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688B1 -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 Google Patents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688B1
KR101187688B1 KR1020100036797A KR20100036797A KR101187688B1 KR 101187688 B1 KR101187688 B1 KR 101187688B1 KR 1020100036797 A KR1020100036797 A KR 1020100036797A KR 20100036797 A KR20100036797 A KR 20100036797A KR 101187688 B1 KR101187688 B1 KR 101187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hose
drip irrigation
water supply
irrigation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7379A (ko
Inventor
조흥열
Original Assignee
조흥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흥열 filed Critical 조흥열
Priority to KR1020100036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688B1/ko
Publication of KR20110117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3Dispensing fittings for drip irrigation, e.g. dri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건물의 벽면이나 천정, 바닥 등을 자연친화적인 환경으로 장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호스본체와 호스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호스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심지를 포함하는 점적관수용 호스와, 가로 및 세로로 배열하여 조립되고 각각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한쪽 방향으로 길게 결합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체결구멍에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저면에 설치되고 하나의 베이스판에 복수개가 배열되어 결합되고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심지 중의 1개 이상이 저면을 관통하여 내부의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식재상자를 포함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Landscape Installation Using Hose for Drip Irrigation and Base Plate}
본 발명은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간격으로 심지를 설치하여 점적관수를 효과적으로 행함은 물론, 식물이 식재된 식재상자를 벽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관한 것이다.
점적관수는 가는 구멍이 뚫린 관을 땅속에 약간 묻거나 땅 위로 늘여서 작물 포기마다 물방울 형태로 물을 주는 방식으로, 과수와 포기 사이가 넓은 채소 작물에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점적관수를 이용하면, 적은 수량으로 관수가 가능해 물과 인력이 절약되고, 적정한 공기를 유지해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며, 토양의 과도한 습도를 방지해 병해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점적관수를 통해 비료를 공급할 수도 있으며, 작물의 품질향상으로 수확량을 높일 수 있어 새로운 농법으로 점적농법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점적관 또는 점적호스는 화분이나 포트 등에 적용하는 것이 어려운 구조이다.
최근에는 건물의 벽면이나 바닥, 도로변의 옹벽이나 다리의 난간 등에 친환경적인 조경을 위하여 화분이나 조경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정 간격으로 심지가 설치된 점적관수용 호스를 베이스판에 설치하고 점적관수용 호스를 사이에 두고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상자를 베이스판에 결합하여 건물의 벽면이나 천정, 바닥 등을 자연친화적인 환경으로 장식하는 것이 가능한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는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호스본체와 상기 호스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호스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심지를 포함하는 점적관수용 호스와, 가로 및 세로로 배열하여 조립되고 각각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한쪽 방향으로 길게 결합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체결구멍에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저면에 설치되고 하나의 베이스판에 복수개가 배열되어 결합되고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심지 중의 1개 이상이 저면을 관통하여 내부의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식재상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식재상자의 저면에는 상기 호스본체의 외주면 일부를 1/3~2/3 정도 감싸며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형성한다.
상기 호스본체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고무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심지는 상기 호스본체의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튜브체와, 상기 튜브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호스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를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외부로 유도하는 다수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점적섬유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체는 외력이 가해지면 형상의 변경되는 연질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의하면, 원통형의 호스본체를 일정 간격을 두고 심지를 삽입 설치하는 것으로 제조가 완료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의하면, 심지를 구성하는 섬유의 모세관현상을 이용하여 점적이 이루어지므로, 섬유의 밀도나 지름 또는 수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모세관력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용도에 따라 맞춤식으로 제조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의하면, 튜브체에 점적섬유체를 관통 삽입하여 심지를 구성하므로, 점적이 이루어지는 수로가 폐쇄될 우려가 없으며,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의하면, 건물의 벽면이나 천정, 바닥 등에 베이스판을 설치하고 점적관수용 호스를 베이스판에 결합 설치한 상태에서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상자를 심지가 내부로 관통되도록 베이스판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되므로, 실내 및 실외의 조경 시공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작업시간 및 시공비를 크게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의하면, 높은 곳에 설치된 식재상자에도 효과적으로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지속적으로 용이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건물의 천정 및 벽면에 대해서도 자연친화적인 환경으로 조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경의 관리도 적은 비용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의하면, 건물의 외벽 전체와 옥상 등에 대하여 조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건물이 밀집된 도시의 경우에도 자연친화적인 녹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여름철 건물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냉방비의 절감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탄소배출이 크게 절감되고, 녹지가 증대되어 도시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지며, 쾌적한 생활환경을 추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판에 점적관수용 호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를 건물의 벽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있어서 점적관수용 호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있어서 점적관수용 호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있어서 커넥터를 사용하여 