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193A -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 Google Patents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193A
KR20150110193A KR1020140034276A KR20140034276A KR20150110193A KR 20150110193 A KR20150110193 A KR 20150110193A KR 1020140034276 A KR1020140034276 A KR 1020140034276A KR 20140034276 A KR20140034276 A KR 20140034276A KR 20150110193 A KR20150110193 A KR 20150110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orage tank
rainwater storage
landscaping planting
landsca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홍성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홍성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Priority to KR1020140034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0193A/ko
Publication of KR20150110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변 보행자 도로나, 광장, 공원과 같이 주로 보도블록으로 포장되는 보행자 공간에서 조경 식재가 이루어지는 곳을 이용하여, 상부에는 조경식재부(100)가 위치하고 하부에는 침투 기능이 구비된 빗물저류조(200)가 설치됨으로 써, 녹지 공간의 조성과 함께 지면에 떨어지는 빗물을 일시 저류 시키고, 일정 수량 이상의 빗물은 땅 속으로 침투시키며 저류된 빗물의 일부는 상부의 조경식재부(100)와 중공파이프(280) 혹은 심지(260)로 이어져 조경식재부(100)와 빗물 저류조로 조경식재부(100)와 빗물저류조(200)로 연결되어 수분 공급을 원활이 할 수 있도록 하는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빗물저류조(200)에 있어서, 식생을 수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조경상자(110)와,
조경상자(110)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수공(120)을 포함하는 조경식재부(100)와, 상기 조경식재부(10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저류조몸체(210)와, 상기 저류조몸체(210)의 하측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격벽을 구성하여 외부로 빗물 저장 공간과 내부로 빗물 침투공간을 구성하는 돌출벽(220)과, 상기 저류조몸체(210)의 상측면에 빗물의 유입을 위해 구성되는 빗물유입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빗물저류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조경식재부(100)의 하부에 빗물저류조(200)가 있어 조경시설과 빗물저류시설이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며, 두 개의 시설물이 하나의 복합시설물로 동시에 설치되므로 비용 또한 경제적이다.
또한, 시간이 기남에 따라 공극이 막혀 투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기존 투수콘이나 투수블록에 비해 보도 표면의 경사를 이용하여 빗물을 집수함으로써 집중호우 시 침수 예방이 가능하며, 상부에 조경식재부(100)가 위치하므로 도시 미관상 더 유리할뿐더러 재해 요인도 없고 쓰레기 투기 등의 환경 악화 요인도 없다.
또한, 보도와 차도 간의 경계에 설치될 경우 조경식재부(100)가 펜스를 대신하는 기능도 수행하므로 펜스 설치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낭비도 없앨 수 있다.
또한, 빗물이 유입되어 저류조에 저장될 경우, 일정량은 저장되고, 나머지 빗물은 땅 속으로 침투되는 구조이므로 집중호우 시 도심침수 예방 및 물순환체계의 개선이라는 두 가지 효과가 동시에 발휘될 수 있다.
또한, 땅 속으로 침투되는 빗물은 빗물받이(271)를 거쳐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배제되어 유입되어, 정수층(240)을 거쳐 정화되어 땅 속으로 침투된다.
또한, 저류된 빗물이 심지(260)를 연결하여 활용할 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의 자급이 가능해져 식물을 관리하는 비용이 줄어들며 물순환체계의 효용성도 더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빗물 저류 및 침투 기능이 부가된 녹지시설을 제공하여 도심지 녹지 공간의 활용도와 경제성을 제고함으로써 도시 미관 및 환경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Landscaping planting a portion of rainwater storage tank impingement}
본 발명은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변 보행자 도로나, 광장, 공원과 같이 주로 보도블록으로 포장되는 보행자 공간에서 조경 식재가 이루어지는 곳을 이용하여, 상부에는 조경식재부가 위치하고 하부에는 침투 기능이 구비된 빗물저류조가 설치됨으로 써, 녹지 공간의 조성과 함께 지면에 떨어지는 빗물을 일시 저류 시키고, 일정 수량 이상의 빗물은 땅 속으로 침투시키며 저류된 빗물의 일부는 상부의 조경식재부와 중공파이프 혹은 심지로 이어져 조경식재부와 빗물 저류조로 조경식재부와 빗물저류조로 연결되어 수분 공급을 원활이 할 수 있도록 하는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빗물은 땅 속으로 침투하여 지하수가 되거나 하천이나 강으로 유입되며, 지표 또는 수면의 물은 복사열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증발작용을 통해 수증기가 되고 하늘로 올라가 구름이 되며 다시 비가 되어 내리는 물순환체계의 일부이다.
