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309A -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89309A KR20040089309A KR1020030023025A KR20030023025A KR20040089309A KR 20040089309 A KR20040089309 A KR 20040089309A KR 1020030023025 A KR1020030023025 A KR 1020030023025A KR 20030023025 A KR20030023025 A KR 20030023025A KR 20040089309 A KR20040089309 A KR 200400893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block
- artificial
- soil
- drainage
- vegeta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인공지반에 식물을 식재하여 녹화하도록 된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인공지반 녹화방법은 건축물의 인공지반에 일측면이 개구된 육면체로 그 하부면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저수 및 배수 기능이 가능한 식생블럭을 구비하는 단계; 빛이 투과되는 재질의 틀 형태로 구비되는 투명상판을 상기 식생블럭의 상측에 끼우는 단계; 다공질의 세라믹 경량체로 조성된 세라소일 배수층을 상기 식생블럭의 내부에 포설하는 단계; 배수성 및 투수성이 낮은 세립토를 주성분으로 하여 형성된 세립토 여과필터를 상기 세라소일 배수층 상단에 적층하는 단계; 입상의 다포유리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형성된 인공토양 및 양토 화합물을 혼합하여 형성된 인공배지를 상기 세립토 여과필터 상단에 포설하는 단계; 상기 인공배지 위에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인공배지는 상기 식생블럭의 상측보다 높게 포설되어 상기 투명상판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투명상판이 제거되면 상기 인공배지가 가장자리로 흩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옥상녹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건축물의 지붕이나 옥상 등의 인공지반에 적용 가능한 식생블럭에 인공토양을 형성하고 그 위에 식물을 식재하여 인공지반을 녹화하는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도시의 생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옥상녹화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여기서 옥상녹화라 함은 건축 및 토목구조물 등의 불투수층 구조물 위에 토양층을 포함한 식재기반을 조성하고 식물을 식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대지의 부족 및 높은 지가 등으로 녹지 공간을 확보하기 힘든 도심에서 쓸모없이 버려진 옥상공간을 활용한다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옥상녹화는 식물의 생육을 건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건축물에 미치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재지반, 즉, 녹화하는 지역의 기후의 영향에 따라 식물의 뿌리가 생육할 수 있는 토양층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식재지반 조성시 경량의 인공토양을 단용 또는 혼용하여 사용하는 동시에 생육 가능한 범위내에서 토양층의 토심을 최소화하여 녹화하는 여러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는 독일의 옥상녹화 기술을 실험적 검증없이 받아들인 것이 대부분인 것으로, 환경적 여건이 다른 지역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아직까지는 기존 건축물의 옥상녹화에 대해 매우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독일에서 이미 연구개발된 저토심, 저관리형 옥상녹화방법에 관하여 살펴보면, 독일은 방수재로부터 식물까지 옥상녹화에 필요한 모든 재료를 시스템화하여 별도의 유지관리없이 옥상 위의 식재지를 유지할 수 있는 옥상녹화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저수 및 배수 기능을 가지는 배수시스템과, 물에 쓸려 내려가지 않고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적정 무게를 가지면서 통기성이 양호한 화산석 토양을 사용하여 적정 토심은 최대한으로 최소화하고 토양의 기능은 극대화하는 인공배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독일에서 연구개발된 시스템들은 유효 강우량이 많은 독일의 기후 및 식생과 같은 환경적 여건을 배경으로 개발된 것으로, 이와 다른 환경 조건을 지닌 지역에서는 제공된 옥상녹화 방법으로 유지 관리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사실상 상당수의 식물들이 생육을 지속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건축물의 인공지반에 적용 가능하도록 식생블럭 자체에 인공토양을 형성하고 그 위에 식물을 식재하여 시공이 간편하도록 된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건축물의 인공지반에 다수의 식생블럭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과 식재되는 식물의 건전한 생육을 위한 취급 및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종래보다 내구성이 크고 식생에 의해 주변환경과 생태계와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시스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에 식물을 식재하는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반 녹화시스템을 이용하는 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반 녹화시스템을 이용하여 녹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반 녹화시스템을 건축물의 인공지반에 이용하는 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상세한 설명 **
100;인공지반 녹화시스템 10,110,210;식생블럭
11;물저장소 12;오목부
12a;배수공 14a,14b,214a;연결고리
16;걸림턱 18;홈
20;세라소일 배수층 30;세립토 여과필터
40;인공배지 50;투명상판
