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759B1 -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 Google Patents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759B1
KR101042759B1 KR1020090007530A KR20090007530A KR101042759B1 KR 101042759 B1 KR101042759 B1 KR 101042759B1 KR 1020090007530 A KR1020090007530 A KR 1020090007530A KR 20090007530 A KR20090007530 A KR 20090007530A KR 101042759 B1 KR101042759 B1 KR 101042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freshwater fish
shellfish
natural
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8359A (ko
Inventor
최수용
최순영
Original Assignee
최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용 filed Critical 최수용
Priority to KR1020090007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75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8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02River rest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전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자연재해와 사람에 의해 파괴된 '생태하천 복원공사' 에 꼭 필요한 것으로서, 민물어패류의 천연 서식환경과 같은 수중생태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강과 하천, 습지의 생물다양성 회복과 수중생물의 자연서식 활성화, 그리고 수중생태계의 보호, 보존을 강화하는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우리나라의 모든 하천에서 각종 오폐수에 노출된 민물어패류가 대피할 곳이 없어 병들거나 폐사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을 개선할 최선의 대안이며, 최악의 독극물에도 전혀 노출되지 않는 환경을 조성해줌으로써 민물어패류의 생태적 환경의 보호, 보존과 수중생물의 다양성 강화를 위하여 절실하게 필요한 시설이며, 각종 재해나 오폐수를 대비한 대피공간이자 안전한 서식처인 것이다.
그러므로 민물어패류의 생활, 대피, 휴식, 번식이라는 생태순환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최적의 생태적 서식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평상시의 먹이활동과 유영을 위한 생활공간, 오폐수의 유입이나 갑작스런 생태환경 변화 시에 응급대피 가능한 대피공간, 동물적 은닉본능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휴식공간, 그리고 알을 낳거나 생식활동을 위한 번식공간으로 대별하여, 자연에 있는 각각의 천연서식환경을 그대로 조성해주는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 구조체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하천, 민물고기, 어패류

Description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Artificial living structure for the fresh water fishes}
본 발명은 현재 복원공사 중인 생태하천에 자연에 있는 천연의 수중생태환경을 재현하여 민물어패류, 혹은 이들과 어울려 살아야 하는 각종 양서류, 파충류, 수서곤충 등의 수중생물 서식활성화와 수중생태계 보존을 목적으로 하는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 구조체를 이용한 수중생태 환경구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대부분이 합류식(合流式) 하수도로 되어 있으므로 강우 시에 하천은 초기에 발생하는 우수(雨水) 등의 월류수로 인하여 도로, 하수도 등에 퇴적된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하천에 유입된다. 그 결과 이 월류수에 포함된 다량의 수질오염, 병원성 미생물들로 인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킨다.
예를 들면 미생물에 의한 공중위생의 문제, 협잡물에 의한 미관훼손 및 하상폐쇄의 문제 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환경적 폐해는 민물에 서식하는 각종 어패류의 폐사로 이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초기의 우수(雨水) 및 월류수(越流水)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강우 시마다 하천의 생태환경이 반복해서 오염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현재 추진 중인 자연형 생태하천 복원사업이 실효성을 거두는 데에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으므로 수중생태계의 오염과 수중생태환경의 파괴를 대비하고 방지하는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 구조체의 설치는 꼭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 복원중인 자연형 생태하천의 각종 인공구조물로는 민물어패류와 양서류 등의 번식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렇게 민물어패류의 생태환경이 미흡한 복원하천에 매년 인위적으로 어류를 방류한다 하여도 그 대부분은 다른 곳으로 떠나거나 병이 들거나 폐사하는 등 자연서식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특히 민물고기와 양서류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단순히 물만 있어서는 곤란하고 그들의 적절한 먹이공급원이 주변에 있어야 하며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한 공간도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 진행되고 있는 자연형 생태하천 복원사업은 민물고기와 양서류의 생태적 특징이나 환경과는 너무나 거리가 먼 단순한 인공하천으로 조성되어지고 있다.
