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750Y1 -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 Google Patents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750Y1
KR200361750Y1 KR20-2004-0018076U KR20040018076U KR200361750Y1 KR 200361750 Y1 KR200361750 Y1 KR 200361750Y1 KR 20040018076 U KR20040018076 U KR 20040018076U KR 200361750 Y1 KR200361750 Y1 KR 200361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way
plate body
water
channel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현
박재랑
이종일
은창식
Original Assignee
박성현
은창식
박재랑
이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현, 은창식, 박재랑, 이종일 filed Critical 박성현
Priority to KR20-2004-0018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7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7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에 관한 것으로, 야생동물들이 이동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시공된 구조의 수로에 물의 높낮이에 따라 그 높낮이가 가변되는 부력구조의 이동통로를 설치하여 파충류나 포유류 등의 야생동물들이 이동통로를 통해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체와 바닥체의 일측 혹은 양측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측벽체로 이루어진 구조의 수로용 블럭을 통해 물을 필요로 하는 경작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길을 인위적으로 시공한 수로에 설치되어 수로에 빠진 파충류나 포유류의 동물들이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에 있어서,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는 수로의 폭에 관계하는 길이로 형성되어지되 수로용 블럭의 양측 측벽체 상단면에 지지되어 결합부재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설치 고정되는 수평판체; 및 수로를 흐르는 물의 후단 방향인 수평판체의 후단에 그 선단이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어 후단이 수면의 높낮이에 따라 상하로 가변되어지되 그 상부면을 통해 파충류들이 상향의 수평판체로 이동하여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가변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Animal transfer passage for watercourse}
본 고안은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로용 파충류나 포유류 등의 동물 이동통로 구조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시공된 구조의 수로용 블럭 내부에 물의 높낮이에 따라 그 높낮이가 가변되는 부력구조의 이동통로를 설치하여 이동통로를 통해 동물들이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한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로라 함은 물을 필요로 하는 경작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길을 인위적으로 시공한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수로는 농로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농수로와 한천수의 원활한 배수 및 개선을 위한 한천수로 등의 다양한 개수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수로 중에는 뱀이나 개구리 등과 같은 파충류나 포유류 등의 야생동물들이 수로의 급한 물살로부터 도피할 수 있도록 하는 도피처나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되는데, 통상 수로를 형성하는 블럭의 제조시 일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파충류 및 포유류 등의 도피처나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되는 구조의 수로는 수로용 블럭의 내부나 그 일측에 야생동물의 도피처나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로를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수로용 블럭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수로용 블럭의 단가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여 시공비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야생동물들의 도피처나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없는 구조의 수로용 블럭을 통해 시공된 수로의 경우에는 장마철이나 기타 수량이 불어남에 따라 수로 내 물살이 강해지게 되면 물살에 휩쓸린 야생동물들이 수로로부터 벗어 날 수가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수로용 블럭을 통해 시공된 수로는 오히려 많은 종류의 야생동물들을 죽게 할 수 있는 상황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조의 수로를 야생동물들이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 하기 위해서는 야생동물의 도피처나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된 수로용 블럭으로 교체하여야 하나 이는 많은 시공비를 필요로 하므로 현실적이라 할 수 없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로는 야생 파충류나 포유류 등의 동물들이 살아가는 지역을 양측으로 분할시켜 동물들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를 차단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동물들의 생활터전을 차단함으로써 생태계를 파괴하는 요인으로 작용을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의 기술을 특허출원 제2004-39749호(2004. 6. 1)로 출원하여 수로에 빠진 동물들이 이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를 통해 벗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기술은 측벽체 내측면 상에 수평하게 설치 고정되는 수평판체와 수면의 높낮이에 따라 그 후단이 상하로 가변되는 가변판체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수로의 물에 빠진 동물들이 가변판체를 통해 올라 타고 수평판체를 통해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특허출원 제2004-39749호의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는 수평판체가 일측의 측벽체 내측에만 설치되어 있어 수로를 벗어나는 동물들이 수로를 경계로 일측으로만 탈출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은 수로의 양측을 연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로 양측으로 동물들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역할을 하지 못한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야생동물들이 이동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시공된 구조의 수로에 물의 높낮이에 따라 그 높낮이가 가변되는 부력구조의 이동통로를 설치하여 파충류나 포유류 등의 야생동물들이 이동통로를 통해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한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물의 높낮이에 따라 그 높낮이가 가변되는 부력구조의 이동통로를 설치하여 기존의 수로를 교체하지 않고도 파충류나 포유류 등의 야생동물들이 이동통로를 통해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통해 기존의 수로를 교체하지 않고도 동물들의 이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판체를 수로를 가로질러 설치하여 수로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함으로써 수로를 경계로 하여 양측 지역을 연결하여 야생동물들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를 제공함은 물론, 수로를 경계로 한 양측이 하나의 생활터전이 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물의 높낮이에 따라 그 높낮이가 가변되는 부력구조의 이동통로를 설치하여 기존의 수로를 교체하지 않고도 파충류나 포유류 등의 야생동물들이 이동통로를 통해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 는 도 2 의 "A-A"선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를 수로에 설치하여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를 수로에 설치하여 보인 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도 6 의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이동통로 110, 210. 수평판체
