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870B1 - 친환경 블록 구조체 - Google Patents

친환경 블록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870B1
KR102228870B1 KR1020180152834A KR20180152834A KR102228870B1 KR 102228870 B1 KR102228870 B1 KR 102228870B1 KR 1020180152834 A KR1020180152834 A KR 1020180152834A KR 20180152834 A KR20180152834 A KR 20180152834A KR 102228870 B1 KR102228870 B1 KR 102228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dule
eco
vegetation
friend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5913A (ko
Inventor
김동균
Original Assignee
김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균 filed Critical 김동균
Priority to KR1020180152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8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결합되는 블록모듈; 상기 블록모듈의 어느 한 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면부에 외부 식생이 조성되는 식생모듈; 상기 블록모듈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고, 재해 위험성 및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모듈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토사량 및 구조안전성을 계측하고, 계측된 데이터를 현장관리시스템과 상호 통신하는 IOT센서모듈; 및 상기 IOT센서모듈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구조물의 어느 한 부분 또는 상기 구조물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자체 전력 생산이 가능한 태양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모듈화된 블록을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으며, 전면부에 외부 식생을 조성하여 친환경적이고 심미적으로 우수하며, 토사량 또는 구조 안전성을 계측하여 재해 위험에 대비할 수 있는 친환경 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블록 구조체{ECO-FRIENDLY BLOCK STRUCTURE}
본 발명은 친환경 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듈화된 블록을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으며, 전면부에 외부 식생을 조성하여 친환경적이고 심미적으로 우수하며, 토사량 또는 구조 안전성을 계측하여 재해 위험에 대비할 수 있는 친환경 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사면의 붕괴나 슬라이딩을 억제하기 위한 안정공법으로 사면보강 또는 보호공법이 수행되고 있으며, 시공목적에 따라 감소공법, 저항력 증강공법, 표면보호공법 등 여러 가지로 구분되고, 이 중 저항력 증강공법(안전율 증강공법)으로 대표적인 것으로 락볼트 어스앵커, 소일네일, 계단식 옹벽, 사방댐 등이 있다.
이것은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기반도로나 단지조성 등 산지와 같은 사면을 개발하는 것은 불가피한 실정으로, 현재 사면의 슬라이딩 현실은 시간과 장소와 관계없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주변 요소로서 작용을 하고 있다.
예컨대 해마다 장마철이 되면 집중호우(80mm이상/일)로 야산이나 계곡의 식생토가 붕괴되고, 집 주변의 옹벽과 석축 붕괴로 집이 무너져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일어난다.
특히 전원주택을 비롯한 농·어촌 주택의 경우 도시 정비가 잘 되어있는 도심과 달라서 피해사례가 더욱 많다.
일반적으로, 사방댐이란, 원래 야계사방사업의 최상단에 토사저지를 목적으로 시설된 보막이가 규모가 커져 사방사업법 제3조 계3호의 야계사방사업 중 하나의 공종으로 계류의 물매를 완화시켜 침식을 방지하고 상류에서 내려오는 토석, 나무 등을 차단하며, 수원함양을 위하여 계류를 횡단하여 소규모 댐을 설치하는 사방사업이다.