삭제
삭제
그 외에도 인공적인 어도(魚道)를 조성하거나 인공섬 조성, 배후습지 조성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없는 것보다는 좋아지는 부분도 있지만, 아직도 민물고기의 생태, 즉 생활, 대피, 휴식, 번식의 모든 활동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생태환경의 조성은 요원한 현실이다.
본 발명은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이 가능한 각종 하천이나 습지들이 도시화와 함께 도로개설 등의 토목사업과 각종 인공시설물의 설치로 인해 자연생태환경이 파괴되면서 민물어패류나 양서류 등의 생활과 번식이 어려운 생태하천 복원에 생활, 대피, 휴식 그리고 번식의 자연생태 리듬을 찾을 수 있는 민물어패류의 자연형 수중생태서식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어패류의 일반적인 생활공간, 본류의 오염에 의한 생활환경의 급변 시 피난 가능한 공간, 휴식을 위한 공간, 번식을 위한 공간을 각기 지역 특성에 맞추어 설치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민물에 서식하는 각종 어패류, 양서류, 파충류가 가장 최적의 자연상태로 번식과 생활이 가능하도록 생활공간, 대피공간, 휴식공간 그리고 번식공간으로 대별하여 이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최적의 수중 생태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민물고기의 생태특징과 생활습관, 주변환경 등을 고려하여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 활성화와 천연의 환경과 가장 가까운 최적의 수중생태서식처를 제공하여 복원된 생태하천에서 우수(雨水) 함께 각종 오폐수의 침투로 인한 민물어패류의 폐사를 막고 수중생태계의 보호, 보존이 가능하도록 하며 민물어패류의 안전한 서식과 왕성한 번식이 이루어지게 하는 자연형태의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구조체이다.
이와 같이 생태하천 복원에 반드시 함께 구성되어야 할 본 발명의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구조체로 인하여 수중생태계를 회복하고 보존하게 되면, 더불어 수변생태계와의 균형을 이루게 되면서 인간생활에 해로운 각종 곤충의 유충들도 자연 조절됨으로써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모색할 수 있으며, 인근 시민들의 자연친화적 생활, 친환경적 정서함양과 자연관찰, 생태체험장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바야흐로 본 발명의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구조체를 이용하여 진정으로 명실상부한 생태 하천 복원을 시행하여 하천과 습지, 육지로 연계되는 자연생태계의 회복, 우리나라 고유생태의 보전과 생물다양성의 확보를 이룩하고 건강한 하천, 건강한 도시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수중생태환경이 파괴된 생태하천의 복구에 있어서, 수중생태계의 회복과 수중생물의 다양성 강화를 위한 방편으로 민물어패류의 최적의 생활, 대피, 휴식 그리고 번식을 위한 수중생태계의 자연서식환경을 제공하여 건강한 하천의 생태환경구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민물어패류의 일상적인 유영(遊泳)과 먹이활동을 위한 생활공간(A), 우기 혹은 주변환경의 변화, 오염물질의 유입, 유해생물의 진입 등 위기상황에서의 보존을 위한 대피공간(B), 은닉본능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휴식공간(C), 그리고 산란과 부화, 치어들의 안정적 생장을 위한 번식공간(D)으로 구성되는 대별되는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 구조체를 이용하여 수중생태환경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생태하천의 평면 구조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생활공간(A1)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생활공간(A2)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대피공간(B)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휴식공간(C)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대피공간(B)과 휴식공간(C)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번식공간(D)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번식공간(D)의 조립상태를 확대한 사시도, [도 9]는 물탱크(61)와 생수공급로(d)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민물고기의 통상적인 유영과 먹이활동을 위한 생활공간(A),
