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975B1 - 어도블록 - Google Patents

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975B1
KR100592975B1 KR1020050109435A KR20050109435A KR100592975B1 KR 100592975 B1 KR100592975 B1 KR 100592975B1 KR 1020050109435 A KR1020050109435 A KR 1020050109435A KR 20050109435 A KR20050109435 A KR 20050109435A KR 100592975 B1 KR100592975 B1 KR 100592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block
fish
control mechanism
wate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
Original Assignee
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50059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432B1/ko
Application filed by 강남 filed Critical 강남
Priority to KR1020050109435A priority patent/KR100592975B1/ko
Priority to JP2007548061A priority patent/JP2008525677A/ja
Priority to CNB200580043721XA priority patent/CN100549302C/zh
Priority to US11/721,572 priority patent/US20070248415A1/en
Priority to PCT/KR2005/004223 priority patent/WO200607101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Abstract

본 발명은 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어류가 소상하고 강하하는 통로인 어도, 즉 칸막이의 수로공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어도조절 기구와, 칸막이에 저수되는 수위를 조절할 수를 수위조절 기구를 마련하여 칸막이의 수로공의 크기 및 수위를 가변시킴으로써 어도블록으로의 유입되는 유량이 적더라도 어도블록의 칸막이에 저수되는 수량(수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유입수량의 변화 등과 같은 어도블록의 환경여건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결론적으로 유입수량이 적더라도 항시 수중에서 어도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어류의 상류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어도블록의 바닥부 양측에 측벽이 설치되고, 상기 바닥부와 측벽 내부에 칸막이가 두개 이상 설치되어 구성된 어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일측에는 수로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로공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어도조절 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칸막이의 전방이나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 사이에는 상기 칸막이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느리게 하는 유속저감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어도블록, 어도조절기구, 수위조절기구, 유속저감부재

Description

어도블록{FISH WAY BLO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한쪽의 측벽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일요부인 어도조절기구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일요부인 수위조절기구의 사시도,
도 5a는 어도조절기구의 상부에 수위조절기구가 설치된 칸막이의 정면도,
도 5b는 도 5a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분할칸막이가 설치된 어도블록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한쪽의 측벽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분할칸막이의 사시도,
도 9a는 도 6의 평면도,
도 9b는 도 9a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이 시공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삭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바닥부 141,142: 측벽
143,144: 가이드돌기 151~154: 칸막이
161~164: 수로공 251~254: 분할칸막이
255,256: 수로홈 261,271: 수문가이드
262,272: 수로공수문 263,274,275: 직립부재
264,276,277: 베벨기어 273: 수로홈수문
300~304: 유속저감부재 401~404: 어도조절기구
501,502: 수위조절기구
본 발명은 댐, 하구둑, 또는 저수지의 상류와 하류 사이에 설치하여 유속을 느리게 하고 수중에 어도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므로 어류의 강하(降下)와 소상(遡上)을 용이하게 하는 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도블록의 칸막이의 전방이나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 사이에 칸막이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1차적으로 유속을 느리게 하여 유영력이 떨어지는 어류라 하더라도 이동이 용이하며 어도인 수로공을 조절 기구를 마련하여 유입유량 등의 환경여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 항시 수중에서 어도가 마련되는 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 또는 하천에 횡단하여 설치하는 댐이나 보와 같은 횡단구조 물에는 어도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수자원보호령 등의 관련법규에 의하면, 하천을 가로막는 횡단구조물을 설치할 때는 생태계 보존과 어류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어도차단의 금지규정에 의거하여 어도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어도는 횡단구조물인 댐이나 보 등에서 상류로부터 하류로 흘려보내는 단순방류의 수준인바, 낙차(落差)가 크거나 낙차가 작더라도 유속이 너무 빠르기 때문에 어류는 상류로 거슬러 올라갈 수 없었다.
그래서 댐에 어도의 대체시설로써, 댐 하류에 인공 산란장 등과 같은 어류서식시설을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는 우기에 담수 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댐의 안전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시간당 수만 톤의 물을 방류할 수밖에 없고, 이렇게 시간당 수만 톤의 물을 방류하면 댐 하류의 어류서식시설은 무용지물이 되었으며, 결론적으로 여러 가지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여 효과적으로 댐에 어도를 설치할 수 없었다.
