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378B1 -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378B1
KR101577378B1 KR1020150014178A KR20150014178A KR101577378B1 KR 101577378 B1 KR101577378 B1 KR 101577378B1 KR 1020150014178 A KR1020150014178 A KR 1020150014178A KR 20150014178 A KR20150014178 A KR 20150014178A KR 101577378 B1 KR101577378 B1 KR 101577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purification part
purifier
storage structure
pur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경학
정종석
이은엽
이미홍
윤희재
최정주
한양희
이효정
허진성
임석화
송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150014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23/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A01G202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1/00Types of filters hav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01D2101/04Sand or gravel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우수를 자연지반으로 침투시켜 물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영양물질을 포함한 우수를 저류 후 식생에 공급하여 식물의 생장에 도움이 되도록 하며, 영양물질이 포함된 우수를 식물의 뿌리 직접 공급하여 식물의 뿌리가 지반으로 융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집수구역에서 유입된 우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해주는 제1정화부와, 상기 제1정화부의 하부에서 제1정화부와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여 제1정화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다공성 흡착제가 구비되어 제1정화부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정화하는 제2정화부와, 상기 제2정화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정화부를 통해 정화된 빗물을 저류함과 동시에 지중으로 침투되도록 하며 유입된 토사가 침전되는 저류구조부로 이루어지는 우수정화부; 상기 우수정화부의 제1정화부와 제2정화부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우수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제2정화부에서 월류되는 우수가 우수관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월류관; 상기 우수정화부의 저류구조부에서 식물의 뿌리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식물의 뿌리에 영양물질을 포함한 우수가 직접 공급되도록 하는 유공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The vegetation planter system where the rainwater circulation}
본 발명은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영양물질을 포함한 빗물을 우수정화부에 저류 후 측면에 설치되는 유공관을 통해 심토의 뿌리 인근으로 영양물질과 수분을 공급하며, 여분의 우수는 지중으로 침투시키는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수면에서 유출되는 빗물은 영양물질을 동반하고 있다. 이러한 빗물을 관수로 이용할 경우, 종래에는 식생 주변의 토양이 투수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영양물질이 지중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표토에 남게 되어 식물의 뿌리가 영양물질을 공급받기 위해 융기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렇게 식물의 뿌리가 융기하게 됨으로써 주변의 보도 등의 가로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빗물은 오염물질도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오염부하가 줄어들지 않은 상태로 관로 등으로 흘러들어가게 되면 처리장에서 부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지하수의 과다사용 및 남용으로 자연적 물 순환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후변화로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하절기 집중호우로 인해 사용가능한 용수가 손실됨은 물론 배수관로 통수능력 부족에 따른 우수역류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여 침수피해가 급증하고 있으며, 건기시 심각한 가뭄으로 가로수 등 식생식물이 고사되는 현상이 급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인구가 점점 증가하고 주민의 도시집중화 및 개발사업 등으로 인해 불투수층인 포장면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토지에 내리는 빗물은 거의 증발하거나, 지표면으로 흐르기 때문에 지하로 침투되는 양이 매우 적게 된다. 즉, 우수가 침투되지 않는 표면이 35~100%나 되어 지하에 저류되는 우수가 많지 않아 자연스러운 물 순환에 의한 수자원의 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안정적 수문변화 및 물 순환을 유도하여 생태적 여건을 유지하며 연중 안정적인 수량 확보와 침수 피해방지 등을 위한 지속가능한 설계기술과 보다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 10-118031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를 자연지반으로 침투시켜 물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영양물질을 포함한 우수를 저류 후 식생에 공급하여 식물의 생장에 도움이 되도록 하되, 영양물질이 포함된 우수를 식물의 뿌리에 직접 공급하여 식물의 뿌리가 지반으로 융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집수구역에서 유입된 우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해주는 제1정화부와, 