우기 혹은 주변환경의 변화, 오염물질의 유입, 유해생물의 진입 등 위기상황에서의 보존을 위한 대피공간(B),
본능적 은닉,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휴식공간(C),
그리고 산란과 부화, 그리고 치어들의 안정적 생장을 위한 번식공간(D)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생활공간(A)은 주로 상류하천으로, 그늘이 많고 낙엽의 유입이 큰 지역으로, 주변의 낙엽으로 부터 수서곤충이나 미생물의 먹이활동이 활발하게 되고 각종 민물어패류가 이를 섭취하면서 먹이활동과 유영활동이 왕성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생활공간(A)의 형태는 원형이 가장 물의 저항을 적게 받기 때문에 선택한 것이지만, 물의 흐름이나 수변의 형태, 주변환경에 따라 사각, 육각, 팔각,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생활공간(A1)는 수변부가 아닌 하천의 중앙부의 수중에 설치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중앙배치형 생활공간(A1)은 상부에 넓적한 대형암석(11)으로 절반만 덮어주는 구조로 설치한다. 이것은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자잘한 자갈이나 모래의 퇴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생활공간(A1)은 [도 2]에 도시하듯이 하천의 하저면(15)보다 낮게 반구형의 소(沼)(14)를 구성하고, 대형암석(11)으로 소의 절반을 덮어주고 그 아래로는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한 중형암석층(12)이 배치된다. 그리고 자갈과 모래로 구성한 하부층(13)에 의하여 소(沼)(14)의 저면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소(沼)(14)의 저면부에는 하천의 유수와는 별도로 항시 소(沼)(14)의 내부로 오염되지 않은 신선한 생수를 공급하는 생수공급부(16)가 배치되어 최적의 수생환경을 유지하여 각종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과 먹이섭취, 유영생활 등을 가능하게 하는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게 한다.
그리고 수변배치형 생활공간(A2)은 적은 강우의 오염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자연하천의 지형적 특징을 따라 설치되거나, 생태적으로 개발되는 하천에 설치되어져 민물어패류의 서식활성화와 수중생태계의 보존을 목적으로 하고 사람들이 물고기 생태의 직접관찰을 위한 것으로 하천의 수변에 반구형의 소(沼)(14)의 상부를 개방상태로 하되, [도 3]에 도시하듯이 반구형의 소(沼)(14)의 상부가 수면 위로 드러나도록 설치하고 상류측에는 하류측보다 높게 방벽(57)을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식물을 식재하여 관찰할 수 있는 식물 성장공간부(59)를 구성하여 준다. 이는 우수(雨水)나 오폐수의 유입에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반구형의 소(沼)(14)의 상측을 개방상태로 하며, 하부에서는 상기하듯이 생수공급부(16)가 설치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그 상부에는 모래나 자잘한 자갈들이 혼합되어진 혼합층(53)을 구성하고 그 위에 다시 번식공간(D)과 유사한 구조로 암석층(55)을 배치하여 준다. 상류측에 암석층(55)을 배치하고 하류측에는 일정한 공간부(56)를 형성하도록 한다. 반구형의 소(沼)(14)의 양측에는 배출구(58)가 설치되어져 주변에 있는 물고기의 출입이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대피공간(B)은 하천의 양측 수변제방(21)의 내측에 함입하되 본 구조체의 상단이 하천의 수면 아래로 항시 잠겨있도록 설치되어 진다. 이렇게 형성된 대피공간(B)은 [도 4]에 도시하듯이 상류측에 생수유입구(22)가 설치되고 하류측에 배출구(23)들을 설치하며, 배출구(23)의 앞에는 별도의 배출구 외벽(23a)이 설치되어지도록 한다. 생수유입구(22)는 별도의 수공급라인을 통하여 상기한 생활공간(A)과 동일한 생수공급도관(d)이 연결되어져 항시 신선한 물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 생수유입구(22)나 배출구(23)의 수는 편의상 2 내지 4개를 도시하였으나 실제 하천의 형태에 따라 증감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휴식공간(C)은 상기한 대피공간(B)과 인접하여 하천의 양측 수변제방(21)에 함입하되 본 구조체의 상단이 하천의 수면 아래로 항시 잠겨있도록 설치되어 진다. 