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200B1 -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200B1
KR101857200B1 KR1020170139630A KR20170139630A KR101857200B1 KR 101857200 B1 KR101857200 B1 KR 101857200B1 KR 1020170139630 A KR1020170139630 A KR 1020170139630A KR 20170139630 A KR20170139630 A KR 20170139630A KR 101857200 B1 KR101857200 B1 KR 101857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lock
water supply
water
humidity
vegeta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종
Original Assignee
김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종 filed Critical 김한종
Priority to KR1020170139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7Control by humidity of the soil itself or of devices simulating soil or of the atmosphere; Soil humidity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식물을 기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에 따르면,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의 습도가 미리 입력된 기준습도 이하로 저하되면 제어수단(110)이 급수펌프(50)의 작동시켜 저수통체(10)에 저장된 물이 연결관(40)과 급수관(30)을 통해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별도로 관리를 하지 않더라도,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에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됨으로,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structure of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식물을 기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시 발생되는 절개면에는 토사의 유실이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보강블록이 시공된다.
이러한 보강블록은 콘크리트를 일정한 형태로 성형하여 제조된 것으로,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절개면에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보강블록은 콘크리트재질로 구성되어, 이러한 보강블록을 적층할 경우, 보강블록과 환경이 어울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보강블록의 전단부에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된 식생부를 형성하고, 상기 식생부에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심어서, 적층된 보강블록이 주변의 환경과 어울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강블록은 식생부에 식생된 식물에 지속적으로 물을 주는 등의 관리를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보강블록의 경우, 시공 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절개면에 발생되는 토압에 의해 적층된 보강블록의 일부가 전방으로 밀려나오게 되며, 심할 경우, 적층된 보강블록이 붕괴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적층된 보강블록의 일부가 전방으로 밀려나올 경우, 각각의 보강블록이 전방으로 밀려나온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보강블록은 전방으로 밀려나온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이러한 절개면의 경우, 지하수나 빗물이 절개면을 통해 배출된다.
등록특허 10-123582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효과적으로 식물을 기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이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된 절개면(1)에 다수개의 보강블록(20)을 적층하여 구성된 보강블록 시공구조에 있어서, 내부에는 저수공간이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절개면(1)의 전방 하측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절개면(1)에서 배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에는 필터부재(12)가 구비되어 상기 절개면(1)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내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된 저수통체(10)와, 전단부에는 흙이 충진되는 식생부(21)가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후단부가 상기 절개면(1)에 밀착되도록 상기 저수통체(10)의 상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다수개의 보강블록(20)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배수공(31)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블록(20)의 식생부(21)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급수관(30)과, 상기 저수통체(10)와 급수관(30)을 연결하는 연결관(40)과, 상기 연결관(40)에 연결되어 상기 저수통체(10)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관(30)으로 공급하는 급수펌프(50)와, 상기 보강블록(20)의 식생부(21)에 구비되어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센서(60)와, 상기 저수통체(10) 또는 보강블록(2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어 태양광이 조사되면 전기를 출력하는 태양광발전기(101)와 상기 태양광발전기(101)에 연결되어 태양광발전기(101)에서 출력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지(102)로 구성되어 상기 급수펌프(50)에 전기를 공급하는 발전수단(100)과, 상기 습도측정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수펌프(5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수단(11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10)은 상기 습도측정센서(60)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의 습도가 미리 입력된 기준습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급수펌프(50)의 작동시켜 상기 저수통체(1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연결관(40)과 급수관(30)을 통해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강블록(20)의 상면에는, 고정홈(22)과, 상기 고정홈(22)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된 전, 후방오목홈(23,24)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블록(20)에 결합되어 보강블록(20)이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오면 보강블록(20)이 밀려나온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수단(70)은 