이에, 본원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킨 어도블록이 선출원(출원번호: 10-2004-0112765)되어 있으며, 이는 어도블록 내의 유속을 느리게 하면서 어도인 수로공이 수중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유영력이 떨어지는 어류라 하더라도 수중의 어도인 수로공을 따라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거나 하류로 내려감이 용이하다.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어도블록은 댐이나 보 등의 하류 경사면에 마련되는 바닥부, 이 바닥부의 양측에서 상부로 세워지는 측벽, 상기 바닥부 위에서 세워지 면서 측벽 사이에 마련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칸막이, 이들 칸막이에 각각 어류가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수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그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출원은 칸막이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조금이라도 늦추거나 칸막이에 마련되는 수로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 내지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가장 기본적인 것이어서, 어도블록 내에서의 보다 효과적인 유속저감을 꾀하는데 한계가 있었음은 물론, 유입유량에 따른 칸막이의 수로조절이 가능하고 칸막이의 수위조절이 곤란하여 유입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칸막이 내에 제대로 담수되지 않아 수중에서 어도가 연속하여 연결되지 않는 등 어도블록으로서의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온은 낮은 지방이나 동절기에는 어도블록에서 정체된 물이 얼어 시설물이 동파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어류가 소상하고 강하하는 통로인 어도, 즉 칸막이의 수로공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어도조절 기구와, 칸막이에 저수되는 수위를 조절할 수를 수위조절 기구를 마련하여 칸막이의 수로공의 크기 및 수위를 가변시킴으로써 어도블록으로의 유입되는 유량이 적더라도 어도블록의 칸막이에 저수되는 수량(수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유입수량의 변화 등과 같은 어도블록의 환경여건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결론적으로 유입수량이 적더라도 항시 수중에서 어도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어도블록을 제공하는데 있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도블록의 칸막이의 전방이나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 사이에 유속저감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칸막이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1차적으로 유속을 느리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칸막이 내에서의 유속을 더욱 느리게 저감시킬 수 있어 유영력이 떨어지는 어류라 하더라도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어도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어류의 상류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어도블록의 바닥부 양측에 측벽이 설치되고, 상기 바닥부와 측벽 내부에 칸막이가 두개 이상 설치되어 구성된 어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일측에는 수로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로공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어도조절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에서 상기 어도조절기구는 상기 칸막이의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수로공이 형성된 칸막이의 상·하로 슬라이딩되어지는 수문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수문가이드에 수로공 수문이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수로공 수문의 일측에서 상부로 나사가 형성된 직립부재와 상기 직립부재의 상부에 베벨기어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의 칸막이 타측에는 상부에 어도블록의 수위조절을 위한 수로 홈이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마련되되 상기 수로 홈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수위조절 기구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칸막이의 타측에 수위조절기구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수위조절기구는 상기 칸막이 상단에 수로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로홈이 형성된 칸막이에 상·하로 슬라이딩되어지는 수문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수문가이드에 수로홈 수문이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수로홈 수문의 일측에서 상부로 나사가 형성된 직립부재와 상기 직립부재의 상부에 베벨기어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수위조절 기구가 마련된 분할칸막이, 즉 수로공과 수로홈이 동일수직선상에 마련된 분할칸막이에는 수위조절 기구와 함께 어도조절 기구가 이중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수위조절 기구와 어도조절 기구가 이중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수로공과 수로홈을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이중으로 수문을 마련하고 상기 수문에서 상부로 연장된 각각 직립부재를 마련하여 상기 직립부재를 각각 승강시킬 수 있는 한 쌍의 베벨기어를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도조절기구 및 수위조절기구의 베벨기어는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벨기어의 축과 연결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감속모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칸막이에는 분할칸막이가 슬라이딩되어지도록 상기 칸막이의 일측과 측벽에 분할칸막이 가이드가 구성되어지고 상기 분할칸막이에는 상기 어도조절기구 및 수위조절기구가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에서 칸막이의 전방이나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 사이에는 상기 칸막이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1차적으로 유속을 느리게 하는 유속저감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속저감부재는 물이 유입되는 방향에 대항하여 마주하는 방향의 계단 