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164B1 -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 - Google Patents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164B1
KR101330164B1 KR1020110111372A KR20110111372A KR101330164B1 KR 101330164 B1 KR101330164 B1 KR 101330164B1 KR 1020110111372 A KR1020110111372 A KR 1020110111372A KR 20110111372 A KR20110111372 A KR 20110111372A KR 101330164 B1 KR101330164 B1 KR 101330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ecological
aquatic
river
l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790A (ko
Inventor
최수용
Original Assignee
최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용 filed Critical 최수용
Priority to KR1020110111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1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02River rest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는, 생태하천의 수중에 수중생물의 생활시 갑작스러운 주변환경의 변화나 위기상황에서의 보존을 위한 대피공간부와, 일상적인 유영(遊泳)과 먹이활동을 위한 생활공간부와, 산란과 부화 또는 치어들의 안정적인 생장을 위한 산란공간부와, 은닉본능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휴식공간부를 제공하고, 또한, 각 대피공간부, 생활공간부, 산란공간부, 휴식공간부에 상류에서 신선한 생수공급이 가능하게 되므로서, 생태하천에 서식하는 수중생물의 서식활성화와 수중생태계의 보존을 위한 천연과 유사한 수중생태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어류, 양서류와 같은 물과 친밀한 생물들의 개채의 증식이 가능하게 되면서 주위의 수변 생태계와의 균형을 이루게 되면서 인간생활에 해로운 각종 곤충의 유충들도 자연 조절됨으로써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모색할 수 있으며, 인근 시민들의 자연친화적 생활, 친환경적 정서함양과 자연관찰, 생태체험장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므로 수중생물의 자연생태계의 회복을 이룩하고 건강한 생태하천으로 재탄생하게 된다.

Description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 Artificial living structure for the fresh water fishes }
본 발명은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생태하천의 수중에 수중생물의 생활시 갑작스러운 주변환경의 변화나 위기상황에서의 보존을 위한 대피공간이 제공되고, 일상적인 유영(遊泳)과 먹이활동을 위한 생활공간도 제공되며, 산란과 부화 또는 치어들의 안정적인 생장을 위한 산란공간부도 제공되고, 은닉본능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휴식공간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수중에 서식하는 물고기들이 안락하게 번식하면서 생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생태하천에 서식하는 수중생물의 서식활성화와 수중생태계의 보존을 위한 천연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천연상태와 유사한 수중생태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은 강우 시에 우수 등의 월류수로 인하여 도로, 하수도 등에 퇴적된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하천에 유입되게 되고, 그결과 이 월류수에 포함된 다량의 수질오염물질 및 병원성 미생물등에 의하여 하천이 쉽게 오염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들면 미생물에 의한 수질의 오염, 협잡물에 의한 미관훼손 및 하상폐쇄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하천에 서식하는 각종 수중생물의 폐사로 이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초기의 우수 및 월류수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강우시 마다 하천의 생태환경이 반복해서 오염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생태하천 복원에 있어 큰 장애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중생물의 자연서식을 위한 생태환경조성을 위하여 자연형 생태하천의 각종 인공구조물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인공구조물의 조성은 수중생물의 특징이나 서식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단순한 인공하천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수중생물의 자연서식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뿐더러 생태하천 복원에 투입되는 인력과 비용만 낭비하게 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태하천의 수중에 수중생물의 생활시 갑작스러운 주변환경의 변화나 위기상황에서의 보존을 위한 대피공간부와, 일상적인 유영(遊泳)과 먹이활동을 위한 생활공간부와, 산란과 부화 또는 치어들의 안정적인 생장을 위한 산란공간부와, 은닉본능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휴식공간부를 제공하게 되어 수중생물이 안락하게 생활하고 번식활동도 왕성하게 발생되어 자연환경과 유사하게 생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물고기들이 생활하는 대피공간이나 생활공간, 산란공간, 또는 휴식공간에 상류에서 공급되는 신선한 생수공급이 가능하게 되므로서 생태하천에 서식하는 수중생물의 서식활성화와 수중생태계의 보존을 위한 천연상태와 유사한 적합한 