상기 고정홈(22)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전후면에는 전, 후방관통공(71a,71b)이 형성된 케이스(71)와, 상기 케이스(71)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7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기어(72)와, 전후방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전단부에는 상기 회전기어(72)의 일측 둘레면에 치합되는 기어이빨(73a)이 형성되며 후단부는 상기 후방관통공(71b)을 통해 케이스(7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오목홈(24)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바(73)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후단부에는 상기 회전기어(72)의 타측 둘레면에 치합되는 기어이빨(74a)이 형성되며 전단부는 상기 전방관통공(71a)을 통해 상기 전방오목홈(23)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표시바(74)와, 상기 절개면(1)에 매입되도록 고정되고 와이어(75a)를 통해 상기 연결바(73)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앵커부재(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표시수단(70)에 구비되어 보강블록(20)이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돌출된 거리를 측정하는 돌출거리측정수단(80)과, 상기 보강블록(20)의 전면에 구비된 램프(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거리측정수단(80)은 상기 회전축(72a)에 구비되어 회전기어(72)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센서를 이용하며, 상기 제어수단(110)은 상기 돌출거리측정수단(8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보강블록(20)이 미리 입력된 기준거리 이상으로 전방으로 밀려나오면 상기 램프(90)를 on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에 따르면,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의 습도가 미리 입력된 기준습도 이하로 저하되면 제어수단(110)이 급수펌프(50)의 작동시켜 저수통체(10)에 저장된 물이 연결관(40)과 급수관(30)을 통해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별도로 관리를 하지 않더라도,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에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됨으로,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의 보강블록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의 회로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단이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된 절개면(1)에 시공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는 내부에는 저수공간이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절개면(1)의 전방 하측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절개면(1)에서 배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면(1)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내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된 저수통체(10)와, 전단부에는 흙이 충진되는 식생부(21)가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후단부가 상기 절개면(1)에 밀착되도록 상기 저수통체(10)의 상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다수개의 보강블록(20)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보강블록(20)의 식생부(21)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급수관(30)과, 상기 저수통체(10)와 급수관(30)을 연결하는 연결관(40)과, 상기 연결관(40)에 연결되어 상기 저수통체(10)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관(30)으로 공급하는 급수펌프(50)와, 상기 보강블록(20)의 식생부(21)에 구비되어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센서(60)와, 상기 보강블록(20)에 결합되어 보강블록(20)이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오면 보강블록(20)이 밀려나온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수단(70)과, 상기 표시수단(70)에 구비되어 보강블록(20)이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돌출된 거리를 측정하는 돌출거리측정수단(80)과, 상기 보강블록(20)의 전면에 구비된 램프(90)와, 상기 저수통체(10)에 구비된 발전수단(100)과, 상기 습도측정센서(60)와 돌출거리측정수단(8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급수펌프(50)와 램프(9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수통체(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블록(20)에 비해 전후방향과 측방향의 길이가 긴 사각 박스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후단부는 상기 절개면(1)에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11)는 후측 상면에 형성되어, 절개면(1)으로 배출되는 빗물이나 지하수가 유입구(11)를 통해 내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11)에는 필터부재(12)가 구비되어, 물 이외의 이물질, 즉, 상기 절개면(1)에서 유출된 흙 등이 유입구(11)를 통해 저수통체(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보강블록(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저수통체(10)의 상면에 적층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도시 안된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절개면(1)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됨으로써, 절개면(1)의 유실이나 붕괴를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저수통체(10)의 상측에 보강블록(20)을 적층하고, 상기 보강블록(20)의 식생부(21)에 흙을 충진한 후,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에 식물을 심어 기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블록(20)의 상면에는 고정홈(22)과, 상기 고정홈(22)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된 전, 후방오목홈(23,24)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식생부(21)는 상기 보강블록(2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22)과 전, 후방오목홈(23,24)은 상기 식생부(21)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보강블록(2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방오목홈(23)은 상기 후방오목홈(24)에 비해 깊게 형성된다.