호스본체를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있어서 식재상자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있어서 식재상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있어서 식재상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있어서 식재상자에 지지끈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있어서 식재상자에 지지끈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있어서 마감테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분해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를 건물의 벽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있어서 급수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있어서 급수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있어서 자가발전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적관수용 호스(100)와, 복수의 식재상자(200)와, 베이스판(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점적관수용 호스(100)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호스본체(110)와, 상기 호스본체(1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호스본체(110)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심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호스본체(110)는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호스본체(110)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연질 합성수지나 고무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호스본체(110)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면, 내마모성이 우수(예를 들면 고무호스에 비하여 2.5~5배 정도, 연성 폴리염화비닐호스에 비하여 3~4배 정도 내마모성이 우수함)하고, 가볍고 신축성이 뛰어나며,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내용물의 흐름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호스본체(110)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탄력성과 신축성이 매우 우수하고, 복원력이 좋고 영구 압축률이 낮아 내구성이 우수하며, 잘 찢겨지지 않아 쉽게 손상되지 않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스본체(110)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면, 내약품성이 크고, 자외선과 날씨 등에 대한 내후성이 우수하고, 연화점이 높고 내열성이 커서 화재시에 다른 연질 합성수지나 고무에 비해 안전하다. 또 상기 호스본체(110)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하면, 저온에서 신축성이 매우 커서 겨울철에 작업하는 경우에도 부러질 위험성이 낮다.
상기 심지(120)는 상기 호스본체(1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심지(120)는 상기 호스본체(110)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심지(120)는 튜브체(122)와 점적섬유체(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체(122)는 상기 호스본체(110)의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튜브체(122)는 외력이 가해지면 형상의 변경되는 연질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점적섬유체(124)는 상기 튜브체(122)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점적섬유체(124)는 상기 호스본체(110)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를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외부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점적섬유체(124)는 다수의 섬유로 구성된다.
상기 점적섬유체(124)는 실과 같은 섬유 여러 가닥이 일체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튜브체(122)에 삽입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다수의 섬유 가닥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묶음으로 일체화된 상태에서 튜브체(122)에 삽입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점적섬유체(124)를 구성하는 섬유로는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재질의 섬유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심지(120)는 상기 호스본체(110)에 형성되는 심지구멍(112)에 압입되어 설치된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의 심지구멍(112) 내경을 상기 심지(120)의 튜브체(122) 외경보다 작게 형성한 다음, 상기 심지(120)의 점적섬유체(124)가 설치된 튜브체(122)를 심지구멍(112)에 강제로 압입하게 되면, 호스본체(110)가 탄성력에 의하여 튜브체(122) 외면을 조이면서 가압하게 되고, 튜브체(122) 및 점적섬유체(124)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호스본체(1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강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연질의 튜브체(122)가 호스본체(11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어 변형되면, 점적섬유체(124)와 튜브체(122)가 일체로 밀착되는 상태로 되고, 튜브체(122)의 외면과 호스본체(110)의 심지구멍(112) 내면이 서로 강하게 밀착되어 자연스럽게 누수가 방지되는 수밀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호스본체(11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튜브체(122)에 대한 고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호스본체(110)의 두께를 1mm 이상(바람직하게는 1~10mm)으로 형성하는 것이 튜브체(12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탄성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의 두께를 너무 두껍게 형성하게 되면, 튜브체(122)를 삽입하는 작업이 어렵고, 탄성력(복원력)이 커져서 설치공간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휘면서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성과 시공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체(122)의 외면과 심지구멍(112)의 내면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거나 도포하여 상기 심지(120)를 호스본체(110)에 고정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튜브체(122)와 호스본체(110)를 초음파나 유도가열 등을 이용하여 융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심지(12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스본체(110)에 1열로 배치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에 설치되는 심지(120) 사이의 간격은 2~60cm 정도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cm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심지(120)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으면, 식물의 식재 간격에 비하여 너무 좁은 공간에서 점적관수가 이루어지므로, 물의 낭비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심지(120)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으면, 식물의 식재 간격에 비하여 너무 넓은 공간에서 점적관수가 이루어지므로, 식물의 생장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나아가 상기 심지(120) 사이의 간격은 식물의 식재 간격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식물을 1m 이상의 간격으로 식재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심지(120) 사이의 간격을 1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점적관수용 호스(10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310)를 이용하여 서로 길게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310)에는 상기 호스본체(110)에 삽입될 때에 내면에 밀착되면서 누수가 방지되는 수밀구조를 이루도록 하나이상의 수밀돌기(312)를 양쪽에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310)는 중앙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파지돌기(314)를 형성한다.
