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623B1 -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 - Google Patents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4623B1 KR102074623B1 KR1020190121311A KR20190121311A KR102074623B1 KR 102074623 B1 KR102074623 B1 KR 102074623B1 KR 1020190121311 A KR1020190121311 A KR 1020190121311A KR 20190121311 A KR20190121311 A KR 20190121311A KR 102074623 B1 KR102074623 B1 KR 1020746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ver
- vegetation
- water
- space
-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은 상기 바닥판(10)에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관체(21)가 구비되어, 상기 연장관체(21)의 내부에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부(22)가 오목하게 형성됨으로, 상기 식생부(22)에 식물을 심어 식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장관체(21)는 상기 어도블록의 상면을 통과하는 강물의 수위에 비해 높게 구성됨으로, 어도블록의 상면을 통과하는 강물이 상기 식생부(22)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서, 어도블록의 상면을 따라 흐르는 강물에 의해 식물의 생장이 방해되어, 식물이 자라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식물이 원활히 자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식생부(22)의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판(10)의 하측면으로 개방된 유입구(23)가 형성됨으로, 어도블록을 상면을 따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상기 유입구(23)를 통해 상기 식생부(22)의 내부로 유입되어 식생부(22)에 식생된 식물에 적절한 양의 수분을 항상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은 상기 바닥판(10)에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관체(21)가 구비되어, 상기 연장관체(21)의 내부에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부(22)가 오목하게 형성됨으로, 상기 식생부(22)에 식물을 심어 식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장관체(21)는 상기 어도블록의 상면을 통과하는 강물의 수위에 비해 높게 구성됨으로, 어도블록의 상면을 통과하는 강물이 상기 식생부(22)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서, 어도블록의 상면을 따라 흐르는 강물에 의해 식물의 생장이 방해되어, 식물이 자라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식물이 원활히 자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식생부(22)의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판(10)의 하측면으로 개방된 유입구(23)가 형성됨으로, 어도블록을 상면을 따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상기 유입구(23)를 통해 상기 식생부(22)의 내부로 유입되어 식생부(22)에 식생된 식물에 적절한 양의 수분을 항상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는 하천을 가로막도록 설치되어 상류쪽에 물을 저장하므로써, 홍수조절을 함과 동시에 물을 조절하여 갈수기 때 각종 용도의 용수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보가 설치된 하천은 보에 의해 완전히 가로막게 되므로, 하천에 서식하는 물고기들이 강의 상하로 오르내리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하천의 생태계가 단절되어 환경생태계가 교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보에는 물고기가 보를 거슬러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어도블록이 설치된다.
도 1은 이러한 어도블록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저수벽(2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어도블록을 보의 하류쪽에 형성된 완만한 경사면을 덮도록 상호 전후방향과 측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설치하면, 상기 저수벽(20)에 물이 갇혀 물고기가 상류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어도블록은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강의 유량이 비정상적으로 낮아지는 건기를 제외하면, 항상 상면 전체가 흐르는 강물에 노출되어 있음으로, 흐르는 물에 의해 식물의 성장기반이 되는 흙이 쓸려 내려가거나, 식물의 생장이 방해되어, 어도블록이 설치된 곳에서는 식물이 자라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어도블록이 설치된 곳에는 식물이 자라지 못하게 됨에 따라, 어도블록을 거슬러 올라가는 물고기 등이 적대적인 외부환경에 쉽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저수벽(20)을 포함하는 어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관체(21)가 구비되어, 상기 연장관체(21)의 내부에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부(22)가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장관체(21)는 상기 저수벽(20)의 하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장관체(21)의 높이는 상기 어도블록의 상부를 흐르는 강물의 수위에 비해 높게 구성되며, 상기 식생부(22)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판(10)의 하측면으로 개방된 유입구(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닥판(10)의 상류측 단부 하측에는 상류방향으로 연장된 상류연장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0)의 하류측 단부 상측에는 하류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류측에 배치된 다른 어도블록의 상류연장부(11)를 덮도록 구성된 하류연장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상류연장부(11)의 