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294U - 식생형 호안블록 - Google Patents

식생형 호안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294U
KR20090004294U KR2020070017757U KR20070017757U KR20090004294U KR 20090004294 U KR20090004294 U KR 20090004294U KR 2020070017757 U KR2020070017757 U KR 2020070017757U KR 20070017757 U KR20070017757 U KR 20070017757U KR 20090004294 U KR20090004294 U KR 200900042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space
partition walls
drainage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홍
Original Assignee
정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홍 filed Critical 정재홍
Priority to KR2020070017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294U/ko
Publication of KR200900042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2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방의 함몰이나 토양의 유실을 방지함은 물론 식물류의 식재가 가능하고, 식재된 식물류의 성장 환경이 유지되도록 식재된 토체의 쏠림 및 유실이 방지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식생형 호안블록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둘레면에 체결고리를 설치하고 상부가 개방된 식생공간을 형성한 블록몸체를 갖춘 식생 호안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의 식생공간을 분리 구획되도록 식생공간 내벽을 연결하는 구획벽들, 구획벽들에 의해 구획된 식생구획공간들 중 하나 이상에는 바닥면을 관통하는 제1배수공을 형성하고, 이 제1배수공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획벽들의 양면을 관통하는 제2배수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식생공간, 구획벽, 식생구획공간, 제1배수공, 제2배수공

