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499B1 - 해제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 - Google Patents

해제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499B1
KR101535499B1 KR1020150008082A KR20150008082A KR101535499B1 KR 101535499 B1 KR101535499 B1 KR 101535499B1 KR 1020150008082 A KR1020150008082 A KR 1020150008082A KR 20150008082 A KR20150008082 A KR 20150008082A KR 101535499 B1 KR101535499 B1 KR 101535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hinge member
partition
wire rop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빌드
허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빌드, 허영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빌드
Priority to KR1020150008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벽 부재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접이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이 가능하며, 인접하는 벽 부재들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부재의 일부를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는 해제형 힌지부재로 구성함으로써, 개비온을 사용한 후 철거할 때 쉽게 철거할 수 있는 해제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격벽(20) 및 상기 마주하는 격벽(20) 사이의 측면을 연결하는 측벽(30)을 포함하는 개비온으로써, 상기 측벽(30)은 2개 이상의 분할측벽(31,32)을 포함하고, 상기 마주하는 격벽(20)과 그 측면을 연결하는 측벽(3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이 구획공간(s)이 되며, 상기 구획공간(s)은 서로 마주하는 격벽(20)을 포개거나 이격함으로써 그 형상이 조절되고, 상기 측벽(30)과 격벽(20)의 연결부, 그리고 이웃하는 두 분할측벽(31,32) 사이에는 힌지부재(50)가 구비되며, 하나의 구획공간(s)을 구성하는 측벽(30)과 격벽(20), 그리고 이웃하는 두 분할측벽(31,32) 사이에 구비된 힌지부재(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해제형 힌지부재(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제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Releasable and Foldable Gabion}
본 발명은 개비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벽 부재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접이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이 가능하며, 인접하는 벽 부재들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부재의 일부를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는 해제형 힌지부재로 구성함으로써, 개비온을 사용한 후 철거할 때 쉽게 철거할 수 있는 해제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에 관한 것이다.
개비온은 돌을 내부에 넣는 돌망태를 이르는 말로, 돌망태(개비온)는 제방이나 둑, 옹벽 등을 설치할 때 주로 사용되는 구조물이다. 이는 철망 안에 석재를 채워 넣어 블록화 하는 것인데, 이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블록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부감이 적고 환경친화적인 이미지를 주면서도, 자연석 쌓기 공법보다 재료를 구하거나 시공하는 것이 훨씬 간단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돌망태는 주로 사각형이나 육각형 철망을 사용하는데, 그 내부에 석재를 채워 넣어 축조하고, 또 작업현장 주변이 토사를 활용하여 식생공간을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돌망태는 하천,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 등에서 범람을 방지하고 수로를 유지하기 위해 현장에서 사용할 때 돌망태를 구성하는 각 벽 부재들을 결속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돌망태들은 기존의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현장에서 이를 제작하고 설치함에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인건비를 높이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미리 돌망태의 벽 부재들을 용수철 등의 힌지부재로 연결한 상태에서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현장에서 펼쳐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돌망태를 이용하여 옹벽 등을 구축할 때에는 편리하지만, 이를 다시 철거할 때에는 돌망태 내부의 돌들을 들어내거나, 돌망태의 용수철 힌지부재를 일일이 돌려 빼내 측면을 열어 돌망태 내부의 돌들을 털어내는 방식으로 작업을 해야 해서 그 편의성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해 서로 인접하는 벽 부재에 각각 용수철 힌지부재를 연결하고, 두 힌지부재를 겹쳐 그 축이 되는 철사(해제부재)를 끼운 상태로 개비온을 구성하여, 해체 과정에서 철사(해제부재)를 빼냄으로써 인접하는 벽 부재의 연결부위를 쉽게 분해할 수 있는 방식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벽 부재 간 하나의 연결부에 용수철 힌지부재가 복수 개 사용되어 접어서 보관할 때 잘 포개어지지 않거나, 포개어진 후 펼칠 때 겹쳐있던 복수의 용수철끼리 서로 얽혀 잘 펼쳐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고, 철사(해제부재)가 보관 중 망실되어 정작 필요할 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701300호 등록특허공보 제870034호 공개특허공보 제2004-108502호 등록특허공보 제42526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개비온과 대비하였을 때 부품수가 늘어나지 않으면서도, 개비온 철거 작업이 용이한 접이식 개비온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격벽(20) 및 상기 마주하는 격벽(20) 사이의 측면을 연결하는 측벽(30)을 포함하는 개비온으로써, 상기 측벽(30)은 