상기 급수관(30)은 하단이 밀폐된 합성수지재질의 관체를 이용하는 것으로,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배수공(31)이 형성되며, 상호 적층된 다수개의 보강블록(20)의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연결관(40)은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급수펌프(50)는 상기 연결관(40)의 중간부에 구비는 것으로, 상기 발전수단(100)에 의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수통체(10)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상기 급수관(30)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급수관(30)으로 공급된 물은 급수관(30)의 배수공(31)을 통해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으로 공급되어, 흙의 습도를 높이게 된다.
상기 습도측정센서(6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생부(21)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대상물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센서(60)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표시수단(7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22)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전후면에는 전, 후방관통공(71a,71b)이 형성된 케이스(71)와, 상기 케이스(71)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7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기어(72)와, 전후방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전단부에는 상기 회전기어(72)의 일측 둘레면에 치합되는 기어이빨(73a)이 형성되며 후단부는 상기 후방관통공(71b)을 통해 케이스(7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오목홈(24)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바(73)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후단부에는 상기 회전기어(72)의 타측 둘레면에 치합되는 기어이빨(74a)이 형성되며 전단부는 상기 전방관통공(71a)을 통해 상기 전방오목홈(23)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표시바(74)와, 상기 절개면(1)에 매입되도록 고정되고 와이어(75a)를 통해 상기 연결바(73)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앵커부재(75)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71)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72a)은 상기 케이스(71)의 내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회전기어(72)는 상기 회전축(72a)의 중간부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바(73)는 상기 후방오목홈(24)을 통해 상기 보강블록(20)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충분히 길게 구성되며, 후단부에는 상기 와이어(75a)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리(73a)가 구비된 것으로, 전단부의 기어이빨(73a)이 상기 회전기어(72)의 상측둘레면에 치합된다.
상기 표시바(74)는 전단부에 눈금(74b)이 표시되며, 후단부의 기어이빨(74a)이 상기 회전기어(72)의 하측 둘레면에 치합되는 것으로, 전단부가 상기 보강블록(20)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위치조절된다.
상기 앵커부재(75)는 쐐기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절개면(1)에 매립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75a)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앵커부재(75)는 상기 절개면(1)에 충분히 깊게 매립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절개면(1)의 전면에 유동되어 상기 보강블록(20)을 전방으로 밀어낼 때 상기 앵커부재(75)의 위치는 변동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수단(70)은 상호 적층된 모든 보강블록(20)에 구비되지 않고, 측정이 필요한 몇 개의 보강블록(20)에 선택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면(1)에 발생된 토압에 의해 상기 보강블록(20)이 전방으로 밀릴 경우, 상기 연결바(73)는 상기 앵커부재(75)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지 않고 케이스(71)만 전방으로 밀리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바(73)를 후방으로 당기는 효과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기어(7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기어(7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표시바(74)가 전방으로 밀려서 상기 보강블록(2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표시바(74)가 보강블록(2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거리는, 토압에 의해 보강블록(20)이 전방으로 밀린 거리와 동일함으로, 관리자가 상기 보강블록(20)의 전방으로 돌출된 표시바(74)의 눈금(74b)을 읽음으로써, 상기 보강블록(20)이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온 거리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돌출거리측정수단(8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72a)에 구비되어 회전기어(72)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센서를 이용한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압에 의해 상기 보강블록(20)이 전방으로 밀려나오면 상기 회전기어(72)가 회전되면서 표시바(74)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기어(72)는 지름이 알려져 있음으로, 상기 돌출거리측정수단(80)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기어(72)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각도와 회전기어(72)의 지름을 