60;배수판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시스템은, 상부면이 개구된 육면체로, 하부면의 중앙은 최하단으로부터 오목하게 패여진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를 중심으로 양 내측에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소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측 테두리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건축물의 인공지반에 설치되는 식생블럭;과, 상기 건축물에 미치는 하중을 최소화하면서 단열이 우수한 다공질의 세라믹 경량체로 조성되어 상기 식생블럭의 내부 최하단에 포설되는 세라소일 배수층;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상기 세라소일 배수층 내에 토양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수기능 및 투수성이 낮은 세립토를 주성분으로 조성되어, 상기 세라소일 배수층의 상단에 적층되는 세립토 여과필터; 입상의 다포유리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형성된 인공토양 및 양토 화합물을 혼합하여 조성되어, 상기 세립토 여과필터 상단에 포설되는 인공배지; 상기 인공배지에 식재하는 식물;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된 틀의 형태로, 상기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식생블럭의 상측으로부터 끼워지는 투명상판; 및 상기 식생블럭의 하단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배수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배수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배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인공배지는 상기 식생블럭의 상측보다 높게 포설되어 상기 투명상판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투명상판이 제거되면 상기 인공배지가 가장자리로 흩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식생블럭은 양측면에 상향 절곡된 연결고리와, 이에 대응되게 하향 절곡된 연결고리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에 의해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다중 배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은, 건축물의 인공지반에 일측면이 개구된 육면체로 그 하부면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저수 및 배수 기능이 가능한 식생블럭을 구비하는 단계; 빛이 투과되는 재질의 틀 형태로 구비되는 투명상판을 상기 식생블럭의 상측에 끼우는 단계; 다공질의 세라믹 경량체로 조성된 세라소일 배수층을 상기 식생블럭의 내부에 포설하는 단계; 배수성 및 투수성이 낮은 세립토를 주성분으로 하여 형성된 세립토 여과필터를 상기 세라소일 배수층 상단에 적층하는 단계; 입상의 다포유리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형성된 인공토양 및 양토 화합물을 혼합하여 형성된 인공배지를 상기 세립토 여과필터 상단에 포설하는 단계; 상기 인공배지 위에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 상기 식물이 상기 인공배지에 활착되도록 상기 식생블럭을 종방향으로 배열한 후, 맨 위에 위치되는 식생블럭에는 비닐을 덮어 생육에 필요한 습한 환경을 조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 상기 식생블럭을 상기 건축물의 인공지반에 횡방향으로 다중 배열한 후, 상기 식생블럭에 끼워진 투명상판을 제거하고, 상기 식생블럭의 가장자리에 상기 인공배지를 살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건전한 생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럭에 식물을 식재하는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반 녹화시스템(100)은 저수 및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부 중앙에 배수공(12a)이 형성되고 식재되는 식물이 생육할 수 있도록 내부에 여러 식재층을 적층하여 지지하는 다수의 식생블럭(10)과, 다수의 식생블럭(10) 하단에 각각 위치되어 전술한 배수공(12a)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판(60), 및 식생블럭(10) 내부에 순차적으로 포설되는 세라소일 배수층(20), 세립토 여과필터(30), 인공배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 식재되는 식물을 보호하고 식생블럭(10) 내부에 포설되는 인공배지(40)를 지지하도록 식생블럭(10)의 상측에 틀 형태의 투명상판(50)을 더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인공지반 녹화시스템(100)은 집중호우, 장기간의 건조한 기후, 여름철의 고온, 겨울철의 저온 등의 열악한 기후 조건에서도 식재된 식물이 양호하게 생육되도록 배수속도가 탁월하고 보수성이 높으며 단열 또는 보온성이 우수한 인공배지(40)와, 장기간의 건조한 기후를 대비하여 충분한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식생블럭(10)을 구비하여야 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식생블럭(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부면이 개구된 상자형태로 형성되고, 그 하부면의 중앙은 최하단으로부터 3~8㎝ 정도의 높이(H)를 갖는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오목부(12)를 중심으로 양측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저장소(11)가 형성되는 한편, 오목부(12)에는 소정의 배수공(12a)이 형성되어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양측면에는 상호 결합을 위해 하향 절곡(┌)된 연결고리(14b)와 상향 절곡(┘)된 연결고리(14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에는 전술한 투명상판(50)을 용이하게 끼우도록 테두리를 따라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고, 투명상판(50)이 끼워진 식생블럭(10) 상단에 다른 식생블럭(10)이 포개어 쌓아지도록 하부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연결고리(14a,14b)는 이웃하는 다수의 식생블럭(10)을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명상판(50)에 의해 지지되는 인공배지(40)가 배수판(60)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배수판(60)은 식생블럭(10)의 배수공(12a)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배수되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형성된 홈이 막히지 않도록 그 상단에 부직포가 덮여져 있어,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 기능과 외부로부터 열을 차단하는 단열 기능을 동시에 제공한다.