2개 이상의 분할측벽(31,32)을 포함하고, 상기 마주하는 격벽(20)과 그 측면을 연결하는 측벽(3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이 구획공간(s)이 되며, 상기 구획공간(s)은 서로 마주하는 격벽(20)을 포개거나 이격함으로써 그 형상이 조절되고, 상기 측벽(30)과 격벽(20)의 연결부, 그리고 이웃하는 두 분할측벽(31,32) 사이에는 힌지부재(50)가 구비되며, 하나의 구획공간(s)을 구성하는 측벽(30)과 격벽(20), 그리고 이웃하는 두 분할측벽(31,32) 사이에 구비된 힌지부재(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해제형 힌지부재(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해제형 힌지부재(60)는 복수개의 소선(element wire)을 꼬아서 만든 직선형의 와이어로프로서, 상기 와이어로프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직선형을 유지하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해제형 힌지부재(60)는, 이웃하는 적어도 두 벽(20,30,31,32)의 철선을 맞대고, 맞대어진 철선들을 상기 와이어로프로 상하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감싼 후 감겨진 와이어로프를 벽 부재의 철선에 구속한 형태이어서, 상기 구속된 부분을 해제하거나 와이어로프를 절단하면 직선형을 유지하는 와이어로프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웃하는 두 벽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나선형의 해제형 힌지부재(60)의 나선의 내경은 상기 철선 직경의 2배보다 크고 3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해제형 힌지부재(60)의 와이어로프는 벽(20,30,31,32)의 단위간격(u) 당 0.5회 이상 2회 이하로 감김 회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해제형 힌지부재(60)는 하나의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은 벽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벽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해제형 힌지부재(60)는 하나의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과 타단이 모두, 벽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 어느 한 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해제형 힌지부재(60b)는, 두 구획공간(s2,s3)을 구분하는 하나의 격벽(20)과, 이러한 격벽(20)의 일측 단부와 마주하는 두 구획의 분할측벽(32,31)을 함께 엮어 설치함으로써, 해제형 힌지부재(60b)를 해제하였을 때 두 구획(S2,S3)이 함께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마주하는 격벽(20)의 하단에는 2개 이상의 분할저벽(41,42)을 포함하는 저벽(4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저벽(40)과 격벽(20)의 연결부, 그리고 이웃하는 두 분할저벽(41,42) 사이에는 힌지부재(50)가 구비되며, 하나의 구획공간(s)을 구성하는 저벽(40)과 격벽(20), 그리고 이웃하는 두 분할저벽(41,42) 사이에 구비된 힌지부재(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해제형 힌지부재(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각 벽 부재(20,30,40)에는 부직포(70)를 감싸되, 상기 부직포(70)는 일단에 접는선(71)이 구비되고 타단에 봉합선(72)이 구비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의 측면에 개방부(73)가 형성되어서, 상기 개방부(73)를 통해 벽 부재를 부직포 내부로 넣은 상태에서 개방부(73)를 통해 이웃하는 벽 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접이식 개비온 구조에 비해 부품수가 늘어나지 않아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고, 부품의 망실을 염려할 필요가 없으며, 접고 펼치는 동작이 원활하고, 철거 및 재활용이 용이하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접이식 개비온을 펼친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비온을 반쯤 접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개비온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개비온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개비온에 사용되는 부직포의 전개도,
도 6은 도 5의 부직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개비온에 사용되는 해제형 힌지부재의 결합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은 해제형 힌지부재를 해재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개비온에 사용되는 해제형 힌지부재의 결합상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은 해제형 힌지부재를 해재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해제형 힌지부재인 와이어로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개비온의 접이 구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접이식 개비온을 펼친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비온을 반쯤 접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개비온의 저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1의 개비온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하나의 구획공간(s)을 구성하는 개비온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 실제로는 도 4와 같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가 된다. 도 4에는 도시를 간단하게 하여 이해를 돕기 위해 개비온의 저벽은 생략한 상태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개비온은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격벽(20)들과, 상기 이웃하는 두 격벽 사이의 측면을 연결하는 측벽(30)과, 상기 이웃하는 두 격벽 사이의 저면을 연결하는 저벽(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측벽(30)은 2개의 분할측벽(31,32)으로 이루어져 있고 저벽(40) 역시 2개의 분할저벽(41,42)으로 이루어져 있다.