수중생태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류측 전면에 생수공급도관이 연결되고 하류측 후면에 절개슬릿홈과 출입공이 형성되며 내측에 격벽에 의해 분할된 대피공간이 형성된 제1대피공간부와, 상류측 전면에 생수공급도관이 연결되고 경사진 하류측 후면에 절개슬릿홈이 형성되며 내측에 격벽에 의해 분할된 생활공간이 형성된 생활공간부와, 상부가 개방되어 상부덮개가 덮혀진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류측 전면에 생수공급도관이 연결되고 삼각뿔이 형성된 하류측 후면에 출입공이 형성되며 내측에 암석층이 형성되는 산란공간이 형성된 산란공간부와,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류측 전면에 생수공급도관이 연결되고 하류측 후면과 측면에 출입공이 형성되며 내측에 격벽에 의해 분할된 휴식공간이 형성된 휴식공간부와, 삼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류측 전면에 생수공급도관이 연결되고 하류측 후면에 출입공이 형성되며 내측에 격벽에 의해 분할된 대피공간이 형성된 제2대피공간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는, 생태하천의 수중에 수중생물의 생활시 갑작스러운 주변환경의 변화나 위기상황에서의 보존을 위한 대피공간부와, 일상적인 유영(遊泳)과 먹이활동을 위한 생활공간부와, 산란과 부화 또는 치어들의 안정적인 생장을 위한 산란공간부와, 은닉본능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휴식공간부를 제공하고, 또한, 각 대피공간부, 생활공간부, 산란공간부, 휴식공간부에 상류에서 신선한 생수공급이 가능하게 되므로서, 생태하천에 서식하는 수중생물의 서식활성화와 수중생태계의 보존을 위한 천연과 유사한 수중생태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어류, 양서류와 같은 물과 친밀한 생물들의 개체의 증식이 가능하게 되면서 주위의 수변 생태계와의 균형을 이루게 되면서 인간생활에 해로운 각종 곤충의 유충들도 자연 조절됨으로써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모색할 수 있으며, 인근 시민들의 자연친화적 생활, 친환경적 정서함양과 자연관찰, 생태체험장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므로 수중생물의 자연생태계의 회복을 이룩하고 건강한 생태하천으로 재탄생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생태환경구조체의 평면도
도 2a, 2b는 제1대피공간부의 사시도 및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a는 생활공간부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생활공간부의 절개슬릿홈의 확대사시도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생활공간부의 설치상태를 타내는 종단면도
도 4a, 4b는 산란공간부의 사시도 및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a, 5b는 휴식공간부의 사시도 및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a, 6b는 제2대피공간부의 사시도 및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a,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생태환경구조체의 각 공간부에 적외선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수중생태환경구조체의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대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A)는,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에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되고 하류측 측면과 후면에 절개슬릿홈(11)과 출입공(12)이 형성되며 내측에 격벽(13)에 의해 분할되어 대피공간(14)이 형성된 제1대피공간부(1)와, 후면이 경사진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에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되고 경사진 하류측 후면에 절개슬릿홈(21)이 형성되며 내측에 격벽(22)에 의해 분할되어 생활공간(23)이 형성된 생활공간부(2)와, 상부가 개방되어 상부덮개(35)가 덮혀진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되고 삼각뿔(34)이 형성된 하류측 후면에 출입공(31)이 형성되며 내측에 암석층(33)이 형성되는 산란공간(32)이 형성된 산란공간부(3)와,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에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되고 하류측 후면과 측면에 출입공(41)이 형성되며 내측에 격벽(43)에 의해 분할된 휴식공간(42)이 형성된 휴식공간부(4)와, 삼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되고 하류측 후면에 출입공(51)이 형성되며 내측에 격벽(52)에 의해 분할되는 대피공간(53)이 형성된 제2대피공간부(5)를 포함한다.
상기 생수공급도관(6)은 상류에 위치되는 1급수나 2급수와 같은 깨끗한 물이 저장된 장소에서 깨끗한 물이 공급되게 별도의 독립된 도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대피공간부(1)는, 도 2a,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이 막힌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류측 측면에 수중생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절개슬릿홈(11)이 형성되고, 후면에 다수의 출입공(12)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절개슬릿홈(11)과 출입공(12)으로 들어온 수중생물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격벽(13)으로 분할되어 모래와 자갈이 바닥에 깔린 대피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13) 상에는 수중생물이 분할되어있는 다른 대피공간(14)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통공(131)이 형성된다.