상기 제1정화부의 하부에서 제1정화부와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여 제1정화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다공성 흡착제가 구비되어 제1정화부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정화하는 제2정화부와, 상기 제2정화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정화부를 통해 정화된 빗물을 저류함과 동시에 지중으로 침투되도록 하며 유입된 토사가 침전되는 저류구조부로 이루어지는 우수정화부; 상기 우수정화부의 제1정화부와 제2정화부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우수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제2정화부에서 월류되는 우수가 우수관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월류관; 상기 우수정화부의 저류구조부에서 식물의 뿌리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식물의 뿌리에 영양물질을 포함한 우수가 직접 공급되도록 하는 유공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수정화부는, 저류된 우수의 지중 침투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저류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토사의 침전 및 우수를 저장해주며 상기 측벽에는 제2정화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저류구조부; 상기 저류구조부의 저류공간으로 삽입되어 측벽에 형성된 걸림턱에 안착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 매쉬망이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주며, 측면에 형성되는 유출홀을 통해 우수가 저류구조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구비되는 다공성 흡착제를 통해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정화하는 제2정화부; 상기 저류구조부의 저류공간으로 삽입되되, 상단에 형성되는 단턱을 통해 저류구조부의 측벽 상부에 걸려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정화부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제2정화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매쉬망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충전재가 구비되어 집수구역에서 유입되는 우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며 측면에 형성되는 유출홀을 통해 정화된 우수가 제2정화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정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정화부의 충전재는 3mm~8mm의 콩자갈과, 13mm~40mm의 쇄석으로 구성되되, 콩자갈이 바닥면에 포설되고 콩자갈의 상부에 쇄석이 포설되도록 설치되어 집수구역에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정화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정화부의 다공성 흡착제는, 단위중량이 0.95g/cm3 ~1.6g/cm3 이며, 5mm~20mm의 입경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정화부의 유출홀과 제2정화부의 유출홀은 제1정화부와 제2정화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부분에서 대칭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공관은 우수정화부의 바닥면에서 1~5cm 높이에 설치되어 우수정화부의 내부에 유입된 토사가 침전될 수 있는 이토실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식생플랜터 시스템은 우수의 유출량을 줄이고 지중으로 자연침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물순환 작용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양물질을 포함한 우수를 식물의 뿌리에 직접적으로 공급함으로서 식물의 생장에 도움이 되고, 지반 융기로 인한 보도블록의 들뜸 현상 및 가로 환경의 악영향을 줄여주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수의 침투, 저류 및 이용을 동시에 수행하게 됨으로써 설치비가 저감되고 이상 강우시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운영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유지비용이 최소화되어 저비용으로 운영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플랜터 시스템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플랜터 시스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플랜터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플랜터 시스템을 통해 우수의 정화, 공급, 침투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플랜터 시스템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플랜터 시스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플랜터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플랜터 시스템을 통해 우수의 정화, 공급, 침투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집수면에서 유입된 우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저장하는 우수정화부(10)와, 상기 우수정화부(10)에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우수관으로 연결되어 월류되는 우수가 우수관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월류관(400)과, 상기 월류관(4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우수정화부(10)에 연결되어 식물의 뿌리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식물의 뿌리에 영양물질을 포함한 우수가 직접 공급되도록 하는 유공관(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영양물질은 인, 질소 등을 포함한 유기물로 식물의 생장에 도움이 되는 물질이다.