상면에는 오목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하류연장부(12)에는 상기 오목홈(11a)에 대응되는 관통공(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수벽(20)의 내부에는 공간부(24)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4)의 하단에는 상기 바닥판(10)의 하측으로 개방된 개구부(25)가 형성되며, 상기 저수벽(20)에는 상기 저수벽(20)의 상단과 상기 공간부(24)를 연결하는 배기구(26)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26)에는 상기 저수벽(20)의 상부로 개방되는 체크밸브(2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은 상기 바닥판(10)에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관체(21)가 구비되어, 상기 연장관체(21)의 내부에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부(22)가 오목하게 형성됨으로, 상기 식생부(22)에 식물을 심어 식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장관체(21)는 상기 어도블록의 상면을 통과하는 강물의 수위에 비해 높게 구성됨으로, 어도블록의 상면을 통과하는 강물이 상기 식생부(22)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서, 어도블록의 상면을 따라 흐르는 강물에 의해 식물의 생장이 방해되어, 식물이 자라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식물이 원활히 자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식생부(22)의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판(10)의 하측면으로 개방된 유입구(23)가 형성됨으로, 어도블록을 상면을 따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상기 유입구(23)를 통해 상기 식생부(22)의 내부로 유입되어 식생부(22)에 식생된 식물에 적절한 양의 수분을 항상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어도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어도블록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어도블록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의 작용을 설명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 참고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어도블록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어도블록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의 작용을 설명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을 도시한 것으로,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저수벽(20)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의 어도블록과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0)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관체(21)가 구비되어, 상기 연장관체(21)의 내부에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부(22)가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장관체(21)는 상기 저수벽(20)의 하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바닥면의 전방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관체(21)의 높이는 상기 어도블록의 상부를 흐르는 강물의 수위에 비해 높게 구성되며, 상기 식생부(22)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판(10)의 하측면으로 개방된 유입구(2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23)은 상기 식생부(22)에 비해 매우 좁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23)를 통해 적은 양의 강물만이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바닥판(10)의 상류측 단부 하측에는 상류방향으로 연장된 상류연장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0)의 하류측 단부 상측에는 하류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류측에 배치된 다른 어도블록의 상류연장부(11)를 덮도록 구성된 하류연장부(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류연장부(11)의 상면에는 오목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하류연장부(12)에는 상기 오목홈(11a)에 대응되는 관통공(12a)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홈(11a)과 관통공(12a)은 상하류에 설치된 어도블록의 상류측과 하류측이 상호 정확히 밀착되었을 때, 상호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어도블록은 상기 바닥판(10)에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관체(21)가 구비되어, 상기 연장관체(21)의 내부에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부(22)가 오목하게 형성됨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생부(22)에 식물을 심어 식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장관체(21)는 상기 어도블록의 상면을 통과하는 강물의 수위에 비해 높게 구성됨으로, 어도블록의 상면을 통과하는 강물이 상기 식생부(22)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서, 어도블록의 상면을 따라 흐르는 강물에 의해 식물의 생장이 방해되어, 식물이 자라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식물이 원활히 자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식생부(22)의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판(10)의 하측면으로 개방된 유입구(23)가 형성됨으로, 어도블록을 상면을 따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상기 유입구(23)를 통해 상기 식생부(22)의 내부로 유입되어 식생부(22)에 식생된 식물에 적절한 양의 수분을 항상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어도블록은 