세라소일(CERA-SOIL) 배수층(20)은 세라소일의 RCS-95(식재용)을 주성분으로 조성된 다공질의 세라믹 경량체로, 건물에 미치는 하중이 적고 단열효과가 뛰어나며, 일반토양의 토양색과 유사하여 조성시 인공적인 느낌이 없다. 또한,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필수 영양소가 첨가되어 있으며 병충해를 억제하므로 식물에 유익하며, 더욱이 우천시에도 시공이 가능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하고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립토 여과필터(30)는 배수 기능 및 투수성이 낮은 세립토(즉, 모래와 실트)를 주성분으로 조성된 것으로서,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배수층 내에 토양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수층 위에 설치된다.
인공배지(40)는 인공토양과 입자지름 2 mm 이하의 세토(細土) 중에 점토가 25~37.5 % 함유된 양토(loam) 화합물을 혼합하여 조성되는데, 이러한 인공토양은 2~50㎜ 정도의 입도가 되도록 미세하게 분쇄된 다포유리의 분말을 주성분으로 난분해성 또는 기속성된 유기물을 첨가하여 조성된 것이다. 다포유리란 유리자체의 폐기공 조직에서 기인하는 물성으로 인하여 단열성과 가공성을 갖는 유리로서, 150㎛이하의 입도를 갖는 유리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를 0.5~2중량부 혼합하고 자연토양과 같은 색으로 재현되도록 착색제로 산화철, 산화니켈, 산화코발트 등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 0.2~2중량부를 혼합하여 열처리로 투입한 다음, 6~8℃/분으로 승온하여 700~1000℃의 온도에서 발포하고 냉각하여 분쇄함으로써 입상의 다포유리를 얻었다.
따라서, 이러한 인공배지(40)는 일반토양에 대한 기능과 더불어 보수성, 배수성, 통기성이 우수하며, 폐유리를 재활용하여 제조하므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환경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으며, 다포유리의 색상이 자연토양과 거의 동일하여 자연미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투명상판(50)은 식재되는 식물을 보호하고 인공배지(4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보호막의 형태로, 식생블럭(10)의 형태에 따라 형성되는 동시에 빛이 투과되는 재질이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비되는 세라소일 배수층(20)과 세립토 여과필터(30) 및 인공배지(40)를 바탕으로 식생블럭(10)에 포설하여 식물을 식재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자체내에 식물을 식재할 식생블럭(10)을 준비한 후, 그 하부면 중앙에 최하단으로부터 높이(H)가 3~8㎝ 정도되는 오목부(12)를 형성하고 오목부(12)에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수공(12a)을 형성한다(S1,S2). 그리고, 양측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고리(14a,14b)를 형성하고, 상측에는 테두리를 따라 걸림턱(16)을 형성하는 한편, 하부면에는 포개어 쌓을 수 있도록 테두리를 따라 홈(18)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식생블럭(10)의 상측에 투명상판(50)을 끼워 식생블럭(10)의 걸림턱(16)에 걸쳐지도록 설치한 다음, 맨 하부면에 3~10㎝정도 두께로 세라소일 배수층(20)을 포설하고, 포설된 세라소일 배수층(20) 상단에 세립토 여과필터(30)를 적층한다(S3~S5). 그리고, 그 상단에 인공토양과 양토화합물이 혼합된 인공배지(40)를 식생블럭(10)의 전체 높이보다는 높게 즉, 약 5~15㎝정도의 두께로 포설하여 지면이 고르게 다짐한 후, 인공배지(40) 위에 식물을 식재한다(S6,S7). 전술한 바와 같이 인공배지(40)려 식생블럭(10)의 높이보다는 높게 포설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투명상판(50)을 제거시 투명상판(50)에 의해 지지하던 인공배지(40)가 가장자리에 흩어지게 되기 때문에 식생블럭(10)의 가장자리가 덮여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그리고, 여기에 식재되는 식물은 잔디, 이끼, 아이비, 마삭줄, 세덤 등과 같이 땅에 피복하여 장기간 수분이 적은 지역에 자생하고 건조에 견딜 수 있는 지피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반 녹화시스템을 이용하는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반 녹화시스템을 이용하여 녹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반 녹화시스템을 건축물의 인공지반에 이용하는 예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식생블럭(10) 자체내에 식물을 생육할 수 있도록 생육에 필요한 세라소일 배수층(20)과 세립토 여과필터(30) 및 인공배지(40)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적층된 