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774B1 -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774B1
KR101883774B1 KR1020160084690A KR20160084690A KR101883774B1 KR 101883774 B1 KR101883774 B1 KR 101883774B1 KR 1020160084690 A KR1020160084690 A KR 1020160084690A KR 20160084690 A KR20160084690 A KR 20160084690A KR 101883774 B1 KR101883774 B1 KR 101883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unit
water
stormwater
pip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939A (ko
Inventor
김정호
윤용한
권기욱
조병연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4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77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4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의 우수침투, 배수, 수질정화와 정화된 우수가 토양으로 침투가 가능하도록 하는 우수침투용 빗물 공급 장치에 있어서,
하부가 지반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개구부를 형성하여 내부에 우수가 집수되는 원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우수 중의 오염물질을 거르면서 우수를 여과시키는 여과유닛;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여과유닛을 통해서 오염물질이 걸러져 상기 본체의 내부에 집수되는 우수를 필터링을 통해서 정화시키는 정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골격을 형성하면서 그물망 형상으로 제작되어 집수된 우수를 배출시키고 지반에 있는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외부관 부재; 및 상기 외부관 부재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정화유닛이 수용되고, 상기 외부관 부재와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면서 내면에 위치하여 우수를 정화하고 외부로 배출시키는 다공성 파이프 형상의 내부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물의 비점오염원의 저감 및 저장이 가능하며 식물에 장기간 동안 서서히 공급할 수 있고, 척박한 토양, 답압지 등 토양으로 우수의 침투가 불량한 지역에 간편하게 설치하므로 토양 침투수의 증진 및 비점오염 저감 등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RAINWATER PENETRATES THE SOIL TYPE SUPPLY FOR NON-POINT POLLUTION}
본 발명은 우천시 빗물을 땅속으로 침투시키는 장치로, 빗물의 비점오염원의 저감 및 저장이 가능하며 식물에 장기간 동안 서서히 공급할 수 있는 빗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도심 가로수는 아스팔트와 보도블록 등으로 포장된 보도에 식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차도와 보도의 아스팔트와 보도블록 등의 도로포장면은 불투수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빗물 등의 자연적인 수분이 땅속까지 스며드는 것을 방해하여 식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수분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식물의 고사를 유발하였다.
또한, 도로의 양측면 및 공동주택단지, 도심지 소공원 등에 설치되어 있는 빗물받이 맨홀은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어서, 비가 내리면 우수가 빗물받이 맨홀에 모아진 다음, 그대로 하천으로 방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와 같이, 도로포장면은 불투수층을 형성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빗물받이 맨홀은 우수가 그대로 하천으로 방류되고 도심지의 땅속으로는 전혀 침수될 수 없게 구성되므로, 도심지 가로수 또는 조경수 등의 식물성장에 필요한 수분이 우수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공급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별도의 수분을 운반하여 가로수 등 식물에 공급하거나, 수분공급원에 호스 등을 연결하여 이를 통해 수분을 공급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인력과 비용 등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예가 선행기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84688호 `지중 침투형 빗물 공급장치`에서 개시 되었다.
종래기술은 빗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빗물저수조와 빗물저수조의 측방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빗물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을 점적형태로 배출시키는 점적배출부재와 빗물저수조와 점적배출부재를 수용하면서 점적배출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빗물이 모여지고, 모여진 빗물이 외측으로 넓게 퍼지면서 배출시키는 수용함체를 포함한다.