2개의 분할측벽 중 제1분할측벽(31)은 일측 격벽(20)의 측단부와 연결되고, 제2분할측벽(32)은 타측 격벽(20)의 측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두 분할측벽(31,32) 사이도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2개의 분할저벽 중 제1분할저벽(41)은 일측 격벽(20)의 저단부와 연결되고, 제2분할저벽(42)은 타측 격벽(20)의 저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두 분할저벽(41,42) 사이도 연결되어 있다.
각 벽 부재들(20,31,32,41,42) 사이의 연결부분은 용수철 형태의 힌지부재(50)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분할측벽(31,32)은 두 격벽(20) 사이의 공간 안쪽으로 접어져 들어가고(도 3 및 도 4 참조), 두 분할저벽(41,42)은 두 격벽(20) 사이의 공간 아래쪽 방향으로 접어져 나가서(도 2 참조),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비온은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고, 필요할 때 현장에서 두 격벽을 잡아 당겨 펼침으로써 도 1과 같은 형태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과 같은 형태로 개비온을 펼친 후에는 이웃하는 측벽과 저벽(31과 41, 그리고 32와 42)이 서로 마주하는 부위를 고리(미도시) 등으로 체결하여 그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저벽(40)을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저벽을 생략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개비온은 하나의 구획공간(s)을 구성하는 측벽(30)과 격벽(20), 그리고 이웃하는 두 분할측벽(31,32) 사이에 구비된 힌지부재(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해제형 힌지부재(60)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제1구획공간(s1)에서는 제1구획공간(s1)을 구성하는 벽 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힌지부재들 중 어느 한쪽의 제1분할측벽(31)과 제2분할측벽(32) 사이의 힌지부재를 해제형 힌지부재(60a)로 하였다.
다음으로 제2구획공간(s2)에서는 제2구획공간(s2)을 구성하는 벽 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힌지부재들 중 어느 한쪽의 격벽(20)과 제2분할측벽(32) 사이의 힌지부재를 해제형 힌지부재(60b)로 하였고, 제3구획공간(s3)에서는 제3구획공간(s3)을 구성하는 벽 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힌지부재들 중 어느 한쪽의 격벽(20)과 제1분할측벽(31) 사이의 힌지부재를 해제형 힌지부재(60b)로 하여, 두 구획공간의 하나의 해제형 힌지부재(60b)를 공유하였다.
다음으로 제4구획공간(s4)에서는 제4구획공간(s4)을 구성하는 벽 부재들을 서로 연결하는 힌지부재들 중 양쪽의 제1분할측벽(31)과 제2분할측벽(32) 사이의 힌지부재를 모두 해제형 힌지부재(60c,60d)로 하였다.
제1구획공간과 같이 어느 한 쪽의 측벽의 분할측벽들 사이에만 해제형 힌지부재를 구성할 경우에는 개비온의 설치 방향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는 쪽에 이러한 해제형 힌지부재가 배치되도록 개비온을 설치하면 된다.
제2 및 제3구획공간과 같이 두 구획공간이 하나의 해제형 힌지부재를 공유할 때에는 개비온의 철거 과정에서 하나의 해제형 힌지부재를 해제하는 것만으로 두 구획공간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제4구획공간과 같이 개비온의 양 측면에 모두 해제형 힌지부재를 구성할 때에는 개비온의 설치방향에 구애 받지 않는 점이 유리하다.