상기 우수정화부(10)는, 집수구역에서 유입된 우수의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해주는 제1정화부(100)와, 상기 제1정화부(100)의 하부에서 제1정화부(100)를 통해 정화된 우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우수를 2차적으로 정화해주는 제2정화부(200)와, 상기 제2정화부(200)를 통해 유입된 우수를 저류하면서 지중으로 침투되도록 하고 유입된 토사가 침전되는 저류구조부(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류구조부(300)는 저장되는 우수의 지중 침투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관통홀(311)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면(310)과, 상기 바닥면(31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320)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저류공간(340)이 형성됨으로써 우수의 저장 및 토사의 침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2정화부(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측벽(320)에는 걸림턱(330)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저류구조부(300)는 도면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제2정화부(200)와 제1정화부(1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저류구조부(300) 및 제1,2정화부(100)(200)는 원통형이나 기타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정화부(200)는, 저류구조부(300)의 저류공간(340)으로 삽입되어 걸림턱(330)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바닥면(210)과 상기 바닥면(21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220) 및 상기 측벽(2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매쉬망(260)과, 상기 측벽(220)에 형성되어 정화된 우수가 저류구조부(3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출홀(2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내부에는 다공성 흡착제(250)가 구비되어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정화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측벽(220)에는 오목한 형태의 홈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230)에 유출홀(240)이 형성되어 정화된 우수가 유출홀(240)을 통해 하부에 위치한 저류구조부(30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다공성 흡착제(250)는, 우수에 포함된 중금속을 제거하는 것으로, 화산석이나 바텀애쉬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공성 흡착제(250)는, 비단위중량이 0.95g/cm3 ~1.6g/cm3 이며, 5mm~20mm의 입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다공성 흡착제(250)는 규소, 알루미늄, 칼슘, 나트륨, 산소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통수능에 영향은 최대한 적게 하면서, 통과하는 우수가 충분한 시간을 갖고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우수를 2차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정화부(100)를 통과한 우수는 입자성 물질 또는 중금속 등의 미량유해물질의 비율이 높아 제2정화부(200)의 내부에서 저류되면서 다공성 흡착제(250)를 통해 이온교환 흡착 등의 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지면서 정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정화부(100)는, 저류구조부(300)의 저류공간으로 삽입되고 저류구조부(30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정화부(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11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측벽(120) 및 상기 측벽(120)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저류구조부(300)의 측벽(120)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단턱(150)과, 상기 측벽(120)의 상부에 놓여지도록 설치되는 매쉬망(160)과, 상기 측벽(120)에 형성되어 정화된 우수가 저류구조부(3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출홀(1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최초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도록 충전재(1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매쉬망(160)은 낙엽과 같은 비교적 큰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콩자갈과 쇄석의 이탈을 방지해주게 된다.
상기 충전재(170)는 콩자갈과 쇄석으로 구성되며, 콩자갈의 입경은 3mm~8mm로 구성되며, 쇄석의 입경은 13mm~40mm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콩자갈은 바닥면(110)에 포설되고 포설된 콩자갈의 상부에 쇄석을 포설하여 쇄석을 통해 비교적 큰 고형물을 걸러주고 콩자갈은 쇄석을 통해 걸러진 고형물보다 작은 고형물을 걸러주게 되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쇄석을 콩자갈의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서 콩자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정화부(100)와 제2정화부(20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제1정화부(100)와 제2정화부(200)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즉 제1정화부(100)는 단턱(150)을 통해 저류구조부(300)의 상단에 걸려지도록 설치되고 제2정화부(200)는 저류구조부(300)의 내부에 삽입되어 걸림턱(330)에 걸려지도록 설치됨으로써 제1정화부(100)와 제2정화부(200)가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정화부(100)의 유출홀(140)과 제2정화부(200)의 유출홀(240)은 측벽(120)(220)에 원형관을 설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출홀(140)(240)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경우 우수가 유입되는 부분에서 제1정화부(100)의 제2정화부(2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유입된 우수가 이동하면서 제1정화부(100) 또는 제2정화부(200)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의 제거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정화부(100)와 제2정화부(200)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유입부와 유출홀(140)(240)은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월류관(400)은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우수관과 연결되어 홍수시 많은 량의 우수가 유입되어 월류될 경우 월류되는 우수를 우수관으로 유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공관(500)은 이물질은 정화되고 영양물질은 포함하고 있는 우수를 식물의 뿌리에 직접적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저류구조부(300)의 측벽에 설치되되, 바닥면(310)에서 1~5cm 의 높이로 설치되어 저류구조부(300)의 내부에 토사의 침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토실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식생플랜터 시스템을 이용한 우수의 정화와 저장 및 공급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우기기에 집수면에서 유출되는 우수는 우수정화부(10)의 제1정화부(100) 일측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우수는 제1정화부(100)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충전재(170)에 의해 낙엽과 같은 비교적 큰 오염물질이 1차적으로 걸러진 후 유출홀(140)을 통해 제2정화부(200)로 유출된다.
