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739B1 -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 Google Patents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739B1
KR100542739B1 KR1020050093937A KR20050093937A KR100542739B1 KR 100542739 B1 KR100542739 B1 KR 100542739B1 KR 1020050093937 A KR1020050093937 A KR 1020050093937A KR 20050093937 A KR20050093937 A KR 20050093937A KR 100542739 B1 KR100542739 B1 KR 100542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ty
river
water
drain
ri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택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수위가 일정 이상으로 높아지면 하천수를 자동으로 배수하도록 하여 하천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한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에 관한 것으로, 하천(10)의 제방(12)에 설치되는 하부공동체(20) 위에 상부공동체(30)를 설치하고, 이 하부공동체(20)의 상면과 상부공동체(30)의 저면에 장부촉이음을 위한 홈(24)과 리브(34)를 각각 형성하며, 하천수(14)와 맞닿는 하부공동체(20)의 외벽에는 트러스 형태로 구획된 식재부(26)와 어소부(27)를 형성하여 그 식재부(26)에 수생식물(42)이 식재된 식재파이프(40)를 설치하고, 하천수(14)와 맞닿는 상부공동체(30)의 측면배수구(36)에는 하단에 설치되는 추(52)에 의해 닫힘을 유지하고 수압에 의해 개방되는 여닫이 형태의 수압개폐도어(50)를 측면배수구(36)를 가로지르는 수평축(54)에 의해 상하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상부공동체(30)의 저면과 하부공동체(20)의 상면에 상호 일치하는 사각의 배수구(38)(28)를 각각 형성하여 측면배수구(36)로부터 배수구(38)(28)를 통해 상부공동부(32)와 하부배수로(22)로 이어지는 배수통로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하천,추,배수,패킹,배수구,공동체,수압,수위,도어

Description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Rivers breast wall that can accommodate exaggerated flux of rive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을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4의 상태로부터 수압개폐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이 하천 제방에 길게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하천 12 : 제방
14 : 하천수 20 : 하부공동체
22 : 하부배수로 24 : 홈
26 : 식재부 27 : 어소부
30 : 상부공동체 32 : 상부공동부
34 : 리브 36 : 측면배수구
28,38 : 배수구 40 : 식재파이프
42 : 수생식물 50 : 수압개폐도어
52 : 추 54 : 수평축
본 발명은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의 수위가 일정 이상으로 높아지면 하천수를 자동으로 배수하도록 하여 하천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한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을 따라 설치되는 제방보호시설물은 하천 제방의 법면에 수직벽체와 기초판으로 이루어진 역T형옹벽을 설치하여 유수에 의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제방보호시설물은 하천의 수위가 만수위로 되기 전에 배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장마철 강우량이 많은 경우 제방으로 하천수가 넘치면서 홍수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 제방보호시설물은 수중생명체가 쉬거나 산란할 수 있는 서식공간을 잠식하여 수중생태계를 파괴하고, 생태계 파괴로 인한 먹이사슬의 불균형으로 하천의 자정기능을 떨어뜨려 수질을 오염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제방으로 하천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중생명체가 서식할 