빗물저수조는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저장공간으로 유입된 빗물이 측방으로 배수도록 측방에 형성된 측방배수홀과 저장공간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외부의 세척수를 내부로 공급하는 세척수유입구와 저장공간의 타측면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된 빗물이 만충전되면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버플로워관과 저장공간의 타측에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의 빗물 또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식물의 왕성한 재배를 위해서 토양의 비점오염을 방지하면서 정화된 우수를 토양에 용이하게 침투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연구도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3436호(발명의 명칭: 지중 침투형 빗물 공급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척박한 토양, 답압지 등 토양으로 우수의 침투가 불량한 지역에 간편하게 설치하므로 토양 침투수의 증진 및 비점오염 저감 등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게 하는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는, 지반의 우수침투, 배수, 수질정화와 정화된 우수가 토양으로 침투가 가능하도록 하는 우수침투용 빗물 공급 장치에 있어서, 하부가 지반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개구부를 형성하여 내부에 우수가 집수되는 원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우수 중의 오염물질을 거르면서 우수를 여과시키는 여과유닛;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여과유닛을 통해서 오염물질이 걸러져 상기 본체의 내부에 집수되는 우수를 필터링을 통해서 정화시키는 정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골격을 형성하면서 그물망 형상으로 제작되어 집수된 우수를 배출시키고 지반에 있는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외부관 부재; 및 상기 외부관 부재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정화유닛이 수용되고, 상기 외부관 부재와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면서 내면에 위치하여 우수를 정화하고 외부로 배출시키는 다공성 파이프 형상의 내부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개구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깔대기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로 우수의 집수를 유도하는 집수캡; 및 상기 집수캡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집수캡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캡을 통해서 집수되는 우수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유닛은, 상기 내부관 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며 수질정화여재가 메워져서 상기 집수캡을 통해서 오염물질이 걸러진 우수를 정화시키는 수질정화부; 상기 내부관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관 부재와 상기 내부관 부재 사이를 침투확산여재로 메우면서 지속적인 우수의 배출 및 수분의 보유를 통해 확산기능을 수행하는 확산부; 상기 수질정화부와 상기 확산부 사이에 게재된 상태로 상기 수질정화부를 거쳐서 정화된 우수에 완충용액을 넣어서 우수의 ph를 조절해주는 완충부; 및 하부를 이루고 상기 확산부를 거친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질정화여재는, 숫, 활성탄, 미네랄, 게르마늄, 세라믹, 토르말린, 자철광, 미생물재제, 큐프라섬유, 다공질 담체 중에서 3개 이상 혼합된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투확산여재는, 나노 극세사 원사, 큐프라 원사, 다공성 담체, 고흡수성 수분중합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투확산여재는, 상기 배출부의 공극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정된 크기의 골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는, 우천시 빗물을 땅속으로 침투시키는 장치로, 빗물의 비점오염원의 저감 및 저장이 가능하며 식물에 장기간 동안 서서히 깨끗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척박한 토양, 답압지 등 토양으로 우수의 침투가 불량한 지역에 간편하게 설치하므로 토양 침투수의 증진 및 비점오염 저감 등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상기 여과유닛의 상세도.
도 3은 상기 빗물 공급 장치의 활용 모습을 나타낸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상기 여과유닛의 상세도이며, 도 3은 상기 빗물 공급 장치의 활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의 우수침투, 배수, 수질정화와 정화된 우수가 토양으로 침투가 가능하도록 하는 우수침투용 빗물 공급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본체(100), 여과유닛(200) 및 정화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하부가 지반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개구부를 형성하여 내부에 우수가 집수되는 원통형의 구조일 있다.
비점오염(非點汚染, nonpoint pollution)이란, 오염원의 배출 지점을 특정할 수 없이 불특정 다수 또는 지역의 전체 오염원 배출에 의한 오염으로, 농경지의 시비나 농약 살포, 토양 침식 등에 의한 하천 오염 등이 이에 해당된다.
본체(100)는 외부관 부재(110)와 내부관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관 부재(110)는 외골격을 형성하면서 그물망 형상으로 제작되어 집수된 우수를 배출시키고 지반에 있는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관 부재(120)는 외부관 부재(110)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작되며 정화유닛(300)이 수용되고, 외부관 부재(110)와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면서 내면에 위치하여 우수를 정화하고 외부로 배출시키는 다공성 파이프 형상의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여과유닛(200)은 본체(100)의 개구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우수중의 오염물질을 거르면서 우수를 여과시킬 수 있다.
여과유닛(200)은 집수캡(210)과 거름망(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캡(210)은 개구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깔대기 형상으로 제작되어 본체(100)로 우수의 집수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거름망(220)은 집수캡(2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집수캡(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집수캡(210)을 통해서 집수되는 우수의 오염물질을 걸러줄 수 있다.
상기 정화유닛(300)은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여과유닛(200)을 통해서 오염물질이 걸러져 본체(100)의 내부에 집수되는 우수를 필터링을 통해서 정화시킬 수 있다.