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로공은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에 높낮이를 달리하여 지그재그로 마련되되, 칸막이의 낮은 위치에 마련되는 수로공은 그 지름이 작고 칸막이의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수로공은 낮은 위치의 수로공보다 크게 마련하여 유수가 넘치지 않도록 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수로공들은 각각의 칸막이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이 최소로 느리고 정체되도록 높낮이에 의한 지그재그는 물론이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도 지그재그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도블록의 측벽은, 칸막이에 의해 일시적으로 저수되는 물이 칸막이의 수로공과 그 상단을 통해서만 흐르고 어류가 수로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칸막이의 상단보다 상부로 높게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에서 상기 칸막이는 수로공 주위의 칸막이부위를 별도로 마련하되 기밀이 유지되게 분리 결합시킬 수 있는 분할칸막이가 마련될 수 있고, 이 분할칸막이는 슬라이드방식으로 끼워지도록 가이드를 측벽과 칸막이에 마련하여 조립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어도블록은 칸막이 부분만을 별도로 마련함은 물론 바닥부, 측벽 및 칸막이 모두를 별도로 마련할 수 있고, 전체적인 형상대로 거푸집을 이용하여 일체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분할칸막이의 상부에는 이를 들어올리기 위한 견인고리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견인고리는 상기 분할칸막이에 일체로 마련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도블록에서 측벽과 칸막이(분할칸막이포함) 및 유속저감부재에 는 추운지방이나 동절기에 물이 얼어 어도블록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히터가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히터는 초미세 특수 탄소섬유, 원형질성 펄프와 고순도 합성세라믹 파우더를 혼합하여 방향성 분산방법을 통해 제조되어 2중 전극장치 후 절연코팅을 거쳐 두께 1㎜ 이하의 소재로 된 탄소섬유 히터로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한쪽의 측벽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일요부인 어도조절기구의 사시도,도 3b는 도 3a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일요부인 수위조절기구의 사시도, 도 5a는 어도조절기구의 상부에 수위조절기구가 설치된 칸막이의 정면도, 도 5b는 도 5a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분할칸막이가 설치된 어도블록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한쪽의 측벽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분할칸막이의 사시도, 도 9a는 도 6의 평면도, 도 9b는 도 9a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이 시공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100)은, 어류의 상류 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바닥부(130)의 양측에 측벽(141,142)이 설치되고, 상기 바닥부(130)의 측벽(141,142) 내부에 구성된 어도블록에 있어서, 다수의 칸막이(151,152,153,154)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칸막이(151~154)의 일측에는 어류가 통과하도록 천공된 수로공(161,162,163,164)이 형성되고 상기 수로공(161~164)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어도조절기구(401~40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칸막이(151~154)의 일측에 형성된 수로공(161~164)들은 어류가 지그재그로 통과하도록 서로 인접한 칸막이(151과 152, 152와 153, 153과 154)의 수로공(161~164) 위치가 다르게 마련되고 그 크기 또한 차이를 가지고 마련된다. 상기 수로공(161~164)의 위치가 다르다는 의미는 평면은 물론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위치가 달라 지그재그로 위치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수로공(161~164)중 칸막이(151,153)에 마련되는 수로공(161,163)은 칸막이(151,153)의 상부에 비교적 크게 마련되고, 칸막이(152,154)에 마련되는 수로공(162,164)은 상기 칸막이(151,153)에 마련되는 수로공(161,163)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낮게 바닥부(130)와 근접된 위치에 마련된다.
상기 어도조절기구(401,402)는 상기 칸막이(151,152)의 일측에 설치어지되, 상기 수로공(161,162)이 형성된 칸막이(151,152)의 상·하로 슬라이딩되어지는 수문가이드(261,271)가 형성되고, 상기 수문가이드(261,271)에 수로공 수문(262,272)이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수로공 수문(262,272)의 일측에서 상부로 나사가 형성된 직립부재(263,274)와 상기 직립부재(263,274)의 상부에 베벨기어(264,276)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칸막이(152)의 타측에 수위조절기구(501)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수위조절기구(501)는 상기 칸막이(152) 상단에 수로홈(255)이 형성되고 상기 수로홈(255)이 형성된 칸막이(152)에 상·하로 슬라이딩되어지는 수문가이드(271)가 형성되며, 상기 수문가이드(271)에 수로홈 수문(273)이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수로홈 수문(273)의 일측에서 상부로 나사가 형성된 직립부재(275)와 상기 직립부재(275)의 상부에 베벨기어(277)가 구성된다.
상기 수위조절기구(501)가 설치된 칸막이(152)에서는 상기 어도조절기구(402)의 수문가이드(271) 상부에 상기 수위조절기구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153)에서는 상기 칸막이(151)의 구성이 그대로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154)에서는 상기 칸막이(153)의 구성이 그대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칸막이(151~154)에는 분리될 수 있는 분할칸막이(251,252,253,254)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분할칸막이(251)의 구성은 상기 칸막이(151)에 상기 분할칸막이(251)가 슬라이딩되어지도록 상기 칸막이(151)의 일측과 측벽(141)에 분할칸막이 가이드(143,14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할칸막이(251)의 구성은 또 다른 칸막이(152,153,154)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며, 상기 분할칸막이(251~254)에 상기 어도조절기구(401~404) 및 수위조절기구(501,502)가 설치되어 진다.