상기 제1대피공간부(1)의 전면에는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른 오염수 유입 또는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며 대피공간(14) 내부를 항상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1급수나 2급수와 같은 깨끗한 물이 공급되는 생수공급도관(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생수공급도관(6)을 통하여 유입되는 생수는 대피공간(14)에 채워진 상태에서 측면과 후면의 절개슬릿홈(11)과 출입공(12)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므로 유입과 유출이 계속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대피공간(14)으로는 오염수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대피공간(14)은 항상 오염되지 않은 생수로 채워지게 되므로 청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대피공간(14) 내의 수중생물이 오염수 또는 오염물질에 의해 폐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대피공간부(1)는 수중생물의 활동이 많은 하천의 계단식 보(7)에 함입되어 하천의 수면(W) 아래로 항시 잠겨 지도록 설치되며, 대피공간(14) 내부가 오염되지 않은 생수가 항상 채워지게 되므로 큰 돌 밑에 샘이 솟는 것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되므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 항시 물이 있게 되므로 생물의 대피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생활공간부(2)는, 도 3a 내지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이 막히게 형성되어 하류측 후면이 경사진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진 후면에 수중생물의 출입을 위한 절개 슬릿홈(21)이 형성되고, 내측에 격벽(22)에 의해 분할되어 바닥에 모래와 자갈이 깔린 생활공간(23)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22) 상에는 수중생물이 분할되어 있는 다른 생활공간(23)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통공(221)이 형성된다.
상기 생활공간부(2)의 하류측 후면은 유수에 의해 모래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래가 유수에 쉽게 쓸려갈 수 있도록 하천가에서 하천중앙으로 연장되어 경사지게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생활공간부(2)의 상류측 전면에는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른 오염수 유입 또는 오염물질의 유입을 막기 위하여 생활공간(23) 내부를 항상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1급수나 2급수와 같은 깨끗한 물이 공급되는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된다.
상기 생수공급도관(6)을 통하여 유입되는 생수는 생활공간(23)에 채워진 상태에서 후면의 절개슬릿홈(21)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므로 유입과 유출이 계속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생활공간(23)으로는 오염수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생활공간(23)은 항상 오염되지 않은 생수로 채워지게 되므로 청정상태를 유지할 수있게 되어 생활공간(23) 내의 수중생물이 오염수 또는 오염물질에 의해 폐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개슬릿홈(21)은 상부에 나무판(21a)이 안내레일(21b)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나무판(21a)이 부상하므로 절개슬릿홈(21)의 높이를 나무판(21a)의 높이를 조절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생활공간부(2)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아무 장소에나 설치가 가능하고, 또한, 수변부의 하천의 바닥면(G)에 2/3가 함입되어 설치되므로 생활공간(23)에 깨끗한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자연하천의 웅덩이 역할을 하게 되어 큰 돌 밑에 샘이 솟는 것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되므로, 사계절 항시 물이 있게 되므로 어류나 양서류와 같은 생물의 생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산란공간부(3)는,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상부덮개(35)가 덮혀진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류측 전면에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되고 삼각뿔(34)이 형성된 하류측 후면에 수중생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공(31)이 형성되며 내측에 수중생물의 산란과 부화, 또는 치어들의 생장을 위한 암석층(33)이 형성되는 산란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암석층(33)은 산란공간에 들어온 수중생물에게 최적의 산란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산란공간(32)의 바닥면에 깔린 모래와 자갈 위에 4개의 기초암석(331)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상기 4개의 기초암석(331) 상부에 지름이 큰 한개의 지붕암석(332)을 배치하여 산란 및 부화장소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암석층(33)은 상부에 기초암석(331)과 지붕암석(332)을 추가 배치하여 다층구조의 암석층(3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산란공간부(3)의 상류측 전면에는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른 오염수 유입 또는 오염물질의 유입을 막기 위하여 산란공간(32) 내부를 항상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신선한 생수가 공급되는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된다.
상기 생수공급도관(6)을 통하여 유입되는 생수는 산란공간(32)에 채워진 상태에서 하류측 후면의 출입공(31)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므로 유입과 유출이 계속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산란공간(32)으로는 오염수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산란공간(32)은 항상 오염되지 않은 생수로 채워지게 되므로 청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산란공간(32) 내의 수중생물이 오염수 또는 오염물질에 의해 폐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산란공간부(3)의 하류측 후면에는 유수에 의해 모래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래가 유수에 쉽게 쓸려갈 수 있도록 양단이 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천의 바닥면(G)에 2/3가 함입되어 설치되어 수면(W)에 항상 잠기도록 설치되므로 산란공간부(3) 내의 수중생물이 안정적으로 산란 및 부화가 이루어 지게 되며 안정적으로 치어들의 생장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휴식공간부(4)는,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이 막힌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류측 전면에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되고 하류측 후면과 측면에 수중생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공(41)이 형성되며 내측에 통공(431)이 형성된 격벽(43)에 의해 분할되어 바닥에 모래와 자갈이 깔린 휴식공간(42)이 형성된다.