수 있는 생태서식공간을 제공하고, 하천의 자정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천의 제방에 설치되는 하부공동체 위에 상부공동체를 설치하고, 이 하부공동체의 상면과 상부공동체의 저면에 장부촉이음을 위한 홈과 리브를 각각 형성하며, 하천수와 맞닿는 하부공동체의 외벽에는 트러스 형태로 구획된 식재부와 어소부를 형성하여 그 식재부에 수생식물이 식재된 식재파이프를 설치하고, 하천수와 맞닿는 상부공동체의 측면배수구에는 하단에 설치되는 추에 의해 닫힘을 유지하고 수압에 의해 개방되는 여닫이 형태의 수압개폐도어를 측면배수구를 가로지르는 수평축에 의해 상하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상부공동체의 저면과 하부공동체의 상면에 상호 일치하는 사각의 배수구를 각각 형성하여 측면배수구로부터 배수구를 통해 상부공동부와 하부배수로로 이어지는 배수통로를 형성하여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10)의 제방(12)에 설치되는 하부공동체(20) 위에 상부공동체(30)를 설치하고, 이 하부공동체(20)의 상면과 상부공동체(30)의 저면에 장부촉이음을 위한 홈(24)과 리브(34)를 각각 형성하며, 하천수(14)와 맞닿는 하부공동체(20)의 외벽에는 트러스 형태로 구획된 식재부(26)와 어소부(27)를 형성하여 그 식재부(26)에 수생식물(42)이 식재된 식재파이프(40)를 설치하고, 하천수(14)와 맞닿는 상부공동체(30)의 측면배수구(36)에는 하단에 설치되는 추(52)에 의해 닫힘을 유지하고 수압에 의해 개방되는 여닫이 형태의 수압개폐도어(50)를 측면배수구(36)를 가로지르는 수평축(54)에 의해 상하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상부공동체(30)의 저면과 하부공동체(20)의 상면에 상호 일치하는 사각의 배수구(38)(28)를 각각 형성하여 측면배수구(36)로부터 배수구(38)(28)를 통해 상부공동부(32)와 하부배수로(22)로 이어지는 배수통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부공동체(30)와 하부공동체(20)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며, 사각의 관거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부공동부(32)와 하부배수로(22)의 표면을 방수처리하여 상부공동체(30)와 하부공동체(20)를 통해 하천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측면배수구(36)의 안쪽에는 패킹(55)을 설치하여 수압개폐도어(50)가 닫혔을 때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하며, 추(52)는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슬롯(52a)을 형성하여 수압개폐도어(50)의 하단에 끼워서 접착한다.
상기 식재파이프(40)의 내부에는 흙을 비롯하여 자갈, 쇄석, 코코넛 덩어리 등을 채운 다음 수생식물(42)을 식재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0은 도로를 나타낸 것이며, 62는 가이드레일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공동체(20)를 제방(12)의 측면에 길게 이어서 설치한 다음 하부공동체(20)의 상면에 상부공동체(30)를 올려 놓게 되면, 상부공동체(30)의 저면에 형성된 리브(34)가 하부공동체(20)의 상면에 형성된 홈(24)으로 삽입되면서 상부공동체(30)와 하부공동체(20)가 결합된다.
즉, 상부공동체(30)에 형성된 리브(34)가 하부공동체(20)에 형성된 홈(24)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토압이나 수압에 대해 리브(34)가 버티면서 상부공동체(30)와 하부공동체(20)의 측방향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하천(10)의 수위가 하부공동체(20)보다 높게 올라가게 되면, 수압이 상부공동체(30)에 설치된 수압개폐도어(5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용되는데, 이때 수압개폐도어(50)가 약간 밀리게 되며, 수압개폐도어(50)의 하단에 설치된 추(52)에 의해 작용하는 수평분력이 수압에 의해 작용되는 힘보다 작게 되면, 수압개폐도어(50)는 패킹(55)에 의해 여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수위가 더 올라가 수압이 추(52)에 의해 작용하는 수평분력보다 더 크게 되면, 수압개폐도어(50)가 수평축(5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되면서 하천수(14)가 상부공동체(30)의 측면배수구(36)를 통해 상부공동부(32)로 유입되어 배수구(38)(28)를 통해 하부공동체(20)의 하부배수로(22)로 떨어져 흐르면서 배수된다.