하지만 개발과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땅의 표면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피복되는 불투수면적이 급격이 증가함으로써 도시권역의 물순환체계가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다. 또한, 기후 변화에 따른 잦은 집중호우와 함께 빗물이 일거에 유출됨으로써 도심 내 침수도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기타 삭막한 도시환경, 대기질 저하, 하절기 복사열 증가에 따른 열섬현상 및 에너지 사용량 증가 등도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이다.
도심침수와 관련해서는, 정부와 지자체는 도심 내 빗물 처리 용량을 키우기 위해 기존 하수관로와 우수관로를 분리하고 관로 단면을 키우는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재원 및 시공간적인 측면에서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또한, 도심 내열섬현상 완화를 위해서도 녹지시설을 확충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녹지만으로 지표면의 복사열을 흡수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빗물을 땅속으로 침투시키고 빗물 저장 및 활용률을 높이는 방향이 주목 받고 있으며, 정부와 지자체에서도 도심 침수 예방과 물순환체계의 개선 등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 빗물을 곳곳에서 저장하고 땅속으로 침투식이는 '분산 형 빗물 관리시스템'쪽으로 정책을 펼치며, 다양한 기술적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도로나 보도 지하에 빗물을 저장하는 빗물저류고를 묻고 빗물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강우 시 도심침수를 예방하려는 특허가 출원되었으나, 단순 저류방식으로 장시간 빗물 저장에 따른 빗물 오염이 발생하며,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빗물을 강제 배수시키기 위한 전기 시설이 별도로 제공되어야 하며, 물순환체계를 개선하는 측면에서도 침투 방식에 비해 그 효용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1020110124552호인 '빗물활용이 가능한 보도블럭 조립체'가 개시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적을 뿐더러 토양에 배수되도록 배수공을 구성하였기에 저장 공간에 물이 금방 마르게 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101180458호인 '인도의 우수침투형 블록구조'가 개시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빗물을 토양으로 배출을 하는 역할을 하기 에는 집중호우나 장마시 토양이 흡수하는 양보다 흘러오는 빗물의 양이 많기에 역류를 할 수 있으며 토양의 과도한 수분흡수로 토양의 액상화가 진행되어 인도 및 블록구조가 변모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문헌1)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1020110124552호 (2011.11.17) (문헌2)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101180458호 (2012.08.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부에 조경식재부를, 하부에 침투식 빗물저류조를 구비함으로써, 기존 투수블록이나 투수콘과 달리 강우 시 낮은 곳으로 흐르는 빗물을 집수하고. 일시적으로 저류시켜 집중호우 시 도심 침수를 예방하고, 일정량 이상 차오른 빗물은 땅 속으로 침투시켜 도심지 물순환체계를 개선하며, 저류된 빗물을 복사열 흡수를 통한 증발작용과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의 자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물순환체계의 효용성을 높이도록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빗물저류조(200)에 있어서, 식생을 수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조경상자(110)와,
조경상자(110)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수공(120)을 포함하는 조경식재부(1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경식재부(10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저류조몸체(210)와 상기 저류조몸체(210)의 하측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격벽을 구성하여 외부로 빗물 저장 공간과 내부로 빗물 침투공간을 구성하는 돌출벽(2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저류조몸체(210)의 상측면에 빗물의 유입을 위해 구성되는 빗물유입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빗물저류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벽(220) 내부에 빗물을 정수하도록 적재되는 모래층(241)과,상기 모래층(241)에서 정수된 빗물을 추가로 정수하도록 자갈층(2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수층(240) 및 상기 저류조몸체(210)의 빗물유입구(230)를 제외한 일측에 빗물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빗물배출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경식재부(100) 하부에서부터 빗물저류조(200) 내부 빗물 저장 공간까지 뻗어있도록 형성되어 빗물 저장 공간에서 빗물을 흡수하여 상측의 조경식재부(100)까지 수분을 전달해주기 위한 심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빗물저류조(200)의 빗물유입구(230)가 구비된측에, 빗물을 받아 오염물질을 걸러내도록 빗물받이(271)와 상기 빗물저류조(200) 어느 일측에, 물이 흐르도록 구성된 트렌치(272)와 트렌치(272)와 연결되어 트렌치(272)로부터 빗물을 받아 오염물질을 걸러내도록 구성되는 빗물받이(27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빗물공급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경시설부 하부와 결합되며, 빗물 저장 공간을 가로질러 지면과 맞닿아 수분 및 미생물을 전달하는 중공파이프(280)와 상기 중공파이프(280)는, 내부에 토사의 유출을 막도록 구성된 부직포(281)와, 상기 