특히 제2 및 제3구획공간과 같이 두 구획공간이 하나의 해제형 힌지부재를 공유할 때에는 하나의 해제형 힌지부재를 해제하는 것만으로 두 구획공간을 개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종래에 개시된 영국 “헤스코 베스티언” 사의 개비온에서는 구성할 수 없는 내용이다. 즉 '헤스코' 사의 개비온은, 마주하는 두 개의 벽 부재에 각각 용수철 힌지부재를 연결하고, 두 힌지부재를 겹쳐 그 축이 되는 철사(해제부재)를 끼운 상태로 개비온을 구성하는 것이었는데, 이러한 구조가 잘 포개어지지 않거나 포개어진 후 펼칠 때 잘 펼쳐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음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이러한 구조는 3개의 벽 부재의 힌지 연결 구조를 동시에 체결하거나 해제하는 데에는 적용할 수 없었다. 즉 본 발명의 제2 및 제3구획공간에서 하나의 해제형 힌지부재(60b)가 공유되는 위치에는 3개의 벽 부재{두 구획공간 사이의 격벽(20)과 제2구획공간(s2)의 제2분할측벽(32)과 제3구획공간(s3)의 제1분할측벽(31)}가 동시에 연결되는데, 만약 이를 '헤스코' 사의 방식처럼 용수철 힌지부재와 철사로 구성하려면, 3개의 힌지부재를 겹치고 이들이 모두 겹쳐지는 영역에 철사(해제부재)를 체결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체결 자체가 그다지 용이하지 않고, 체결을 했다손 치더라도, 체결 후에는 3개의 용수철 힌지부재가 서로 얽혀 이와 연결된 벽 부재의 유동이 제한되어 벽 부재끼리 포개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위와 같은 실시예의 구조에 의하면, 하나의 해제형 힌지부재(60b)에 연결된 3개의 벽 부재가 서로 포개어지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해제형 힌지부재(60b)로, 두 개의 구획공간마다 하나씩, 격벽과 그 좌우측의 구획공간의 분할측벽들을 엮어서 연결하면, 개비온이 아무런 어려움 없이 잘 포개어지고 펼쳐지며, 해제형 힌지부재의 설치 개소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추후 해제 공수도 1/2로 줄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해제형 힌지부재(60)는 측벽(30)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저벽(40)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즉 저벽(40)과 격벽(20)의 연결부 및/또는 두 분할저벽(41,42) 사이의 연결부를 해제형 힌지부재(60)로 구성하면, 개비온을 설치한 후 철거할 때 해제형 힌지부재를 해제하는 것만으로 쉽게 저벽을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제형 힌지부재의 구성, 체결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부직포의 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개비온에 사용되는 부직포의 전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부직포의 사시도이다.
개비온은 개비온을 구성하는 철망목의 크기보다 큰 사석을 채울 때에는 별도로 부직포를 사용하지 않지만, 목적 상(가령 식생) 토사를 채울 필요가 있을 때에는 철망으로 이루어진 각 벽 부재를 부직포로 막아 토사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개비온을 펼치거나 접는 과정이 용이하지만, 개비온을 펼친 후 토사를 채울 필요가 있을 때에는 부직포를 까는 과정이 여전히 번거로울 수 있다. 특히 긴급을 요하는 곳(가령 수해 복구작업)에 개비온을 펼치고 토사를 채워야 하는 상황에서는 부직포를 까는 시간마저 아까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개비온에 미리 부직포를 설치한 형태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부직포(70)의 중간 부분을 접는 선(71)으로 하여 이를 반으로 접어 포갠 후, 맞닿게 되는 두 단부를 봉합하여 봉합선(72)을 만든다. 그리하면 봉합선은 접는선(71)의 대향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작업 후에는 양측이 트여 있는 개방부(73)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개비온을 구성하는 벽 부재들은 이러한 부직포(70)의 개방부(73)를 통해 부직포 안쪽에 끼워진다. 개방부(73)를 통해 끼워진 벽 부재의 테두리 중 부직포의 개방부(73)를 통해 노출되는 부분은 다른 벽 부재와의 연결부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벽 부재(20,31,32,41,42)는 각각의 부직포에 끼워진 상태로 서로 힌지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두 분할측벽(31,32) 역시 하나의 부직포에 끼워질 수 있고, 이는 이웃하는 두 분할저벽(41,4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물론 이렇게 하나의 부직포에 두 분할측벽이나 분할저벽을 끼울 때에는 두 분할측벽이나 분할저벽 사이가 해제형 힌지부재로 연결되지 않는 것을 염두한 것으로, 두 분할측벽이나 분할저벽 사이가 해제형 힌지부재로 연결될 때에는 각각의 분할측벽이나 분할저벽마다 부직포를 개별적으로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부직포를 각 벽 부재에 입히게 되면, 각 벽 부재에 부직포를 입힌 상태에서도 개비온을 접어 두거나 펼치는 것이 가능하며, 개비온을 접거나 펼치는 과정이 반복되더라도 부직포는 개비온에서 이탈하지 않고 제자리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개비온을 전개한 후 별도로 다시 부직포를 대야 하는 단계를 거칠 필요 없이 바로 다음 작업에 돌입할 수 있게 된다.
