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651B1 -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651B1
KR100799651B1 KR1020060128377A KR20060128377A KR100799651B1 KR 100799651 B1 KR100799651 B1 KR 100799651B1 KR 1020060128377 A KR1020060128377 A KR 1020060128377A KR 20060128377 A KR20060128377 A KR 20060128377A KR 100799651 B1 KR100799651 B1 KR 100799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main cartridge
cartridge
wa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인봉
Original Assignee
여인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인봉 filed Critical 여인봉
Priority to KR102006012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처리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역세척이 가능한 카트리지를 구비함으로써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 설비의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게 한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는 하수가 퇴적물 저류조의 분류벽을 거쳐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통과함에 따라 여과될 수 있도록 내부에 여과재가 충전되어 구비되는 주 카트리지; 상기 주 카트리지가 수용되며, 상·하부에 각각 배출구를 가지는 방수벽; 그리고 상기 주 카트리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의 양에 따라 부유됨에 따라 상기 주 카트리지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상·하부 배출구를 통해 여과된 하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 소정의 위치에 배출공을 가지는 수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월류수, 우수유출수, 정화처리, 카트리지

Description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sewer overflows and storm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거친 하수가 다시 정화처리되는 정화처리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일실시예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거친 하수가 다시 정화처리되는 정화처리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일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거친 하수가 다시 정화처리되는 정화처리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다른 실시예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거친 하수가 다시 정화처리되는 정화처리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다른 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거친 하수가 다시 정화처리되는 정화처리장치의 요부인 카트리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입구 20 : 유입수 걸름조
22 : 부유형 데칸터 24 : 고정형 데칸터
26 : 고정형 웨어 40 : 수류분배장치
50 : 퇴적물 저류조 51 : 분류벽
53 : 분류 배출공 60 : 수문
62 : 배출공 64 : 연장부
70 : 방수벽 71 : 상부 배출구
73 : 하부 배출구 74 : 수용홈
75 : 보조 배출구 300 : 협잡물 제거장치
310 : 배출망 본체 311 : 배출공
313 : 낙차수 유도판 315 : 수밀판
320 : 수차 330 : 축
331 : 리브 340 : 나선형 돌기
350 : 지지대 390 : 고형물 저장조
500 :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
600 : 정화처리장치
610 : 유입부 620 : 주 카트리지
621, 631 : 적층홈 623, 633 : 적층돌기
630 : 보조 카트리지 640 : 여과망
본 발명은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물부족 현상이 여러 국가의 주요한 이슈로 작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또한 이를 방치할 수 없는 국면에 이르렀고, 이러한 물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방면으로 효율적인 물의 관리와 확보 및 활용 방안을 찾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물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적으로 내리는 우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들이 다양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수는 대기중의 여러 오염물질에 노출되어 이를 포함한 채 내리게 되며, 지표면에서도 각종 오염물질과 함께 하천 등으로 스며들게 되므로, 이러한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하천 등의 수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우수정화시설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우수정화시설이 요구되는 하수관거에서의 하수배제방식은 합류식과 분류식으로 구분되며, 합류식 하수도는 청천(晴天)시 배출되는 하수를 전량 하수처리장으로 수송되나 우천(雨天)시에는 하수 배출량이 증가하여 일정량(계획시간최대오수량)은 차집관로를 통해서 하수처리장으로 수송되고 그 이상은 우수토실에서 월류하여 공공수역으로 방류된다.
이때,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 방류 부하량은 공공수역의 수질오염 원인이 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종래의 합류식 하수관거에서 월류수를 정화처리하는 기술은 복잡한 장치를 사용하거나 장치의 규모가 커서 유지관리가 힘들었다.
또한, 시설규모가 크기 때문에 넓은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대도시나 도심지역에서의 적용이 사실상 어려우며, 분류식 하수관거에서 혹은 비점오염원을 처리하기 위한 대상지역에 적용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합류식 하수관거와 분류식 하수관거의 시스템이 공유되고 있는 지역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정화처리설비가 요구된다.