부직포(281) 내부로 조경식재부(100)의 토사와 지면을 이어주는 토사층(282), 그리고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수분을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통공(2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조경식재부의 하부에 빗물저류조가 있어 조경시설과 빗물저류시설이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며, 두 개의 시설물이 하나의 복합시설물로 동시에 설치되므로 비용 또한 경제적이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극이 막혀 투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기존 투수콘이나 투수블록에 비해 보도 표면의 경사를 이용하여 빗물을 집수함으로써 집중호우 시 침수 예방이 가능하며, 기존 식생도량과 비교해서도 상부에 조경식재부가 위치하므로 도시 미관상 더 유리할뿐더러 재해 요인도 없고 쓰레기 투기 등의 환경 악화 요인도 없다.
또한, 보도와 차도 간의 경계에 설치될 경우 조경식재부가 펜스를 대신하는 기능도 수행하므로 펜스 설치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낭비도 없앨 수 있다.
또한, 빗물이 유입되어 저류조에 저장될 경우, 일정량은 저장되고, 나머지 빗물은 땅 속으로 침투되는 구조이므로 집중호우 시 도심침수 예방 및 물순환체계의 개선이라는 두 가지 효과가 동시에 발휘될 수 있다.
또한, 땅 속으로 침투되는 빗물은 빗물받이를 거쳐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배제되어 유입되어, 정수층을거쳐 정화되어 땅 속으로 침투된다.
또한, 저류된 빗물이 심지를 연결하여 활용할 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의 자급이 가능해져 식물을 관리하는 비용이 줄어 드며 물순환체계의 효용성도 더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빗물저류 및 침투 기능이 부가된 녹지시설을 제공하여 도심지 녹지 공간의 활용도와 경제성을 제고함으로써 도시 미관 및 환경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정수층을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빗물배출구를 포함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심지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오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빗물받이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오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빗물받이를 포함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육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빗물공급부를 포함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칠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중공파이프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칠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중공파이프 외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칠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중공파이프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빗물저류조(200)에 있어서, 식생을 수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조경상자(110)와,
조경상자(110)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수공(120)을 포함하는 조경식재부(1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경식재부(10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저류조몸체(210)와 상기 저류조몸체(210)의 하측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격벽을 구성하여 외부로 빗물 저장 공간과 내부로 빗물 침투공간을 구성하는 돌출벽(2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저류조몸체(210)의 상측면에 빗물의 유입을 위해 구성되는 빗물유입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빗물저류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벽(220) 내부에 빗물을 정수하도록 적재되는 모래층(241)과,
상기 모래층(241)에서 정수된 빗물을 추가로 정수하도록 자갈층(2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수층(240) 및 상기 저류조몸체(210)의 빗물유입구(230)를 제외한 일측에 빗물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빗물배출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경식재부(100) 하부에서부터 빗물저류조(200) 내부 빗물 저장 공간까지 뻗어있도록 형성되어 빗물 저장 공간에서 빗물을 흡수하여 상측의 조경식재부(100)까지 수분을 전달해주기 위한 심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빗물저류조(200)의 빗물유입구(230)가 구비된측에, 빗물을 받아 오염물질을 걸러내도록 빗물받이(271)와 상기 빗물저류조(200) 어느 일측에, 물이 흐르도록 구성된 트렌치(272)와 트렌치(272)와 연결되어 트렌치(272)로부터 빗물을 받아 오염물질을 걸러내도록 구성되는 빗물받이(27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빗물공급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경식재부(100) 하부와 결합되며, 빗물 저장 공간을 가로질러 지면과 맞닿아 수분 및 미생물을 전달하는 중공파이프(280)와 상기 중공파이프(280)는, 내부에 토사의 유출을 막도록 구성된 부직포(281)와, 상기 부직포(281) 내부로 조경식재부(100)의 토사와 지면을 이어주는 토사층(282), 그리고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수분을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통공(2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조경식재부(100)와 빗물저류조(200)로 구성된다.