이렇게 형성된 휴식공간(C)은 [도 5]에 도시하듯이 상류측에 생수유입구(22)가 설치되고 하류측에 배출구(23)들을 설치하며, 배출구(23)의 앞에는 별도의 배출구 외벽(23a)이 설치되어지도록 한다. 생수유입구(22)는 별도의 수공급라인을 통하여 상기한 생활공간(A)과 동일한 생수공급도관(d)이 연결되어져 이곳을 통하여 항시 신선한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하듯이 하천을 향한 외벽(24)은 2개로 분할하여 내측외벽(24b)의 선단을 외측과 길게 엇갈려 통로(24a)를 설치한다. 상기한 배출구(23)와 통로(24a)는 비슷한 크기의 민물고기만 통과 가능하도록 통로의 폭을 해당 하천의 민물고기의 몸통 평균 폭보다 10 내지 20% 크게 형성하여 준다. 휴식공간(C)에 형성된 통로(24a)는 대피중인 물고기에 대한 외부 포식자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그 폭과 길이가 조절되는 형태이다. 해당 하천에 서식하는 민물고기의 종류에 따리 현장에서 증감하여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방호벽(23a)은 심한 월류수(越流水)에 의한 오염물이 배출구(23)를 통하여 휴식공간에 유입될 수 있는 위험성을 낮추도록 하고 하부(26)에는 자갈과 모래로 구성하되 소실되지 않도록 조성한다.
본 발명에서 번식공간(D)은 [도 7]에 도시하듯이 내부에 암석들(35)이 세워서 성글게 배치되어지며, 하부에는 모래와 자갈의 혼합층(33)을 구성하며, 육지측에는 수공급부(31)들이 형성되며, 하천측은 개방상태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번식공간(D)은 육지측에서 나오는 생수에 의하여 항시 신선한 물이 채워지며, 어패류의 종류에 따라서는 번식공간(D)이 아닌 휴식공간(C)의 저면부 혼합층(33)에 산란을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번식공간(D)은 휴식공간(C)과 인접하게 설치하며 가장 적합하게는 1.5 내지 2.5m 정도로 거리를 두고 배치하는 것이 민물고기의 번식과 산란에 최적인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배치거리는 이곳에서 서식하는 민물고기의 크기와 종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며, 어종이 크고 활동력이 높은 것일수록 그 거리를 늘려 설치한다.
[도 8]에 도시하듯 번식공간(D) 외에도 하천의 유속 조절용 계단식 보(50) 위에 잔류하는 모래층(55)이 각종 어패류의 산란장소로도 이용이 된다.
본 발명에서 유속 조절용 계단식 보(50), 대피공간(B), 휴식공간(C) 그리고 생활공간(A)은 상기한 번식공간(D)과 보 사이 거리와 거의 동일한 거리로 배치하는 것이 어류의 생활형태상 가장 최적의 환경이 된다. 이러한 배치거리는 이곳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류나 물 흐름(속도, 유량, 오염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한 생활공간(A), 대피공간(B), 휴식공간(C) 그리고 번식공간(D)의 생수 공급은 본류하천 인근의 지류나 상류의 오염되지 않는 항시 흐르는 생수를 모아서 생수공급부(16)나 생수유입부(22)와 연통되도록 생수공급도관(d)을 연결, 공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리고 이 방법이 용이치 않을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하듯이 일정거리의 하천상류 바닥을 파서 강모래와 자갈층, 굵은 자갈층으로 둘러싼 물탱크(61)를 조성, 정수하여 저장하고 생수공급도관(d)을 연결하여 물탱크(61)의 생수가 생수공급부(16)나 생수유입부(22)로 공급되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구조는 하천 바닥을 파내려 가면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신선한 생수가 발생되며, 이 생수는 집수구멍(62)이 설치된 물탱크(61)에 모아지게 된다. 이렇게 모아진 생수는 생수공급도관(d)을 통하여 생수공급부(16)로 공급되어지며, 하천에 흐르는 본류가 오염될 경우에도 이곳은 항시 새로운 생수가 흐르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생활공간(A), 대피공간(B), 휴식공간(C), 그리고 번식공간(D)의 자재는 친환경 석재, 친환경 목재, 친환경 특수 콘크리트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생활공간(A)의 크기는 하천의 지형과 크기에 따라 다음의 기본규격 이상을 적용한다. 반구형의 소(沼)(14)의 지름 130Cm, 높이 120Cm, 두께 12Cm를 기본규격으로 한다.