112, 124. 요철 120, 220. 가변판체
130, 230. 결합부재 132, 232. 힌지축
214, 228. 식생홈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체와 바닥체의 일측 혹은 양측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측벽체로 이루어진 구조의 수로용 블럭을 통해 물을 필요로 하는 경작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길을 인위적으로 시공한 수로에 설치되어 수로에 빠진 파충류나 포유류의 동물들이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에 있어서,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는 수로의 폭에 관계하는 길이로 형성되어지되 수로용 블럭의 양측 측벽체 상단면에 지지되어 결합부재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설치 고정되는 수평판체; 및 수로를 흐르는 물의 후단 방향인 수평판체의 후단에 그 선단이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어 후단이 수면의 높낮이에 따라 상하로 가변되어지되 그 상부면을 통해 파충류들이 상향의 수평판체로 이동하여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가변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수평판체의 양단 각각에는 하향으로 일정 길이로 절곡 형성되어지되 그 각각에는 다수의 나사 결합홈이 형성되어 결합부재를 통해 측벽체 외측면에서의 고정을 통해 수평판체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이 수평판체에 일체로 더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안의 구성에는 가변판체의 양측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가변판체의 상부면을 통해 수평판체로 동물들이 이동시 가변판체의 양측면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용 측판이 더 형성됨이 보다 양호하다.
한편, 전술한 구성에는 가변판체의 후단부 내측에 구비되어 수면의 높낮이에 따라 상하로 가변되는 부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부력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는 수평판체와 가변판체의 상부면에는 동물들이 기어 오를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망 형태의 요철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는 수평판체와 가변판체의 상부면 각각에는 식물들이 식생할 수 있도록 토사가 채워지는 물빠짐용 통수공이 형성된 다수의 식생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 는 도 2 의 "A-A"선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를 수로에 설치하여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를 수로에 설치하여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100)는 수로를 흐르는 물의 수면 높낮이에 따라 후단이 상하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용 블럭(10)의 양측 측벽체(14)를 가로질러 설치하여 수로 내부의 물에 빠진 파충류나 기타 포유류 등의 야생동물들이 이를통해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로를 흐르는 물의 수면 높낮이에 따라 후단이 상하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100)는 수로용 블럭(10)의 양측 측벽체(14) 상단면 상에 볼트와 너트를 통한 결합부재(130)를 통해 수평하게 설치 고정되는 수평판체(110) 및 물이 흐르는 방향의 후단인 수평판체(110)의 후단에 힌지축(132)을 통해 일정범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면의 높낮이에 따라 그 후단이 상하로 가변되는 가변판체(12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100)는 수로 내부를 흐르는 물에 떠내려가는 상태의 파충류나 포유류 등의 야생동물들이 가변판체(120)의 가장 낮은 후단을 통해 올라 탄 후, 그 상부면을 통해 기어올라 수평판체(110)의 상부면을 통해 수로의 양측 어느 방향으로든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100)를 구성하는 가변판체(120)의 양측면에서 선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기까지 일정높이의 보호용 측판(122)이 형성되는데, 이 보호용 측판(122)은 가변판체(120)의 상부면을 파충류나 포유류 등의 야생동물들이 기어오를 때 가변판체(120)의 양측면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100)의 구성은 수로의 양측 측벽체(14) 상단면에 설치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시 수분에 노출되어 있어 가변판체(120)의 상부면은 미끄러운 상태이므로 가변판체(120)의 상부면에는 파충류나 포유류 등의 야생동물들이 기어오를 때 기어오르는 동물들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망 형태의 요철(112, 124)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평판체(110)는 후술하는 가변판체(120)를 동물들이 기어올라 온 후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최상면의 구조물로, 이 수평판체(110)는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용 블럭(10)의 양측 측벽체(14) 상단면 상에 결합부재(130)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 고정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수평판체(110)는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용 블럭(10)의 양측 측벽체(14) 상단면 상에 결합부재(130)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 고정되어 수로를 경계로 양측으로 나우어진 지역을 수평판체(110)를 통해 연결하여 수로를 탈출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의 기능 뿐만 아니라 수로를 경계를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시 이동통로써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100)가 동물들이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의 수로에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수평판체(110)는 기존 수로를 구성하는 수로용 블럭(10)의 측벽체(14)에 결합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 후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30)를 측벽체(14)의 결합공을 통해 결합하여 수평판체(110)를 측벽체(14) 상단면 상에 설치 고정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수평판체(110)의 양단 각각에는 하향으로 일정 길이로 절곡 형성되는 고정편(114)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고정편(114)은 수평판체(110)를 측벽체(14)의 측면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고정편(114) 각각에는 다수의 나사 결합홈(114a)이 형성되어 결합부재(130)를 통해 측벽체 외측면에서 수평판체(110)를 고정시킨다.