상기 휴식공간부(4)의 상류측 전면에는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른 오염수 유입 또는 오염물질의 유입을 막기 위하여 휴식공간(42) 내부를 항상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신선한 생수가 공급되는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되며, 상기 생수공급도관(6)을 통하여 유입되는 생수는 휴식공간(42)에 채워진 상태에서 하류측 후면과 측면에 형성된 출입공(41)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므로 유입과 유출이 계속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휴식공간(42)으로는 오염수가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휴식공간(42)은 항상 오염되지 않은 생수로 채워지게 되어 청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천의 바닥면(G)에 2/3가 함입되어 설치되므로 휴식공간(42)에 생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큰 돌 밑에 샘이 솟는 것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되므로, 사계절 항시 물이 있게 되므로 생물의 휴식이 가능하게 되고, 갈수기에도 물이 있게 되어 휴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대피공간부(5)는,도 6a,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수에 의한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삼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천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하류측 후면에 수중생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공(51)이 형성되며 내부는 수중생물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통공(521)이 형성된 격벽(52)에 의해 분할되어 바닥에 모래와 자갈이 깔린 대피공간(53)이 형성된다. 또한, 상류측 전면에 대피공간(53)에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른 오염수 유입 또는 오염물질의 유입을 막기 위하여 대피공간(53) 내부를 항상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신선한 생수가 공급되는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되며, 상기 생수공급도관(6)을 통하여 유입되는 생수는 대피공간(53)에 채워진 상태에서 하류측 후면에 형성된 출입공(51)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므로 유입과 유출이 계속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대피공간(53)으로는 오염수가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대피공간(53)은 항상 오염되지 않은 생수로 채워지게 되어 청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천의 바닥면(G)에 2/3가 함입되어 설치되므로 대피공간(53)에 생수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하천으로 유입된 독극물에도 안전하게 대피할 수가 있게 되어 안전한 서식환경이 보장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따른 제1대피공간부(1), 생활공간부(2), 산란공간부(3), 휴식공간부(4), 제2대피공간부(5)는 하천의 흐름 방향에 따라 또는 하천의 환경에 따라 그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따른 제1대피공간부(1), 생활공간부(2), 산란공간부(3), 휴식공간부(4), 또는 제2대피공간부(5)에는, 도 7a,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공간부 내에서 생활하고 있는 수중생물의 생태상황을 하천 인근에서 모니터 또는 티브이(8)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모니터 또는 티브이(8)와 개별적 또는 복합적으로 연결된 방식으로 적외선 카메라(9)가 설치되어 각 공간부에서 서식하고 활동하는 수중생물의 활동을 실시간으로 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대피공간부(1), 생활공간부(2), 산란공간부(3), 휴식공간부(4), 제2대피공간부(5)에 생수공급관(6)을 통해 공급되는 생수는 본류하천 인근의 지류나 상류의 오염되지 않은 항시 흐르는 1급수나 2급수의 생수를 모아서 생수공급도관(6)에 연통되어 생수가 공급되는 것이 원칙이나, 이 방법이 용이치 않을 경우는 생태하천의 바닥면을 파서 바닥면에서 발생되는 신선한 생수를 물탱크(도시하지 않음)에 모아 상기 생수공급도관(6)을 통하여 각 공간부로 공급하게 되므로 각 공간부는 항시 신선한 생수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최적의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생수공급도관(6)이 물탱크에 연결된 생수공급도관(6)에서 각 공간부로 분기되어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생수공급도관이 각 공간부를 거쳐 연결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중생물의 자연서식이 가능하도록 생태하천의 수중에 제1대피공간부(1), 생활공간부(2), 산란공간부(3), 휴식공간부(4), 제2대피공간부(5)를 포함하는 수중생태환경구조체(A)가 설치되어 수중생물의 자연서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생물의 자연서식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수중생태환경구조체(A)가 설치된 생태하천의 수변부에 생태하천을 따라 양서류 또는 파충류, 포유류와 같은 모든 동물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통로(100)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통로(100)가 설치된 