상기 분할칸막이(251~254)가 접하는 측벽(141,142)과 칸막이(151~154)에는 분할칸막이(251~254)의 가이드돌기(143,144)가 마련되고 이 가이드돌기(143,144)는 분할칸막이(251~254)가 끼워지면 누수 되지 않도록 기밀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렇게 분할칸막이(251~254)가 끼워 맞춰지는 부분에 기밀유지를 위해 패킹을 개재시킬 수 있다.
상기 측벽(141,142) 및 칸막이(151~154)끝단의 가이드돌기(143,144)는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측벽(141,142)에 내측으로 돌출시킨 가이드돌기(143,144)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서로 끼워 맞춰지고 슬라이딩되는 형상이면 무방하며, 예를 들어, 측벽(141,142)이나 칸막이(151~154)를 오목하게 파내어 형성시킨 가이드 홈으로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칸막이(251~254)에는 어류가 소상하고 강하하는 통로인 어도, 즉 수로공(161~164)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어도조절 기구(401~404)가 마련된다. 상기 어도조절 기구(401~404)는 수로공(161~164) 주위에 상부로 평행하게 마련된 수문가이드(261,272)와, 이 수문가이드(261,272)에서 상하로 승강되게 설치되며 상기 수로공(161~164)을 완전 차단하고 점차로 개방함은 물론 완전 개방시킬 수 있는 수로공수문(262,272)과, 이 수로공수문(262,272)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외면에 나사가 형성된 직립부재(263,274) 및 이 직립부재(263,274)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분할칸막이(251,253)의 상단에 설치되는 베벨기어(264,274)로 구성된다.
상기 분할칸막이(251~254)는 바닥부(130), 측벽(141,142) 및 칸막이(151~154)와 같이 콘크리트로 마련하거나 방청 처리된 금속소재로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수로공수문(262,272)은 분할칸막이(251~254)에서 돌출이 최소한으로 되고 방청 처리된 금속판재로 마련된다.
상기 수로공수문(262,272)을 상하로 승강시키고자 할 때에는 베벨기어(264,276)의 축에 별도의 핸들을 체결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며, 따라서 수로공(161,162)은 상기 수로공수문(262,27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킴에 따라 그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로공수문(262,272)은 베벨기어(264,276)의 축에 정역회전이 가능한 감속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연결 설치할 수 있으며, 이렇게 베벨기어(264,276)의 축에 감속 모터를 연결 설치하면 자동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칸막이(252,254)의 하부위치에 바닥부(130)와 근접된 수로공(162,164) 상부에는 어도블록의 수위조절을 위해 분할칸막이(252,254)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파인 수로홈(255,256)이 마련되어 있고 이 수로홈(255,256)의 깊이, 즉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수위조절기구(501,502)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위조절기구(501,502)가 마련된 분할칸막이(252,254), 즉 수로공(162,164)과 수로홈(255,256)이 마련된 분할칸막이(252,254)에는 수위조절기구(501,502)와 함께 어도조절 기구(402,404)가 이중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위조절 기구(501,502) 및 어도조절 기구(402,404)가 분할칸막이(252,254)에 이중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분할칸막이(252,254)하부의 수로공(162,164) 및 분할칸막이(252,254)의 상부에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형성되는 수로홈(255,256) 주위의 양쪽에 상부로 평행하게 마련된 수문가이드(271)와, 이 수문가이드(271)에서 상하로 승강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로공(162,164)을 완전 차단하고 점차로 개방함은 물론 완전 개방시킬 수 있는 수로공수문(272)과, 상기 수로 홈(255,256)의 하단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로홈수문(273)과, 상기 수로공수문(272) 및 수로홈 수문(273)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외면에 나사가 형성된 직립부재(274,275) 및 이 직립부재(274,275)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분할칸막이(252,254)의 상단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베벨기어(276,277)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어도블록에서 도 6 내지 도 9는 칸막이(151~154)의 일부, 즉 분할칸막이(251~254)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마련한 것으로만 도시하였으나, 바닥부(130), 측벽(141,142) 및 칸막이(151~154) 모두를 별도로 마련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바닥부(130)의 양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측벽(141,142)을 세우고 측벽(141,142)의 