한편, 초기우수를 정화하는 기술로써 종래의 하수처리공법에서 조대스크린과 세목스크린 등 고정형 스크린을 설치하여 사용해 왔으나, 우수처리장치의 특성상 상시 유지관리를 위한 인력배치가 불가능하여 폐색현상이 발생할 경우 전체장치가 불용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저류조나 이와 유사하게 웨어(weir)나 물막이벽 등을 설치하여 물가둠 기능을 통하여 퇴적물을 처리하는 경우에 강우가 끝난 뒤에도 저류조와 처리장치 등에 물이 고이게 됨으로써 물이 썩어 악취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정화처리를 위한 장치가 사실상 오염발생원으로 전락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더욱이, 여과방식 및 흡착방식에 의한 초기우수처리장치의 경우에는 역세척이 불가능하여 정화장치의 효율이 급감하거나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우수정화처리설비의 정화처리장치는 카트리지가 고정형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집중강우 등으로 정화처리장치에 유입되는 하수량이 많아지게 될 경우, 유입되는 하수의 정화처리기능이 현격히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화처리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역세척이 가능한 카트리지를 구비함으로써 정화처리 설비의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게 한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는 하수가 퇴적물 저류조의 분류벽을 거쳐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통과함에 따라 여과될 수 있도록 내부에 여과재가 충전되어 구비되는 주 카트리지; 상기 주 카트리지가 수용되며, 상·하부에 각각 배출구를 가지는 방수벽; 그리고 상기 주 카트리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의 양에 따라 부유됨에 따라 상기 주 카트리지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상·하부 배출구를 통해 여과된 하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 소정의 위치에 배출공을 가지는 수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주 카트리지는 전면/후면 및 상면/하면에 하수가 유입되어 여과된 후, 통과할 수 있도록 여과망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 카트리지를 통해 여과된 하수가 재차 여과될 수 있도록 내부에 여과재가 충전되어 구비되며, 상기 주 카트리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조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더욱이 상기 보조 카트리지는 상면과 하면에 하수가 유입되어 여과된 후, 통과할 수 있도록 여과망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주 카트리지와 보조 카트리지는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하도록 상부에는 적층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적층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문은 상기 주 카트리지의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된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방수벽 하단에는 수용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500)는 유입구(10), 유입수 걸름조(20), 퇴적물 저류조(50), 정화처리장치(600) 그리고 배출구들(71, 73, 7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10)는 기존에 매설된 합류식 하수관거와 연결되고, 하수가 상기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500)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며, 이때 상기 하수는 기존에 매설된 하수관거로부터 발생되는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를 말한다.
상세히, 상기 월류수는 하수관거로부터 월류되는 하수 월류수를 말하며, 상기 우수유출수는 강우시 초기에 발생하는 초기우수유출수와 강우 초기 이후에 발생하는 우수유출수를 포함한다.(이하, 하수 월류수, 초기우수유출수 및 우수유출수를 하수라 함.)
한편, 상기 유입수 걸름조(20)는 고정형 웨어(26)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고정형 데칸터(24)와 상기 고정형 데칸터(24)의 외측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부유형 데칸터(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유입구(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부유성 협잡물과 중량이 큰 협잡물이 상기 유입수 걸름조(20)의 부유형 데칸터(22)와 고정형 데칸터(24)에 의해 각각 걸러지게 된다.
또한,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300)는 상기 고정형 웨어(26)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입수 걸름조(20)와 대응되어 구비되며, 더욱이 상기 유입수 걸름조(20)를 통해 부유성 협잡물 및 중량이 큰 협잡물이 1차적으로 걸러진 하수가 상기 고정형 웨어(26)로부터 낙차를 가지고 설치된다.
이때,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300)는 배출망 본체(310), 중앙에 축(330)을 가지는 수차(320), 그리고 나선형 돌기(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입구(10)를 통해서 유입되는 하수가 상기 유입수 걸름조(20)을 거쳐 상기 고정형 웨어(26)의 일측으로 낙하하는 하수가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배치된다.
