은, 일단이 상기 본체(100)와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로 절곡된 형태인 제1엘보(610); 일단이 상기 제1엘보(610)의 타단과 연결되고 하부로 연장 형성된 연장관(620); 일단이 상기 연장관(620)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로 절곡 좌측으로 절곡된 형태인 제2엘보(630); 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정화통(31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지지하는 받침대(700); 를 더 포함한다.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공관(400)을 감싸게 장착되는 투수시트(800); 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용도 침투통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체(100)의 상단에 정화수단(300)을 구비하여 유입되는 빗물을 정화한 후 땅속으로 확산 및 침투되도록 하여 오엄물질을 제거하고, 이로 인해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지하수자원의 오염 및 고강르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정화수단(300)은, 상기 정화통(310)에 상기 거름필터(330)가 구비되어 빗물이 상기 정화통(310)을 통과할 때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영양분을 빗물에 제공되게 함으로써, 공원의 수목과 조경에 별도의 거름을 줄 필요가 없어 관리를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투통의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투통의 평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투통의 정화수단(300)의 분해 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투통의 유공관(400)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투통의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투통의 평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투통의 정화수단(300)의 분해 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투통의 유공관(400)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투통은 본체(100), 덮개(200), 정화수단(300), 유공관(400), 임시저장통(500), 연결관(600), 받침대(700), 투수시트(8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상하로 긴 육면체 형상이며, 상하가 관통된 통 형상이고,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지면(10)에 매설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로 공원이나 화단, 조경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에 적합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0)는 상기 덮개(200)와 상기 정화수단(300)이 장착되는 제1공간부(110)와, 상기 제1공간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공관(400)과 연결되는 제2공간부(120) 및 상기 제2공간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단에 투수판(140)이 구비된 제3공간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공간부(110), 상기 제2공간부(120) 및 상기 제3공간부(130)으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3공간부(130)의 상기 투수판(140)을 통해 하부로 빗물이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1공간부(110)의 상단에는 상기 덮개(200)와 상기 정화수단(300)이 장착된다.
상기 덮개(20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100)의 상단 단면과 동일하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덮개(200)는 빗물 등을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쓰레기나 낙옆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정화수단(300)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덮개(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정화수단(300)은 상기 본체(100)로 흘러 내려온 빗물을 정화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통(310), 정화필터(320) 및 거름필터(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화통(310)은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정화필터(320) 및 상기 거름필터(330)가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정화필터(320)는 상기 정화통(310)의 내부에 장착되어 하부로 이동하는 빗물의 중금속 및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활성탄 필터 또는 세라믹 필터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활성탄 필터는 야자수 열매껍질이나 코코넛껍질을 태워 만든 숯인 활성탄을 이용한 것으로, 물 토출량이 많고 가격이 저렴하여 유지비도 적게 들 뿐만 아니라 설치도 간편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정화필터(320)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세라믹 필터는 다공질의 분말을 성형하여 고온에서 소성시켜 만든 필터인데, 그 속에 활성탄 및 은 코팅을 한 성분을 추가하기도 하여 제조된다. 상기 세라믹 필터의 기공은 주로 0.1미크론에서 1미크론이고, 평균적으로 기공의 크기는 0.5미크론정도이므로 대장균까지 걸러 낼 수 있으며, 은 코팅 카본을 사용함으로 세균의 번식을 막고, 활동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름필터(330)는 상기 정화필터(3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정화통(310)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빗물에 영양분을 공급한다.
여기에서 상기 거름필터(330)는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 포함되며 물에 서서히 용해되는 고체 비료가 적합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거름필터(330)는 고분자 물질, 황화 물질을 포함하는 서방성 물질과 식물 생장에 필요한 다수의 영양성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정화통(310)에 상기 거름필터(330)가 구비되어 빗물이 상기 정화통(310)을 통과할 때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영양분을 빗물에 제공되게 함으로써, 공원의 수목과 조경에 별도의 거름을 줄 필요가 없어 관리를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유공관(400)은 외주면에 다수의 통공을 갖는 관이며, 지면(10)에 일정 경로를 따라 매설되고,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에서 정화된 빗물이 유입된다.
또한, 상기 유공관(400)은 공원의 수목이나 조경이 있는 장소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본체(100)에서 정화되고 영양분이 공급된 빗물이 상기 유공관(400)을 따라 흐르면서 지면(10)에 흡수된다.