연산함으로써, 상기 표시바(74)가 전방으로 밀려나간 거리, 즉, 상기 보강블록(20)이 전방으로 밀려나가서 돌출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램프(90)는 LED램프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보강블록(20)의 전방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 발전수단(100)은 상기 보강블록(2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어 태양광이 조사되면 전기를 출력하는 태양광발전기(101)와, 상기 태양광발전기(101)에 연결되어 태양광발전기(101)에서 출력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지(102)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110)은 기준습도와 기준거리가 입력된 것으로, 상기 습도측정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의 습도가 미리 입력된 기준습도보다 낮아지면 상기 급수펌프(50)를 구동시키고, 상기 돌출거리측정수단(8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강블록(20)이 미리 입력된 기준거리 이상으로 전방으로 밀려나가면, 상기 램프(90)를 on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준습도는 식생부(21)에 심어진 식물이 생장하기 적합한 습도에 비해 조금 낮게 설정되고, 상기 기준거리는 상기 적층된 보강블록(20)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거리에 비해 조금 짧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의 습도가 기준습도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어수단(110)이 습도측정수단을 통해 이를 확인한 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펌프(50)를 구동시켜, 상기 저수통체(1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연결관(40)과 급수관(30)을 통해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에 공급되도록 하여, 흙의 습도가 기준습도로 상승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면(1)의 토압에 의해 상기 보강블록(20)이 전방으로 밀려나가면, 상기 제어수단(110)은 상기 돌출거리측정수단(8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감지하고, 보강블록(20)이 미리 입력된 기준거리 이상으로 전방으로 밀려나가면, 상기 램프(90)를 on시킴으로써, 관리자가 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에 따르면, 내부에는 저수공간이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절개면(1)의 전방 하측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절개면(1)에서 배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에는 필터부재(12)가 구비되어 상기 절개면(1)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내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된 저수통체(10)와, 전단부에는 흙이 충진되는 식생부(21)가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후단부가 상기 절개면(1)에 밀착되도록 상기 저수통체(10)의 상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다수개의 보강블록(20)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배수공(31)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블록(20)의 식생부(21)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급수관(30)과, 상기 저수통체(10)와 급수관(30)을 연결하는 연결관(40)과, 상기 연결관(40)에 연결되어 상기 저수통체(10)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관(30)으로 공급하는 급수펌프(50)와, 상기 보강블록(20)의 식생부(21)에 구비되어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센서(60)와, 상기 저수통체(10) 또는 보강블록(2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어 태양광이 조사되면 전기를 출력하는 태양광발전기(101)와 상기 태양광발전기(101)에 연결되어 태양광발전기(101)에서 출력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지(102)로 구성되어 상기 급수펌프(50)에 전기를 공급하는 발전수단(100)과, 상기 습도측정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수펌프(5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수단(110)이 구비되어,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의 습도가 미리 입력된 기준습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제어수단(110)이 상기 급수펌프(50)의 작동시켜 상기 저수통체(1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연결관(40)과 급수관(30)을 통해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별도로 관리를 하지 않더라도,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에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됨으로,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블록(20)의 상면에는, 고정홈(22)과, 상기 고정홈(22)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된 전, 후방오목홈(23,24)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블록(20)에 결합되어 보강블록(20)이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오면 보강블록(20)이 밀려나온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수단(70)은 상기 고정홈(22)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전후면에는 전, 후방관통공(71a,71b)이 형성된 케이스(71)와, 상기 케이스(71)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7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기어(72)와, 전후방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전단부에는 상기 회전기어(72)의 일측 둘레면에 