본 발명의 대피공간(B)과 휴식공간(C)의 크기는 물 흐르는 방향을 길이로 기준하여 본 구조체의 외경으로 길이 120Cm, 너비 60Cm, 높이 60Cm, 두께 4Cm로 적용한다.
본 발명에서 번식공간(D)의 크기는 물 흐르는 방향을 길이로 기준하여 본 구조체의 외경으로 길이 60Cm, 너비 120Cm, 높이 60Cm, 두께 4Cm로 적용한다.
본 발명에서 생활공간(A), 대피공간(B), 휴식공간(C), 그리고 번식공간(D)으로 대별한 것은 자연에 있는 천연적 생태환경을 그대로 재현한 구조와 형태로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을 유도하고 강화하는 생태환경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민물어패류가 천연의 수중생태환경과 같은 자연 서식공간을 확보하게 되며, 이러한 공간이 반드시 조성되어야 민물고기와 양서류, 수서곤충들이 잠을 자거나(양서류) 알을 낳거나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생태하천의 평면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의 생활공간(A1)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생활공간(A2)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4 는 대피공간(B)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휴식공간(C)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6 은 대피공간(B)과 휴식공간(C)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7 은 번식공간(D)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8 은 번식공간(D)의 조립상태를 확대한 사시도,
도 9 는 물탱크(61)와 생수공급로(d)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임.
[부호의 설명]
(A)는 본 발명에서의 생활공간을 표시하며, (A1)은 상기한 생활공간 중에서 중앙배치형 생활공간이며, (A2)는 수변배치형 생활공간이며, (B)는 대피공간이며, (C)는 휴식공간이며, (D)는 번식공간이다.
중앙배치형 생활공간(A1)에서 (11)은 대형암석이며, (12)는 중형암석층이며, (13)은 소(沼)의 하부층이며, (14)는 소(沼)를 이르며, (15)는 하천의 하저면이며, (16)은 생수공급부이다.
수변배치형 생활공간(A2)에서 (14)는 소(沼)를 이르며, (16)은 생수공급부이며, (53)은 자갈 혼합층이며, (55)는 암석층이며, (56)은 일정한 공간부이며, (57)은 방벽이며, (58)은 배출구이며, (59)는 식물 성장공간부이다.
대피공간(B)에서 (21)은 하천의 양측 수변제방이며, (22)는 생수유입구이며, (23)은 배출구이며, (23a)는 별도의 배출구 외벽이며, (d)는 생수공급도관이다.
휴식공간(C)에서 (21)은 대피공간(B)과 마찬가지로 하천의 양측 수변제방이며, (22)는 생수유입구이며, (23)은 배출구이며, (23a)는 별도의 배출구 외벽이며, (24)는 하천을 향한 외벽이며, (24a)는 물고기의 통로이며, (24b)는 분할한 내측외벽이며, (26)은 자갈과 모래로 구성된 하부이며, (d)는 생수공급도관이다.
번식공간(D)에서 (31)은 육지측의 수공급부이며, (33)은 모래와 자갈의 혼합층이며, (35)는 세워서 성글게 배치되는 암석들이며, 그 밖에 (50)은 하천의 유속조절용 계단식 보(堡)이며, (55)는 보 위에 잔류하는 모래층이며, (61)은 물탱크이며, (62)는 집수구멍이며, (d)는 생수공급도관이다.