이후 제2정화부(200)로 유입된 우수는 제2정화부(200) 내부에서 수평방향 이동을 하면서 다공성 흡착제(250)에 의해 중금속과 같은 이물질이 제거되고 유출홀(240)을 통해 저류구조부(300)로 유출된다.
상기 저류구조부(300)로 우수가 유입되면 우수에 포함된 토사는 저류구조부(300)의 바닥면(310)에 쌓여지게 되고 우수는 저장됨과 동시에 일부는 바닥면(310)에 형성된 관통홀(311)을 통해 지중으로 침투되고 일부는 유공관(500)을 통해 식물의 뿌리로 직접 공급된다.
한편 우수정화부(10)의 저류 한계를 넘을 경우에는 제1정화부(100)와 제2정화부(200) 사이의 이격공간(350)에 설치되어 있는 월류관(400)을 통해 우수가 월류되어 기존에 매설되어 있는 우수관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식생플랜터 시스템은 우수의 유출량을 줄이고 지중으로 자연침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물순환 작용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영양물질을 포함한 우수를 식물의 뿌리에 직접적으로 공급함으로서 식물의 생장에 도움이 되고, 지반 융기로 인한 보도블록의 들뜸 현상 및 가로 환경의 악영향을 줄여주게 된다.
또한 우수의 침투, 저류 및 이용을 동시에 수행하게 됨으로써 설치비가 저감되고 이상 강우시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별도의 운영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유지비용이 최소화되어 저비용으로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우수정화부 (100) : 제1정화부
(110) : 바닥면 (120) : 측벽
(130) : 홈부 (140) : 유출홀
(150) : 단턱 (160) : 매쉬망
(170) : 충전재 (200) : 제2정화부
(210) : 바닥면 (220) ; 측벽
(230) : 홈부 (240) : 유출홀
(250) : 다공성 흡착제 (260) : 매쉬망
(300) : 저류구조부 (310) : 바닥면
(311) : 관통홀 (320) : 측벽
(330) : 걸림턱 (340) : 저류공간
(350) : 이격공간 (400) : 월류관
(500) : 유공관

Claims (6)

  1. 집수구역에서 유입된 우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해주는 제1정화부와, 상기 제1정화부의 하부에서 제1정화부와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여 제1정화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다공성 흡착제가 구비되어 제1정화부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정화하는 제2정화부와, 상기 제2정화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정화부를 통해 정화된 빗물을 저류함과 동시에 지중으로 침투되도록 하며 유입된 토사가 침전되는 저류구조부로 이루어지는 우수정화부;
    상기 우수정화부의 제1정화부와 제2정화부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우수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제2정화부에서 월류되는 우수가 우수관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월류관;
    상기 우수정화부의 저류구조부에서 식물의 뿌리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식물의 뿌리에 영양물질을 포함한 우수가 직접 공급되도록 하는 유공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우수정화부는, 저류된 우수의 지중 침투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저류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토사의 침전 및 우수를 저장해주며 상기 측벽에는 제2정화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저류구조부와; 상기 저류구조부의 저류공간으로 삽입되어 측벽에 형성된 걸림턱에 안착되도록 설치되고 상부에 매쉬망이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주며, 측면에 형성되는 유출홀을 통해 우수가 저류구조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구비되는 다공성 흡착제를 통해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정화하는 제2정화부와; 상기 저류구조부의 저류공간으로 삽입되되, 상단에 형성되는 단턱을 통해 저류구조부의 측벽 상부에 걸려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정화부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제2정화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매쉬망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충전재가 구비되어 집수구역에서 유입되는 우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며 측면에 형성되는 유출홀을 통해 정화된 우수가 제2정화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제1정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화부의 충전재는 3mm~8mm의 콩자갈과, 13mm~40mm의 쇄석으로 구성되되, 콩자갈이 바닥면에 포설되고 콩자갈의 상부에 쇄석이 포설되도록 설치되어 집수구역에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정화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화부의 다공성 흡착제는,