양단에 칸막이(151~154)가 세워져 조립되도록 체결수단의 하나인 체결부재(도시하지 않음)로 체결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칸막이(151~154)에서 분할칸막이(251~254)를 별도로 분할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어도블록은 도 1과 같이, 바닥부(130), 측벽(141,142) 및 칸막이(151~154)로 이루어진 어도블록의 전체적인 형상(즉, 칸막이(151~154)에서 분할칸막이(251~254)가 별도로 분할되지 않은 형상)대로 거푸집을 이용하여 일체로 마련하고, 이후에 상기 칸막이(151~154)에 어도조절기구 및 수위조절기구를 이루는 수문들과 한 쌍의 베벨기어 등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분할칸막이(251~254)에는 탈착이 가능하게 견인고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지며, 이는 시공시 와이어로 걸은 상태에서 중장비인 크레인 등으로 들어 올려 이동시키고 칸막이(251~254)와 측벽(141,142)의 가이드돌기(143,144) 사이로 용이하게 조립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최전면 칸막이(151)의 전방에 유속저감부재(300)가 설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151과 152, 152와 153, 153과 154) 사이에는 상기 칸막이(151~154)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을 1차적으로 유속을 느리게 하는 유속저감부재(301~303))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최후면 칸막이(154)의 후방에도 유속저감부재(304)가 설치되어진다. 상기 유속저감부재(300~304)는 물이 유입되는 방향에 대항하여 마주하는 방향의 계단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어도블록에 대하여 시공하는 과정을 참고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물이 담수되어 있는 보 등에서 흘러내리는 하류 측의 경사면에 어도블록을 시공하되 수위는 시공된 어도블록의 첫번째 칸막이(151)에 형성된 수로공(161)바로 위까지 항시 차 있어야 하고 상기 칸막이(151)의 상단으로는 넘치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이 일정량의 물을 수로공(161)바로 위까지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그 바로아래의 두번째 칸막이(152)의 수로공(162)을 작게 조절하여 수로홈 (255) 상단에 수위조절 기구(501)를 조정하여 그 바로 위쪽 첫번째 칸막이(151)의 수로공(161)이 물이 잠기게 시공하여야 한다. 이때, 기존의 콘크리트 보와 같은 경우에는 이미 어도블록의 바닥부(130)가 시공된 것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바닥부 공사를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세번째 칸막이(153)를 상기 첫번째 칸막이(151)와 동일한 구조로 하고 네번째 칸막이(154)는 상기 두번째 칸막이(152)와 동일한 구조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의 시공은 각각의 칸막이(151~154)에 마련된 수로공(161~164)의 높낮이가 각각 다르면서도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도 그 위치가 달라 지그재그로 배열된다. 상기 칸막이(151~154) 중의 칸막이(152,154)에는 작고 낮은 수로공(162,164)이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152)의 바로아래에 위치하는 칸막이(153)의 수로공(163)은 상기 칸막이(151)의 수로공(161)의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히다.
다시 말해서, 칸막이(151)의 수로공(161)과, 칸막이(152, 153)의 수로공(162, 163) 및 칸막이(154)의 수로공(164)은 마치 계단과 같이 연속적으로 배열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어도블록이 연속적으로 설치되면 어도블록의 길이는 전혀 지장을 받지 않는다.
위와 같이 어도블록의 시공을 완료한 후, 보 상류 측의 물이 유입되게 되면 어도블록의 각 칸막이(151~154)에 의해 물이 담수됨은 물론 이에 형성된 수로공(161~164)을 통해 유속이 저하된 상태에서 하류로 흐르므로 상, 하류 측의 어류는 어도블록에 의해 경사지게 마련된 수로인 어도를 따라 상, 하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각의 분할칸막이(251~254)에 형성된 수로공(161~164)들은 그 바로 위쪽인 상류 측의 칸막이에 형성된 수로공이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물이 담수되며, 이로 인하여 어도블록의 수로공(161~164)이 전체적으로 담수되어 연결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상기 어도블록의 각 칸막이(151~154)에 천공된 수로공(161~164)을 따라 물이 흐를 때 유영력이 떨어지는 어류라 하더라도 상류나 하류로 이동할 수 있음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의 상류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은 칸막이(151) 전방의 유속저감부재(301)와 부딪치면서 유속이 일차적으로 저감된 후, 칸막이(151)의 수로공(161)이 잠겨 담수되게 되고, 이렇게 칸막이(151) 전방이 물로 담수된 상태에서 수로공(161)을 통해서만 하류 측의 칸막이(152)로 흘러내려간다. 이렇게 칸막이(152)를 향해 흘러내려가는 물은 그 중간의 유속저감부재(302)에 부딪히고 칸막이(152)와 측벽 (141,142)에 막혀 역류하듯이 담수되면서 일시적으로 유속이 급격하게 저하된 후 칸막이(152) 하부의 수로공(162)을 통해 하류 측의 칸막이(153)로 흘러내려간다.