Claims (8)

  1. 민물고기의 일상적인 유영과 먹이활동을 위한 생활공간(A),
    우기 혹은 주변환경의 변화, 오염물질의 유입, 유해생물의 진입 등 위기상황에서의 보존을 위한 대피공간(B),
    동물적 은닉본능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휴식공간(C),
    그리고 산란과 부화, 치어들의 안정적 생장을 위한 번식공간(D)으로 구성되는 생태하천 복원용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중앙부 생활공간(A1)은 하천의 하저면(15)보다 낮게 반구형의 소(沼)(14)를 구성하고, 하부에서는 하천의 유수와는 별도로 소(沼)의 내부로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생수가 상시 분출하도록 외부의 생수공급로(d)와 연통되어져 있으며, 하부는 자갈과 모래의 혼합물로 구성된 하부층(13)과 중형암석층(12)을 순차로 배치하여 민물고기의 은닉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며, 대형암석(11)에 의하여 상기한 중형암석층(12)의 상부 절반을 덮어주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수변부 생활공간(A2)은 반구형의 소(沼)(14)의 상측을 개방상태로 하며, 하부에서는 생수공급부(52)가 설치되어지며, 생수공급부(52)의 상부에는 모래나 자잘한 자갈의 혼합층(53)을 적층한 다음 암석층(55)을 배치하도록 하되, 암석층을 배치한 맞은편에 공간부(56)를 형성하고 상류측으로는 반구형의 소(沼)(14)보다 높여서 수면위로 돌출되는 방벽(57)을 형성하여 주며, 원통형 구조(51)의 양측에는 배출구(58)가 설치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 어패류의 자연서식 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대피공간(B)은 하천의 양측 수변제방(21) 내측에 내부가 빈 통형의 구조로 설치되어지며, 상류를 향한 면에 생수유입구(22)가 설치되고 하류를 향한 면에 배출구(23)들이 설치되는 동시에 배출구의 앞에는 별도의 방호벽(23a)이 설치되어지며, 상기한 생수유입구(22)는 생수공급로(d)와 연결되어져 상시 생수가 공급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하부(26)는 돌과 자갈, 모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 어패류의 자연서식 구조체.
  5. 제 1항에 있어서,
    휴식공간(C)은 하천의 양측 수변제방(21) 내측에 내부가 빈 통형의 구조로 설치되어지며, 상류를 향한 면에 생수유입구(22)가 설치되고 하류를 향한 면에 배출구(23)들이 설치되는 동시에 배출구의 앞에는 별도의 방호벽(23a)이 설치되어지며, 상기한 생수유입구(22)는 생수공급로(d)와 연결되어져 상시 생수가 공급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하천을 향한 외벽(24)은 2개로 분할하여 내측외벽(24b)의 선단에 연장부를 구성하여, 외벽(24)과 엇갈리게 간격을 두어 통로(24a)를 형성하며, 통로(24a)의 폭은 휴식공간(C)이 설치될 하천에 상존하는 민물고기 몸통의 폭보다 10 내지 20% 크게 구성하며, 하부(26)는 돌과 자갈, 모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 어패류의 자연서식 구조체.
  6. 제 1 항에 있어서,
    번식공간(D)은 내부에 암석들(35)이 세워서 성글게 배치되어지며, 하부에는 돌과 자갈, 모래의 혼합층(33)을 구성하며, 육지를 향한 벽면에는 수공급부(31)들이 형성되며, 하천을 향한 면은 개방상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 어패류의 자연서식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생활공간(A) 대피공간(B) 휴식공간(C) 번식공간(D)로부터 일정거리에 한천상류의 소량이 오염되지 않는 생수를 지속적으로 공급 할수 있도록 바닥을 파서 자연재료 (나무, 숯, 왕모래, 자갈, 돌 등)을 사용하여 설치한 물탱크(61) 물탱크에서 정수한 생수를 위 각 서식공간과 연통되도록 생수 유입구(22) 입수용 도관 (d)으로 구성한 생태 하천 복원용 민물 어패류의 자연 서식 구조체
  8. 삭제
KR1020090007530A 2009-01-30 2009-01-30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KR101042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530A KR101042759B1 (ko) 2009-01-30 2009-01-30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530A KR101042759B1 (ko) 2009-01-30 2009-01-30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359A KR20100088359A (ko) 2010-08-09
KR101042759B1 true KR101042759B1 (ko) 2011-06-20

Family

ID=4275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530A KR101042759B1 (ko) 2009-01-30 2009-01-30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87B1 (ko) 2013-04-02 2014-03-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어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 분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164B1 (ko) * 2011-10-28 2013-11-15 최수용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
CN105265358A (zh) * 2015-10-30 2016-01-27 滁州市南谯区长江水产良种繁育场 一种草鱼池塘循环流水养殖方法
CN105432522A (zh) * 2015-12-02 2016-03-30 全椒县管坝民族村综合养殖专业合作社 美国斑点叉尾鮰鱼的养殖方法
CN105557584A (zh) * 2016-01-11 2016-05-11 荣成市渔业技术推广站 一种松江鲈鱼全海水苗种繁育及室内工厂化养殖方法
CN105613382A (zh) * 2016-01-28 2016-06-01 西南大学 一种厚颌鲂的全人工繁殖方法