[해제형 힌지부재의 구성]
도 7은 본 발명의 개비온에 사용되는 해제형 힌지부재의 결합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은 해제형 힌지부재를 해재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개비온에 사용되는 해제형 힌지부재의 결합상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은 해제형 힌지부재를 해재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해제형 힌지부재인 와이어로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해제형 힌지부재(60)는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로는 복수개의 소선(element wire)를 꼬아서 만든 직선형의 와이어로프가 사용된다. 와이어로프는 가는 강선으로 이루어진 각 소선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꼬여 있는 기하학적인 특성으로 인해, 매우 유연하면서도, 와이어로프를 굽히더라도 다시 펴지는 성질을 가지게 된다. 이는 와이어로프에 꼬이게 된 각 소선이 와이어로프에서 풀리려는 탄성 때문에 반발력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렇게 직선으로 펴지는 복원력을 가지는 와이어로프의 복원력 자체를 힌지부재를 해제하는 구조로써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해제형 힌지부재(60)를 설치할 때에는, 이웃하는 두 벽(도 4의 60a, 60c, 60d와 같은 부분) 또는 세 벽(도 6의 60b와 같은 부분)의 철선을 맞대고, 맞대어진 철선들을 와이어로프로 상하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감싼 후 감겨진 와이어로프를 철선에 구속한다. 이렇게 하면 구속된 부분에 의해 와이어로프는 직선 형태로 되돌아가지 못하고 나선형인 상태를 유지하며 두 벽 또는 세 벽의 힌지부재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힌지부재를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철선에 구속된 와이어로프 부분의 구속을 해제하거나 구속된 부분 또는 구속된 부분과 가까운 부분의 와이어로프를 절단함으로써, 직선 형태로 돌아가고자 하는 복원력대로 와이어로프가 복원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와이어로프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와이어로프는 철선과 큰 마찰 없이 풀려 나오게 된다.
이는 일반적인 힌지부재인 스프링과 큰 차이가 있는 부분이다. 즉 일반적인 스프링은 나선형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아무리 유연한 재질의 스프링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이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잡아당긴다고 해서 쉽게 풀려나오지 아니하고, 오히려 벽 부재의 철선과 얽혀버린다.
이러한 와이어로프가 설치된 예들을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제형 힌지부재(60)는 하나의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고, 와이어로프(60)를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이웃하는 두 벽 부재의 철선에 감아 두 벽 부재를 피봇 가능하게 결속하게 된다.
나선형으로 와이어로프(60)를 감을 때에는, 와이어로프(60)의 나선형 선회 피치(p)가 개비온의 철선의 단위간격(u)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 결과 하나의 단위간격(u)에 와이어로프가 2회 이상 감기게 되면 해제형 힌지부재(60)를 해제하더라도 와이어로프의 직선 형태로의 복원력에 의해 와이어로프가 원활하게 풀려나오지 못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와이어로프가 단위간격(u) 당 0.5회 이하로 감기게 되면 두 벽 부재를 제대로 지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0.5u ≤ d ≤ 2u 인 형태로 와이어로프를 감는다.
다음으로 와이어로프(60)의 선회 직경(D)은 철선의 직경(d)보다 2배 내지 3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2개의 벽 부재의 철선을 함께 피봇 가능하게 연결하거나 3개의 벽 부재의 철선을 함께 피봇 가능하게 연결할 때 모두 적용되는 것이다. 와이어로프의 선회 직경이 철선의 직경의 2배보다 작으면 이웃하는 벽 부재가 너무 뻑뻑하게 연결되어 피봇 동작 자체가 부자연스럽고, 구속되어 있던 와이어로프를 절단한 후에도 단순히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는 쉽게 풀어져 나오지 않게 된다. 반대로 와이어로프의 선회 직경이 철선의 직경의 3배보다 크면 이웃하는 두 벽 부재의 이격 간격이 너무 크게 되어 두 벽 부재를 제대로 연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2d ≤ D ≤ 3d 인 형태로 와이어로프를 감는다.
한편 이렇게 와이어로프를 선회하여 나선형으로 감은 후, 와이어로프(60)의 일단부는 벽 부재의 상단부에 고정하고, 와이어로프(60)의 타단부는 벽 부재의 하단부에 고정한다. 이를 고정하는 방식으로는 도 7의 상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의 일단(61)을 벽 부재의 철선에 꼬거나 클립 등으로 고정하고, 도 7의 하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의 타단(62)을 한 바퀴 감아 다시 와이어로프에 고정하는 폐곡선을 형성하고 이러한 폐곡선에 벽 부재의 철선이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로프가 직선 형태로 돌아가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해제형 힌지부재(60)를 해제할 때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60)의 하단부의 고리 부분(c)을 절단하거나 묶어 있는 클립을 해제하고, 와이어로프(60)의 상단부를 풀거나 클립을 해제한 후, 와이어로프의 상단부를 잡아당기면, 와이어로프(60)가 쉽게 풀려나와 해제가 가능하다.