상기 파지돌기(314)의 외주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요철이나 주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재상자(2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400)에 저면부분이 결합되어 지지된다.
상기에서 식재상자(200)의 저면에는 도 2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스본체(110)의 외주면 일부를 1/3~2/3 정도 감싸며 결합되도록 결합홈(210)을 형성한다.
상기 식재상자(200)는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식재상자(200)는 한쪽면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하며, 사각통형상이나 육각통형상, 원통형상, 타원통형상, 속이 빈 구형상, 속이 빈 과일형상 등의 다양한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식재상자(200)는 별모양이나 나뭇잎, 하트모양, 꽃모양 등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통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식재상자(200)는 가볍고 강도가 우수하며 내구성 및 내후성 등이 우수한 합성수지나 세라믹, 유리 등의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식재상자(200)는 한변의 길이 또는 지름을 대략 3cm 정도로부터 1m 정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식재상자(200)의 크기가 클 경우(예를 들면, 한변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측면의 중앙부 내면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돌기(25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10 참조).
상기 보강돌기(250)에는 필요에 따라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감아서 보다 확실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뿌리지지구멍(252)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11 참조).
상기와 같이 뿌리지지구멍(252)을 형성하게 되면, 식물의 뿌리가 뻗어나가면서 뿌리지지구멍(252)을 감싸게 되어 지지력이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식재상자(200)에는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손잡이홈(242)을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에 설치되는 심지(120) 중의 1개 이상이 상기 식재상자(200)의 저면을 관통하여 내부의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식재상자(200)의 저면에는 상기 심지(120)가 관통 삽입되는 급수구멍(212)이 형성한다. 상기 급수구멍(212)은 상기 결합홈(210)에 위치하여 형성된다.
상기 식재상자(200)의 측면에는 복수의 통기구멍(222)을 형성한다. 상기 통기구멍(222)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 대응하여 형성하는 것이 통기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통기구멍(222)은 측면 전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통기구멍(222)을 형성하게 되면, 내부로 충분하게 산소가 공급되도록 적절한 수와 크기, 간격 등을 설정하여 형성한다.
상기 통기구멍(222)으로는 비가 오는 경우나 물이 과도하게 공급된 경우에 물의 배출도 이루어진다.
상기 통기구멍(222)의 크기는 상기 식재상자(200)의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인공토양이나 모래, 흙 등)이 용이하게 유출되지 않도록 토양의 입도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식재상자(200)의 내면에 토양이 통기구멍(222)을 통하여 유출되지 않도록 천이나 망 등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식재상자(200)에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재되는 식물이나 내부에 채워지는 토양이 쉽게 쏟아지지 않도록 복수의 지지끈(26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끈(260)은 통기구멍(222)을 통하여 서로 엇갈리도록 설치하며, 다단으로 얼기설기 엮어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끈(260)으로는 천연섬유나 합성섬유, 금속 와이어, 나무토막, 석재나 세라믹 등의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지지끈(260)을 설치하게 되면, 식재상자(200)를 옆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쉽게 내부의 토양이나 식재된 식물이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나아가 다수의 지지끈(260)을 다단으로 설치하게 되면,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지지끈(260)을 휘감으면서 성장하므로, 식재상자(200) 내부에 확고하게 위치를 잡아 지지력을 확보하게 되고, 식물의 뿌리가 내부의 토양도 잡아주게 되어 식재상자(200)를 옆으로 또는 거꾸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식재상자(200)의 저면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부재(230)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체결부재(230)의 끝부분에는 상기 베이스판(400)의 체결구멍(430)을 관통한 다음, 걸려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끝부분에 걸림턱(23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230)는 상기 체결구멍(132)에 삽입될 때에 체결구멍(132)을 자연스럽게 확장시키면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끝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230)와 체결구멍(43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체결부재를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고, 상기 식재상자(200)에 형성되는 체결구멍과 상기 베이스판(400)에 형성된 체결구멍(430)을 체결부재를 관통시켜 상기 식재상자(200)를 베이스판(400)에 일체로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판(400)은 지면이나 옹벽, 건물의 바닥면이나 벽면 등에 고정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판(400)에는 상기 식재상자(200)의 체결부재(23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체결구멍(430)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체결부재(230)는 상기 식재상자(200)의 바닥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략 2~10개 정도를 가로 또는 세로로 배열하여 형성한다.