상기 조경식재부(100)는 조경상자(110)와 배수공(120)으로 구성된다.
조경상자(110)는 주로 보도에 설치되어 도시의 미관을 꾸미기에 크기 및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조경상자(110)를 이루는 재질이 다양함을 명시한다.
상기 조경상자(110)의 내측에는 토사를 수용하여 다양한 식생 및 가로수를 가꿀 수 잇으며, 상기 조경상자(110)의 하부에 배수공(120)을 구비하여 물이 배수공(120)을 통하여 배출되어 고여 식생이 썩는 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배수공(120)의 수량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조경식재부(100) 하부에는 빗물저류조(200)가 결합된다.
빗물저류조(200)는 저류조몸체(210), 돌출벽(220), 빗물유입구(230)로 이루어진다.
저류조몸체(210)는 상부인 조경식재부(100)와 맞닿아 결합된다.
상기 저류조몸체(210)는 상측으로 부터 제공된 빗물을 저장하며 토양으로 빗물을 배출하도록 한다. 이에 빗물저류조(200) 하나에 대응하여 상부의 조경식재부(100)의 조경상자(110)는 다수 개로 구성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상기 저류조몸체(210) 내부의 하측에는 돌출벽(220)이 형성 된다.
상기 돌출벽(220)은 벽의 내측과 외측을 나누는 역할을 한다.
돌출벽(220)의 외측에는 상부에서 흐른 빗물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가지게 된다. 또한 돌출벽(220)의 내측에는 저장 공간의 저장용량을 초과하여 돌출벽(220)을 월류하는 빗물이 하부 지반으로 침투되도록 하는 침투공간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저류조몸체(210)의 상부에는 일측에 빗물유입구(230)를 형성하여 배수공(120)뿐만 아니라 인도의 보도블록을 통한 빗물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였다.
이에 상부의 조경식재부(100)에는 식생을 기르며 하부의 배수공(120)을 통하여 빗물을 조경식재부(100)의 하부인 빗물저류조(200)로 보내게 되며, 저류조몸체(210)의 상측에 위치한 빗물유입구(230)에서도 보도블록을 통하여 스며든 빗물이 빗물유입구(230)를 통하여 빗물저류조(20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빗물저류조(200) 내부의 하부에 위치한 돌출벽(220) 외부로 빗물이 저장되게 된다.
배수공(120)을 통해 빗물저류조(200)로 유입된 물은 배수공(120)의 위치에 따라 빗물저류조(200) 내 돌출벽(220) 외부의 빗물저장 공간 또는 돌출벽(220) 내부의 침투공간으로 유입된다.
짧은 시간에 많은 비가 내리는 집중호우 시 일시에 빗물저류조(200)로 유입된 빗물은 저장 공간을 넘어 침투공간으로 배출되지만, 하부 지반의 투수계수가 낮기 때문에 일시적으로는 침투공간에도 빗물이 저류되어 빗물저류조(200) 전체 공간에 빗물이 저장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후, 비가 그치거나 강우강도가 낮아지면서 빗물의 유입량이 줄어들면 시간 경과와 함께 침투공간을 통해 빗물이 하부지반으로 서서히 빠져나감으로써 빗물저류조(200)에는 저장 공간에 만 빗물이 저류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정수층을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정수층(240)을 추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수층(240)은 모래층(241)과 자갈층(24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벽(220)의 내측에는 모래층(241)이 구비되어 있으며 돌출벽(220) 내부로 빗물이 흐를게 되는 경우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게 된다.