Description

식생형 호안블록{VEGETATION SHORE PROTECTION BOLCK}
본 고안은 제방의 함몰이나 토양의 유실을 방지함은 물론 식물류의 식재가 가능한 식생형 호안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재된 식물류가 유속에 쓰러짐이 방지되는 요소를 구비함과 이 요소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식물류의 식생이 보장되면서 주변 자연환경에 친화적인 미감을 갖게 하는 식생형 호안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둔치 등에는 흐르는 물에 의해 제방이 붕괴되거나 제방이 함몰되지 않도록 호안블록이 설치되고 있으나, 호안블록 전체를 콘크리트화 하기 때문에 초목의 성장이 불가능하게 되어 수면 및 수면주위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자연환경 친화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하면을 관통하여 식색구멍을 형성한 호안블록과, 상면에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돌출부들 사이에 식생공간을 확보하였으나, 이는 식생공간 내의 식재토양이 주변을 통해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식물류가 식재되는 블록 공간의 주변에 토양 유출 방지 테두리를 형성하였으나, 이는 블록의 면적이 큰 경우에는 블록 내부의 식생공간 내에서 토양의 쏠림이 발생하여 식물류의 식생에 어려움이 있었다.
아울러 결속수단 및 정렬을 위한 기준을 갖추지 못함으로써, 정렬의 어려움은 물론 배치 후 부분적으로 밀림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방의 함몰이나 토양의 유실을 방지함은 물론 식물류의 식재가 가능한 식생형 호안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식재된 식물류의 성장 환경이 유지되도록 식재된 토체의 쏠림 및 유실이 방지되는 식생형 호안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둘레면에 체결고리를 설치하고 상부가 개방된 식생공간을 형성한 블록몸체를 갖춘 식생 호안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20)의 식생공간(22)을 분리 구획되도록 식생공간(22) 내벽을 연결하는 구획벽(27)들, 구획벽(27)들에 의해 구획된 식생구획공간(22-1)들 중 하나 이상에는 바닥면을 관통하는 제1배수공(23)을 형성하고, 이 제1배수공(23)을 통해 배수가 이루 어지도록 구획벽(27)들 양면을 관통하는 제2배수공(24)을 형성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본 고안은 식생공간을 구획벽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식생구획공간들 내에 식재된 식물류가 구획벽에 지지된 상태로 유체에 의해 토사의 유실 및 토사의 쏠림이 방지됨으로써, 식재에 필요한 토양 및 식재토양 내에 함유되어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소의 유실이 방지되어 식물류의 안정된 생장이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생구획공간들의 배수를 토사의 유실 없는 간접배수 방식으로 구비함으로써, 이는 식생구획공간들 각각에 직접 배수구조를 갖는 것에 대해 상대적으로 토사의 유실이 최소화되어 전술한 효과인 식재된 식물류의 안정된 생장이 더욱 보장된다.
또한 구획벽과 같은 인공물이 식재된 식물류 사이로 보이지 않음으로써, 인공물의 고유의 기능을 실현하면서 자연친화적인 심미감을 갖기 위해서 식재된 식물류의 환경을 해치지 않게 되는 이점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은 본 고안의 식생형 호안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4와 도5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 도면으로서, 부호 10 은 본 고안의 식생형 호안블록 전체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식생형 호안블록(10)은 결속구조를 가지면서 하천이나 둔치에 토양 유실이나 지반 침식을 방지하는 블록몸체(20)에 자연 친화적이면서 안정된 식생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속구조는 다면체인 블록몸체(20)의 둘레면(28) 외측 모서리에 설치된 체결고리(30) 및 둘레면(28) 양측과 전후면에 상호 형상맞춤을 이루는 맞춤돌기(25) 및 맞춤홈(26)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블록몸체(20)의 식생구조는 둘레면(28)이 테두리가 되며 상부가 개방된 식생공간(22), 식생공간(22)을 분리 구획되도록 식생공간(22) 내벽을 연결하는 구획벽(27)들, 구획벽(27)들에 의해 구획된 식생구획공간(22-1)들 중 하나 이상에는 바닥면을 관통하는 제1배수공(23)을 형성하고, 이 제1배수공(23)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획벽(27)들 양면을 관통하는 제2배수공(24)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배수공(23)은 구획벽(27)들에 의해 구획된 식생구획공간(22-1)들의 수효에 따라 식생구획공간(22-1)들 내의 토사가 유실이 방지되면서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그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27)은 그 상단이 식생공간(22) 외부로 돌출되진 않는 높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즉 구획벽(27)은 식생공간(22)의 내벽의 높이에 대해 낮은 높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구획벽(27)은 블록몸체(20)와 동일한 시멘트류의 재질로 적용이 가능하고, 성형틀에서 블록몸체(20)와 구획벽(27)은 일체로 성형되며, 이러한 블록몸 체(20)와 구획벽(27)을 성형 양생과정에서 체결고리(30)를 삽입하여 양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블록몸체(20)를 밀착되도록 배열하는 과정에서 측면에 형성한 맞춤돌기(25)와 맞춤홈(26)을 형합되도록 하면 정렬이 이루어지며, 이 후 체결고리(30)에 클램프(40)로 결속하게 되는 것으로서, 정렬이 쉽게 이루어지고 하천이나 둔치에 토양 유실이나 지반 침식이 발생하더라도 체결고리(30), 클램프(40)로 연결되는 일체화된 결속구조를 통해 매우 안정적인 배열상태를 유지하면서 결속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속 상태에서 식생구획공간(22-1)들에 식재토양을 충진하여 식물류를 식재한 후 빗물, 하천수 등이 식생구획공간(22-1)들 내로 유입되어도 구획벽(27)에 의해 식재된 토양의 쏠림이 방지된다.
더욱이 식생구획공간(22-1)들 내부로 유입된 빗물, 하천수 등이 제2배수공(24)을 통해 제1배수공(23)으로 유도 배수되는 과정에서 토사의 유실이 최대한 방지되는 것으로서, 이는 제2배수공(24)들이 횡방향으로 배수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즉, 블록몸체(20)로부터 직하방으로 외부와 연통되어 토사유실이 이루어지는 직접배수구조의 제1배수공(23)의 수효를 최소화하고 제1배수공(23)과 연통되어지는 제2배수공(24)들을 형성하여 각각 식생구획공간(22-1)들의 배수를 토사의 유실 없는 간접배수 방식으로 구비함으로써, 이는 식생구획공간(22-1)들 각각에 제1배수공(23)과 같은 직접 배수구조를 갖는 것에 대해 상대적으로 토사의 유실이 최소화 된다.
아울러 구획벽(27)에 의해 식생구획공간(22-1) 내에 식재된 식물류가 구획벽(27)에 지지된 상태로 유체에 의해 토사의 유실 및 쏠림이 방지됨으로써, 식재에 필요한 토양 및 식재토양 내에 함유되어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소의 유실이 방지되어 식물류의 안정된 생장이 이루어진다.
또한 구획벽(27)이 식생구획공간(22-1)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식재된 식물류 사이로 구획벽(27)이 보이지 않음으로써, 구획벽(27)이 고유의 기능을 실현하면서 자연친화적인 심미감을 갖기 위해서 식재된 식물류의 환경을 해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블록(10)은 청구범위를 포함하여 상세한 설명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겠다.
도1 내지 도3은 본 고안의 식생 호안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1은 사시도,
도2는 평면도,
도3은 도2의 A - A선 단면도,
도4와 도5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 도면으로서,
도4는 체결 및 배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5는 식물류가 식재된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식생형 호안블록 20 : 블록몸체
22 : 식생공간 22-1: 식생구획공간
23 : 제1배수공 24 : 제2배수공
27 : 구획벽 28 : 둘레면