상기 체결부재(2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폭(width)쪽이 배열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부재(230)를 얇은 두께(thickness)와 길이가 긴 폭(width)으로 이루어지는 직육면체의 기둥형태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체결부재(230)를 세로방향으로 길이가 긴 폭쪽을 배열하면, 다른 하나의 체결부재(230)를 가로방향으로 길이가 긴 폭쪽을 배열하여 형성한다.
또 상기 체결부재(23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방향으로만 긴 폭쪽을 배열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판(400)에 형성되는 체결구멍(430)은 상기 식재상자(200)의 체결부재(230)가 각각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점적관수용 호스(100)의 호스본체(110)는 상기 식재상자(200)와 베이스판(400)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호스본체(110)는 상기 베이스판(400)에 소정의 간격(예를 들면 식재상자(200)의 크기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상기 식재상자(200)의 체결부재(2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400)의 체결구멍(430)에 각각 대응하여 삽입된다.
상기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식재상자(200)에 직육면체의 기둥형상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체결부재(230)를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폭(width)이 배열되도록 형성하게 되면, 세로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및 가로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모두에 있어서, 길이가 긴 폭(width)방향이 외력의 작용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체결부재(230)가 적어도 하나이상 존재하여 힘을 받게 되므로 일정한 대항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체결부재(230)가 외력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어 식재상자(200)가 눕혀지거나 쓰러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230)는 상기 식재상자(200)의 바닥면 가장자리 및/또는 구석부분 등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체결부재(230)의 끝부분에는 상기 체결구멍(4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구멍(430) 주위에 걸려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걸림턱(234)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걸림턱(234)을 형성하면, 체결부재(230)가 체결구멍(4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식재상자(200)가 옆으로 눕혀져 설치되는 경우(지면과 수직한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베이스판(400)과의 결합강도가 우수하게 유지된다.
상기에서 걸림턱(234)은 한쪽 방향으로 배열된 체결부재(230)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가로방향으로 길게 폭(width)쪽이 배열되어 설치되는 체결부재(230)에만 형성하거나 세로방향으로 길게 폭(width)쪽이 배열되어 설치되는 체결부재(230)에만 형성하는 것이, 식재상자(200)를 교체하거나 보수하기 위하여 베이스판(400)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식재상자(200)의 바닥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스본체(110)의 반정도가 삽입되도록 대략 반원형상의 결합홈(410)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베이스판(40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로 배열하여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판(400)은 하나의 베이스판(400)에 다수의 식재상자(200)가 가로 및/또는 세로로 배열되어 조립되도록 식재상자(200)의 복수배의 면적으로 형성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판(400)은 상기 식재상자(200)의 넓이와 동일한 넓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식재상자(200)의 결합홈(410)과 베이스판(400)의 결합홈(410)은 서로 마주하여 접함에 따라 내부에 상기 호스본체(110)가 위치하도록 원통형상을 이룬다.
상기 베이스판(400)의 결합홈(41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스본체(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414)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걸림돌기(414)는 상기 결합홈(410)의 입구쪽 끝부분에 한쌍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결합홈(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쌍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판(400)에는 건물의 벽면 등에 앵커볼트나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구멍(450)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호스본체(1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에 걸쳐서 하나의 라인을 형성하도록 직렬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고, 병렬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호스본체(11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물이 공급되는 수도꼭지나 물탱크, 하천, 수로 등과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기 호스본체(110)에는 물의 공급여부 및 급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밸브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물을 압송시키거나 순환시키기 위한 급수펌프를 연결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의 수도꼭지나 물탱크 등에 연결되는 반대쪽 끝부분은 폐쇄하여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고, 하수구쪽으로 연결하여 공급되고 남은 물이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물이 순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호스본체(110)를 통과하는 급수량의 조절은 상기 개폐밸브 또는 급수펌프에 타임스위치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400) 둘레를 따라 링형상으로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마감테(49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마감테(490)는 상기 베이스판(400) 또는 벽면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마감테(490)는 상기 베이스판(400)이 이루는 테두리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식재상자(200)의 개구쪽(입구쪽) 끝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식재상자(200)의 개구쪽 끝면을 수직면에 대하여 대략 3~60°정도의 기울기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식재상자(200)의 바닥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바닥면은 상기 식재상자(200)가 상기 베이스판(400)의 한쪽면(수직면)에 대하여 대략 3~60°정도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식재상자(200)의 개구된 끝면이나 바닥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면, 상기 베이스판(400)의 한쪽(앞쪽)면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상태로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식재상자(200)가 상기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옆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식재상자(200)로부터 토사, 자갈 등이 쏟아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식재된 식물이 안정된 상태로 식재상자(200) 내에 지지되며 식물이 수평 또는 위쪽을 향하여 자라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400)의 한쪽(앞쪽)면을 계단형상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판(400)의 한쪽면을 각각 단턱(450)에 의해 서로 구획되며 연이어 형성되는 복수의 경사면(460)으로 형성한다.