둘레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설치되지만 완전히 둘레면이 수밀하게 밀폐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아님으로, 어도블록의 상면을 따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어도블록 사이의 틈을 통해 어도블록의 하측으로 유입된 후 어도블록을 하측을 따라 흘러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어도블록의 하측으로 흘러가는 강물의 일부가 도 6에 확애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23)를 통해 식생부(22)의 내부로 유입되어 식생부(22)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적절한 정도의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류연장부(11)의 상면에는 오목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하류연장부(12)에는 상기 오목홈(11a)에 대응되는 관통공(12a)이 형성됨으로, 어도블록을 시공할 때, 어도블록의 상, 하류쪽 둘레면이 서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어도블록은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됨으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하류쪽에 설치된 어도블록의 상하류쪽 측면이 서로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고 조금 이격되게 설치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으며,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인력으로 어도블록을 밀어 상하류쪽 측면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야 함으로, 어도블록의 상, 하류쪽 둘레면이 서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는 작업이 매우 힘이 많이 들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상류연장부(11)의 상면에는 오목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하류연장부(12)에는 상기 오목홈(11a)에 대응되는 관통공(12a)이 형성됨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도블록의 상하류쪽 단부가 조금 이격될 경우, 드라이버 등과 같은 봉체(1)를 상기 관통공(12a)을 통해 오목홈(11a)에 삽입한 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체(1)의 상단을 하류쪽으로 회동시키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류 쪽의 어도블록이 하류쪽으로 당겨져, 상, 하류쪽의 어도블록이 상호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류에 위치된 어도블록의 상, 하류쪽 둘레면이 서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저수벽(20)의 내부에는 공간부(24)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4)의 하단에는 상기 바닥판(10)의 하측으로 개방된 개구부(25)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24)는 내부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저수벽(20)에 의해 갇히게 되는 강물의 수위에 비해 높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벽(20)에는 상기 저수벽(20)의 상단과 상기 공간부(24)를 연결하는 배기구(26)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26)에는 상기 저수벽(20)의 상부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27)가 구비된다.
상기 체크밸브(27)는 얇은 막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리프밸브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은, 어도블록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저수벽(20)의 상류측에 갇히는 강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물이 상기 개구부(25)를 통해 공간부(24)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상기 저수벽(20)의 상류에 갇힌 강물의 일부가 어도블록 사이의 틈을 통해 어도블록의 하측을 통해 흐르게 되며, 이와 같이 어도블록의 하측면을 통해 흐르는 강물이 상기 개구부(25)를 통해 상기 공간부(24)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배기구(26)에는 저수벽(20)의 상단쪽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27)가 구비됨으로, 상기 공간부(24) 내부의 공기는 공간부(24)의 내부로 유입되는 강물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상기 배기구(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강물이 공간부(24)의 내부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일단 상기 공간부(24)의 내부에 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저수벽(20)의 상류측에 갇힌물의 수위가 낮아질 경우, 상기 체크밸브(27)가 밀폐되어 외부의 옹기가 상기 공간부(24)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됨으로, 상기 공간부(24) 내부의 강물이 상기 개구부(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은 상기 저수벽(20)의 내부에 공간부(24)가 형성됨으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게를 줄여, 어도블록의 제작이나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저수벽(20)에는 상기 저수벽(20)의 상단과 상기 공간부(24)를 연결하는 배기구(26)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26)에는 상기 저수벽(20)의 상부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27)가 구비되어, 강물이 상기 공간부(24)의 내부로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일단 어도블록을 설치하면 상기 공간부(24)의 내부로 유입되는 강물의 무게에 의해 어도블록의 무게가 증가됨으로, 어도블록의 상부를 흐르는 강물에 의해 어도블록이 위치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바닥판 11. 상류연장부