한편,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300)는 하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출공(311)이 형성된 배출망 본체(310)와, 상기 배출망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며, 낙하하는 하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중앙에 축(330)을 가지는 수차(320)와, 상기 수차(320)의 외주를 따라 밀착되고, 상기 배출망 본체(310)의 내측면과 긴밀을 유지하며, 상기 수차와 함께 회전됨에 따라 낙하하는 하수의 고형물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나선형 돌기(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차(320)는 중앙 축(330)의 길이가 상기 배출망 본체(310)의 외측으로 상기 수차(320)의 길이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수차(320)의 외주를 따라 밀착되는 나선형 돌기는 상기 수차(320)의 연장된 축(330)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다수개의 리브(331)에 의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300)로 유입되는 하수에 내포된 협잡물 및 고형물 등이 상기 나선형 돌기(34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며, 이와 같이 이송되는 협잡물 및 고형물이 저장되는 고형물 저장조(390)가 상기 나선형 돌기(340)의 끝단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차(320)의 중앙에 구비되는 축(330)에 연결되어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300)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35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출망 본체(310)는 상기 유입구(10)로부터 상기 배출망 본 체(310) 측으로 낙하하는 하수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낙차수 유도판(313)과 상기 낙차수 유도판(313)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형 웨어(26)에 밀착 고정되는 수밀판(3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상기 유입수 걸름조(20)를 거쳐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300)로 낙하하여 유입된 후,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300)에 의해 협잡물 및 고형물이 제거되고,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300)의 배출망 본체(310)에 형성된 배출공(311)을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공(311)을 통해 배출된 하수를 하부로 원활히 분산하여 낙하되도록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300)의 하부에 수류분배장치(40)가 구비되며, 상기 수류분배장치(40)를 통해 분산되어 낙하하는 하수가 수용되는 퇴적물 저류조(50)가 상기 수류분배장치(40)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퇴적물 저류조(50)는 상기 유입수 걸름조(20) 및 협잡물 제거장치(300)에 의해 1차적으로 협잡물들이 제거된 하수가 유입되며, 상기 퇴적물 저류조(50)의 일측에는 상기 퇴적물 저류조(50)로 유입된 하수의 침전물 등을 분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분류배출공(53)이 형성된 분류벽(51)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퇴적물 저류조(50)의 일측에 구비된 분류벽(51)을 통하여 퇴적물과 분류된 하수가 유입되어 2차적으로 정화처리가 될 수 있도록 상기 분류벽(51)의 일측에는 정화처리장치(60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정화처리장치(600)는 상기 분류벽(51)을 통하여 분류 배출되는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부(610)가 상기 분류벽(5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 부(610)와 연통되는 공간에는 상기 유입부(610)를 통하여 유입된 하수를 정화처리하는 주 카트리지(6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주 카트리지(620)의 상부에 보조 카트리지(63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카트리지(620) 및 보조 카트리지(630)는 내측에 하수를 여과시킬 수 있도록 여과재가 충전되고, 외측에는 여과망(640)이 구비되며 유입되는 하수량에 의해 뜰 수 있도록 외부재질이 부유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주 카트리지(620)의 일측에는 배출공(62)이 형성된 수문(60)이 밀착고정되며, 더욱이 상기 수문(60)은 상기 주 카트리지(620)의 일측 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주 카트리지(620) 및 보조 카트리지(630)의 일측에는 상기 수문(6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주 카트리지(620)와 대응되는 방수벽(7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방수벽(70)은 상기 수문(60)의 배출공(62)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 상부배출구(71) 및 하부배출구(73)가 형성되며, 더욱이 상기 수문(60)의 배출공(62)이 상기 상부배출구(71) 및 하부배출구(73)와 연통되는 것과 상관없이 하수가 천천히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 보조배출구(75)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주 카트리지(620)의 일측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수문(6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이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 카트리지(620) 및 보조 카트리지(630)의 외부재질이 부유성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수문(60)의 일측에는 유입부(6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량에 의해 상기 주 카트리지(620) 및 보조 카트리지(630)가 부유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수문(60)의 배출공(62)과 연통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거친 하수가 다시 정화처리되는 정화처리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일실시예의 일 예 및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거친 하수가 다시 정화처리되는 정화처리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일실시예의 일 예 및 다른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거친 하수가 다시 정화처리되는 정화처리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일실시예의 일 예는 유입수 걸름조(20) 및 협잡물 제거장치(300)를 통해 1차적으로 협잡물이 제거된 하수가 배출된 후,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300)의 하부에 구비된 수류분배장치(40)에 의해 퇴적물 저류조(50)로 낙하하며, 상기 퇴적물 저류조(50)의 일측에 구비된 분류벽(51)에 형성된 분류배출공(53)을 통하여 퇴적물과 분류되어 배출된다.(도 1 참조)
이후, 상기 분류벽(51)의 분류배출공(53)을 통해 배출된 하수는 2차적으로 정화처리가 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정화처리장치(600)의 일측 하단에 구비된 유입부(610)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부(6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의 유입량이 적은 유입 초기에는 주 카트리지(620)의 측면에 구비된 여과망(640)을 통하여 하부배출구(73)과 수문(60)의 배출공(62)이 연통되어 여과된 하수가 배출된다.