상기 경사면(460)은 상기 식재상자(200)가 베이스판(400)의 한쪽면(수직면)에 대략 3~60°정도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판(400)의 한쪽면을 계단형상으로 형성하면, 상기 식재상자(200)이 개구쪽 끝면이나 바닥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지 않고도 식재상자(200)가 옆으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식재상자(200)의 개구쪽 끝면이 바닥면쪽 보다 높게 위치하므로, 상기 식재상자(200)로부터 토사, 자갈 등이 쏟아져 내리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식재된 식물이 안정된 상태로 식재상자(200) 내에 지지되며, 식물이 위쪽을 향하여 자라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재상자(200)의 개구쪽(입구쪽) 끝면 및 바닥면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베이스판(400)의 한쪽면(식재상자(200)가 조립되는 면)에 형성되는 경사면(460)을 수직면에 대하여 3°미만의 기울기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효과가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으며, 수직면에 대하여 60°를 초과하는 기울기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노출되는 측면의 면적이 넓어져 장식미가 떨어지고 벽면 조경의 효과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호스본체(11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급수장치(600)는 물공급원(610)과, 주급수관(620)과, 배수관(630)과, 온도측정부(642), 강우감지부(644), 제어부(6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공급원(610)으로는 상기 식재상자(200)에 식재된 식물(잔디, 풀, 꽃, 소형 관목, 교목, 채소, 과일 등)에 공급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나 수도관, 지하수관 등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물공급원(6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는 필요에 따라 식재상자(200)에 식재된 식물에 적합한 영양분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물공급원(610)을 물탱크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점적관수용 호스(100)쪽으로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식재상자(200)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주급수관(620)에는 급수개폐밸브(624)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급수관(620)은 상기 물공급원(610)과 상기 호스본체(11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물공급원(610)의 물은 주급수관(620)을 통하여 상기 호스본체(110)로 공급된다.
상기 배수관(630)에는 배수개폐밸브(634)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개폐밸브(634)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관(630)은 상기 호스본체(110) 종단부(끝부분)에 연결되고 지면이나 하수구 또는 배수구쪽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배수관(630)을 통하여 상기 호스본체(110)에 잔류하는 물이 지면이나 하수구 쪽으로 배출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630)의 배수개폐밸브(634)가 설치되기 이전 지점에서 분기하여 드레인관(69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드레인관(690)은 호스본체(110)의 물을 다시 물공급원(610)쪽으로 환수하여 재사용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온도측정부(642)는 베이스판(400) 또는 마감테(490)의 한쪽에 설치되어 식재상자(200)가 설치된 지역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온도측정부(642)는 온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어부(660)로 측정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디지털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우감지부(644)는 상기 베이스판(400) 또는 마감테(490)의 한쪽에 설치되어 식재상자(200)가 설치된 지역의 강우여부(비가 내리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강우감지부(644)는 강우량계나 강우감지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온도측정부(642)와 강우감지부(644)는 하나의 기판에 세트로 구성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온도측정부(642)와 강우감지부(644)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와 배수개폐밸브(634)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개방하여 물공급원(610)의 물을 상기 호스본체(110)로 공급하는 물공급상태와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폐쇄하고 상기 배수개폐밸브(634)를 개방하여 상기 호스본체(110)에 잔류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상태를 상기 온도측정부(642)와 강우감지부(644)로부터의 측정신호에 따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온도측정부(642)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온도(예를 들면 0℃) 미만이면,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배수개폐밸브(634)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은 배수상태로 전환하여 제어부(660)에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호스본체(110)에 공급되는 물은 차단된 상태에서, 호스본체(110)에 잔류하는 물은 배수관(630)을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호스본체(110) 내부의 물이 얼어 파손되는 사고(동파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온도측정부(642)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이 설정온도(예를 들면 0℃) 이상이면,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에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배수개폐밸브(634)에는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이 때 상기 물공급원(6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흘러내리는 물(예를 들면 샘물이나 냇물, 강물 등)이어서 계속하여 흘려보내는 것이 가능할 경우에는 배수개폐밸브(634)를 폐쇄상태로 변경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물공급상태로 전환하여 제어부(660)에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호스본체(110)에 물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물이 어는 온도인 0℃를 기준으로 제어부(660)에서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질적으로 식물이 물을 별로 필요로 하지 않는 낮은 온도(예를 들면 5℃ 또는 10℃, 15℃ 이하)에서는 물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부(66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식재상자(200)에 식재되는 식물이 지속적인 물의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식물(예를 들면 선인장 등)인 경우에는 타이머(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제어부(660)에 연결하여 일정 주기별(예를 들면 시간단위나 일단위, 주단위 등)로 물의 공급과 차단을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강우감지부(644)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에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상기 온도측정부(642)로부터 입력되는 온도 측정값에 관계없이 상기 강우감지부(644)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에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즉 비가 오는 날씨에서는 별도로 식재된 식물에 물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호스본체(110)로 물을 공급하는 주급수관(620)의 급수개폐밸브(624)를 폐쇄상태로 변경한다.