인공배지(40) 위에 식물을 식재한 후에는 식재된 식물이 활착되도록 대기 중의 습도 관리가 중요하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식생블럭(10) 상측에 끼워진 투명상판(50) 상단에 다른 하나의 식생블럭(10)을 포개어 다수층으로 쌓아 관리를 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식생블럭(10)의 하부면에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홈(18)이 틀 형태로 된 투명상판(50)에 끼워지기 때문에 식생블럭(10)의 상측에 끼워진 투명상판(50) 상단에 다른 하나의 식생블럭(10)이 포개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투명상판(50) 상단에 다수의 식생블럭(10)을 포개어 쌓은 후, 맨 위에 위치되는 투명상판(50)에는 비닐 등을 덮어 씌움으로써, 뿌리가 빠르게 활착할 수 있도록 식생블럭(10) 내를 습하게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식생블럭(10)의 배수공(12a)으로부터 배수된 물은 하단에 포개어진 다른 식생블럭(10)으로 이동되어 배수되는 물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식물의 정식 및 운반시에 재배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좁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습도 관리가 편리하다.
그러나, 장기적인 과습은 생육불량 또는 병충해 발생을 일으키므로 어느 정도 활착이 이루어지면 포개어 쌓아 놓았던 식생블럭(10)을 펼쳐 놓아 생육이 건전하도록 관리한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뿌리가 활착되어 투명상판(50) 위로 자란 식물체를 지상부를 잘라주거나 투명상판(50) 안으로 집어 넣어서 정리를 한 후, 기존 건축물의 인공지반에 원하는 구조로 식생블럭(10)을 배열한다(S10,S20). 배열된 식생블럭(10,110,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양측에 형성된 연결고리(14a,14b,214a)에 각각 끼워 맞물리도록 연결하는데, 하향 절곡(┘)된 연결고리(14a)는 다른 식생블럭(110)의 하향 절곡(┌)된 연결고리와 맞물리도록 끼워 하나의 식생블럭(10)이 다른 하나의 식생블럭(110)과 연결되도록 설치한다(S30).이때, 식생블럭(10)의 전면 및 후면에도 전술한 연결고리를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식생블럭(10,110,210)을 횡방향으로 m×n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수의 식생블럭(10,110,210)을 배열하여 연결한 후에 상측의 투명상판(50)을 제거하면, 식생블럭(10,110,210) 위로 포설되어 투명상판(50)에 의해 지지된 인공배지(40)가 가장자리로 흩어져 가장자리를 덮게된다. 여기에 외관이 더욱 미려하도록 투명상판(50)이 끼워진 걸림턱(16)이나 가장자리에는 인공배지(40)를 살포하여 식생블럭(10,110,210)간 연결부분이 보이지 않도록 한다(S40,S50).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식생블럭(10,110,210)을 배열하여 옥상 등의 인공지반을 녹화하는 본 발명의 인공지반 녹화시스템은 기존 건축물의 평면 지붕이나 경사진 지붕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배수속도가 탁월하고 보수성이 높으며 단열 또는 보온성이 우수하여, 장기간의 건조한 기후, 여름철의 고온, 집중호우, 겨울철의 저온 등의 열악한 기후 조건에서도 양호하게 생육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설명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고 할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건축물의 인공지반에도 식물을 식재할 수 있어 자연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으며 도시경관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속도가 탁월하고 보수성이 높으며 단열 또는 보온성이 우수하여, 장기간의 건조한 기후, 여름철의 고온, 집중호우, 겨울철의 저온 등의 열악한 기후 조건에서도 양호하게 생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폐유리를 재활용한 인공배지를 사용함으로써 토양이 건물에 미치는 하중을 최소화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취급 및 관리가 편리하고 인공지반에 시공하는 작업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 상부면이 개구된 육면체로, 하부면의 중앙은 최하단으로부터 오목하게 패여진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를 중심으로 양 내측에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소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측 테두리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건축물의 인공지반에 설치되는 