한편, 상기 유입부(6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량이 많아지게 되면, 상기 주 카트리지(620)와 상기 주 카트리지(620)에 밀착 고정된 수문(60)이 상측으로 점차 부유하게 되며, 부유함에 따라 상기 수문(60)의 배출공(62)은 방수벽(70)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방수벽(7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배출구(71)를 통해 여과된 하수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유입부(610)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상기 주 카트리지(620)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된 여과망(640)과 상기 보조 카트리지(630)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된 여과망(640)을 통하여 여과되어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유입부(6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량이 적을 경우에는 상기 주 카트리지(620)가 부유되지 않으므로 상기 유입부(6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는 상기 주 카트리지(620)의 전면 및 후면에 구비된 여과망(640)을 거쳐 상기 방수벽(70)의 하부배출구(73)를 통하여 여과된 하수가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주 카트리지(6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상기 수문(60)은 하부에 상기 주 카트리지(620)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64)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64)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방수벽(70) 하단에 수용홈(7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6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량이 많은 경우, 상기 주 카트리지(620)가 부유됨에 따라 상기 수용홈(74)에 수용된 상기 수문(60)의 연장부(64)도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방수벽(70)의 하단배출구(73)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입부(6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량이 적은 경우에는 상기 주 카트리지(620)가 부유되지 않으므로 상기 수문(60)의 연장부(64)가 상기 수용홈(74)에 수용되며, 상기 수문(60)의 배출공(62)은 상기 방수벽(70)의 하부배출구(73)와 연통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 카트리지(620)가 유입되는 하수량에 따라 부유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방수벽(70)의 상부배출구(71) 및 하부배출구(73)을 통하여 여과된 하수가 배출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수벽(70)의 상부배출구(71) 및 하부배출구(73)을 통하여 배출되는 하수는 인근 하천으로 방류되어 정화처리된 하수를 하천용수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수벽(70)의 하부 소정의 위치에는 보조배출구(75)가 구비됨으로써 정화처리장치(600) 내에 하수가 잔존하지 않게 되므로, 종래의 정화처리설비에서 발생하는 정화처리설비 내에 하수가 고이게 되어 하수가 썩어 악취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정화처리를 위한 장치가 사실상 오염발생원으로 전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거친 하수가 다시 정화처리되는 정화처리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다른 실시예의 일 예 및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거친 하수가 다시 정화처리 되는 정화처리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다른 실시예의 일 예 및 다른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거친 하수가 다시 정화처리되는 정화처리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다른 실시예의 일 예는 유입수 걸름조(20) 및 협잡물 제거장치(300)를 통해 1차적으로 협잡물이 제거된 하수가 배출된 후,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300)의 하부에 구비된 수류분배장치(40)에 의해 퇴적물 저류조(50)로 낙하하며, 상기 퇴적물 저류조(50)의 일측에 구비된 분류벽(51)에 형성된 분류배출공(53)을 통하여 퇴적물과 분류되어 배출된다.(도 1 참조)
이후, 상기 분류벽(51)의 분류배출공(53)을 통해 배출된 하수는 2차적으로 정화처리가 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정화처리장치(600)의 일측 하단에 구비된 유입부(610)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부(6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의 유입량이 적은 유입 초기에는 주 카트리지(620)의 측면에 구비된 여과망(640)을 통하여 하부배출구(73)과 수문(60)의 배출공(62)이 연통되어 여과된 하수가 배출된다.
