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901B1 - 잠수식 어도 - Google Patents

잠수식 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901B1
KR101381901B1 KR1020120070089A KR20120070089A KR101381901B1 KR 101381901 B1 KR101381901 B1 KR 101381901B1 KR 1020120070089 A KR1020120070089 A KR 1020120070089A KR 20120070089 A KR20120070089 A KR 20120070089A KR 101381901 B1 KR101381901 B1 KR 101381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space
pressure
fishery
de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201A (ko
Inventor
윤충호
Original Assignee
일성보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성보산업(주) filed Critical 일성보산업(주)
Priority to KR1020120070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901B1/ko
Publication of KR2014000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동보 또는 고정보의 시설물에서 어류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어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천을 가로질러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고정보의 한 쪽에 양쪽으로 옹벽을 상류 수두와 하류 수두차를 기울기로 하여 경사지게 한다. 상기 옹벽의 기울기를 따라 어도가 설치하게 되는데, 어도는 무게 중심이 후방에 위치하도록 힌지로 회동되게 설치한다. 상기 어도의 유입구에 상류수가 유입하게 되면 저면에 형성된 압력공간의 수압에 의해 어도의 관통구를 통하여 하천수가 어도의 상측으로 분출되어 물벽이 되므로 어도를 타고 흐르는 하천수의 유속을 낮추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어도에 감압틀이 다단으로 설치되는데 감압틀의 내부공간인 감압공간에서 어도의 바닥과 관통하는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감압틀의 감압공간에는 이동 통로구를 통하여 어류가 압력공간으로 잠수하여 이동되게 하는 것이고, 감압틀의 상단 월류홈을 통하여 하천수가 흘러넘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잠수식 어도{Submergence type fish way}
본 발명은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댐이나 고정보 등의 시설물에서 어류가 고정보를 지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어도에 관한 것으로, 어류가 어도를 타고 오르다가 어도의 저면으로 잠수하여 이동되게 하는 잠수식 어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서는 물을 저장하여 농업용수 또는 공업용수로 이용하거나 발전 등에 이용하기 위하여 하천을 가로지르는 댐을 설치하거나 콘크리트 구조물인 고정보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댐이나 고정보에는 홍수나 가뭄 시 수위를 조절하는 수문 또는 가동보 등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보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하여 하천을 가로 막게 되므로, 하천의 하류와 상류가 단절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어류가 상,하류로 오르내리는 것이 곤란해지고, 이에 따라 하천에서 서식하는 각종 어류들의 서식환경이 변화와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보에 하나 이상의 어도를 설치하여 어류가 상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기존 어도는 어류가 낙차나 유속을 이기며 서서히 상류로 진입하는 구조가 대부분으로, 어류가 유속이나 낙차를 이기지 못할 경우 어류의 이동이 차단되며, 또한 어도의 설치 거리가 길어지는 문제와 함께 경사형 어도를 흐르는 물의 수온이 상승되어 어류의 이동에 방해를 주는 문제가 있게 된다.
특히, 경사형 어도를 사용하는 경우 유속을 낮추기 위해서 일정 기울기를 형성하여야 하는 것으로, 이러한 경사형 어도는 어도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와 함께 어도의 상층부를 흐르는 물의 온도가 태양에 의해 상승되어 어류의 이동에 방해를 주는 문제가 있게 되고, 어도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어도를 따라 이동하는 어류를 쉽게 잡아버리는 문제가 있으며, 어도의 설치기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되는 고정보에서 어류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어도에 관한 것으로, 경사형 어도를 사용하는 경우 설치 기간이 오래 걸리고,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와 함께 어도의 상층부를 흐르는 물의 온도가 햇빛에 상승되어 어류의 이동에 방해를 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어류의 이동이 외부에 노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도를 타고 이동하는 어류가 어도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하여 어도의 저면으로 이동한 후 상류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어류가 수면에 노출되지 않은 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어류의 이동이 자유롭고, 특히 하천수가 어도의 상측으로 분출되게 하여 수온의 변화가 적도록 함으로써 어류가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어도의 상측을 흐르는 하천수의 유속을 낮춰주어 어류가 어도를 타고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어도의 