정화유닛(300)은 수질정화부(310), 확산부(320), 완충부(330) 및 배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질정화부(310)는 내부관 부재(120)의 상부에 형성되며 수질정화여재(400)가 메워져서 집수캡(210)을 통해서 오염물질이 걸러진 우수를 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질정화여재(400)는 숫, 활성탄, 미네랄, 게르마늄, 세라믹, 토르말린, 자철광, 미생물재제, 큐프라섬유, 다공질 담체 중에서 3개 이상 혼합된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부(320)는 내부관 부재(1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외부관 부재(110)와 내부관 부재(120) 사이를 침투확산여재(500)로 메우면서 지속적인 우수의 배출 및 수분의 보유를 통해 확산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침투확산여재(500)는 나노 극세사 원사, 큐프라 원사, 다공성 담체, 고흡수성 수분중합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혼합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침투확산여재는 배출부(340)의 공극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정된 크기의 골재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이룰수 있다.
상기 완충부(330)는 수질정화부(310)와 확산부(3200 사이에 게재된 상태로 수질정화부(310)를 거쳐서 정화된 우수에 완충용액을 넣어서 우수의 ph를 조절해줄 수 있다.
완충 용액(緩衝溶液, buffer solution)이란, 완충 작용이 큰 용액으로, 아세트산-아세트산염, 염산-시트르산나트륨 등, 일반적으로 약산(弱酸) 또는 약염기(弱鹽基)와 그 염 따위와의 적당한 혼합에 의해 pH의 여러 가지 값에서의 완충액을 만들 수 있으며, 검사하려는 액체의 pH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첨가하거나, 또는 pH를 측정할 때 비교 표준액으로서 사용한다.
상기 배출부(340)는 하부를 이루고 상기 확산부를 거친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의 운용방법으로는, 작업자가 빗물 공급 장치(10)의 본체(100)를 지중에 설정된 깊이로 매설하고 상부에는 깔대기 형상의 여과유닛(200)을 장착하여 우수 중의 오염물질을 거름망(220)을 통해 걸르면서 본체(100) 내부로 집수시킬 수 있다.
또한, 정화유닛(300)의 수질정화여재(400)를 통과시키면서 우수를 정화시키고, 확산부(320)의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우수의 ph를 조절하여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조건으로 조성이 가능하며, 확산부(320)에는 설정된 크기의 골재를 더 첨가시켜서 공극률의 향상시키고 배출구(340)를 통해서 우수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빗물 공급 장치
100 : 본체
110 : 외부관 부재
120 : 내부관 부재
200 : 여과유닛
210 : 집수캡
220 : 거름망
300 : 정화유닛
310 : 수질정화부
320 : 확산부
330 : 완충부
340 : 배출부
400 : 수질정화여재
500 : 침투확산여재

Claims (6)

  1. 지반의 우수침투, 배수, 수질정화와 정화된 우수가 토양으로 침투가 가능하도록 하는 우수침투용 빗물 공급 장치에 있어서,
    하부가 지반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개구부를 형성하여 내부에 우수가 집수되는 상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을 정화하기 위한 원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우수 중의 오염물질을 거르면서 우수를 여과시키는 여과유닛;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여과유닛을 통해서 오염물질이 걸러져 상기 본체의 내부에 집수되는 우수를 필터링을 통해서 정화시키는 정화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골격을 형성하면서 그물망 형상으로 제작되어 집수된 우수를 배출시키고 지반에 있는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외부관 부재; 및
    상기 외부관 부재에 대응하는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정화유닛이 수용되고, 상기 외부관 부재와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면서 내면에 위치하여 우수를 정화하고 외부로 배출시키는 다공성 파이프 형상의 내부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개구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깔대기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로 우수의 집수를 유도하는 집수캡; 및
    상기 집수캡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집수캡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캡을 통해서 집수되는 우수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을 포함하고,
    상기 정화유닛은,
    상기 내부관 부재의 상부에 형성되며 수질정화여재가 메워져서 상기 집수캡을 통해서 오염물질이 걸러진 우수를 정화시키는 수질정화부;
    상기 내부관 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관 부재와 상기 내부관 부재 사이를 침투확산여재로 메우면서 지속적인 우수의 배출 및 수분의 보유를 통해 확산기능을 수행하는 확산부;
    상기 수질정화부와 상기 확산부 사이에 게재된 상태로 상기 수질정화부를 거쳐서 정화된 우수에 완충용액을 넣어서 우수의 ph를 조절해주는 완충부; 및
    하부를 이루고 상기 확산부를 거친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질정화여재는,
    숫, 활성탄, 미네랄, 게르마늄, 세라믹, 토르말린, 자철광, 미생물재제, 큐프라섬유, 다공질 담체 중에서 3개 이상 혼합된 혼합물로 구성되고,
    상기 침투확산여재는,
    나노 극세사 원사, 큐프라 원사, 다공성 담체, 고흡수성 수분중합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혼합되고,
    상기 침투확산여재는,