한편, 상기 유입부(6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량이 많아지게 되면, 상기 주 카트리지(620)와 보조 카트리지(630), 그리고 상기 주 카트리지(620)에 밀착 고정된 수문(60)이 상측으로 점차 부유하게 되며, 부유함에 따라 상기 수문(60)의 배출공(62)은 방수벽(70)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방수벽(7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배출구(71)를 통해 여과된 하수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유입부(610)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상기 주 카트리지(620)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된 여과망(640)과 상기 보조 카트리지(630)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된 여과망(640)을 통하여 여과되어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유입부(6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량이 적을 경우에는 상기 주 카트리지(620) 및 보조 카트리지(630)가 부유되지 않으므로 상기 유입부(6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는 상기 주 카트리지(620)의 전면 및 후면에 구비된 여과망(640)을 거쳐 상기 방수벽(70)의 하부배출구(73)를 통하여 여과된 하수가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주 카트리지(6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상기 수문(60)은 하부에 상기 주 카트리지(620)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64)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64)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방수벽(70) 하단에 수용홈(7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6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량이 많은 경우, 상기 주 카트리지(620) 및 보조 카트리지(630)가 부유됨에 따라 상기 수용홈(74)에 수용된 상기 수문(60)의 연장부(64)도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방수벽(70)의 하단배출구(73)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입부(6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량이 적은 경우에는 상기 주 카트리지(620) 및 보조 카트리지(630)가 부유되지 않으므로 상기 수문(60)의 연장부(64)가 상기 수용홈(74)에 수용되며, 상기 수문(60)의 배출공(62)은 상기 방수벽(70)의 하부배출구(73)와 연통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 카트리지(620) 및 보조 카트리지(630)가 유입되는 하수량에 따라 부유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방수벽(70)의 상부배출구(71) 및 하부배출구(73)을 통하여 여과된 하수가 배출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수벽(70)의 상부배출구(71) 및 하부배출구(73)을 통하여 배출되는 하수는 인근 하천으로 방류되어 정화처리된 하수를 하천용수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수벽(70)의 하부 소정의 위치에는 보조배출구(75)가 구비됨으로써 정화처리장치(600) 내에 하수가 잔존하지 않게 되므로, 종래의 정화처리설비에서 발생하는 정화처리설비 내에 하수가 고이게 되어 하수가 썩어 악취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정화처리를 위한 장치가 사실상 오염발생원으로 전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거친 하수가 다시 정화처리되는 정화처리장치의 요부인 카트리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거친 하수가 다시 정화처리되는 정화처리장치의 요부인 카트리지는 주 카트리지(620)만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주 카트리지(620)와 보조 카트리지(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주 카트리지(620)는 유입부(6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가 여과될 수 있도록 내측에 여과재(미도시)가 충전되어 구비되되, 상기 여과재는 역세척이 가능하도록 상기 주 카트리지(620)의 내부공간에 가득 채우지 않고, 소정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충전함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
또한, 상기 주 카트리지(620)는 상기 유입부(610)와 연통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일측면에 여과망(640)이 구비되고, 상기 일측면과 대응되는 타측면에도 여과망(640)이 구비되며, 상부 및 하부면에도 상기 보조 카트리지(630)와 연통될 수 있도록 여과망(6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주 카트리지(620) 및 보조 카트리지(630)는 상기 유입부(610)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입되는 하수에 의해 상측으로 부유될 수 있도록 외형재질이 부력을 갖는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 카트리지(620) 및 보조 카트리지(630)의 외형재질이 부력을 갖는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집중강우 등으로 상기 정화처리장치(600)에 유입되는 하수량이 많아지게 될 경우에도 유입되는 하수의 정화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 카트리지(630)는 상기 주 카트리지(630)와 연통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에 여과망(640)이 구비되며, 아울러 상기 주 카트리지(620)를 통해 여과된 하수가 상기 여과망(640)을 통해 유입되어 여과될 수 있도록 상기 주 카트리지(620)와 마찬가지로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여과재(미도시)가 충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 카트리지(620) 및 보조 카트리지(630)는 상부의 모서리부에 상기 카트리지들(620, 630)이 적층될 수 있도록 각각 적층홈(621, 631)이 구비되며, 하부의 모서리부에는 상기 적층홈(621, 631)과 대응되는 적층돌기(623, 633)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 카트리지(620) 및 보조 카트리지(630)는 내측에 여과재(미도시)가 충전되어 구비되며, 상기 여과재가 각 카트리지의 내부공간에 가득 채우지 않고, 