식생블럭;과,상기 건축물에 미치는 하중을 최소화하면서 단열이 우수한 다공질의 세라믹 경량체로 조성되어 상기 식생블럭의 내부 최하단에 포설되는 세라소일 배수층;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상기 세라소일 배수층 내에 토양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수기능 및 투수성이 낮은 세립토를 주성분으로 조성되어, 상기 세라소일 배수층의 상단에 적층되는 세립토 여과필터;입상의 다포유리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형성된 인공토양 및 양토 화합물을 혼합하여 조성되어, 상기 세립토 여과필터 상단에 포설되는 인공배지;상기 인공배지에 식재하는 식물;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된 틀의 형태로, 상기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식생블럭의 상측으로부터 끼워지는 투명상판; 및상기 식생블럭의 하단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배수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배수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배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블럭은양측면에 상향 절곡된 연결고리와, 이에 대응되게 하향 절곡된 연결고리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에 의해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다중 배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배지는상기 식생블럭의 상측보다 높게 포설되어 상기 투명상판에 의해 지지되어,상기 투명상판이 제거되면 상기 인공배지가 가장자리로 흩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시스템.
- 건축물의 인공지반에 일측면이 개구된 육면체로 그 하부면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저수 및 배수 기능이 가능한 식생블럭을 구비하는 단계;빛이 투과되는 재질의 틀 형태로 구비되는 투명상판을 상기 식생블럭의 상측에 끼우는 단계;다공질의 세라믹 경량체로 조성된 세라소일 배수층을 상기 식생블럭의 내부에 포설하는 단계;배수성 및 투수성이 낮은 세립토를 주성분으로 하여 형성된 세립토 여과필터를 상기 세라소일 배수층 상단에 적층하는 단계;입상의 다포유리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형성된 인공토양 및 양토 화합물을 혼합하여 형성된 인공배지를 상기 세립토 여과필터 상단에 포설하는 단계;상기 인공배지 위에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이 상기 인공배지에 활착되도록상기 식생블럭을 종방향으로 배열한 후, 맨 위에 위치되는 식생블럭에는 비닐을 덮어 생육에 필요한 습한 환경을 조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블럭을 상기 건축물의 인공지반에 횡방향으로 다중 배열한 후, 상기 식생블럭에 끼워진 투명상판을 제거하고, 상기 식생블럭의 가장자리에 상기 인공배지를 살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건전한 생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3025A KR100510256B1 (ko) | 2003-04-11 | 2003-04-11 |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및 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3025A KR100510256B1 (ko) | 2003-04-11 | 2003-04-11 |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및 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89309A true KR20040089309A (ko) | 2004-10-21 |
KR100510256B1 KR100510256B1 (ko) | 2005-08-26 |
Family
ID=37370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23025A KR100510256B1 (ko) | 2003-04-11 | 2003-04-11 |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10256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7645B1 (ko) * | 2007-04-18 | 2008-11-10 |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 |
KR100901262B1 (ko) * | 2007-08-04 | 2009-06-08 | 신동열 | 인공지반 식물 식재용 상자 |
KR100965403B1 (ko) * | 2007-10-23 | 2010-06-24 | 변문기 |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
KR101038549B1 (ko) * | 2008-07-23 | 2011-06-02 |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 방근 식생블럭을 이용한 옥상바닥 풍건식 녹화방법 |
