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375A -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 Google Patents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375A
KR20110109375A KR1020100029075A KR20100029075A KR20110109375A KR 20110109375 A KR20110109375 A KR 20110109375A KR 1020100029075 A KR1020100029075 A KR 1020100029075A KR 20100029075 A KR20100029075 A KR 20100029075A KR 20110109375 A KR20110109375 A KR 20110109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passage structure
road
animals
animal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돈
강문식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29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9375A/ko
Publication of KR2011010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이동통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지반을 성토하여 도로 등을 건설한 구간에 도로의 하단에 도로를 가로질러 설치하는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는 도로의 노반 하부를 가로질러 관통하는 통로구조체(1), 상기 통로구조체(1)의 바닥의 일측에 계단 형태로 구비되는 소단(2), 그리고 상기 통로구조체(1)의 벽면에 설치되는 이동봉(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로구조체(1)의 소단(2)이 설치되지 않은 쪽의 바닥에는 물이 고여있는 수로(4)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물이동통로는 다양한 종류의 동물의 행동특성을 고려하여 설계한 것으로서, 곤충에서부터 대형 포식동물까지 다양한 종류의 동물들에게 도로를 가로질러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도로건설로 인하여 동물들의 서식지가 나뉘어져서 행동반경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Tunnel Type Animal Passage}
본 발명은 동물이동통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지반을 성토하여 도로 등을 건설한 구간에 도로의 하단에 도로를 가로질러 설치하는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연생태 보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한편, 도로, 철도 등의 지상 교통망 또한 빠르게 확충되고 있다. 그런데 도로, 철도 등의 인공 선형 축조물들은 동물들의 이동경로를 차단하여 자연생태계를 파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로, 철도 등의 인공 축조물을 건설할 때 동물의 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강구되고 있는데, 지반을 절개하여 도로 등을 건설한 구간에는 교량 형태의 동물이동통로를 설치하고, 지반을 성토하여 도로 등을 건설한 구간에는 도로의 하단에 도로를 가로지르는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를 설치하여 동물들의 이동통로를 확보하고 있다.
통상의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는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한 관을 성토한 노반의 하단에 설치하여, 단순히 동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만 확보하는 방법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단순한 인공 동물이동통로는 동물들에게 불안감과 거부감을 주어 잘 이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특히 비가 올 때 수로를 겸하여 동물들이 이용하기에 부적당하다.
상기와 같은 인공 동물이동통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국내 등록특허 제10-0656801호는 암거관의 내부에 선반형태의 측면이동대, 물저장부, 식재부, 생태블록 등을 설치하여 다양한 동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물이동통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발명의 동물이동통로는 동물의 습성에 대한 고려 없이 막연하게 다양한 동물들이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추측을 바탕으로 창안한 것으로서, 현실성이 낮다. 예를 들면 식재부의 경우 암거관 내부에 햇빛이 전혀 들어가지 않으므로 식물들이 살 수가 없고, 홍수에 의하여 이동통로가 나무, 돌 등으로 막힐 경우 복구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국내에 동물의 습성을 면밀히 고려하여, 여러 종류의 다양한 동물들이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동물이동통로가 알려진 바 없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다양한 동물들이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는 터널식 동물이동통로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는 도로의 노반 하부를 가로질러 관통하는 통로구조체(1), 상기 통로구조체(1)의 바닥의 일측에 계단 형태로 구비되는 소단(2), 그리고 상기 통로구조체(1)의 벽면에 설치되는 이동봉(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로구조체(1)의 소단(2)이 설치되지 않은 쪽의 바닥에는 물이 고여있는 수로(4)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통로구조체(1)의 바닥으로는 기어다니거나 뛰어다니기를 좋아하는 너구리, 멧돼지, 노루, 고라니 등이 주로 통과한다. 그리고 두꺼비 등의 양서류와 뱀 등의 파충류와 물을 싫어하는 곤충 등이 함께 통과한다. 소단(2)으로는 삵, 들고양이 등의 고양이과 동물과 토끼 등 물을 싫어하는 동물들이 주로 통과한다. 이동봉(3)으로는 다람쥐, 청설모 등 나무가지로 주로 이동하는 동물들이 주로 통과한다. 그리고 수로(4)로는 개구리 도룡룡 등 물속에서 주로 활동하는 양서류와, 땅강이지 등 물에서 활동하는 곤충류가 주로 통과한다.
본 발명의 동물이동통로는 다양한 종류의 동물의 행동특성을 고려하여 설계한 것으로서, 곤충에서부터 대형 포식동물까지 다양한 종류의 동물들에게 도로를 가로질러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동물이동통로는 동물들에게 이와 같은 이동통로를 제공함으로써, 도로건설로 인하여 동물들의 서식지가 나뉘어져서 행동반경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동물이동통로의 하나의 실시예이다.
도 2는 동물이동통로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반을 성토하여 건설한 도로, 철도 등의 선형 축조물(이하 이들을 통칭하여 "도로"라 칭함.)의 노반 하부를 가로질러 관통하는 통로구조체(1), 상기 통로구조체(1)의 바닥의 일측에 구비되는 소단(2), 그리고 상기 통로구조체(1)의 벽면에 설치되는 이동봉(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로구조체(1)의 소단(2)이 설치되지 않은 쪽의 바닥에는 물이 고여있는 수로(4)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통로구조체(1)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양단이 트인 박스 형태로 제작하는데, 그 단면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각형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그외 사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통로구조체(1)의 내부 공간이 동물 이동통로가 되는데, 그 크기는 멧돼지 등 대형 동물이 통과하는데 충분한 크기로 한다.
통로구조체(1)의 바닥으로는 기어다니거나 뛰어다니기를 좋아하는 너구리, 멧돼지, 노루, 고라니 등이 주로 통과한다. 그리고 두꺼비 등의 양서류와 뱀 등의 파충류와 물을 싫어하는 곤충 등이 함께 통과한다.
소단(2)은 상기 통로구조체(1)의 바닥의 일측에 계단 형태로 통로구조체(1)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데, 충분한 높이와 폭으로 하여, 웬만큼의 비가 오더라도 물이 소단(2)의 상면까지 올라오지 않도록 하여, 동물들이 편안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소단(2)으로는 삵, 들고양이 등의 고양이과 동물과, 토끼 등 물을 싫어하는 동물들이 주로 통과한다.
이동봉(3)은 상기 통로구조체(1)의 벽면에 통로구조체(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데, 수평으로 설치되는 봉(31)과 상기 봉(31)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32)로 구성된다. 고정구(32)에는 통로구조체(1)의 벽면에 부착되는 브래킷과 상기 봉(31)이 결합되는 고정봉이 구비되어 있다. 봉(31)은 금속파이프, 플라스틱파이프 등 인공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가공하지 않은 목재 등 야생 동물들에게 익숙한 천연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동봉(3)으로는 다람쥐, 청설모 등 나무가지로 주로 이동하는 동물들이 주로 통과한다. 이동봉(3)의 양단이 통로구조체(1)의 외부로 돌출되게 하면 동물들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이용이 편리하다.
수로(4)는 상기 통로구조체(1)에서 상기 소단(2)이 설치되지 않은 쪽의 바닥에 설치하는데, 양단을 막아 내부에 물이 고일 수 있게 한다. 이 수로(4)로는 개구리 도룡룡 등 물속에서 주로 활동하는 양서류와, 땅강아지 등 물에서 활동하는 곤충류가 주로 통과한다.
1 : 통로구조체, 2 : 소단, 3 : 이동봉, 31 : 봉, 32 : 고정구, 4 : 수로.