치합되는 기어이빨(73a)이 형성되며 후단부는 상기 후방관통공(71b)을 통해 케이스(7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오목홈(24)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바(73)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후단부에는 상기 회전기어(72)의 타측 둘레면에 치합되는 기어이빨(74a)이 형성되며 전단부는 상기 전방관통공(71a)을 통해 상기 전방오목홈(23)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표시바(74)와, 상기 절개면(1)에 매입되도록 고정되고 와이어(75a)를 통해 상기 연결바(73)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앵커부재(75)로 구성되어, 토압에 의해 보강블록(20)이 전방으로 밀려나오면 상기 표시바(74)가 보강블록(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보강블록(20)이 전방으로 밀려나온 거리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토압에 의해 보강블록(20)이 전방으로 밀려나온 거리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70)에 구비되어 보강블록(20)이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돌출된 거리를 측정하는 돌출거리측정수단(80)과, 상기 보강블록(20)의 전면에 구비된 램프(9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돌출거리측정수단(80)은 상기 회전축(72a)에 구비되어 회전기어(72)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센서를 이용하며, 상기 제어수단(110)은 상기 돌출거리측정수단(8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보강블록(20)이 미리 입력된 기준거리 이상으로 전방으로 밀려나오면 상기 램프(90)를 on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적층된 보강블록(20)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될 정도로 보강블록(20)이 전방으로 밀려나올 경우, 상기 표시바(74)의 눈금(74b)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이를 확인할 수 있음으로, 보강블록(20)을 더욱 안전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저수통체 20. 보강블록
30. 급수관 40. 연결관
50. 급수펌프 60. 습도측정수단
70. 표시수단 80. 돌출거리측정수단
90. 발전수단 110. 제어수단

Claims (3)

  1. 상단이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된 절개면(1)에 다수개의 보강블록(20)을 적층하여 구성된 보강블록 시공구조로서,
    내부에는 저수공간이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절개면(1)의 전방 하측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절개면(1)에서 배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에는 필터부재(12)가 구비되어 상기 절개면(1)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내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된 저수통체(10)와,
    전단부에는 흙이 충진되는 식생부(21)가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후단부가 상기 절개면(1)에 밀착되도록 상기 저수통체(10)의 상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다수개의 보강블록(20)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배수공(31)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블록(20)의 식생부(21)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급수관(30)과,
    상기 저수통체(10)와 급수관(30)을 연결하는 연결관(40)과,
    상기 연결관(40)에 연결되어 상기 저수통체(10)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관(30)으로 공급하는 급수펌프(50)와,
    상기 보강블록(20)의 식생부(21)에 구비되어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센서(60)와,
    상기 저수통체(10) 또는 보강블록(2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어 태양광이 조사되면 전기를 출력하는 태양광발전기(101)와 상기 태양광발전기(101)에 연결되어 태양광발전기(101)에서 출력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지(102)로 구성되어 상기 급수펌프(50)에 전기를 공급하는 발전수단(100)과,
    상기 습도측정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급수펌프(5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수단(11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10)은 습도측정센서(60)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의 습도가 미리 입력된 기준습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급수펌프(50)의 작동시켜 상기 저수통체(1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연결관(40)과 급수관(30)을 통해 상기 식생부(21)에 충진된 흙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블록(20)의 상면에는, 고정홈(22)과, 상기 고정홈(22)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된 전, 후방오목홈(23,24)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블록(20)에 결합되어 보강블록(20)이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오면 보강블록(20)이 밀려나온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수단(70)은
    상기 고정홈(22)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전후면에는 전, 후방관통공(71a,71b)이 형성된 케이스(71)와,
    상기 케이스(71)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7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기어(72)와,