생태하천을 가로질러 형성된 다리 위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불빛에 민감한 양서류 또는 파충류, 포유류와 같은 동물들이 다리 아래의 이송통로(100)를 용이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다리 위의 소음과 불빛을 차단하기 위한 방호벽(110)이 설치되며, 또한, 다리위에 설치된 상기 방호벽의 좌우 도로(R) 측에 철망(120)등을 설치하여 양치식물들이 철망을 타고 자라 자연친화적으로 차단벽이 생기게 되는 것이므로 수중생물만이 아닌 자연생태에 필요한 양서류 또는 파충류, 포유류의 자연서식에 필요한 생태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강과 하천, 습지생물의 다양성 회복과 자연서식 활성화, 생태계보호 및 보존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로드킬에 의한 생태계파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따른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A)는, 생태하천의 수중에 수중생물의 생활시 갑작스러운 주변환경의 변화나 위기상황에서의 보존을 위한 제1대피공간부(1)와, 일상적인 유영(遊泳)과 먹이활동을 위한 생활공간부(2)와, 산란과 부화 또는 치어들의 안정적인 생장을 위한 산란공간부(3)와, 은닉본능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휴식공간부(4)와, 제2대피공간부(5)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자연에 있는 천연적 생태환경을 그대로 재현한 구조와 형태이므로 수중생물의 자연서식을 유도하고 강화하는 생태환경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수중생물이 천연의 수중생태환경과 같은 자연 서식공간을 확보하게 되며, 이러한 공간이 반드시 조성되어야 수중생물과 양서류, 수서곤충들이 번식과 서식을 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조성되어 생태하천에 서식하는 수중생물의 서식활성화와 수중생태계의 보존을 위한 천연의 수중생태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수변생태계와의 균형을 이루게 되면서 인간생활에 해로운 각종 곤충의 유충들도 자연 조절됨으로써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모색할 수 있으며, 인근 시민들의 자연친화적 생활, 친환경적 정서함양과 자연관찰, 생태체험장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므로 수중생물의 자연생태계의 회복을 이룩하고 건강한 생태하천으로 거듭날 수 있게 된다.
1. 제1대피공간부 2. 생활공간부 3. 산란공간부
4. 휴식공간부 5. 제2대피공간부 6. 생수공급도관

Claims (8)

  1.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A)에 있어서,
    상기 수중생태환경구조체(A)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류측 전면에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되고 하류측 측면과 후면에 절개슬릿홈(11)과 출입공(12)이 각기 형성되며 내측에 격벽(13)에 의해 분할된 대피공간(14)이 형성되며,
    계단식 보(7)가 하부에 함입되어 하천의 수면(W) 아래로 항시 잠겨 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대피공간부(1)와,
    상류측 전면에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되고 경사진 하류측 후면에 절개슬릿홈(21)이 형성되며 내측에 격벽에 의해 분할된 생활공간(23)이 형성된 생활공간부(2)와,
    상부가 개방되어 상부덮개(35)가 덮혀진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류측 전면에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되고 삼각뿔(34)이 형성된 하류측 후면에 출입공(31)이 형성되며 내측에 암석층(33)이 형성되는 산란공간(32)이 형성된 산란공간부(3)와'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류측 전면에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되고 하류측 후면과 측면에 출입공(41)이 형성되며 내측에 격벽(43)에 의해 분할된 휴식공간(42)이 형성된 휴식공간부(4)와,
    삼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류측 전면에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되고 하류측 후면에 출입공(51)이 형성되며 내측에 격벽(52)에 의해 분할된 대피공간(53)이 형성되며 제2대피공간부(5)를 포함하고,
    상기 제2대피공간부(5)는, 삼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면에 수중생물의 출입을 위한 다수의 출입공(51)이 형성되며 내측에 수중생물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통공(521)이 형성된 격벽(52)에 의해 분할되어 바닥에 모래와 자갈이 깔린 대피공간(53)을 형성하며,
    상류측 전면에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되어 하천의 바닥면(G)에 2/3가 함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공간부(2)는, 사방이 막히게 형성되어 하류측 후면이 경사진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진 후면에 수중생물의 출입을 위한 절개슬릿홈(21)이 형성되고, 내측에 통공(221)이 형성된 격벽(22)에 의해 분할되어 바닥에 모래와 자갈이 깔린 생활공간(23)이 형성되어 하천의 바닥면(G)에 2/3가 함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공간부(3)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부덮개(35)가 덮혀진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류측 전면에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되고, 하류측 후면에 삼각뿔(34)과 출입공(31)이 형성되며 