Claims (3)

  1. 지반을 성토하여 건설한 도로의 성토부 하부를 가로질러 관통하는 것으로서, 양단이 트인 박스 형태로 제작되는 통로구조체(1);
    그리고 상기 통로구조체(1)의 바닥 한쪽에 계단 형태로 통로구조체(1)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소단(2);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물이동통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동통로는,
    상기 통로구조체(1)의 벽에 통로구조체(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봉(31)과 상기 봉(31)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32)로 구성되는 이동봉(3)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이동통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동통로는,
    상기 통로구조체(1)의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물이 고일 수 있는 수로(4)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이동통로.
KR1020100029075A 2010-03-31 2010-03-31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KR20110109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075A KR20110109375A (ko) 2010-03-31 2010-03-31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075A KR20110109375A (ko) 2010-03-31 2010-03-31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375A true KR20110109375A (ko) 2011-10-06

Family

ID=4502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075A KR20110109375A (ko) 2010-03-31 2010-03-31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93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9837A1 (de) 2011-10-25 2013-04-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Vorrichtung zum Synchronisieren einer Stereokamera, Stereokamera und Verfahren zum Synchronisieren einer Stereokamera
KR101373106B1 (ko) * 2013-08-23 2014-03-11 주식회사 대창 야생동물 생태통로
KR101470408B1 (ko) * 2013-07-04 2014-12-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이용한 친자연적 생태통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9837A1 (de) 2011-10-25 2013-04-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Vorrichtung zum Synchronisieren einer Stereokamera, Stereokamera und Verfahren zum Synchronisieren einer Stereokamera
KR101470408B1 (ko) * 2013-07-04 2014-12-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이용한 친자연적 생태통로
KR101373106B1 (ko) * 2013-08-23 2014-03-11 주식회사 대창 야생동물 생태통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KR101847150B1 (ko) 양서류 서식을 위한 유닛형 인공 비오톱
KR20110109375A (ko)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Beier et al.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wildlife corridors
KR101373106B1 (ko) 야생동물 생태통로
Louca et al. Do culverts impact the movements of the endangered white-clawed crayfish?
JP2012165684A (ja) 蛍の飼育設備、及び蛍の飼育設備の施工方法
KR100656801B1 (ko) 동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동물이동 전용 암거관
KR101058340B1 (ko) 생태통로
CN206408646U (zh) 一种适合小型动物通过的立体过路生态廊道
KR101112426B1 (ko) 친환경 생태보호 기능을 갖는 수로관
CN205711977U (zh) 一种输水明渠野生动物跨行通道结构
Zigta et al. Outwitters of water: outstanding Irob innovation in northern Ethiopia
KR101019933B1 (ko) 생태보호형 보강 수로
KR20140048170A (ko) 양서류를 비롯하여 모든 동물들이 수로에 빠지거나 갖혔을 때에 탈출이 용이하도록 도와 주는 친환경 생태통로를 구성하는 친환경 공법
KR20060081452A (ko) 생태복원 수로관
Kang et al. Inundation Analysis of Suyoung. Mangmi Lowland Area Using SWMM and FLUMEN
KR101044808B1 (ko)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KR100833413B1 (ko) 생태통로를 갖는 도로
KR100772155B1 (ko)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KR20120001579U (ko) 식생구역이 형성된 친환경 수로블록
KR100789938B1 (ko) 생태계 보호용 수로관
Jackson Proposed design and considerations for use of amphibian and reptile tunnels in New England
KR200361750Y1 (ko)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CN220579937U (zh) 一种改善局部小气候的适宜鱼类栖息繁殖的景观鱼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