Claims (2)

  1. 둘레면에 체결고리를 설치하고 상부가 개방된 식생공간을 형성한 블록몸체를 갖춘 식생 호안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20)의 식생공간(22)을 분리 구획되도록 식생공간(22) 내벽을 연결하는 구획벽(27)들, 구획벽(27)들에 의해 구획된 식생구획공간(22-1)들 중 하나 이상에는 바닥면을 관통하는 제1배수공(23)을 형성하고, 이 제1배수공(23)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획벽(27)들 양면을 관통하는 제2배수공(24)을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구획벽(27)은 그 상단이 식생공간(22) 외부로 돌출되진 않는 높이로 구비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호안블록.
KR2020070017757U 2007-11-02 2007-11-02 식생형 호안블록 KR200900042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757U KR20090004294U (ko) 2007-11-02 2007-11-02 식생형 호안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757U KR20090004294U (ko) 2007-11-02 2007-11-02 식생형 호안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294U true KR20090004294U (ko) 2009-05-08

Family

ID=41299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757U KR20090004294U (ko) 2007-11-02 2007-11-02 식생형 호안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29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783B1 (ko) * 2009-09-09 2012-03-23 효창건설 주식회사 식생 호안블록
KR101483724B1 (ko) * 2014-08-06 2015-01-19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
CN112942673A (zh) * 2021-02-04 2021-06-11 河南五方合创建筑设计有限公司 建筑立面用植生混凝土碳汇墙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783B1 (ko) * 2009-09-09 2012-03-23 효창건설 주식회사 식생 호안블록
KR101483724B1 (ko) * 2014-08-06 2015-01-19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Eps블록을 이용한 식생 및 저류 통합모듈
CN112942673A (zh) * 2021-02-04 2021-06-11 河南五方合创建筑设计有限公司 建筑立面用植生混凝土碳汇墙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4294U (ko) 식생형 호안블록
KR200383918Y1 (ko) 토사유실 방지용 호안블럭
KR101678127B1 (ko) 토목용 블록
KR100542739B1 (ko)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KR100947845B1 (ko) 지반 고정력이 우수한 식생호안블럭
KR100892421B1 (ko) 식생용 옹벽블럭
KR100427564B1 (ko) 초류식생블록
CN202595701U (zh) 一种植生渗滤砌块
KR101282777B1 (ko)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KR100655420B1 (ko) 수로를 가진 식생블럭
KR200432264Y1 (ko) 식생용 호안 블럭
KR100719520B1 (ko) 어소겸용 식생블럭
KR200356104Y1 (ko) 바구니형 식생호안블록
KR100445216B1 (ko) 식생 호안블록
KR100638801B1 (ko) 하천비탈면의 친환경적인 식생대 블록
KR200420352Y1 (ko) 식생형 옹벽블록
KR200389226Y1 (ko) 급수용 용기를 가지는 옹벽
KR100824608B1 (ko) 식생용 호안 블록
KR200350351Y1 (ko) 식생호안블록
KR200356133Y1 (ko) 제방용 호안블록
KR200330328Y1 (ko) 개량 식생 호안블럭어셈블리
KR200194054Y1 (ko) 호안환경블록의 토사유출방지용 뚜껑
KR200318241Y1 (ko) 하천 생태계 보호기능을 갖는 제방 구조물
KR100458719B1 (ko) 하천의 생태수로
KR100648957B1 (ko) 하천 제방 보호용 생태법면블록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