이렇게 칸막이(153)를 향해 유입되는 물은 칸막이(152)에 담수되는 물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그 하류 측의 칸막이(153)에 담수된 물이 높이차이 만큼의 수압이 작용하므로 수로공(162)내의 유속이 느려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칸막이(151)의 수로공(161)을 통해 유입되는 유량이 칸막이(162) 하부의 수로공(162)을 통해 흐르는 유량보다 많으므로 칸막이(153)에 물이 담수되는 높이만큼 그 상류 측의 칸막이(152)에도 물이 담수됨과 아울러, 그 여분의 유량이 칸막이(152)에 담수수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칸막이(152)로 유입되고 이 칸막이(152)에서 칸막이(153)로 유입되는 물이 적어 상기 칸막이(152,153)의 수로공(162,163)이 완전히 잠기지 않으면 어류의 통로인 어도가 제대로 마련되지 않으므로, 상기 칸막이(151~154)에 설치된 어도조절 기구(401~404) 및 수위조절 기구(501,502)를 조절하여 칸막이(151~154)내에 많은 량의 물이 담수되어 수로공(161~164)이 완전히 잠기도록 하면서 최소한 물이 흐르도록 조절한다.
상기 어도조절 기구(401~404)의 조절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칸막이(151~154)의 수로공(161~164) 상부에 설치된 베벨기어(264,276)를 핸들로 회전시키되 한 쌍을 이루는 베벨기어(264,276)에 의해 수로공수문(262,272)의 직립부재(263,274)가 상승 또는 하강하므로 수로공(161~164)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어도블록으로 유입되는 수량이 적으므로 각 칸막이(151~154))의 수로공(161~164)들이 비례적으로 줄어들도록 수로공수문(262,272)이 수로공(161~164)을 막아 그 크기를 작게 한다.
이렇게 수로공(161~164)이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하류 측으로 흐르는 유량이 적으므로 칸막이(151~154)의 수로공(161~164)은 완전히 잠기는 상태로 칸막이(151~154)에 담수되게 된다. 이때, 칸막이(152,153)에 물이 담수되더라도 각각의 칸막이(152)의 상류 측에 위치된 칸막이(151)의 수로공(161) 또한 완전히 잠기지 않을 수 있는데, 상기 칸막이(151)의 수로공(161)이 완전히 잠기도록 두번째 및 네번째 칸막이(252,254)에 설치된 수위조절 기구(501,502)를 이용하여 칸막이(152,154))상부의 수로홈(255,256)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수위조절 기구(501,502)를 조절하는 과정은 수로홈수문(273)의 승강에 의해 수로홈(255,256)의 하단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다를 뿐이며, 위에서 설명한 어도조절 기구(401,402)의 조절방법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칸막이(151~154)의 수로공(161~164) 크기를 조정하고 수로홈(255,256)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각 칸막이(151,153)와 인접한 상류 측의 수로공(161,163)을 잠기게 하고 결론적으로 각 칸막이에 형성된 수로공(161~164)들을 모두 잠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칸막이(151)의 수로공(161)을 통해 유입되는 유량보다 칸막이(152) 하부의 수로공(162)을 통해 흐르는 유량이 적기 때문에, 칸막이(153)에 물이 담수되는 높이만큼 그 상류 측의 칸막이(152)에도 물이 담수됨은 물론, 상기 칸막이(151)의 수로공(161)으로부터 유입되는 유량이 칸막이(152) 하부의 수로공(162)을 통해 흐르는 유량보다 많음으로 인한 그 여분의 유량은 칸막이(152)에 담수수위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서 칸막이(152) 상부의 수로홈(255)을 통해 지속적으로 넘쳐 칸막이(153)로 유입되게 된다.