상기 자갈층(242)은 모래층(241) 하측에 구성되어 있으며 저류조를 땅 밑으로 삽입하기 전 자갈층(242)을 형성하도록 자갈을 깔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자갈층(242)의 구성으로 인하여 모래층(241)를 통해 정수가 된 빗물의 침투를 촉진 하게 된다.
또한 모래층(241)의 하측에 거름망을 구성하여 자갈층(242)과 상측의 모래층(241)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래층은 거름망으로 인하여 자갈층(242)과 섞이지 않으며 이에 모래의 손실을 막아준다.
그리하여 돌출벽(220)의 높이보다 빗물이 높으면 돌출벽(220) 내부의 모래층(241)으로 빗물이 스며들게 되는데, 모래층(241)을 통해서 정수된 빗물이 모래층(241) 하측에 위치한 자갈층(242)을 통해 토양으로 빗물이 배출되게 된다.
또한, 모래층(241)은 빗물을 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필터 층과 같은 일반적이며 그 재료가 모래로 국한되지 않음을 명시하며 정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제 1모래층, 제 2모래층과 같이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의 층으로 세분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빗물배출구를 포함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빗물저류조(200)의 일측에 빗물배출구(250)를 추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빗물 배출구는 빗물유입구(230)와는 반대로 구성되며, 빗물유입구(230)가 형성된 측의 포장면 보다 표고가 낮은 측에 구비되어 빗물저류조(200)의 용량을 초과하여 유입되는 빗물을 배출시킴으로서 홍수나 집중호우 등으로 빗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보도의 경우 대부분 차도 쪽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빗물배출구(250)는 빗물저류조(200)의 차도 측에 위치하며 빗물유입구(230)는 빗물배출구(250) 반대 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심지를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조경식재부(100) 하부에서부터 빗물저류조(200) 내부의 빗물 저장 공간까지 뻗어있으며, 빗물 저장 공간에서 빗물을 흡수하여 상측의 조경식재부(100)까지 수분을 전달해주는 심지(260)를 추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심지(260)는 수분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수분흡수에 용이한 재료로 사용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심지(260)에서 흡수된 수분이 조경식재부(100)로 이동하여 일정시간이 흘러도 조경식재부(100)에 수분이 남아 있어 식생의 수분 부족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오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빗물받이를 포함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오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빗물받이를 포함한 사시도이다.
도 7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빗물저류조(200) 일측에 빗물받이(271)를 추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빗물받이(271)는 저류조몸체(210)의 빗물유입구(230)와 이어져 있으며, 일차적으로 초기우수를 저장하여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침전하게 된다.
이후 일정량 이상 차오른 빗물은 빗물유입구(230)를 거쳐 저류조몸체(210)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빗물받이(271)에 쌓인 오염물질만 제거해주면 큰 유지비용이 들지 않으며 그로 인한 금액의 절감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육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빗물공급부를 포함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빗물저류조(200)의 일측에 빗물공급부(270)를 추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빗물공급부(270)는 빗물받이(271)와 트렌치(272)로 구성이 된다. 상기 트렌치(272)는 빗물을 빗물받이(271)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빗물받이(271)는 트렌치(272)에서 이동된 빗물을 저장하며 초기우수에 섞인 오염물질을 침전 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트렌치(272)에 이동된 빗물이 빗물받이(271)에 고이게 되면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침전시킨 후 빗물유입구(230)를 통하여 저류조몸체(210)의 빗물 저장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빗물받이(271)와 트렌치(272)의 상측에 작은 구멍들이 구비된 덮개판이 설치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칠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중공파이프를 포함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칠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중공파이프 외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칠실시예에 따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중공파이프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조경식재부(100) 하부와 결합되며, 빗물 저장 공간을 가로질러 지면과 맞닿아 수분 및 미생물을 전달하는 중공파이프(280)를 추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파이프(280)는 부직포(281), 토사층(282), 통공(28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부직포(281)은 중공파이프(280) 내부에 위치하며, 수분의 흡수 및 통공(283)으로 인한 토사의 유출을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토사층(282)은 중공파이프(280)와 부직포(281)의 내부에 있으며 지면과 맞닿아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토사층(282)은 수분 및 미생물이 조경시설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조경시설부가 고립되지 않게 하며, 식물의 자생력을 높이게 된다.