이렇게 산간 계곡 등의 수해방지용으로 설치하는 사방댐은 대부분 철근콘크리트 또는 무근콘크리트로 시공되는데, 저사형, 투과형, 복합형으로 구분하며 주로 저수 또는 토석 차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저사형사방댐(콘크리트 사방댐, 전석사방댐 등)을 시공하며, 유목차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투과형 사방댐(슬리트댐, 스크린 등)을, 토목 및 유목을 동시에 차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복합형 사방댐(다기능 사방댐, 빔크린사방댐 등)을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사방댐의 기능은 댐의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토석, 유목을 차단하여 댐 하류의 피해를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사방댐에 의해 저장되는 물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 예로서 산불 발생시에 산불을 진압하기 위한 물 공급원, 가뭄 시에는 농가에 물을 공급하는 농업용수 저장원, 여름에는 안전한 물놀이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유목방지용 댐인 버트리스댐으로, 산간계곡 등의 상류에서 산사태가 발생하여 뿌리 채 뽑힌 유목이 떠 내려와 댐에 걸려서 댐 하류의 유로를 변경시키거나 교량에 걸려 유로를 변경시켜 인명과 주택 및 농경지에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방댐은 콘크리트댐의 경우 철근콘크리트 또는 무근콘크리트로 시공함에 따라, 먼저 시공대상 지면을 절토하여 다짐질하고, 다짐질된 지반의 상부로 댐 어깨와 토석 차단부가 시공되어질 거푸집을 설치한 후 적절히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시공 기간이 길고, 예산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계곡 상층부의 지반이 붕괴되어 토석이 밀려 내려와 점점 많아진 토석이 계곡 하층부를 일시에 덮치는 계곡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5부능선 이상에 있는 계곡에 작은 규모의 사방댐을 다수 개 설치하여 작은 돌의 낙석부터 방지해야 하나, 계곡 상류에 시공에 필요한 자원 및 장비들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길을 내야 하므로 자연환경의 훼손이 심하고 인근의 논밭이나 임야를 지나야 하기 때문에 지당세를 많이 요구하는 주민들을 설득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길이 없는 곳에서 케이블이나 헬기로 자재를 운반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양생에 필요한 물을 운반하기 어려워 산 중턱 이상에는 사방댐을 설치하기 어려운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철근콘크리트 또는 무근콘크리트로 사방댐을 시공할 경우 사방댐에 식생을 조성할 수 없기 때문에 자연환경과의 조화가 어렵고 주변 경관과 어울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1은 식물이 식생 되는 식생블록과 상기 식생블록이 각각 상/하/좌/우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적층 및 연결되는 연결블록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친환경 식생블록에 있어서, 상기 식생블록은, 중앙에 식생토가 충전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식생용 본체; 상기 식생용 본체 전면에 돌출 형성되고, 소정 깊이 식생토가 충전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식생부; 상기 식생부와 상기 관통공 사이에 형성된 상기 식생용 본체를 연통하는 연통부; 상기 식생용 본체 상부면 양측단부에 형성된 결합홈; 상기 식생용 본체 하부면 양측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 상기 식생용 본체 양측면에 상기 연결블록이 결합되는 연결홈;이 포함되고, 상기 연결블록은, 중앙에 식생토가 충전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용 본체; 상기 연결용 본체 상부면 양측단부에 형성된 결합홈; 상기 연결용 본체 하부면 양측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 및 상기 연결용 본체 양측면에 식생블록과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된 연결구;가 포함되고, 상기 식생블록과 상기 연결블록이 적층될 때 수밀구조를 갖도록 상기 관통공은 상단 개구부 외주면에 수밀홈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수밀홈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관통공은 하단 개구부 외주면에 수밀돌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친환경 식생블록을 제공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은 일부 돌출된 식생부의 내부에 식생토를 충전하여 그곳에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돌출 부위에 상대적으로 하중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구조적으로 붕괴 위험이 존재하며, 중간중간 돌출된 부위에 자리한 식물은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친환경적 구조라고 보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10-0990517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듈화된 블록을 시공이 필요한 위치로 바로 옮겨와 조립하여 사방댐을 설치함으로써, 사방댐을 설치해야 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는 사방댐의 규모에 적절히 대응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사방댐의 전면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식생모듈과 상기 식생모듈의 전면에 조성되는 외부 식생으로 인해 주변 자연환경과 충분한 조화를 이루고, 심미적으로 우수한 친환경 사방댐을 설치할 수 있으며, 사방댐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고 토사량 및 구조적 안전성을 계측하는 IOT센서모듈 및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여 IOT센서모듈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재해의 위험이 발생될 것으로 판단되면 주변에 자동으로 경고를 하는 경고수단을 포함하는 태양광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재해 위험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친환경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결합되는 블록모듈; 상기 블록모듈의 어느 한 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면부에 외부 식생이 조성되는 식생모듈; 상기 블록모듈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고, 재해 위험성 및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모듈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토사량 및 구조안전성을 계측하고, 계측된 데이터를 현장관리시스템과 상호 통신하는 IOT센서모듈; 및 상기 IOT센서모듈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구조물의 어느 한 부분 또는 상기 구조물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자체 전력 생산이 가능한 태양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블록 구조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블록모듈의 외측면에는 서로 대칭되지 않는 3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양각부; 및 상기 양각부가 형성되지 않은 3면에 상기 양각부와 상호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음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각부는 상기 블록모듈의 상면 및 전면에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모듈이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워지는 끼움돌기; 및 상기 블록모듈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모듈이 지지될 수 있도록 맞춰지는 맞춤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음각부는 상기 블록모듈의 하면 및 후면에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모듈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양각부에 상호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끼움홈; 및 상기 블록모듈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모듈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양각부와 상호 대응되는 맞춤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 및 끼움홈은 이웃하는 상기 블록모듈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모듈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외부 식생의 생육이 가능하도록 베이스를 이루는 조경데크; 및 상기 프레임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식생모듈 및 블록모듈을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조경데크는 토낭 또는 야자소재 외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모듈에는 상기 구조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여 