소정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충전됨으로써 상기 주 카트리지(620) 및 보조 카트리지(630)가 구비된 정화처리장치(600)의 역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화처리장치(600)의 효율이 증대됨은 물론이거니와 정화처리장치의 수명이 길어지며, 이에 따라 정화처리장치 유지보수가 불필요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유입구 측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는 배출망 본체(310), 수차(320), 그리고 나선형 돌기(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배출망 본체(310)는 하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출공(3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차(320)는 상기 배출망 본체(310)의 내측에 구비되되, 낙하하는 하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중앙에 축(330)을 가지고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선형 돌기(310)는 상기 수차(320)의 외주를 따라 밀착되고, 상기 배출망 본체(310)의 내측면과 긴밀을 유지하며, 상기 수차와 함께 회전됨에 따라 낙하하는 하수의 고형물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수차(320)는 중앙 축(330)의 길이가 상기 배출망 본체(310)의 외측으로 상기 수차(320)의 길이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수 차(320)의 외주를 따라 밀착되는 나선형 돌기(340)는 상기 수차(320)의 연장된 축(330)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다수개의 리브(331)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차(320)의 중앙에 구비되는 축(330)에 연결되어 상기 협잡물 제거장치(300)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35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출망 본체(310)는 상기 유입구(10)로부터 상기 배출망 본체(310) 측으로 낙하하는 하수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낙차수 유도판(313)과 상기 낙차수 유도판(313)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형 웨어(26)에 밀착 고정되는 수밀판(3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협잡물 제거장치(300)는 상기 유입구(10)를 통해서 유입되는 하수가 상기 유입수 걸름조(20)을 거쳐 상기 고정형 웨어(26)의 일측으로 낙하하는 하수가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배치되며, 상기 고정형 웨어(26)의 일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500)는 '하수'로 통칭하는 하수 월류수, 초기우수유출수 및 우수유출수에 대한 정화처리에 적용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의 효과 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층의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화처리장치가 구비됨으로써 1차 협잡물이 제거된 하수를 다시 2차적으로 정화처리하여 하천에 방류가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정화처리된 하수를 하천용수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내측에 여과재가 충전된 카트리지를 적용함으로써 정화처리장치의 역세척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정화처리장치의 효율이 증대됨은 물론이거니와 정화처리장치의 수명이 길어지며, 이에 따라 정화처리장치 유지보수가 불필요하게 된다.
셋째, 상·하부 배출구 및 보조 배출구가 형성된 방수벽이 구비됨으로써 종래의 물가둠 기능을 통하여 퇴적물을 처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물고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물고임 현상에 따라 고인 물이 썩어 악취가 발생하여 정화처리설비가 오염발생원으로 전락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종래의 우수정화처리설비가 합류식 하수관거 및 분류식 하수관거가 공유된 지역에서는 사용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를 우수정화처리설비에 적용함으로써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등의 정화처리가 가능하게 됨을 물론, 합류식 하수관거 및 분류식 하수관거가 공유된 지역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다섯째, 외부케이스 재질이 물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주 카트리지 및 보조 카트리지가 구비됨에 따라 집중강우 등으로 정화처리장치에 유입되는 하수량이 많아지게 될 경우에도 유입되는 하수의 정화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하수가 퇴적물 저류조의 분류벽을 거쳐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통과함에 따라 여과될 수 있도록 내부에 여과재가 충전되어 구비되는 주 카트리지;
    상기 주 카트리지가 수용되며, 상·하부에 각각 배출구를 가지는 방수벽; 그리고
    상기 주 카트리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의 양에 따라 부유됨에 따라 상기 주 카트리지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상·하부 배출구를 통해 여과된 하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 소정의 위치에 배출공을 가지는 수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카트리지는 전면/후면 및 상면/하면에 하수가 유입되어 여과된 후, 통과할 수 있도록 여과망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카트리지를 통해 여과된 하수가 재차 여과될 수 있도록 내부에 여과재가 충전되어 구비되며, 상기 주 카트리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조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 카트리지는 상면과 하면에 하수가 유입되어 여과된 후, 통과할 수 있도록 여과망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카트리지와 보조 카트리지는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하도록 상부에는 적층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적층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은 상기 주 카트리지의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된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방수벽 하단에는 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20060128377A 2006-12-15 2006-12-15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0799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377A KR100799651B1 (ko) 2006-12-15 2006-12-15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377A KR100799651B1 (ko) 2006-12-15 2006-12-15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651B1 true KR100799651B1 (ko) 2008-01-30