또한, 통공(283)은 중공파이프(280)내 산소를 공급해 주며 빗물저류조(200)의 빗물 저장 공간으로 부터 수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지면과 맞닿은 중공파이프(280)는 수분 및 미생물을 조경식재부(100)로 제공하여 식물의 자생력 및 조경식재부(100)내의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조경식재부(100)의 하부에 빗물저류조(200)가 있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며, 빗물이 흘러 저류조에 저장될 경우, 일정량만 저장되며, 나머지 빗물은 정수층(240)의 모래층(241)과 자갈층(242)에 걸려 정화되어 흙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물의 원활한 순환이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빗물저류조(200)의 형상을 지형의 특징에 맞게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하여 빗물 뿐만 아니라,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들도 제거하여 저장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의 자급이 가능해져 식물을 관리하는 비용이 줄어들며, 도심 내 물을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물의 원활한 순환이 이루어 질 수 있어 도심 내 열섬 현상, 에너지 사용량 증가, 지하수 고갈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00 : 조경식재부 110 : 조경상자
120 : 배수공 200 : 빗물저류조
210 : 저류조몸체 220 : 돌출벽
230 : 빗물유입구 240 : 정수층
241 : 모래층 242 : 자갈층
250 : 빗물배출구 260 : 심지
270 : 빗물공급부 271 : 빗물받이
272 : 트렌치 280 : 중공파이프
281 : 부직포 282 : 토사층
283 : 통공

Claims (8)

  1. 빗물저류조(200)에 있어서,
    식생을 수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조경상자(110)와,
    조경상자(110)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수공(120)을 포함하는 조경식재부(100)와;
    상기 조경식재부(10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저류조몸체(210)와,
    상기 저류조몸체(210)의 하측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격벽을 구성하여 외부로 빗물 저장 공간과 내부로 빗물 침투공간을 구성하는 돌출벽(220)과,
    상기 저류조몸체(210)의 상측면에 빗물의 유입을 위해 구성되는 빗물유입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빗물저류조(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벽(220) 내부에 빗물을 정수하도록 적재되는 모래층(241)과,
    상기 모래층(241)에서 정수된 빗물을 추가로 정수하도록 자갈층(2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수층(24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몸체(210)의 빗물유입구(230)를 제외한 일측에 빗물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빗물배출구(2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경식재부(100) 하부에서부터 빗물저류조(200) 내부 빗물 저장 공간까지 뻗어있도록 형성되어 빗물 저장 공간에서 빗물을 흡수하여 상측의 조경식재부(100)까지 수분을 전달해주기 위한 심지(2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저류조(200)의 빗물유입구(230)가 구비된측에, 빗물을 받아 오염물질을 걸러내도록 빗물받이(27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저류조(200) 어느 일측에, 물이 흐르도록 구성된 트렌치(272)와 트렌치(272)와 연결되어 트렌치(272)로부터 빗물을 받아 오염물질을 걸러내도록 구성되는 빗물받이(27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빗물공급부(27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경시설부 하부와 결합되며, 빗물 저장 공간을 가로질러 지면과 맞닿아 수분 및 미생물을 전달하는 중공파이프(2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파이프(280)는, 내부에 토사의 유출을 막도록 구성된 부직포(281)와,
    상기 부직포(281) 내부로 조경식재부(100)의 토사와 지면을 이어주는 토사층(282),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수분을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통공(28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KR1020140034276A 2014-03-24 2014-03-24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KR20150110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276A KR20150110193A (ko) 2014-03-24 2014-03-24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276A KR20150110193A (ko) 2014-03-24 2014-03-24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193A true KR20150110193A (ko) 2015-10-02