재해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현장관리시스템의 제어 신호에 의해 경고등이 켜지는 발광체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조합하여 주변에 재해 위험을 전파하는 경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태양광모듈에는 해가 없는 시간에도 상기 IOT센서모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설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구조물의 설치 규모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설치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외부 식생의 조성이 가능하여 심미적으로 우수한 친환경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으며, 구조물에 가해지는 토사의 압력 및 구조적 안전성을 계측하고, 재해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될 시 주변에 경고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블록 구조체의 블록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블록 구조체의 식생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블록 구조체의 태양광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4는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블록 구조체의 설치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일체형 콘크리트 구조체 설치 방식이 아닌 블록 조립방식의 구조물을 설치하고 사방사업과 IT의 융합을 통한 스마트 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는 친환경 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친환경 블록 구조체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모듈(100), 식생모듈(200), IOT센서모듈(300) 및 태양광모듈(4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상기 구조물이란, 재해예방구조물이나 보강토블록, 사방댐, 담장, 옹벽, 방음벽, 건물의 측벽, 사면호보벽 및 호안벽 등 재해의 발생으로 인명 또는 재산의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각종 다양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블록모듈(1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상호 적층, 조립 및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져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도록 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블록모듈(100)의 외측면에는 양각부(110) 및 음각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양각부(110)는 상기 블록모듈(100)의 외측면 중 서로 대칭되지 않는 3명에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록모듈(10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각부(110)는 그 형태에 따라 끼움돌기(111) 및 맞춤돌기(112)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끼움돌기(111)는 상기 블록모듈(100)의 상면 및 전면에 형성되어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모듈(100)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음각부(120)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맞춤돌기(112)는 상기 블록모듈(10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모듈(100)이 상호 지지되어 튼튼하게 맞춰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각부(120)는 상기 블록모듈(100)의 외측면 중 상기 양각부(110)가 형성되지 않은 3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상기 양각부(110)와 상호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모듈(100)의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양각부(110)의 개수 및 형성되는 위치와 동일한 개수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블록모듈(100)이 견고하게 상호 끼움 결합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각부(120) 역시 상기 양각부(110)와 마찬가지로 그 형태에 따라 끼움홈(121) 및 맞춤홈(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끼움홈(121)은 상기 블록모듈(100)의 하면 및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모듈(100)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양각부(110), 그 중에서도 상기 끼움돌기(111)에 상호 대응되도록 상기 블록모듈(100)의 내측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끼움돌기(111)의 개수 및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동일한 개수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블록모듈(10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맞춤홈(122)은 상기 블록모듈(10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어느 한 측면, 즉, 상기 맞춤돌기(112)가 형성된 반대쪽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모듈(100)이 긴밀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양각부(110), 그 중에서도 상기 맞춤돌기(112)와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록모듈(10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끼움돌기(111) 및 맞춤돌기(112)로 구성되는 상기 양각부(110) 및 상기 끼움홈(121) 및 맞춤홈(122)으로 구성되는 상기 음각부(120)는 상기 끼움돌기(111)와 상기 끼움홈(121)이 상호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고, 상기 맞춤돌기(112)와 상기 맞춤홈(122)이 상호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상기 블록모듈(100)이 적층, 조립 및 결합되어 구조물을 이루는 상기 블록모듈(100)이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모듈(100)과 견고하게 끼움 결합되고,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111)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끼움홈(121)은 복수 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모듈(100)의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켜 구조적 안전성을 보다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식생모듈(2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모듈(100)의 어느 한 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식생모듈(200)의 전면부에 외부 식생이 조성되어 복수의 상기 블록모듈(100)이 결합되어 설치되는 구조물이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심미적 우수함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식생모듈(200)은 그 틀을 이루는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에 결합되고, 외부 식생의 생육이 가능하도록 베이스를 이루는 조경데크(220) 및 상기 프레임(210)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식생모듈(200)이 상기 블록모듈(1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23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경데크(220)는 외부 식생이 자리잡고 자생하기 용이하도록 식생토가 채워진 토낭 또는 야자소재 외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조경데크(220)는 상기 프레임(210)에 덧씌워져 박음질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30)는 상기 프레임(210)의 어느 한 부분에 복수 개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블록모듈(100)의 전면부에 결합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230)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블록모듈(100)에는 상기 결합부(230)에 대응하여 끼워지거나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미도시)가 더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IOT센서모듈(300)은 상기 블록모듈(100)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재해 위험성 및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모듈(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토사량 및 구조안전성을 계측하고, 계측된 데이터를 현장관리시스템(S)과 상호 