    상기 배출부의 공극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정된 크기의 골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60084690A 2016-07-05 2016-07-05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 KR101883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690A KR101883774B1 (ko) 2016-07-05 2016-07-05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690A KR101883774B1 (ko) 2016-07-05 2016-07-05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939A KR20180004939A (ko) 2018-01-15
KR101883774B1 true KR101883774B1 (ko) 2018-07-31

Family

ID=6100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690A KR101883774B1 (ko) 2016-07-05 2016-07-05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7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245B1 (ko) 2018-11-26 2019-06-12 신도산업 주식회사 우수 침투 저류 바스켓 및 그 설치방법
KR102175809B1 (ko) 2019-09-09 2020-11-10 신도산업 주식회사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KR20210030196A (ko) 2020-08-11 2021-03-17 신도산업 주식회사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7888B (zh) * 2019-06-18 2023-12-29 大连地拓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矿山修复选择性渗透排水系统
CN114847135B (zh) * 2022-05-25 2023-09-15 西北农林科技大学 用于山地果园的集雨补灌促渗排涝综合系统及其实施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192B1 (ko) * 2010-01-07 2010-04-09 임철웅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KR101008421B1 (ko) * 2010-07-19 2011-01-14 소재철 독립된 배수관 및 배수구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제어용 배수시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0989A (ja) * 1996-08-26 1998-03-03 Hiroshi Igarashi 地上水の土壌地下浸透用導入筒
KR20110099326A (ko) * 2008-12-24 2011-09-07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안정성이 우수한 과산화수소 수용액
KR101363436B1 (ko) 2013-07-18 2014-02-14 박성화 지중 침투형 빗물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192B1 (ko) * 2010-01-07 2010-04-09 임철웅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KR101008421B1 (ko) * 2010-07-19 2011-01-14 소재철 독립된 배수관 및 배수구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제어용 배수시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245B1 (ko) 2018-11-26 2019-06-12 신도산업 주식회사 우수 침투 저류 바스켓 및 그 설치방법
KR102175809B1 (ko) 2019-09-09 2020-11-10 신도산업 주식회사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KR20210030196A (ko) 2020-08-11 2021-03-17 신도산업 주식회사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939A (ko) 201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774B1 (ko)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
KR101728208B1 (ko)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US95808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urifying rainfall runoff
KR101105272B1 (ko) 녹지 생태축 연결 및 비점오염원 제거를 위한 도로용 소규모 인공습지
KR101701387B1 (ko) 빗물 침투 시설
KR101205223B1 (ko) 침투수 처리시스템
KR101489248B1 (ko) 정화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20110094778A (ko) 비점오염원 빗물처리장치
CN113248077B (zh) 一种公路海绵型复合边沟碳中和系统与方法
KR100966646B1 (ko) 친환경적인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1484891B1 (ko) 초기 비점 오염 우수 처리 시스템
KR20180060097A (ko) 저영향개발 시설의 화분 교체식 식생 구조체
KR101218769B1 (ko) 생태도랑을 이용한 도시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CN206203996U (zh) 一种用于河道水质净化的护岸系统
CN113402120A (zh) 一种农业面源污染生态拦截系统
KR101511768B1 (ko) 녹지 부상형 초기빗물 관리 시스템 및 초기빗물 관리 방법
CN207958057U (zh) 雨水处理系统
KR101095322B1 (ko) 자연적 물순환 및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겸비한 침투도랑
KR101390357B1 (ko) 살수여상기능 및 정수처리기능을 갖는 자연형 하천 호안 공법
CN108867755A (zh) 一种雨水收集再利用装置
CN107354990A (zh) 一种用于路旁的蓄渗净排型雨水回用装置
CN211499026U (zh) 一种雨水净化砂石笼
CN107675767A (zh) 一种生物滞留装置
KR200486013Y1 (ko) 지하 침투형 빗물여과통
KR101275298B1 (ko) 비점오염원 침투 도랑형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