이러한 와이어로프(60)는 풀어낸 후 다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와이어로프를 클립으로 고정하고 해제하는 경우는 물론이거니와, 와이어로프를 절단한 경우에도, 와이어로프의 거의 끝부분을 절단하기 때문에 그 길이의 감소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다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해제형 힌지부재(60)로서 와이어로프의 또 다른 설치 방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제형 힌지부재(60)는 하나의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고, 와이어로프(60)를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이웃하는 두 벽 부재의 철선에 감아 두 벽 부재를 피봇 가능하게 결속하되, 도 7의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선회하여 감은 와이어로프를 다시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선회하여 또 한번 감는 점에 차이가 있다.
한편 이렇게 와이어로프를 선회하여 나선형으로 감은 후, 와이어로프(60)의 두 단부는 모두 벽 부재의 상단부에 고정한다. 이를 고정하는 방식으로는 도 9의 상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의 일단(61)과 타단(62)을 벽 부재의 철선에 꼬거나 클립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와이어로프가 직선 형태로 돌아가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해제형 힌지부재(60)를 해제할 때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60)의 중간부분으로서 도면 상 두 벽 부재의 하단부 쪽에 위치하는 부분(c)을 절단하고, 두 벽 부재의 상단부 쪽에 위치하는 와이어로프(60)의 양단(61,62) 풀거나 클립을 해제한 후, 두 상단부 상단부 가닥을 동시에 또는 각각 잡아당기면, 와이어로프(60)가 쉽게 풀려나와 해제가 가능하다.
이러한 와이어로프(60)는 풀어낸 후 다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0의 c 위치에서 와이어로프를 절단하게 되면, 와이어로프의 길이는 도 7에 도시한 와이어로프의 길이 정도가 되므로, 도 7과 같은 형태로 다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20: 격벽
30: 측벽
31: 제1분할측벽
32: 제2분할측벽
40: 저벽
41: 제1분할저벽
42: 제2분할저벽
50: 힌지부재
60,60a,60b,60c,60d: 해제형 힌지부재(와이어로프)
61: 와이어로프 일단
62: 와이어로프 타단
70: 부직포
71: 접는선
72: 봉합선
73: 개방부
s: 구획공간
u: 개비온의 철선의 단위간격
d: 철선의 직경
p: 해제형 힌지부재의 선회 피치
D: 해제형 힌지부재의 선회 직경
c: 절단 위치

Claims (10)

  1. 적어도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격벽(20) 및 상기 마주하는 격벽(20) 사이의 측면을 연결하는 측벽(30)을 포함하는 개비온으로써,
    상기 측벽(30)은 2개 이상의 분할측벽(31,32)을 포함하고,
    상기 마주하는 격벽(20)과 그 측면을 연결하는 측벽(3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이 구획공간(s)이 되며,
    상기 구획공간(s)은 서로 마주하는 격벽(20)을 포개거나 이격함으로써 그 형상이 조절되고,
    상기 측벽(30)과 격벽(20)의 연결부, 그리고 이웃하는 두 분할측벽(31,32) 사이에는 힌지부재(50)가 구비되며,
    하나의 구획공간(s)을 구성하는 측벽(30)과 격벽(20), 그리고 이웃하는 두 분할측벽(31,32) 사이에 구비된 힌지부재(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해제형 힌지부재(6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해제형 힌지부재(60)는 복수개의 소선(element wire)을 꼬아서 만든 직선형의 와이어로프로서, 상기 와이어로프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직선형을 유지하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해제형 힌지부재(60)는, 이웃하는 적어도 두 벽(20,30,31,32)의 철선을 맞대고, 맞대어진 철선들을 상기 와이어로프로 상하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감싼 후 감겨진 와이어로프를 벽 부재의 철선에 구속한 형태이어서,
    상기 구속된 부분을 해제하거나 와이어로프를 절단하면 직선형을 유지하는 와이어로프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웃하는 두 벽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의 해제형 힌지부재(60)의 나선의 내경은 상기 철선 직경의 2배보다 크고 3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제형 힌지부재(60)의 와이어로프는 벽(20,30,31,32)의 단위간격(u) 당 0.5회 이상 2회 이하로 감김 회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제형 힌지부재(60)는 하나의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은 벽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벽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제형 힌지부재(60)는 하나의 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과 타단이 모두, 벽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 어느 한 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제형 힌지부재(60b)는, 두 구획공간(s2,s3)을 구분하는 하나의 격벽(20)과, 이러한 격벽(20)의 일측 단부와 마주하는 두 구획의 분할측벽(32,31)을 함께 엮어 설치함으로써, 해제형 힌지부재(60b)를 해제하였을 때 두 구획(S2,S3)이 함께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주하는 격벽(20)의 하단에는 2개 이상의 분할저벽(41,42)을 포함하는 저벽(4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저벽(40)과 격벽(20)의 연결부, 그리고 이웃하는 두 분할저벽(41,42) 사이에는 힌지부재(50)가 구비되며,