통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블록모듈(100)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는 상기 IOT센서모듈(300)은 복수의 상기 블록모듈(100)이 결합됨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블록모듈(100)의 결합으로 설치되는 구조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IOT센서모듈(30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현장관리시스템(S)으로 전송함으로써, 계곡의 상류에서 흘러 내려온 토사 또는 나무가 점차 쌓여 구조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점차 높아지면서 상기 현장관리시스템(S)에서 설정해 놓은 기준 값을 초과하거나 위험수치에 근접하여 재해의 발생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즉각 대응하여 구조물을 보수 하거나, 구조물의 후방에 쌓인 토사 및 나무를 제거함으로써 구조물의 붕괴로 일어날 수 있는 재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은 각각의 블록모듈(100)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보수가 필요한 상기 블록모듈(100)만을 교체하여 줌으로써 상기 구조물의 보수 작업 역시 쉽고 간편하게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태양광모듈(400)은 자체적으로 전력의 생산이 가능하고, 상기 IOT센서모듈(30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IOT센서모듈(300)에 전력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구조물의 상단 또는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거나, 상기 구조물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태양광모듈(40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여 재해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현장관리시스템(S)의 제어 신호에 의해 경고등이 켜지는 발광체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조합하여 주변에 재해 위험을 전파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구조물의 인근에 있던 사람들이 피신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구조물의 인근에 있는 주택가에서 충분히 대비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만에 하나 발생될 수 있는 상기 구조물의 붕괴로 인한 인명 및 재산적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경고수단(4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IOT센서모듈(30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 받은 상기 현장관리시스템(S)에서 재해 위험을 판단하여 상기 구조물을 보수하거나 상기 구조물의 후방에 과하게 쌓인 토사 또는 나무를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기에 시간적으로 급박한 상황인 폭우 또는 산사태 등의 경우에 인명 및 재산적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주변 주택가 또는 사람들이 대비할 수 있도록 피난 경고를 전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태양빛을 이용하여 자체 전력을 생산하는 상기 태양광모듈(400)에는 자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해두는 저장부(420)를 더 구비함으로써, 해가 없는 저녁 시간대나, 날이 흐려 태양빛이 약한 날에도 상기 IOT센서모듈(300)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구조물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막힘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친환경 블록 구조체가 결합된 상기 구조물은 도4에 나타나는 예시도를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설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구조물의 설치 규모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설치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외부 식생의 조성이 가능하여 심미적으로 우수한 친환경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으며, 구조물에 가해지는 토사의 압력 및 구조적 안전성을 계측하고, 재해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될 시 주변에 경고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안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블록모듈 110 : 양각부
111 : 끼움돌기 112 : 맞춤돌기
120 : 음각부 121 : 끼움홈
122 : 맞춤홈 200 : 식생모듈
210 : 프레임 220 : 조경데크
230 : 결합부 300 : IOT센서모듈
400 : 태양광모듈 410 : 경고수단
420 : 저장부 S : 현장관리시스템

Claims (9)

  1. 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결합되는 블록모듈;
    상기 블록모듈의 어느 한 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면부에 외부 식생이 조성되는 식생모듈;
    상기 블록모듈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고, 재해 위험성 및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모듈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토사량 및 구조안전성을 계측하고, 계측된 데이터를 현장관리시스템과 상호 통신하는 IOT센서모듈; 및
    상기 IOT센서모듈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구조물의 어느 한 부분 또는 상기 구조물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자체 전력 생산이 가능한 태양광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식생모듈은,
    틀을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외부 식생의 생육이 가능하도록 베이스를 이루는 조경데크; 및
    상기 프레임의 어느 한 부분에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식생모듈 및 블록모듈을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경데크는,
    상기 프레임에 덧씌워져 박음질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블록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모듈의 외측면에는,
    서로 대칭되지 않는 3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양각부; 및
    상기 양각부가 형성되지 않은 3면에 상기 양각부와 상호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음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블록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는,
    상기 블록모듈의 상면 및 전면에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모듈이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워지는 끼움돌기; 및
    상기 블록모듈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모듈이 지지될 수 있도록 맞춰지는 맞춤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블록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부는,
    상기 블록모듈의 하면 및 후면에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모듈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양각부에 상호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끼움홈; 및
    상기 블록모듈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록모듈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양각부와 상호 대응되는 맞춤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블록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 및 끼움홈은,
    이웃하는 상기 블록모듈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블록 구조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경데크는,
    토낭 또는 야자소재 외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블록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모듈에는,
    상기 구조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여 재해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현장관리시스템의 제어 신호에 의해 경고등이 켜지는 발광체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조합하여 주변에 재해 위험을 전파하는 경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블록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모듈에는,
    해가 없는 시간에도 상기 IOT센서모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블록 구조체.