가변판체(120)는 부력을 통해 그 후단이 수면의 높낮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도록 하여 물위에 빠져 떠내려오는 상태의 파충류나 포유류 등의 야생동물들이 가변판체(120)를 통해 기어오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 가변판체(120)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를 흐르는 물의 후단 방향인 수평판체(110)의 후단에 그 선단이 힌지축(132)에 의해 결합되어 후단이 수면의 높낮이에 따라 상하로 가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가변판체(120)는 물살에 떠내려오던 지친 상태의 동물들이 보다 용이하게 가변판체(120)의 후단 상면으로 기어오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면이 낮은 상태에서도 완경사가 되도록 보다 긴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가변판체(120)의 수면이 낮은 상태에서도 보다 용이하게 가변판체(120)로 기어오를 수 있도록 상당히 길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가변판체(120)는 금속, 목재, 합성수지 등의 어떠한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물에 뜨지 않는 재질의 것이 아닌 재질로 제조하는 경우 물에 뜰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필요함은 당연하다. 본 고안에서는 햇빛이나 수분에 강한 재질인 FRP를 통해 수평판체(110)와 가변판체(120)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100)의 구성에서 가변판체(120)에는 그 부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부력구(126)가 더 형성되는데, 이 부력구(126)는 가변판체(120)의 후단부 내측에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부력구(126)는 금속, 목재 및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구조의 가변판체(120)에 전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가변판체(120)의 양측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보호용 측판(122)은 가변판체(120)의 상부면을 통해 수평판체(110)로 동물들이 이동시 가변판체(120)의 양측면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보호용 측판(122)의 구성은 바닥을 기는 뱀과 같은 파충류에 있어 보다 필요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구성에는 수평판체(110)와 가변판체(120)의 상부면을 기어오르는 동물들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요철(112, 124)이 더 형성되는데, 이 요철(112, 124)은 수평판체(110)의 상부면과 가변판체(120)의 상부면 각각에 전부 형성될 수도 있고, 가변판체(120)의 상부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판체(110)와 가변판체(120)에 형성되는 요철(112, 124)은 흐르는 물살에 의해 상하로 요동치는 가변판체(120)를 기어오르는 동물들 특히, 뱀과 같은 파충류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의 따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도 6 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예의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200) 역시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예의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100)와 마찬가지로 수로용 블럭(10)의 양측 측벽체(14) 상단면 상에 볼트와 너트를 통한 결합부재(230)를 통해 수평하게 설치 고정되는 수평판체(210) 및 물이 흐르는 방향의 후단인 수평판체(210)의 후단에 힌지축(232)을 통해 일정범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면의 높낮이에 따라 그 후단이 상하로 가변되는 가변판체(22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예의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200)는 수평판체(210)와 가변판체(220)의 상부면 각각에 식물들이 식생할 수 있도록 토사가 채워지는 물빠짐용 통수공(214a, 228a)이 형성된 다수의 식생홈(214, 228)이 더 형성된다. 이처럼 식생홈(214, 228)이 형성된 구조의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200)는 가변판체(220)를 통해 기어오르는 동물들이 보다 용이하게 기어오를 수 있도록 한다.