위와 같은 원리에 의해 어도블록은, 각각의 칸막이(151~154)에는 물이 담수되어 정체되고, 각 칸막이(151~154)의 수로공(161~164)을 통해 흐르는 물의 유속이 현저하게 떨어져 느려지기 때문에, 상기 수로공(161~164)을 통해서 유영력이 떨어지는 어류라 하더라도 어도블록을 거쳐 보 등의 상류나 하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은 시공되어지는 지방의 환경여건, 예를 들어 추운지방이나 일시적으로 동절기를 갖는 지방에 따라서는 유속저감부재(300~304), 칸막이(분할칸막이포함) 및 측벽(141,142) 등에 선택적으로 히터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초미세 특수 탄소섬유, 원형질성 펄프와 고순도 합성세라믹 파우더를 혼합하여 방향성 분산방법을 통해 제조되어 2중 전극장치 후 절연코팅을 거쳐 두께 1㎜ 이하의 소재로 된 탄소섬유 히터로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어도블록에 히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지속적인 강추위로 물이 얼음으로 인한 어도블록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칸막이(151~154)의 수로공(161~164) 및 칸막이(152,154)의 수로홈(255,256)을 물의 유속이 적절하게 느려지는 높이로 조절하고, 칸막이(151~154)사이에 설치되는 유속저감부재(301~303)의 높이 또한 원하는 바대로의 유속이하로 될 때까지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도블록은 위에서 보 등의 하류 측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평탄하면서 유속이 빠른 계곡, 개울 등의 한쪽에 설치하여도 위에서 언급한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로, 어도블록을 시공하였을 때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의 수로공들이 바닥부를 기준으로 하여 높은 곳의 수로공과 낮은 높이의 수로공, 그리고 그 바로아래(하류 측)의 높은 곳의 수로공과 낮은 높이의 수로공이 한 쌍으로 하여 계단을 이루며 이러한 계단형의 압력차만큼의 수압으로 물이 흘러내림은 물론 칸막이로 유입되는 물이 유속저감부재와 부딪히고 칸막이에 막혀 역류하듯이 담수되면서 일시적으로 유속이 급격하게 저하되며, 또한 평면 및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도 그 위치를 달리하여 지그재그로 마련하기 때문에 칸막이 내에 물이 일시적으로 저장 내지 정체된 후 흐르기 때문에 유속이 느리고, 유영력이 떨어지는 어류라 하더라도 상류나 하류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로, 낮은 위치의 작은 수로공이 마련된 칸막이의 상단으로 물이 넘치면서 흐를 때, 그 하류측의 칸막이에 고여 있는 물은 그 수위가 낮아 낙차를 가지고 흐르기 때문에 기포를 발생시키며, 이로 인하여 원활한 산소공급으로 미생물이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결국에는 이동 어류에게 충분한 산소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셋째로, 어류가 소상하고 강하하는 통로인 어도, 즉 칸막이의 수로공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어도조절 기구와, 칸막이에 저수되는 수위를 조절할 수를 수위조절 기구를 마련하여 칸막이의 수로공의 크기 및 수위를 가변시킴으로써 어도블록으로의 유입되는 유량이 적더라도 어도블록의 칸막이에 저수되는 수량(수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유입수량의 변화 등과 같은 어도블록의 환경여건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결론적으로 유입수량이 적더라도 항시 수중에서 어도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의 핵심 효과의 결론은 흐르는 유속이 일정하고 느리게 유지함으로써, 유영력이 떨어지는 어류라 하더라도 소상과 강하가 안전하게 이뤄질 수 있는 등 아주 유익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Claims (12)

  1. 어류의 상류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어도블록의 바닥부 양측에 측벽이 설치되고, 상기 바닥부와 측벽 내부에 칸막이가 두개 이상 설치되어 구성된 어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일측에는 수로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로공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어도조절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조절기구는 상기 칸막이의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수로공이 형성된 칸막이의 상·하로 슬라이딩되어지는 수문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수문가이드에 수로공 수문이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수로공 수문의 일측에서 상부로 나사가 형성된 직립부재와 상기 직립부재의 상부에 베벨기어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타측에 수위조절기구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수위조절기구는 상기 칸막이 상단에 수로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로홈이 형성된 칸막이에 상·하로 슬라이딩되어지는 수문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수문가이드에 수로홈 수문이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수로홈 수문의 일측에서 상부로 나사가 형성된 직립부재와 상기 직립부재의 상부에 베벨기어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4. 삭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조절기구의 수문가이드 상부에 수위조절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조절기구 및 수위조절기구의 베벨기어에 감속모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칸막이에는 분할칸막이가 슬라이딩되어지도록 상기 칸막이의 일측과 측벽에 분할칸막이 가이드가 구성되어지고 상기 분할칸막이에는 상기 어도조절기구 및 수위조절기구가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칸막이의 상부에는 견인고리가 구성되고 상기 분할칸막이내에 히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칸막이는 방청 처리된 금속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전면 칸막이의 전방과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 사이 및 최후면 칸막이의 후방에 물이 흐르는 방향과 대향되어지게 계단형의 유속저감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및 유속저감부재내에는 히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블록.