Family

ID=39219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377A KR100799651B1 (ko) 2006-12-15 2006-12-15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6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378B1 (ko) * 2015-01-29 2015-12-14 한국토지주택공사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CN108226433A (zh) * 2018-01-18 2018-06-29 宁波四九星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水质监测装置
CN108793488A (zh) * 2018-06-04 2018-11-13 安徽天宇磁业股份有限公司 基于环保的磁铁切片水处理装置及其操作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2993A (ja) * 1991-09-26 1993-05-28 Nagasaka Yuji 雨水濾過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維持方法および雨水濾過 方法およびその管理システム
JPH0639388A (ja) * 1992-04-28 1994-02-15 Toto Ltd 水の循環浄化装置及び循環浄化方法
KR100402625B1 (en) 2003-02-18 2003-10-17 Bluegrenlink Co Ltd Apparatus for purifying runoff
KR100420222B1 (ko) 2003-04-23 2004-02-26 엘지건설 주식회사 강우수 정화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강우수 정화모듈
KR200366209Y1 (ko) 2004-08-10 2004-11-03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상향식 여과를 이용한 우수 침투 및 저류 촉진 장치
JP2006281198A (ja) 2005-03-07 2006-10-19 Toray Ind Inc 浸漬型濾過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2993A (ja) * 1991-09-26 1993-05-28 Nagasaka Yuji 雨水濾過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維持方法および雨水濾過 方法およびその管理システム
JPH0639388A (ja) * 1992-04-28 1994-02-15 Toto Ltd 水の循環浄化装置及び循環浄化方法
KR100402625B1 (en) 2003-02-18 2003-10-17 Bluegrenlink Co Ltd Apparatus for purifying runoff
KR100420222B1 (ko) 2003-04-23 2004-02-26 엘지건설 주식회사 강우수 정화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강우수 정화모듈
KR200366209Y1 (ko) 2004-08-10 2004-11-03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상향식 여과를 이용한 우수 침투 및 저류 촉진 장치
JP2006281198A (ja) 2005-03-07 2006-10-19 Toray Ind Inc 浸漬型濾過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378B1 (ko) * 2015-01-29 2015-12-14 한국토지주택공사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CN108226433A (zh) * 2018-01-18 2018-06-29 宁波四九星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水质监测装置
CN108226433B (zh) * 2018-01-18 2018-12-07 浙江解氏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水质监测装置
CN108793488A (zh) * 2018-06-04 2018-11-13 安徽天宇磁业股份有限公司 基于环保的磁铁切片水处理装置及其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740B1 (ko) 2단 와류와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779513B1 (ko) 초기우수 정화처리장치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US20190330836A1 (en) Hydrodynamic separator for stormwater treatment
KR101218344B1 (ko) 초기우수처리를 위한 식생여과장치
KR20070098971A (ko) 도로의 강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시설(SH System)
KR101344852B1 (ko) 다단의 교체형 필터 카트리지를 이용한 빗물 처리장치
KR20080000501A (ko) 우수배관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1003477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673536B1 (ko) 우수처리장치
KR100807192B1 (ko) 와류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799651B1 (ko) 월류수 및 우수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1005589B1 (ko) 하천의 법면에 설치되는 친환경 초기우수처리 시스템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339455B1 (ko) 다단분리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
AU2005316557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101203059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20170011353A (ko)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0788242B1 (ko) 협잡물 제거장치
KR101106390B1 (ko) 볼텍스 트랩 장치
KR101173780B1 (ko) 상향류식 여과방법과 하향류식 여과방법을 이용한 다단계 비점오염저감시설
JP4618737B2 (ja) 路面排水処理槽
KR100964596B1 (ko) 다층여재형 우수 정화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