12. 하류연장부 20. 수직벽
21. 연장관체 22. 식생부
12. 하류연장부 20. 수직벽
21. 연장관체 22. 식생부
Claims (1)
- 바닥판(10) 및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부(24)를 가지는 저수벽(20)과 상기 저수벽(20)의 하류측에 위치되며 바닥판(1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관체(21)가 구비되는 어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체(21)는 저수벽(20)의 하류측에 흐르는 강물의 수위보다 높게 구성되고, 내부에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부(22)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식생부(22)의 내부 바닥면에는 바닥판(10)의 하측면으로 개방되고 상기 식생부(22)보다 매우 좁게 형성되는 유입구(23)가 구비되어, 어도블록의 상면을 따라 흐르는 강물이 상기 유입구(23)를 통해 적은 양의 강물이 식생부(22)의 내부로 유입되어지며,
상기 공간부(24)는 하단에 하측으로 개방된 개구부(25)와, 상단에 상측으로 개방된 배기구(26)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26)는 저수벽(20)의 상부로 개방되는 체크밸브(27)를 포함하여, 상기 공간부(24)로 강물이 유입되면, 공간부 내부의 공기는 공간부(24)의 내부로 유입되는 강물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배기구(26)로 배출되고, 강물은 상기 공간부(24)에 차오르게 되되. 상기 공간부(24)에 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상류측에 갇힌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공간부(24)는 체크밸브(27)에 의해 밀폐되어 내부의 강물이 배출되지 않고 유지 되어지며,
상기 저수벽(20)의 상류에 갇힌 강물은 어도블록 사이의 틈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된 강물은 상기 개구부(25)를 통해 공간부(24)로 유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1311A KR102074623B1 (ko) | 2019-10-01 | 2019-10-01 |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1311A KR102074623B1 (ko) | 2019-10-01 | 2019-10-01 |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1590A Division KR102029766B1 (ko) | 2017-06-08 | 2017-06-08 | 어도블록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9778A KR20190129778A (ko) | 2019-11-20 |
KR102074623B1 true KR102074623B1 (ko) | 2020-02-06 |
Family
ID=6872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1311A KR102074623B1 (ko) | 2019-10-01 | 2019-10-01 |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462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68719B2 (ja) | 1999-03-08 | 2006-04-19 | 株式会社シミズ | 魚道ブロック |
KR101210491B1 (ko) | 2012-07-20 | 2012-12-11 | 수생태복원(주) | 어도블럭 |
KR101289723B1 (ko) | 2012-12-26 | 2013-07-26 | 산림조합중앙회 | 경관 기능이 구비된 사방댐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4508Y1 (ko) | 2004-07-22 | 2004-10-19 | 김남진 | 어도 블록 |
-
2019
- 2019-10-01 KR KR1020190121311A patent/KR1020746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68719B2 (ja) | 1999-03-08 | 2006-04-19 | 株式会社シミズ | 魚道ブロック |
KR101210491B1 (ko) | 2012-07-20 | 2012-12-11 | 수생태복원(주) | 어도블럭 |
KR101289723B1 (ko) | 2012-12-26 | 2013-07-26 | 산림조합중앙회 | 경관 기능이 구비된 사방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9778A (ko) | 2019-1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086262B (zh) | 截流坝水利工程用的过鱼系统 | |
CN104420499B (zh) | 调节水深进行选择性取水的取水装置 | |
US2008020598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rainage and irrigation of fields | |
CN206371178U (zh) | 一种可维持供水量的模块化生态树池 | |
CN110476669B (zh) | 滴灌管及温室大棚 | |
KR100592975B1 (ko) | 어도블록 | |
US20100290842A1 (en) |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 |
KR102029766B1 (ko) | 어도블록 | |
KR102074623B1 (ko) |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 | |
KR100572507B1 (ko) | 하수처리용 우수토실 | |
JPH09132929A (ja) | 河川敷や河川床における貯水方法 | |
KR100914046B1 (ko) | 담수용 생태 수로관 | |
KR200413723Y1 (ko) | 어도 구조물 | |
KR100688895B1 (ko) |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 |
KR100375550B1 (ko) | 관로 및 수로용 자동개폐수문 | |
KR100939562B1 (ko) | 다단 나선형 어도 | |
KR200389675Y1 (ko) |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 | |
KR100619459B1 (ko) | 수위에 따라 자동조절되는 하천용 수문 | |
KR100954218B1 (ko) | 갈수위에도 어류 이동이 가능한 어도시설물 | |
KR101264211B1 (ko) |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 |
KR20200121413A (ko) |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 | |
KR200361750Y1 (ko) |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 |
JP2021114966A (ja) | 間断灌水・満水平衡栓 | |
CN218508480U (zh) | 一种兼具蓄水功能的挡土墙 | |
KR101281422B1 (ko) | 개방형 수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