바닥과 관통되는 관통구에서 분출되는 수압을 감압시키는 감압공간을 형성하여 어류가 감압공간의 내부에 설치된 관통구를 통하여 어도의 저면공간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류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천을 가로질러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고정보의 한 쪽에 양쪽으로 옹벽을 경사지게 설치하되 유입구에 의해 물이 유입되게 하고, 상기 옹벽 사이 공간에는 옹벽을 따라 경사지게 어도를 설치하되 상기 어도는 힌지로 회동되게 하는 한편 힌지의 후방으로 무게중심이 위치하게 하며, 상기 어도는 어도의 저면과 옹벽 사이공간에 형성되는 압력공간의 수압에 의해 어도가 회동되게 하고, 상기 어도의 상측에는 단면이 ㅅ자 형태의 감압틀을 다단으로 설치하되 상기 감압틀의 내부공간인 감압공간에서 어도의 바닥과 관통하는 관통구를 형성하며, 상기 다단으로 설치되는 감압틀의 감압공간에는 이동 통로구를 형성하여 하천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한편 상측으로는 월류홈을 형성하여 하천수가 흘러넘치게 하는 것으로, 압력공간의 수압에 따라 어도의 상부로 분출되는 하천수는 감압틀의 감압공간에서 압력이 낮아진 후 어도를 따라 흐르게 되므로, 어류가 어도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감압틀에 형성된 이동 통로구와 월류홈을 타고 이동하다가 압력이 낮은 관통구를 통하여 어도의 바닥으로 이동한 후 어도의 저면에 형성되는 압력공간을 통하여 상류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경사지게 설치된 어도의 상측을 타고 어류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어도에 설치된 감압틀에 의해 형성되는 수조를 타고 오르는 어류가 어도의 상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어도에 뚫린 관통구를 통하여 어도의 저면으로 이동한 후 상류로 이동되게 하는 것으로, 어류가 힘들이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어류가 어도의 저면으로 잠수되어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이 자유로우며, 어도의 저면에서 하천수가 어도의 상부에 분출되어 어도의 상측을 흐르는 하천수의 수온 변화를 방지하여 어류가 어도의 상부를 타고 이동할 때 이동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어도의 바닥에 뚫린 관통구에서 분출되는 하천수를 어도의 바닥에 다단으로 설치된 감압틀의 감압공간을 이용하여 낮추게 되므로, 어도를 통하여 물고기가 저항을 덜 받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관통구를 통하여 어도의 저면으로 쉽게 이동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잠수식 어도는 어류가 어도 상단까지 올라가지 않고도 다단으로 설치되는 감압틀의 감압공간에서 압력공간으로 잠수하여 상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첫째. 감압공간을 통하여 관통구로 분출되는 하천수의 수압을 낮추어주게 되므로, 어류가 쉽게 관통구를 통하여 잠수하게 되고,
둘째. 상류수위가 낮아지면 어도의 상단 입구를 내려야만 되는데, 본 발명의 잠수식 어도는 어도내 구간 구간마다 형성된 감압틀의 감압공간에서 압력공간으로 바로 잠수할 수 있으므로 낮아지는 수위에 따라 어류가 이동할 수 있으며,
셋째. 어도가 햇빛에 노출되면 수온이 상승되므로 어류의 이동이 어렵지만, 본 발명의 잠수식 어도는 하천의 상층부를 이루는 상류수가 유입되는 압력공간과 관통되어 있으므로 어도내의 수온이 하천수 온도와 같아져서 어류이동이 쉽게 되고,
넷째. 어류가 긴 어도를 거슬러 올라가려면 외부에 노출되는데, 본 발명의 잠수식 어도는 어도 상단까지 올라가지 않고 어도 중간 중간에서 압력공간으로 잠수하게 되므로 외부로부터 잘 보호되며,
다섯째. 본 발명의 잠수식 어도는 공장에서 제작하여 운반 설치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스텐레스로 제작되어 반영구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실시예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어도 설치공간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어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단으로 설치된 감압틀을 제거한 상태의 어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다단으로 설치되는 감압틀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단으로 설치되는 감압틀의 정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어도 설치상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어도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감압틀 작동 상태 설명도
본 발명은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댐이나 고정보 등의 시멘트 구조물로 인하여 어류의 이동이 단절되지 않도록 하는 어류의 이동통로인 어도에 관한 것으로, 고정보와는 별도로 어도를 경사지게 설치하되 상기 어도의 상부를 흐르는 하천수의 유속을 낮추도록 하는 한편 어도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하여 어류가 어도의 저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류가 어도의 상단까지 이동하지 않고도 어도를 타고 오르다가 어도의 저면으로 이동하여 상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어도는 스텐레스로 공장에서 제작하여 고정보에 조립 설치하는 것으로, 어도의 저면과 어도 사이에는 수압이 가해지는 압력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압력공간에 가해지는 수압에 의해 어도의 기울기가 변하도록 하고, 상기 어도의 바닥에는 어류가 어도의 상부에서 저면으로 이동하는 관통구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관통구를 내측에 위치시켜 관통구로 분출되는 하천수의 감압이 이루어지게 하는 감압틀을 어도에 다단으로 설치한다.