상기에서 강우감지부(644)로부터 입력된 강우신호에 의하여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개폐밸브(634)는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비가 오는 날씨의 경우에는 상기 호스본체(110)에 물이 잔류하는 것도 가능하고, 호스본체(110)의 물을 배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호스본체(110)에 물이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빗물이 식재상자(200)의 식재공간에 스며드는 물의 배수가 원활하지 않을 수가 있으므로, 배수개폐밸브(634)를 개방하여 호스본체(110)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강우감지부(644)로부터 비가 오는 것으로 측정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측정부(642)로부터 설정온도 미만으로 온도 측정값이 입력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수상태로 제어를 전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강우감지부(644)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온도측정부(642)로부터 입력되는 온도 측정값에 따라 제어를 행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상기 강우감지부(644)로부터 비가 오는 신호가 입력되다가 비가 오지 않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에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660)에서 강우감지부(644)의 측정신호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비가 올 경우에는 호스본체(110)에 물의 공급이 차단되어,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비가 내릴 경우에는 식재상자(200)에 식재된 식물이나 토양이 비로부터 충분하게 수분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추가적인 물의 공급이 필요없다.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온도측정부(642)에서 측정되는 온도 측정값에 따라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60)는 상기 온도측정부(642)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30℃ 이상의 고온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도를 최대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충분하게 유지하고, 상기 온도측정부(642)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25~30℃의 범위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도를 중간에서 최대 사이에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중간으로 유지하고, 상기 온도측정부(642)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15~25℃의 범위일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도를 최소에서 중간 사이에서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을 소량으로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급수개폐밸브(624)를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수압을 작게 유지하면, 식재상자(200)에 식재된 식물이 토양으로부터 수분을 빨아들이는 정도에 따라서 호스본체(110)의 물이 소비되면서 이에 따라 물의 공급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660)에 있어서 정상적인 물공급상태는 급수개폐밸브(624)를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고, 식재상자(200)에 식재된 식물에 의하여 소비되는 물의 양에 따라 단속적 또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60)는 물공급상태에서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도를 최소에서 최대 사이에서 물의 소비량에 따라서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급수개폐밸브(624)의 개방과 폐쇄를 일정 주기(시간대별, 일단위별, 주단위별, 월단위별)마다 반복 행하여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날씨나 온도, 식물의 종류 등에 따라서 맞춤형으로 물의 공급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부(66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있어서 급수장치(600)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공급원(610)과 주급수관(620) 사이에 펌프(67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펌프(670)를 설치하게 되면 물공급원(610)의 높이(예를 들면 물탱크의 높이)를 식재상자(200)가 설치된 베이스판(400)의 높이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펌프(670)의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660)에서 작동여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660)에서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폐쇄상태로 변경하는 경우에 펌프(67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급수개폐밸브(624)를 개방상태로 변경하는 경우에 펌프(670)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이 펌프(67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급수개폐밸브(624)가 개방상태로 변경되어도 펌프(67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의 공급이 제한적이므로, 펌프(670)의 작동여부를 상기 제어부(660)에서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에 있어서 급수장치(600)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양광이나 태양열, 풍력, 수력 등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여 상기 제어부(660)와 펌프(670)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부(65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자가발전부(650)를 설치하게 되면, 장기간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자동제어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원의 공급이 어려운 지역이나 지점에서도 효과적으로 식재상자(200)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로변에 설치되는 광고판이나 구조물의 벽면에 식재상자(200)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자연력에 의한 발전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효과적으로 조경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자가발전부(650)는 태양전지모듈(652)과, 상기 태양전지모듈(6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축전지(654)와, 상기 축전지(6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버터(6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태양전지모듈(652)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태양광 발전을 위하여 사용되는 태양전지모듈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태양전지모듈(652)은 태양광의 조사가 용이하도록 기둥을 이용하여 소정의 높이로 경사지게 설치한다.