Family

ID=5434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276A KR20150110193A (ko) 2014-03-24 2014-03-24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019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3250A (zh) * 2016-08-30 2016-12-07 北京东方利禾景观设计有限公司 一种无动力的蓄水补水系统
KR101720631B1 (ko) * 2015-11-26 2017-03-29 이호열 조립식 물통
KR101949265B1 (ko) * 2018-06-25 2019-02-19 김명진 홍수방어벽
KR20190020455A (ko) 2017-08-21 2019-03-04 남미영 빗물 집수판 및 이를 이용한 집수장치
KR20190046562A (ko) 2017-10-26 2019-05-07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KR102141002B1 (ko) * 2020-02-21 2020-08-04 주식회사 동일기술공사 친환경 빗물 관리 시스템
CN113833082A (zh) * 2021-11-04 2021-12-24 湖南富仕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雨水收集处理设备及其使用方法
KR20230038881A (ko) * 2021-09-13 2023-03-21 어스그린코리아(주) 빗물을 사용하여 잔디를 식생하는 친환경 녹색 블럭과 그 블럭을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631B1 (ko) * 2015-11-26 2017-03-29 이호열 조립식 물통
CN106193250A (zh) * 2016-08-30 2016-12-07 北京东方利禾景观设计有限公司 一种无动力的蓄水补水系统
CN106193250B (zh) * 2016-08-30 2018-09-14 北京东方利禾景观设计有限公司 一种无动力的蓄水补水系统
KR20190020455A (ko) 2017-08-21 2019-03-04 남미영 빗물 집수판 및 이를 이용한 집수장치
KR20190046562A (ko) 2017-10-26 2019-05-07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KR101949265B1 (ko) * 2018-06-25 2019-02-19 김명진 홍수방어벽
KR102141002B1 (ko) * 2020-02-21 2020-08-04 주식회사 동일기술공사 친환경 빗물 관리 시스템
KR20230038881A (ko) * 2021-09-13 2023-03-21 어스그린코리아(주) 빗물을 사용하여 잔디를 식생하는 친환경 녹색 블럭과 그 블럭을 이용한 시공방법
CN113833082A (zh) * 2021-11-04 2021-12-24 湖南富仕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雨水收集处理设备及其使用方法
CN113833082B (zh) * 2021-11-04 2022-06-10 湖南富仕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雨水收集处理设备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Low impact development (LID) practices: A review on recent developments, challenges and prospects
CN110249844B (zh) 一种具有蓄排水装置的行道树树池
KR20150110193A (ko)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CN206472556U (zh) 一种用于人行道雨水净化和利用的多功能生态树池
CN101467511B (zh) 城市道路绿化带分散式集雨渗灌装置
CN103938518B (zh) 一种道路径流污染控制绿化系统构建方法
CN106917522B (zh) 一种基于海绵城市理念的室外停车位系统
CN204919757U (zh) 一种雨水原位净化修复系统
CN110016886B (zh) 河道近自然生态堤岸
CN202450610U (zh) 一种绿色建筑小区雨水收集截污系统
CN210395596U (zh) 海绵城市生态市政道路
CN209907525U (zh) 一种城市道路雨水收集净化利用系统
CN206571217U (zh) 基于海绵城市理念的室外停车位系统
CN110042724A (zh) 湿陷性黄土地区道路海绵设施雨水收集利用和排放系统
CN105421562A (zh) 一种具有净化雨水初期路面径流及储水功能的绿化带
CN110629619A (zh) 一种海绵型绿地建设结构技术
CN107143021A (zh) 一种生物滞留池
CN107460804A (zh) 道路雨水收集系统
CN204898828U (zh) 一种雨水涵养-修复一体装置
CN106165568A (zh) 一种用于净化地表雨水径流的阶梯型下凹式绿地
KR101511768B1 (ko) 녹지 부상형 초기빗물 관리 시스템 및 초기빗물 관리 방법
CN108915063B (zh) 用于海绵城市的具有截污净化功能的植浅草沟
CN110725382A (zh) 用于海绵城市建设的地面雨水导流系统及应用方法
CN104891663A (zh) 一种生物促渗减流系统
CN107587577A (zh) 一种下沉式生物净化滞留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