KR1020180152834A 2018-11-30 2018-11-30 친환경 블록 구조체 KR102228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834A KR102228870B1 (ko) 2018-11-30 2018-11-30 친환경 블록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834A KR102228870B1 (ko) 2018-11-30 2018-11-30 친환경 블록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913A KR20200065913A (ko) 2020-06-09
KR102228870B1 true KR102228870B1 (ko) 2021-03-17

Family

ID=71083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834A KR102228870B1 (ko) 2018-11-30 2018-11-30 친환경 블록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8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503B1 (ko) * 2020-10-13 2021-03-02 경민수 스마트 보강토 블록 기반 사면 관리 시스템
KR102441680B1 (ko) * 2022-04-21 2022-09-08 (주)성지콘크리트 재난방지용 콘크리트 옹벽블록 운영 관리 시스템
KR20240008102A (ko) * 2022-07-11 2024-01-18 탑전자산업 주식회사 관로에 대응하여 크기 및 모양 변경이 용이한 관로 검사 로봇을 포함하는 관로 검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353B1 (ko) * 2010-03-25 2010-08-05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옹벽 식생백의 수평연결재 체결고리
KR101704740B1 (ko) * 2015-08-28 2017-02-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파블록 조립체 및 소파블록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57200B1 (ko) * 2017-10-25 2018-06-20 김한종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517B1 (ko) 2010-01-15 2010-10-29 윤근수 조립식 친환경 식생블록
AT514303B1 (de) * 2013-05-06 2015-06-15 Resco Consulting Gmbh Dammstein, Hochwasserdamm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353B1 (ko) * 2010-03-25 2010-08-05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옹벽 식생백의 수평연결재 체결고리
KR101704740B1 (ko) * 2015-08-28 2017-02-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파블록 조립체 및 소파블록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57200B1 (ko) * 2017-10-25 2018-06-20 김한종 안전진단형 보강블록 시공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913A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870B1 (ko) 친환경 블록 구조체
Mao et al. Dynamics and management alternatives of in-channel large wood in mountain basins of the southern Andes
Anderson Amphibious Architecture Living with a Rising Bay
US20050158122A1 (en) Method for contructing check dam or fire prevention dam using gear-type block
JP6541012B1 (ja) 津波防災丘陵の断面形と丘陵内部に備えた広域避難地および多目的機能
Morris et al. Urban stream rehabilitation: a design and construction case study
CN204608800U (zh) 一种吸水膨胀土工网垫
CN208328984U (zh) 生态格框挡墙
Carreño C et al. The Alcamayo and Cedrobamba catastrophic debris flow (January, March and April 2004) in Machupicchu area—Peru
Hawley et al. Watershed-Scale Strategies to Increase Resilience to Climate-Driven Changes to Surface Waters: North American Electric Power Sector Case Study
KR200408078Y1 (ko) 연결식 식생호안블록
Yevjevich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of flood mitigation measures
KR101003737B1 (ko) 친환경 사면 보호공법 및 그 구조체
Hidayat et al. Sediment management of reservoirs in volcanic area: Case of wlingi and lodoyo reservoirs in Indonesia
Ward et al. Climate adaptation in the city of Jakarta
Barnett et al. Managing the Climate Crisis: Designing and Building for Floods, Heat, Drought, and Wildfire
KR100996518B1 (ko) 사방댐과 이의 시공방법
Van Register Rethinking Development in East New Orleans
Luce et al. Climate Change Effects on Water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in Southwest Oregon
Hargono Sabo, sediment control strategy in Indonesial
O'Donoghue Evaluation of engineering solutions to protect Cairns from coastal inundation due to storm surge and sea level rise
Filip et al. Mitigation Strategies Used to Reduce the Effects of Natural Hazards
ES2349835A1 (es) Minipresa modular.
Al-Weshah et al. Watershed Management: A Tool for Flood Mitigation in the Petra Area (Jordan)
Takezawa et al. Measures for mitigation of flood hazards in Jap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