상기 유공관(400)은 상기 본체(100)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정화수단(300)보다 낮게 배치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상기 유공관(400)의 시공시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해 상기 본체(100)와 상기 유공관(400) 사이에 후술할 상기 연결관(6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시저장통(500)은 상기 본체(100) 및 상기 유공관(400)과 연결되며, 상기 유공관(400)에 잔류하는 빗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상기 본체(100)로 배출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시저장통(500)은 지면(10)에 매설되며, 상기 유공관(400)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남았을 경우 상기 임시저장통(500)으로 이동하여 임시 저장된다.
만약, 건기가 지속되어 지면(10)이 말랐을 경우 상기 임시저장통(500)에 저장된 빗물을 워터펌프로 끌어올려 상기 본체(100)에 제공하고, 빗물은 상기 본체(100)에서 상기 유공관(400)을 따라 흐르면서 지면(1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물론 워터펌프 없이 상기 임시저장통(500)의 높이를 상기 유공관(400) 보다 높게 배치함으로써, 상기 본체(100)에 빗물이 유입되지 않을 때에 중력에 의해 상기 임시저장통(500)에 저장된 빗물을 상기 본체(100)에 자동적으로 공급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빗물이 갑자기 증가하여 상기 유공관(400)으로 배출되는 빗물의 양이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양 보다 많아질 경우, 초과되는 빗물을 상기 임시저장통(500)에 저장하여 빗물이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관(600)은 상기 유공관(400)을 상기 본체(100)에 연결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유공관(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600)은 제1엘보(610), 연장관(620) 및 제2엘보(6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엘보(610)는 좌측단이 하부로 절곡된 형태의 관으로, 우측단이 상기 본체(100)와 연결되고, 좌측단이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관(620)과 연결된다.
상기 연장관(620)은 상하로 긴 일자형 관이며, 상단이 상기 제1엘보(610)의 타단과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제2엘보(630)와 연결된다.
상기 제2엘보(630)는 하단이 좌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관으로, 상단이 상기 연장관(620)의 하단과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유공관(400)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유공관(400)의 시공시 상기 연장관(620)의 상하 길이에 따라 상기 유공관(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시공시 주변 지형의 높이가 다르더라도 상기 유공관(4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시공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받침대(70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고정 장착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원형의 삽입공(710)이 상하 관통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710)은 상기 정화통(310)의 상단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정화통(310)의 상단을 지지하여 밑으로 빠지지 않게 한다.
이러한 상기 삽입공(710)에는 상기 정화통(310)이 배치되어 상기 정화통(310)을 쉽게 넣었다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정화통(310)의 세척 및 필터 교환시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준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수시트(800)는 상기 유공관(400)을 감싸 상기 유공관(400)의 내부로 토사기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투수시트(800)는 상기 유공관(400)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감싸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공관(400)을 감싸는 상기 투수시트(8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유공관(400) 내부로 지면(10)의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유공관(40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토사의 유출로 저지하여 공원의 지면(10)과 조경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0)의 상단에 정화수단(300)을 구비하여 유입되는 빗물을 정화한 후 땅속으로 확산 및 침투되도록 하여 오엄물질을 제거하고, 이로 인해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지하수자원의 오염 및 고강르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정화수단(300)은, 상기 정화통(310)에 상기 거름필터(330)가 구비되어 빗물이 상기 정화통(310)을 통과할 때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영양분을 빗물에 제공되게 함으로써, 공원의 수목과 조경에 별도의 거름을 줄 필요가 없어 관리를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제1공간부
120 : 제2공간부 130 : 제3공간부
140 : 투수판 200 : 덮개
300 : 정화수단 310 : 정화통
320 : 정화필터 330 : 거름필터
400 : 유공관 500 : 임시저장통
600 : 연결관 610 : 제1엘보
620 : 연장관 630 : 제2엘보
700 : 받침대 710 : 삽입공
800 : 투수시트

Claims (5)

  1. 상하단이 관통 형성되며, 지면(10)에 매설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통공을 갖는 덮개(200);
    상기 덮개(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100)로 흘러 내려온 빗물을 정화하여 하부로 배출하는 정화수단(300);
    지면(10)에 일정 경로를 따라 매설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통공을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와 연결되며, 상기 정화수단(300)에서 정화된 빗물이 유입되어 지면(10)에 흡수되도록 하는 유공관(400);
    상기 본체(100) 및 상기 유공관(400)과 연결되며, 상기 유공관(400)에 잔류하는 빗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상기 본체(100)로 배출되는 임시저장통(500);
    시공시 상기 유공관(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유공관(400)과 상기 본체(100)를 연결하는 연결관(600);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공관(400)을 감싸게 장착되는 투수시트(8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는,
    덮개(200)와 정화수단(300)이 장착되는 제1공간부(110);