    전후방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전단부에는 상기 회전기어(72)의 일측 둘레면에 치합되는 기어이빨(73a)이 형성되고 후단부는 상기 후방관통공(71b)을 통해 케이스(7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오목홈(24)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바(73)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후단부에는 상기 회전기어(72)의 타측 둘레면에 치합되는 기어이빨(74a)이 형성되고 전단부는 상기 전방관통공(71a)을 통해 상기 전방오목홈(23)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는 표시바(74)와,
    상기 절개면(1)에 매입되도록 고정되고 와이어(75a)를 통해 상기 연결바(73)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앵커부재(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70)에 구비되어 보강블록(20)이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돌출된 거리를 측정하는 돌출거리측정수단(80)과,
    상기 보강블록(20)의 전면에 구비된 램프(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거리측정수단(80)은 상기 회전축(72a)에 구비되어 회전기어(72)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센서를 이용하며,
    상기 제어수단(110)은 상기 돌출거리측정수단(8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보강블록(20)이 미리 입력된 기준거리 이상으로 전방으로 밀려나오면 상기 램프(90)를 on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
KR1020170139630A 2017-10-25 2017-10-25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 KR101857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630A KR101857200B1 (ko) 2017-10-25 2017-10-25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630A KR101857200B1 (ko) 2017-10-25 2017-10-25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200B1 true KR101857200B1 (ko) 2018-06-20

Family

ID=6276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630A KR101857200B1 (ko) 2017-10-25 2017-10-25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2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913A (ko) * 2018-11-30 2020-06-09 김동균 친환경 블록 구조체
CN112012230A (zh) * 2020-07-31 2020-12-01 广东锦恒建筑有限公司 一种建筑市政工程用边坡加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036B1 (ko) * 2002-11-21 2005-10-18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녹화용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2012031656A (ja) * 2010-07-30 2012-02-16 Landes Co Ltd 擁壁構築用貯水ブロック
KR101187689B1 (ko) * 2010-07-09 2012-10-10 조흥열 지면 녹화장치
KR101235826B1 (ko) 2012-07-30 2013-02-21 주식회사 이파그리드코리아 보강토 옹벽블록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036B1 (ko) * 2002-11-21 2005-10-18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녹화용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187689B1 (ko) * 2010-07-09 2012-10-10 조흥열 지면 녹화장치
JP2012031656A (ja) * 2010-07-30 2012-02-16 Landes Co Ltd 擁壁構築用貯水ブロック
KR101235826B1 (ko) 2012-07-30 2013-02-21 주식회사 이파그리드코리아 보강토 옹벽블록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913A (ko) * 2018-11-30 2020-06-09 김동균 친환경 블록 구조체
KR102228870B1 (ko) * 2018-11-30 2021-03-17 김동균 친환경 블록 구조체
CN112012230A (zh) * 2020-07-31 2020-12-01 广东锦恒建筑有限公司 一种建筑市政工程用边坡加固装置
CN112012230B (zh) * 2020-07-31 2021-11-26 广东锦恒建筑有限公司 一种建筑市政工程用边坡加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200B1 (ko)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
US20170370063A1 (en) Precast dam structure with flowpath
US9103084B2 (en) Intelligent hydroelectric dam with power storage
CN203848823U (zh) 复合式地下深部灾害监测装置
US11708674B2 (en) Precast dam structure with flowpath
CA2941013C (en) Intelligent hydroelectric dam with power storage
KR101842084B1 (ko) 옹벽 시공구조
WO2015032406A2 (en) Process positioning and process control unit for process control of a wash-down hose and uses
CN209861535U (zh) 树穴挖掘机
JP5493151B2 (ja) 穿孔工具および穿孔方法
CN204738271U (zh) 注水式防洪墙
CN117762167A (zh) 一种带有监测结构的生态水位地下水调控设备
CN116255084B (zh) 一种用于公路桥梁施工的钻孔平台
CN110080216B (zh) 一种利用支护管桩的蓄水系统及其施工方法
JP6231782B2 (ja) 携帯式電動アースオーガー
CN114086560B (zh) 一种地下人防工程渠水倒灌的应急加固抢险施工方法
KR101709737B1 (ko) 압입강관 보강용 직접주입 그라우팅 공법
KR101076928B1 (ko) 지중 천공 수직 및 수평〔직선〕굴착방향 감지장치
CN210917374U (zh) 一种基坑施工用灌浆装置
KR101682463B1 (ko) 중공부를 갖는 튜브(tube)로 형성된 쏘일네일링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직천공 CFT 시공방법
KR100869931B1 (ko) 수력 및 조력 발전소의 댐 내부 균열 감시장치
CN112414385A (zh) 一种土木工程用测量仪
CN110185140A (zh) 一种限位自锁、解锁及钢筋连接的预制混凝土柱对接全断面连接盒装置
CN217305223U (zh) 一种不间断电源的实时监测装置
CN210260410U (zh) 一种具有自动出料功能的煤粉量检测孔煤粉收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