    단위중량이 0.95g/cm3 ~1.6g/cm3 이며, 5mm~20mm의 입경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화부의 유출홀과 제2정화부의 유출홀은 제1정화부와 제2정화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부분에서 대칭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은 우수정화부의 바닥면에서 1~5cm 높이에 설치되어 우수정화부의 내부에 유입된 토사가 침전될 수 있는 이토실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KR1020150014178A 2015-01-29 2015-01-29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KR101577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178A KR101577378B1 (ko) 2015-01-29 2015-01-29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178A KR101577378B1 (ko) 2015-01-29 2015-01-29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378B1 true KR101577378B1 (ko) 2015-12-14

Family

ID=5502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178A KR101577378B1 (ko) 2015-01-29 2015-01-29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37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5342A (zh) * 2017-10-23 2018-04-13 陈彬 一种市政雨水调蓄装置及其工作方法
WO2019088750A1 (ko) * 2017-11-02 2019-05-09 (주)마이즈텍 지중 수분공급장치
KR102052679B1 (ko) 2019-05-13 2019-12-06 주식회사 가랑비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KR102144443B1 (ko) * 2019-03-15 2020-08-13 권혁중 다용도 침투통
KR20200131152A (ko) 2019-11-29 2020-11-23 주식회사 가랑비 그레이팅 조립체와,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KR20230022665A (ko) 2021-08-09 2023-02-16 남옥랑 그레이팅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51B1 (ko) * 2006-12-15 2008-01-30 여인봉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51B1 (ko) * 2006-12-15 2008-01-30 여인봉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5342A (zh) * 2017-10-23 2018-04-13 陈彬 一种市政雨水调蓄装置及其工作方法
CN107905342B (zh) * 2017-10-23 2019-09-03 陈彬 一种市政雨水调蓄装置及其工作方法
CN107905342B8 (zh) * 2017-10-23 2019-10-15 广东鼎耀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市政雨水调蓄装置及其工作方法
WO2019088750A1 (ko) * 2017-11-02 2019-05-09 (주)마이즈텍 지중 수분공급장치
KR102144443B1 (ko) * 2019-03-15 2020-08-13 권혁중 다용도 침투통
KR102052679B1 (ko) 2019-05-13 2019-12-06 주식회사 가랑비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KR20200131152A (ko) 2019-11-29 2020-11-23 주식회사 가랑비 그레이팅 조립체와,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KR20230022665A (ko) 2021-08-09 2023-02-16 남옥랑 그레이팅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378B1 (ko)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KR10129471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724155B1 (ko) 수목용 빗물정화 및 물공급시설
KR101728208B1 (ko)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US20140124424A1 (en) Integrated system for treating and recycling rainwater
KR20060094596A (ko) 우수 저류 및 지하 침투를 유도하는 시스템
KR101701387B1 (ko) 빗물 침투 시설
KR101578551B1 (ko) 우수 오염 방지와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식생체류지
KR100901263B1 (ko) 이온 교환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자연형 비점 오염원 저감장치
CN112225408A (zh) 城市径流雨水资源生态控污处理的系统和方法
CN110468947A (zh) 生态树池
KR101205223B1 (ko) 침투수 처리시스템
KR20110040414A (ko) 녹지 생태축 연결 및 비점오염원 제거를 위한 도로용 소규모 인공습지
CN209643420U (zh) 功能复合型雨水花坛及采用这种花坛的雨水消能净化系统
KR20150110193A (ko)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KR101868230B1 (ko) 저영향개발 시설의 화분 교체식 식생 구조체
KR100966887B1 (ko) 개량형 레인가든
WO2019061869A1 (zh) 一种一体化雨水处理装置
CN105174635A (zh) 多级雨水生物处理装置
KR102345755B1 (ko) 식생대를 활용한 도로용 우수처리장치
CN105174478A (zh) 生物过滤器
KR100601908B1 (ko) 우수저류연못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정화 및 친수시설활용방법과 그 장치
CN208105448U (zh) 一种控制雨水径流的树箱
KR100909352B1 (ko) 자연친화형 빗물 처리 활용 시스템
CN209670011U (zh) 一种下凹式绿地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