이때 하천(10)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수압개폐도어(50)는 추(52)에 의해 다시 닫히게 되며, 수위가 올라가면 다시 열리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하천(10)의 수 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하천수가 제방(12)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 하부공동체(20)의 측벽에 형성된 어소부(27)와 식재파이프(40)에 식재된 수생식물(42)은 하천수(14)의 유속에 저항을 부여해 유속을 줄여줌으로써 유속증가에 따른 하류측의 피해를 줄여주는 작용을 하는 동시에 하천(10)에 서식하는 수중생물이 휴식하거나 산란할 수 있는 생태서식공간을 제공하여 수중생명체를 보호하고 하천(10)의 자정기능을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천의 일정수위 이상 높아지는 경우 수압에 의해 개방되는 수압개폐도어와 상부공동체 및 하부공동체에 의해 하천수를 배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천수가 제방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공동체에 형성되어 있는 어소부와 식재파이프에 의해 수중생명체가 서식할 수 있는 생태서식공간을 제공하고, 하천의 자정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천(10)의 제방(12)에 설치되는 하부공동체(20) 위에 상부공동체(30)를 설치하고, 이 하부공동체(20)의 상면과 상부공동체(30)의 저면에 장부촉이음을 위한 홈(24)과 리브(34)를 각각 형성하며, 하천수(14)와 맞닿는 하부공동체(20)의 외벽에는 트러스 형태로 구획된 식재부(26)와 어소부(27)를 형성하여 그 식재부(26)에 수생식물(42)이 식재된 식재파이프(40)를 설치하고, 하천수(14)와 맞닿는 상부공동체(30)의 측면배수구(36)에는 하단에 설치되는 추(52)에 의해 닫힘을 유지하고 수압에 의해 개방되는 여닫이 형태의 수압개폐도어(50)를 측면배수구(36)를 가로지르는 수평축(54)에 의해 상하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상부공동체(30)의 저면과 하부공동체(20)의 상면에 상호 일치하는 사각의 배수구(38)(28)를 각각 형성하여 측면배수구(36)로부터 배수구(38)(28)를 통해 상부공동부(32)와 하부배수로(22)로 이어지는 배수통로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KR1020050093937A 2005-10-06 2005-10-06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KR100542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937A KR100542739B1 (ko) 2005-10-06 2005-10-06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937A KR100542739B1 (ko) 2005-10-06 2005-10-06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2739B1 true KR100542739B1 (ko) 2006-01-20

Family

ID=3717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937A KR100542739B1 (ko) 2005-10-06 2005-10-06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7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759B1 (ko) 2009-01-30 2011-06-20 최수용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CN102234993A (zh) * 2011-04-25 2011-11-09 山东河海水力插板工程有限责任公司 高位溢流堰海水单向流动工程
KR101124944B1 (ko) 2010-01-04 2012-03-21 민승기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CN102587320A (zh) * 2012-03-16 2012-07-18 王宽飞 一种库池组合式多功能海堤
CN106012955A (zh) * 2016-05-20 2016-10-12 卢陈涛 一种水利工程挡土墙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759B1 (ko) 2009-01-30 2011-06-20 최수용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KR101124944B1 (ko) 2010-01-04 2012-03-21 민승기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CN102234993A (zh) * 2011-04-25 2011-11-09 山东河海水力插板工程有限责任公司 高位溢流堰海水单向流动工程
CN102587320A (zh) * 2012-03-16 2012-07-18 王宽飞 一种库池组合式多功能海堤
CN102587320B (zh) * 2012-03-16 2013-12-11 王宽飞 一种库池组合式多功能海堤
CN106012955A (zh) * 2016-05-20 2016-10-12 卢陈涛 一种水利工程挡土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2739B1 (ko)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KR100707718B1 (ko) 하천연안의 토사유출 방지구조
KR100669228B1 (ko) 우수범람방지를 위한 건축단지내 배수로 구조물
KR101205102B1 (ko) 회전개폐형 저수사방댐
CN213596917U (zh) 一种水利工程用挡水板
KR200349427Y1 (ko) 수로구축용 콘크리트구조물
KR100607455B1 (ko) 하천수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수중보
KR101294664B1 (ko) 투수성 호안블록
KR200259043Y1 (ko) 우수침수용 수로
JP4097222B2 (ja) 河川・砂防構造物および河川・砂防構造物構築用ブロック材
KR200310580Y1 (ko) 수중보의 수문 개폐구조
KR100510884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취입보 설치공법
CN105804005B (zh) 一种挂壁式生态混凝土堤防及其构建方法
JP3634324B2 (ja) 砂防ダムにおける堤体仮締め切りスリット設置工法及び同工法に使用するプロテクター
CN115094825B (zh) 一种近岸海域生态护岸
KR101064916B1 (ko) 우수 범람 방지 및 지하수 고갈 방지를 위한 배수로
KR101375232B1 (ko) 하천제방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제방구조
CN220521237U (zh) 一种渠道护坡结构
KR100686642B1 (ko) 상수원지 제방 보호 구조물
KR100872511B1 (ko) 토목용 일방향 배수필터
CN217105139U (zh) 带有多级植草沟的土质边坡
KR101010204B1 (ko) 하천의 제방용 배수장치
KR101103086B1 (ko) 생태통로가 구비된 사방댐
KR101555657B1 (ko) 하천의 유량조절용 저류블록 구조체
CN117328410B (zh) 一种低开挖量且施工快速的拦蓄坝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