    하나의 구획공간(s)을 구성하는 저벽(40)과 격벽(20), 그리고 이웃하는 두 분할저벽(41,42) 사이에 구비된 힌지부재(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해제형 힌지부재(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10.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벽 부재(20,30,40)에는 부직포(70)를 감싸되,
    상기 부직포(70)는 일단에 접는선(71)이 구비되고 타단에 봉합선(72)이 구비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의 측면에 개방부(73)가 형성되어서,
    상기 개방부(73)를 통해 벽 부재를 부직포 내부로 넣은 상태에서 개방부(73)를 통해 이웃하는 벽 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비온.
KR1020150008082A 2015-01-16 2015-01-16 해제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 KR101535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082A KR101535499B1 (ko) 2015-01-16 2015-01-16 해제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082A KR101535499B1 (ko) 2015-01-16 2015-01-16 해제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499B1 true KR101535499B1 (ko) 2015-07-10

Family

ID=53792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082A KR101535499B1 (ko) 2015-01-16 2015-01-16 해제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4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433B1 (ko) * 2015-12-01 2016-08-10 김동옥 식생 방호벽
KR101908294B1 (ko) * 2018-02-06 2018-10-16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2038A (ja) * 2001-05-02 2002-11-22 Palenet Co Ltd 搬送用容器
KR101402208B1 (ko) * 2005-11-24 2014-05-30 헤스코 베스티언 리미티드 게비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2038A (ja) * 2001-05-02 2002-11-22 Palenet Co Ltd 搬送用容器
KR101402208B1 (ko) * 2005-11-24 2014-05-30 헤스코 베스티언 리미티드 게비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433B1 (ko) * 2015-12-01 2016-08-10 김동옥 식생 방호벽
KR101908294B1 (ko) * 2018-02-06 2018-10-16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탁수 여과 및 모래 유출 방지용 개비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155B1 (ko) 사각형 돌망태
US9074337B2 (en) Gabion system
KR101535499B1 (ko) 해제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
WO2021015069A1 (ja) 土木工事用袋体および土木工事用構造体
KR101647433B1 (ko) 식생 방호벽
JP6401415B1 (ja) 土木工事用袋体
KR20180009069A (ko) 재사용 가능한 접이식 개비온
JP5826338B1 (ja) 蛇篭用連結装置
KR100666908B1 (ko) 2중 접철식 상자형 게비온
WO2018163303A1 (ja) 土木工事用袋体
KR102486882B1 (ko)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JP6594154B2 (ja) 積み上げ土嚢構造体
KR20040021123A (ko) 보강부재를 구비한 개비온과 그 보강방법
JP2001207428A (ja) 角形石詰篭
JP2831993B1 (ja) 石詰篭製構造壁及びその施工方法
JP5785314B1 (ja) 蛇篭用連結装置
KR102054792B1 (ko) 다면 결합이 가능한 내진 블록 시스템 및 축조 방법
KR20060053799A (ko) 제방 축조용 돌망태
JP2657339B2 (ja) 護岸方法及び布団篭
JP3436534B2 (ja) ロック機構付き折畳式金網パネル及び折畳式角形蛇篭
WO2016098800A1 (ja) 箱型土嚢
JP3668448B2 (ja) 六角筒形蛇篭
JP2001073340A (ja) 金網体および河川護岸用篭体ならびに河川護岸用仕切網
JP3220309U (ja) 耐圧土のう袋
KR100717117B1 (ko) 사면보호 고정용 메트리스 게비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