상기 인버터(656)는 상기 축전지(654)의 12~24V직류전압을 220V교류전압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펌프(670)가 교류전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인버터(656)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버터(656)는 펌프(670)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660) 등과 연결된다.
상기에서 펌프(670)를 직류펌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버터(656)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상기 자가발전부(650)는 필요에 따라 안정적으로 일정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력안정화장치 등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자가발전부(65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펌프(670)와 제어부(660) 이외에 유량제어밸브, 조명장치 등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자가발전부(650)를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는 태양전지모듈(652)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풍력을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는 소형 풍력발전시스템을 적용하여 자가발전부(65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태양광 및 풍력을 함께 이용하도록 2가지 시스템을 함께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2실시예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를 이용하여 건물의 벽면에 대한 조경을 행하게 되면, 외부의 온도가 높게 올라가는 경우에도 벽면의 온도 상승이 둔화되므로, 건물 내부의 온도가 낮게 유지되고, 건물의 냉방을 위한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건물의 벽면이나 천정 등에 대하여 조경을 행하게 되면, 상기 식재상자(200)에 식재된 식물을 교체(또는 다른 식물이 식재된 식재상자(200)로 교체)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경의 분위기와 형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요자가 원하는 대로 수시로 조경의 다양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점적관수용 호스, 110 - 호스본체, 112 - 심지구멍, 120 - 심지
122- 튜브체, 124 - 점적섬유체, 200 - 식재상자, 210 - 결합홈
212 - 급수구멍, 222 - 통기구멍, 230 - 체결부재, 234 - 걸림턱
242 - 손잡이홈, 250 - 보강돌기, 252 - 뿌리지지구멍, 260 - 지지끈
310 - 커넥터, 312 - 수밀돌기, 314 - 파지돌기, 400 - 베이스판
410 - 결합홈, 414 - 걸림돌기, 430 - 체결구멍, 450 - 고정구멍
450 - 단턱, 460 - 경사면, 490 - 마감테, 600 - 급수장치
610 - 물공급원, 620 - 주급수관, 624 - 급수개폐밸브, 630 - 배수관
634 - 배수개폐밸브, 642 - 온도측정부, 644 - 강우감지부
650 - 자가발전부, 652 - 태양전지모듈, 654 - 축전지, 656 - 인버터
660 - 제어부, 670 - 펌프, 690 - 드레인관

Claims (18)

  1.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고무 중에서 선택하는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호스본체와 상기 호스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호스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점적되도록 안내하는 심지를 포함하는 점적관수용 호스와,
    가로 및 세로로 배열하여 조립되고 각각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한쪽 방향으로 길게 결합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체결구멍에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저면에 설치되고 하나의 베이스판에 복수개가 배열되어 결합되고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심지 중의 1개 이상이 저면을 관통하여 내부의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식재상자를 포함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상기 호스본체의 외주면 한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튜브체와, 상기 튜브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호스본체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일부를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외부로 유도하는 다수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점적섬유체를 포함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튜브체는 외력이 가해지면 형상의 변경되는 연질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본체는 1~10mm의 두께로 형성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본체에는 심지 사이의 간격을 2~60cm 범위에서 설정하여 설치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재상자의 저면에는 상기 호스본체의 외주면 일부를 1/3~2/3 감싸며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상기 심지가 관통 삽입되는 급수구멍이 형성되는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재상자에는 측면의 중앙부 내면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돌기를 형성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강돌기에는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감아서 보다 확실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뿌리지지구멍을 형성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재상자는 한변의 길이 또는 지름을 3cm~1m의 범위에서 설정하여 형성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재상자의 측면에는 복수의 통기구멍을 형성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기 체결구멍을 관통한 다음 걸려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끝부분에 걸림턱을 형성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적관수용 