더구나,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예의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200)와 같이 채워지는 물빠짐용 통수공(214a, 228a)이 형성된 다수의 식생홈(214, 228)에 토사를 채워 식물들이 식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자연 친화적인 구조의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2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100, 200)는 기존의 수로를 구성하는 수로용 블럭(10)의 양측 측벽체(14) 상단면 상에 수로를 흐르는 물의 높낮이에 따라 그 높낮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물에 빠져 떠내려가는 동물들이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100, 200)를 통해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더구나, 본 고안에 따른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100, 200)는 수평판체(110,210)를 수로의 양측 측벽체(14) 상단면을 가로질러 설치하기 때문에 수로를 경계로 한 양측 지역을 하나로 연결하여 수로의 일측지역에서 타측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로써의 기능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야생동물들이 이동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시공된 구조의 수로용 블럭 상부에 물의 높낮이에 따라 그 높낮이가 가변되는 부력구조의 이동통로를 설치하여 파충류나 포유류 등의 야생동물들이 이동통로를 통해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는 물의 높낮이에 따라 그 높낮이가 가변되는 부력구조의 이동통로를 설치하여 기존의 수로를 교체하지 않고도 파충류나 포유류 등의 야생동물들이 이동통로를 통해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통해 기존의 수로를 교체하지 않고도 동물들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물의 높낮이에 따라 그 높낮이가 가변되는 부력구조의 이동통로를 설치하여 기존의 수로를 교체하지 않고도 파충류나 포유류 등의 야생동물들이 이동통로를 통해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체와 상기 바닥체의 일측 혹은 양측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측벽체로 이루어진 구조의 수로용 블럭을 통해 물을 필요로 하는 경작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길을 인위적으로 시공한 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에 빠진 파충류나 포유류의 동물들이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에 있어서,
    상기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는 수로의 폭에 관계하는 길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수로용 블럭의 양측 측벽체 상단면에 지지되어 결합부재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설치 고정되는 수평판체; 및
    상기 수로를 흐르는 물의 후단 방향인 상기 수평판체의 후단에 그 선단이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어 후단이 수면의 높낮이에 따라 상하로 가변되어지되 그 상부면을 통해 파충류들이 상향의 수평판체로 이동하여 상기 수로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가변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체의 양단 각각에는 하향으로 일정 길이로 절곡 형성되어지되 그 각각에는 다수의 나사 결합홈이 형성되어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측벽체 외측면에서의 고정을 통해 상기 수평판체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이 수평판체에 일체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판체의 양측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가변판체의 상부면을 통해 수평판체로 동물들이 이동시 가변판체의 양측면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용 측판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판체의 후단부 내측에 구비되어 수면의 높낮이에 따라 상하로 가변되는 부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부력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체와 가변판체의 상부면에는 동물들이 기어 오를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망 형태의 요철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체와 가변판체의 상부면 각각에는 식물들이 식생할 수 있도록 토사가 채워지는 물빠짐용 통수공이 형성된 다수의 식생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KR20-2004-0018076U 2004-06-25 2004-06-25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KR200361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076U KR200361750Y1 (ko) 2004-06-25 2004-06-25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076U KR200361750Y1 (ko) 2004-06-25 2004-06-25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207A Division KR20040063879A (ko) 2004-06-25 2004-06-25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750Y1 true KR200361750Y1 (ko) 2004-09-13

Family

ID=4934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076U KR200361750Y1 (ko) 2004-06-25 2004-06-25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7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164B1 (ko) * 2008-10-31 2011-08-11 김승규 농수로용 친환경 생태 이동로
KR200458610Y1 (ko) * 2011-05-17 2012-02-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생물 이동 및 탈출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164B1 (ko) * 2008-10-31 2011-08-11 김승규 농수로용 친환경 생태 이동로
KR200458610Y1 (ko) * 2011-05-17 2012-02-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생물 이동 및 탈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876B1 (ko) 인공섬의 기능형 관찰 부교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KR101032837B1 (ko) 생물의 부유식 서식 구조물
KR200361750Y1 (ko)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KR100922626B1 (ko) 경사 조정수단을 구비한 친환경 생태 이동통로
KR20040053067A (ko)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CN210737496U (zh) 一种湿地区域黑颈鹤栖息地模型
KR20040063879A (ko)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WO2002072962A1 (en) Embankment block
JP2010136662A (ja) 浮体ビオトープ
KR200361583Y1 (ko)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KR101112426B1 (ko) 친환경 생태보호 기능을 갖는 수로관
KR100943222B1 (ko) 시스템 식재형 옹벽블록 및 그 축조방법
CN216865235U (zh) 一种悬臂式生态挡墙
KR200380759Y1 (ko) 조립식 격자블록
Reck et al. Green bridges, wildlife tunnels and fauna culverts: the biodiversity approach: executive summary of the research+ development project" BfN-Defragmentation Handbook"(FKZ 3511 82 1200)
KR100630800B1 (ko) 하천 사면에 형성된 친환경적인 생태이동통로
KR20110109375A (ko)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KR200395563Y1 (ko) 배수로의 생태통로
KR100724281B1 (ko) 하천의 친환경적인 어류보호 구조물
KR100655463B1 (ko)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수생동식물 보호용 조립식 유공관
KR100505063B1 (ko) 건축 단지 조경 구간에 시공되는 조경 블록 설치구조
KR100381364B1 (ko) 하천용 어도(魚道)블록
KR102074623B1 (ko)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
KR20100043688A (ko)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