KR1020050109435A 2004-12-27 2005-11-16 어도블록 KR100592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610A KR100658432B1 (ko) 2004-12-27 2005-07-04 어도블록
KR1020050109435A KR100592975B1 (ko) 2005-11-16 2005-11-16 어도블록
JP2007548061A JP2008525677A (ja) 2004-12-27 2005-12-09 魚道ブロック
CNB200580043721XA CN100549302C (zh) 2004-12-27 2005-12-09 鱼道块
US11/721,572 US20070248415A1 (en) 2004-12-27 2005-12-09 Fishway Block
PCT/KR2005/004223 WO2006071010A1 (en) 2004-12-27 2005-12-09 Fishway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435A KR100592975B1 (ko) 2005-11-16 2005-11-16 어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2975B1 true KR100592975B1 (ko) 2006-06-26

Family

ID=3718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435A KR100592975B1 (ko) 2004-12-27 2005-11-16 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97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17B1 (ko) 2007-02-05 2007-12-03 강남 어도블럭
WO2009128648A2 (ko) * 2008-04-15 2009-10-22 Cho Eul-Jae 친환경 생태활성화 수로블럭
KR20110113540A (ko) * 2010-04-09 2011-10-17 민승기 하천에서 계단식 어도 블럭 구조
CN102758423A (zh) * 2012-07-27 2012-10-31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一种透水式鱼道
KR101348427B1 (ko) * 2010-03-02 2014-01-10 민승기 조경구간(수문)이 구비되는 어도용 블럭
CN104480913A (zh) * 2014-11-18 2015-04-01 河海大学 一种交错布置隔块结构的生态鱼道
KR102400020B1 (ko) * 2021-09-16 2022-05-20 (유)신일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17B1 (ko) 2007-02-05 2007-12-03 강남 어도블럭
WO2009128648A2 (ko) * 2008-04-15 2009-10-22 Cho Eul-Jae 친환경 생태활성화 수로블럭
WO2009128648A3 (ko) * 2008-04-15 2010-02-18 Cho Eul-Jae 친환경 생태활성화 수로블럭
KR101348427B1 (ko) * 2010-03-02 2014-01-10 민승기 조경구간(수문)이 구비되는 어도용 블럭
KR20110113540A (ko) * 2010-04-09 2011-10-17 민승기 하천에서 계단식 어도 블럭 구조
KR101698441B1 (ko) * 2010-04-09 2017-02-01 민승기 하천에서 계단식 어도 블럭 구조
CN102758423A (zh) * 2012-07-27 2012-10-31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一种透水式鱼道
CN104480913A (zh) * 2014-11-18 2015-04-01 河海大学 一种交错布置隔块结构的生态鱼道
KR102400020B1 (ko) * 2021-09-16 2022-05-20 (유)신일 상단월류와 중단방류 및 하단방류가 가능한 다단 수위조절 수문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975B1 (ko) 어도블록
JP2008525677A (ja) 魚道ブロック
KR101284196B1 (ko) 보의 상류 측 수중에 위치하여 수위 변동시에도 어류의 이동이 연중 가능한 어도
JPH03151408A (ja) 自動スウイング魚道
KR101579302B1 (ko) 자동 어도 겸용 퇴적오니 배출통로를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 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권양기 수문
JP5737675B2 (ja) 砂防堰
KR101381901B1 (ko) 잠수식 어도
KR100757950B1 (ko) 사이펀 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
KR101119972B1 (ko) 친환경 어도구조물
EP1717374A1 (de) Fisch Auf- und Abstieg
CH701275B1 (de) Fischwanderhilfe zur Überwindung unterschiedlich hoher Wasserlinien zwischen Wasserzulauf und Wasserablauf an künstlichen Wasserstauwerken.
US3232060A (en) Alternating interrupted passage fishway
KR102259684B1 (ko) 댐에 설치되는 수압 저감 수단이 구비된 집수형 어도
KR20110111343A (ko) 댐에 설치하여 수위 변동시에도 연중 역할이 가능한 어도 장치
KR101282777B1 (ko)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KR100478245B1 (ko) 수위감지식 자동가변어도
KR100939562B1 (ko) 다단 나선형 어도
US1376889A (en) Lake or pond
KR20060121779A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한 이중어도의 구성방법
KR100619459B1 (ko) 수위에 따라 자동조절되는 하천용 수문
KR100582160B1 (ko) 퇴적물 배출이 용이한 수중보
KR101565081B1 (ko) 가동보 수문
KR20150091547A (ko)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CN214628801U (zh) 自动灌溉水位控制装置
EP4047135B1 (de) Fischpass für eine talsper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