호스를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호스본체에 삽입될 때에 내면에 밀착되면서 누수가 방지되는 수밀구조를 이루도록 하나이상의 수밀돌기를 양쪽에 형성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점적관수용 호스의 호스본체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본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물공급원과, 상기 물공급원으롭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호스본체로 공급하며 급수개폐밸브가 설치되는 주급수관과, 상기 호스본체의 물을 배수하며 배수개폐밸브가 설치되는 배수관과, 상기 식재상자가 설치된 지역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와, 상기 식재상자가 설치된 지역의 강우여부를 감지하는 강우감지부와, 상기 온도측정부 및 강우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개폐밸브와 배수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16. 삭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는 상기 물공급원과 주급수관 사이에 펌프를 설치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는 태양광이나 태양열, 풍력, 수력 중에서 선택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여 상기 제어부와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KR1020100036797A 2010-04-21 2010-04-21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KR101187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797A KR101187688B1 (ko) 2010-04-21 2010-04-21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797A KR101187688B1 (ko) 2010-04-21 2010-04-21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379A KR20110117379A (ko) 2011-10-27
KR101187688B1 true KR101187688B1 (ko) 2012-10-05

Family

ID=4503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797A KR101187688B1 (ko) 2010-04-21 2010-04-21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6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373Y1 (ko) 2013-10-18 2014-07-04 윤병섭 식재용 상자 조립체
KR20240020976A (ko) 2022-08-09 2024-02-16 김병필 심지의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식물생장용 점적 로터리 타입 물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567B1 (ko) * 2012-09-20 2014-04-28 주식회사 가든포유 식물 생육이 원활하고 이취가 없는 화분 조립체
KR101427533B1 (ko) * 2013-07-29 2014-08-07 (주)에어패스 수막형 아쿠아 큐브
KR101654187B1 (ko) * 2014-11-13 2016-09-05 주식회사 톨트리디자인 등수위조절수단, 이를 구비하는 벽면관수장치 및 관수시스템
KR102351580B1 (ko) * 2019-07-05 2022-01-17 허보석 실내 환경 개선용 식물재배 시스템
CN111887060A (zh) * 2020-08-11 2020-11-06 吴川 一种生态廊道植被墙用高温自灌溉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214Y1 (ko) 2001-05-16 2001-10-15 박순학 작물의 수분공급용 급수관
JP2001286227A (ja) 2000-04-05 2001-10-16 Aichi Pref Gov Keizai Nogyo Kyodo Kumiai Rengokai 潅水方法
KR100784686B1 (ko) 2006-07-14 2007-12-12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직렬 확장형 화분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227A (ja) 2000-04-05 2001-10-16 Aichi Pref Gov Keizai Nogyo Kyodo Kumiai Rengokai 潅水方法
KR200241214Y1 (ko) 2001-05-16 2001-10-15 박순학 작물의 수분공급용 급수관
KR100784686B1 (ko) 2006-07-14 2007-12-12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직렬 확장형 화분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373Y1 (ko) 2013-10-18 2014-07-04 윤병섭 식재용 상자 조립체
KR20240020976A (ko) 2022-08-09 2024-02-16 김병필 심지의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식물생장용 점적 로터리 타입 물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379A (ko)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205B2 (en) Fabricated cultivation box and fabricate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KR101187688B1 (ko) 점적관수용 호스 및 베이스판을 이용한 조경장치
CN107182620B (zh) 滴灌式农业大棚系统及大棚种植方法
CN205813035U (zh) 一种太阳能供电的园林雨水灌溉设备
KR101139614B1 (ko) 벽면식재장치
KR101187689B1 (ko) 지면 녹화장치
KR101187686B1 (ko) 점적관수용 호스 및 점적관수장치
KR101874386B1 (ko) 도로변 빗물을 이용한 스마트 화분
KR101377464B1 (ko) 에어하우스
KR101128470B1 (ko) 빗물을 이용한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KR20090102347A (ko) 옥상녹화용 자동관수시스템
KR20190037756A (ko) 친환경 파고라
KR101187687B1 (ko) 점적관수용 호스를 이용한 조경장치
CN209134931U (zh) 一种节水型生态屋顶绿化系统
KR101043958B1 (ko) 조립식 벽면 조경시스템
KR101473936B1 (ko) 에어하우스
CN205284348U (zh) 墙体绿化系统
CN206866199U (zh) 外镶式圆柱滴灌管及农业大棚系统
KR101419123B1 (ko) 수경재배를 이용한 옥상녹화장치
CN206791189U (zh) 外镶式流量可调圆柱滴灌管及农业大棚系统
KR101187407B1 (ko) 벽면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녹화방법
KR101473938B1 (ko) 에어하우스
CN208370376U (zh) 生态绿化墙和对应的集装箱房屋
KR101473934B1 (ko) 에어하우스
KR101187405B1 (ko)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