내측에 수중생물의 산란과 부화, 또는 치어들의 생장을 위한 암석층(33)이 형성되는 산란공간(32)이 형성되어 하천의 바닥면(G)에 2/3가 함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식공간부(4)는, 사방이 막힌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류측 전면에 생수공급도관(6)이 연결되고 하류측 후면과 측면에 출입공(41)이 형성되며 내측에 통공(431)이 형성된 격벽(43)에 의해 분할되어 바닥에 모래와 자갈이 깔린 휴식공간(42)이 형성되며, 하천의 바닥면(G)에 2/3가 함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대피공간부(1), 생활공간부(2), 산란공간부(3), 휴식공간부(4), 또는 제2대피공간부(5)에는 공간부 내에서 생활하고 있는 수중생물의 생태상황을 하천 인근에서 모니터 또는 티브이(8)를 통해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모니터 또는 티브이(8)와 연결된 적외선 카메라(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
  8. 삭제
KR1020110111372A 2011-10-28 2011-10-28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 KR101330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372A KR101330164B1 (ko) 2011-10-28 2011-10-28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372A KR101330164B1 (ko) 2011-10-28 2011-10-28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790A KR20130046790A (ko) 2013-05-08
KR101330164B1 true KR101330164B1 (ko) 2013-11-15

Family

ID=4865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372A KR101330164B1 (ko) 2011-10-28 2011-10-28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1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755B1 (ko) * 2014-08-06 2014-10-23 국립공원관리공단 남생이 친환경 대체 서식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258B1 (ko) * 2003-05-30 2005-08-26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친환경적인 생태연결통로
KR100568967B1 (ko) 2006-01-11 2006-04-10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생 동식물의 서식에 적합한 하천옹벽구조
KR20100088359A (ko) * 2009-01-30 2010-08-09 최수용 인공하천용 민물 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KR20110068730A (ko) * 2009-12-16 2011-06-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258B1 (ko) * 2003-05-30 2005-08-26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친환경적인 생태연결통로
KR100568967B1 (ko) 2006-01-11 2006-04-10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생 동식물의 서식에 적합한 하천옹벽구조
KR20100088359A (ko) * 2009-01-30 2010-08-09 최수용 인공하천용 민물 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KR20110068730A (ko) * 2009-12-16 2011-06-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790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912B1 (ko)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28504B1 (ko) 어류의 서식과 관찰이 가능한 생태 수영장
KR101042759B1 (ko) 생태하천 복원용 민물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KR102064925B1 (ko) 문어 산란용 어초
KR101847150B1 (ko) 양서류 서식을 위한 유닛형 인공 비오톱
KR100955709B1 (ko) 집수조를 구비하는 어도
KR101330164B1 (ko) 생태하천 복원용 수중생물의 수중생태환경구조체
KR101050764B1 (ko) 인공어초
KR101373106B1 (ko) 야생동물 생태통로
Louca et al. Do culverts impact the movements of the endangered white-clawed crayfish?
KR20120037831A (ko) 복합형 어초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JP2004068571A (ja) 魚類遡上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水路部材
KR101297419B1 (ko) 어류 및 육상동물의 은신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친환경 생태 블록
Cotterell Fish passage in streams
KR101138492B1 (ko) 생태하천의 어류 및 수서동물 서식지 조성을 위한 생태 구조체
JP5860317B2 (ja) 調整池
KR20110109375A (ko)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KR101943861B1 (ko) 후방형 어도를 갖는 사방댐
JP6649835B2 (ja) ホタル幼虫育成システム及びホタル幼虫育成方法
JP3303049B2 (ja) 淡水貯留池への魚類の遡上システム
KR200439271Y1 (ko) 수달의 서식을 위한 인공 구조물
KR101272216B1 (ko) 유입 토사 배출이 가능한 연계형 인공 어초
KR200497306Y1 (ko) 수로관 사이에 설치되는 소형동물 탈출장치
JPH10114927A (ja) 人の歩行や生態系に配慮した護床ブロックおよび護床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