CN112482298A (zh) * 2020-12-08 2021-03-12 中国电建集团昆明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山地河流过坝鱼类的测试装置及测试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934A (ko) * 2002-07-31 2004-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용 니켈 금속수소 전지의 양극 제조공정
KR100429041B1 (ko) 2001-11-15 2004-04-29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도시 하천의 여울 조성공법
KR100542739B1 (ko) 2005-10-06 2006-01-20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KR200411934Y1 (ko) 2005-12-30 2006-03-21 극동엔지니어링(주) 유속이 심한 하천 바닥 물고기 보호용 수초 블록
KR100574741B1 (ko) 2004-08-25 2006-04-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토목 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생태여울시스템 및 그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041B1 (ko) 2001-11-15 2004-04-29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도시 하천의 여울 조성공법
KR20040011934A (ko) * 2002-07-31 2004-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용 니켈 금속수소 전지의 양극 제조공정
KR100574741B1 (ko) 2004-08-25 2006-04-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토목 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생태여울시스템 및 그시공방법
KR100542739B1 (ko) 2005-10-06 2006-01-20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KR200411934Y1 (ko) 2005-12-30 2006-03-21 극동엔지니어링(주) 유속이 심한 하천 바닥 물고기 보호용 수초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87B1 (ko) 2013-04-02 2014-03-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어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 분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359A (ko) 2010-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long et al. Upper mississippi river basin
MacDonald et al. Status and conservation needs of the otter (Lutra lutra) in the western Palaearctic
KR101042759B1 (ko)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Adel Downstream ecocide from upstream water piracy
McNiven et al. Enhanced ecologies and ecosystem engineering
Peay Eradication of alien crayfish populations
Louca et al. Do culverts impact the movements of the endangered white-clawed crayfish?
Caskenette et al. Review of information to guide the identification of critical habitat in the riparian zone for listed freshwater fishes and mussels
Marcus The Coastal Wetlands of San Diego County
Stromberg et al. Riparian floodplain wetlands of the arid and semiarid Southwest
KR102375671B1 (ko) 멸종위기종인 양서류의 자연형 대체서식지 조성구조
Brown et al. An update status report of the Sonoran topminnow (Poeciliopsis occidentalis) and desert pupfish (Cyprinodon macularius) in Arizona
Wesley Kalamazoo River Assessment
Liu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Wetland Parks Which Are Suitable for Frog Habitat
Trifanova et al. How much space is needed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Upadhaya et al. High altitude Ramsar sites of Nepal
Popov et al. Negative Influences on Margaritifera margaritifera Populations in the Study Area
Almon Review of Literature of Small Dams with a Case Study on the South Cumberland Plateau
Schrouder et al. Tittabawassee river assessment
Shaler Reports on Plans for the Extermination of Mosquitoes on the North Shore of Long Island Between Hempstead Harbor and Cold Spring Harbor
DEBROT et al. s CURAÇAO
Rager et al. San Diego County wetlands: History, inventory, ecology, and economic valu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Westcott et al. Freestad Lake estuary restorati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agatheesh et al. Environmental Degradation of the Coimbatore
County Wallowa County: Salmon habitat recovery plan with multi-species habitat strate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