KR101229866B1 (ko) * | 2010-10-26 | 2013-02-18 | 대한민국 | 관목류의 생육을 위한 다층저수형 조립식 식생 블록 |
KR101293807B1 (ko) * | 2011-10-28 | 2013-08-06 | 마진이 | 식재용 생태 블록과 그 제조방법 |
CN104380955A (zh) * | 2014-10-23 | 2015-03-04 | 天津泰达绿化集团有限公司 | 一种重盐碱城建预留地原土绿化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8547B1 (ko) | 2008-06-24 | 2011-06-02 |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 옥상녹화용 방근 식생블럭 |
KR100925849B1 (ko) | 2009-05-21 | 2009-11-06 | (주)이텍 |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 |
KR101229871B1 (ko) | 2010-10-26 | 2013-02-05 | 대한민국 | 초본식물의 생육을 위한 다층적층형 조립식 식생 블록 |
KR101613833B1 (ko) | 2014-06-09 | 2016-04-20 | 김흥열 | 바텀애쉬를 활용한 자동화 옥상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
-
2003
- 2003-04-11 KR KR10-2003-0023025A patent/KR10051025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7645B1 (ko) * | 2007-04-18 | 2008-11-10 |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 옥상 조경용 빗물저류함 |
KR100901262B1 (ko) * | 2007-08-04 | 2009-06-08 | 신동열 | 인공지반 식물 식재용 상자 |
KR100965403B1 (ko) * | 2007-10-23 | 2010-06-24 | 변문기 |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
KR101038549B1 (ko) * | 2008-07-23 | 2011-06-02 |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 방근 식생블럭을 이용한 옥상바닥 풍건식 녹화방법 |
KR101229866B1 (ko) * | 2010-10-26 | 2013-02-18 | 대한민국 | 관목류의 생육을 위한 다층저수형 조립식 식생 블록 |
KR101293807B1 (ko) * | 2011-10-28 | 2013-08-06 | 마진이 | 식재용 생태 블록과 그 제조방법 |
CN104380955A (zh) * | 2014-10-23 | 2015-03-04 | 天津泰达绿化集团有限公司 | 一种重盐碱城建预留地原土绿化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10256B1 (ko) | 2005-08-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608491B (zh) | 屋顶绿化系统及绿化方法 | |
US7392616B1 (en) | Modular field planting system | |
CN106013624B (zh) | 一种基于植草板改造的绿色海绵屋顶的技术方法 | |
KR100510256B1 (ko) |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및 그 장치 | |
JP4883673B2 (ja) | 緑化用培地構造 | |
KR20110062730A (ko) |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 |
CN205357219U (zh) | 一种带储水功能的免维护建筑生态草皮 | |
Patnaik et al. | Impact of green roofs on urban living | |
KR101038547B1 (ko) | 옥상녹화용 방근 식생블럭 | |
CN205171302U (zh) | 一种适用于古树保护与大乔木移植的新型园林铺地结构 | |
KR100736847B1 (ko) | 옥상녹화용 식물식재 방법 및 그 포트 | |
JP3059318U (ja) | 植生用壁面構造物 | |
CN213719137U (zh) | 一种种植土壤结构 | |
KR101038549B1 (ko) | 방근 식생블럭을 이용한 옥상바닥 풍건식 녹화방법 | |
JP3479053B2 (ja) | 植物生育ボード | |
KR100349557B1 (ko) |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 |
CN207543767U (zh) | 屋顶雨水花园的栽培基质结构 | |
Pregyov et al. | GREEN ROOFS AS AN ESSENTIAL ELEMENT OF MODERN URBAN ENVIRONMENT | |
CN205378567U (zh) | 一种用于绿化的蓄排水系统 | |
JP4622110B2 (ja) | 地被植物用緑化パネル及び地被植物用緑化パネル並設物 | |
JP2003169545A (ja) | 多肉植物類による薄層緑化方法 | |
CN204590431U (zh) | 一种新型的斜坡绿化构造 | |
JPH06165617A (ja) | 人工土壌及び植栽工法 | |
CN214739331U (zh) | 一种基于园林绿化垃圾资源化的轻质绿化屋顶 | |
CN221168422U (zh) | 屋顶绿化生态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1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