    상기 제1공간부(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공관(400)과 연결되는 제2공간부(120);
    상기 제2공간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단에 하부로 빗물이 배출되는 투수판(140)이 구비된 제3공간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정화수단(300)은,
    상단이 개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정화통(310),
    상기 정화통(310)의 내부에 장착되어 하부로 이동하는 빗물의 중금속 및 이물질을 걸러내는 정화필터(320);
    상기 정화통(310)의 내부 정화필터(320) 상부에 장착되어 빗물이 상기 정화통(310)을 통과할 때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영양분을 빗물에 공급하는 거름필터(33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600)은,
    일단이 상기 본체(100)와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로 절곡된 형태인 제1엘보(610);
    일단이 상기 제1엘보(610)의 타단과 연결되고 하부로 연장 형성된 연장관(620);
    일단이 상기 연장관(620)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로 절곡 좌측으로 절곡된 형태인 제2엘보(630);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정화통(31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정화통(310)의 상단을 지지하고, 중심부에 원형의 삽입공(71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받침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투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29585A 2019-03-15 2019-03-15 다용도 침투통 KR102144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585A KR102144443B1 (ko) 2019-03-15 2019-03-15 다용도 침투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585A KR102144443B1 (ko) 2019-03-15 2019-03-15 다용도 침투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443B1 true KR102144443B1 (ko) 2020-08-13

Family

ID=72043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585A KR102144443B1 (ko) 2019-03-15 2019-03-15 다용도 침투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923B1 (ko) * 2021-06-10 2022-03-18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Lid 기반 빗물 순환형 비점오염 저감 및 관수용 띠 녹지 보호판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761A (ko) * 2009-08-18 2011-02-24 (주)예일엔지니어링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101577378B1 (ko) * 2015-01-29 2015-12-14 한국토지주택공사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KR101635595B1 (ko) * 2015-12-30 2016-07-01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전처리 여과시설을 갖는 저영향개발의 수목여과박스
KR20170013121A (ko) * 2015-07-27 2017-02-06 이창래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KR101904147B1 (ko) * 2016-08-23 2018-10-04 주식회사 동남아이엠지 에코 도시 조경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761A (ko) * 2009-08-18 2011-02-24 (주)예일엔지니어링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101577378B1 (ko) * 2015-01-29 2015-12-14 한국토지주택공사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KR20170013121A (ko) * 2015-07-27 2017-02-06 이창래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KR101635595B1 (ko) * 2015-12-30 2016-07-01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전처리 여과시설을 갖는 저영향개발의 수목여과박스
KR101904147B1 (ko) * 2016-08-23 2018-10-04 주식회사 동남아이엠지 에코 도시 조경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923B1 (ko) * 2021-06-10 2022-03-18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Lid 기반 빗물 순환형 비점오염 저감 및 관수용 띠 녹지 보호판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9265A (en) Effluent treatment system
US8771515B2 (en) Horizontal flow biofilter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940170B2 (en) Triple-chambered wetland biofilter treatment system
KR101728208B1 (ko)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CN106745777A (zh) 一种针对污水处理厂尾水深度处理的人工湿地系统
KR101180310B1 (ko) 우수 여과와 도시 물순환 회복을 위한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KR101724155B1 (ko) 수목용 빗물정화 및 물공급시설
CN109267707B (zh) 一种海绵城市花园屋顶
KR101701387B1 (ko) 빗물 침투 시설
KR102006970B1 (ko) 빗물저류형 이중 측구수로관
US6620321B2 (en) Biofilter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KR101577378B1 (ko)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KR100901263B1 (ko) 이온 교환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자연형 비점 오염원 저감장치
KR101578551B1 (ko) 우수 오염 방지와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식생체류지
KR101781178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883774B1 (ko)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
KR20170013121A (ko)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KR102144443B1 (ko) 다용도 침투통
AU20102615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osal and treatment of waste water, sewage and/or effluent
KR100953473B1 (ko) 다양한 입자별 거름기능과 수량조절, 정화 및 투수작용의 착탈식 우수받이 시스템
CN210202759U (zh) 一种用于山地种植的滴灌装置
CN211367163U (zh) 一种用于矿山修复选择性渗透排水系统
JP2003019494A (ja) 植栽基盤利用の水質浄化方法及び装置
KR101897677B1 (ko) 사면 설치용 수질정화장치
KR102083789B1 (ko) 일체형 침투 유공관이 적용된 다용도 침수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