상기 어도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감압틀은 어도를 타고 흐르는 하천수를 가두게 되는 공간을 다단으로 형성하게 되므로, 어도를 타고 이동하는 어류가 쉬면서 유영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어도는 길이와 무게 그리고 압력공간에서 받쳐지는 수압을 고려하여 평상시의 수압에 의해서는 어도가 균형을 유지하게 하고, 홍수시에는 어도의 낮은 쪽이 개방되게 하며, 갈수기에는 어도가 닫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어도에는 상측으로 단면이 ㅅ자 형태를 갖는 감압틀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어도의 상측을 흐르는 하천수가 여러 개의 감압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다단으로 거쳐서 흐르게 하고, 상기 감압틀의 내측에 형성된 감압공간의 바닥으로 관통구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감압공간의 전후방으로는 이동 통로구를 형성하여 하천수의 유입과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감압틀의 상측에는 월류홈을 형성하여 하천수가 넘쳐흐르도록 하며, 물고기는 월류홈을 통하여 상류로 이동하거나 이동 통로구를 통하여 감압공간으로 이동한 후 관통구를 통하여 잠수하여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어도의 높은 쪽에 위치하는 관통구의 직경이 어도의 낮은 쪽에 위치하는 관통구의 직경보다 점차 커지도록 한다.
그리고, 어도에 다단으로 감압틀이 형성되게 되면, 감압틀에 의해 어도를 타고 흐르는 하천수가 막혀서 공간을 형성한 후 월류홈을 타고 흐르게 되므로, 어류가 유영하며 쉴 수 있는 공간이 다단으로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어도는 고정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보의 한 쪽에 양쪽으로 일정폭을 갖는 옹벽을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옹벽 사이의 공간에는 힌지로 회동되는 어도를 경사지게 설치하되 무게중심이 낮은 쪽에 위치되게 하며, 상기 어도의 저면으로는 유입구를 통하여 하천수의 유입이 이루어져 고정보의 바닥과 어도의 저면 사이를 구성하는 압력공간에서 어도의 저면에 수압이 가해지게 된다.
즉, 고정보에서 유입구를 통하여 흐르는 물은 압력공간에 채워져 어도의 저면으로 수압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공간의 수압과 어도의 길이 및 무게를 고려하여 힌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평상시는 어도가 평형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홍수시에는 어도의 낮은 쪽만 들리게 하며, 갈수기에는 어도의 낮은 쪽이 닫히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하천의 평균 수량이 흐르는 경우에는 하천수가 압력공간에 채워지면서 어도에 수압을 가하게 되므로, 어도는 균형을 맞춘 채로 하천수가 유입구를 통하여 어도의 상면을 타고 흐르게 되거나, 하천수가 압력공간에 채워진 후 어도의 바닥에 뚫린 관통구를 통하여 어도의 상부로 분출되게 된다.
어도의 상부를 타고 흐르는 물은 다단으로 설치된 감압틀의 감압공간을 채우는 동시에 감압틀의 이동 통로구를 통하여 흐르게 되거나 월류홈을 타고 넘치게 되어 유속이 낮춰지게 되고, 관통구에서 분출되는 높은 압력의 하천수는 다단으로 설치된 감압틀의 감압공간으로 분출되게 되므로, 감압공간에서 크게 수압을 낮춘 후 이동 통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감압공간의 내부에서 어도의 바닥에 뚫리게 되는 관통구를 통하여 하천수가 분출되고, 감압공간에서 감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어류는 다단으로 설치된 감압틀의 공간에서 월류홈을 타고 이동하다가 하천수의 분출 압력이 이동에 적합한 압력이 되는 관통구를 통하여 어도의 저면으로 이동한 후 상류로 이동하게 된다.
즉, 관통구의 직경과 압력공간의 수압에 따라 관통구를 통하여 분출되는 하천수의 수압이 달라지게 되나, 감압공간에서 분출 압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어류는 어도의 상면을 타고 이동하다가 관통구의 분출 압력이 낮아지는 곳에서 관통구를 통하여 어도의 저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홍수기에는 수위가 상승되어 압력공간에서 어도의 저면에 가해지는 수압이 상승하게 되므로, 어도의 낮은 쪽이 개방되어 압력공간에 쌓인 이물질을 청소하게 되고, 갈수기에는 압력공간에서 어도의 저면에 가해지는 수압이 낮아지게 되므로, 어도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같이 본 발명은 경사지게 설치되는 어도에서, 어도의 바닥에 뚫린 관통구를 통하여 하천수가 분출되게 하는 한편 어류가 어도의 상면에서 관통구로 분출되는 하천수의 수압이 감압공간에서 감압되어 어도의 상면을 타고 이동하는 하천수의 수압과 같거나 조금 높을 경우 어류는 물이 분출되는 관통구를 통하여 이동을 하게 되며, 물이 흘러나오는 곳으로 이동하는 것은 어류의 본능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고정보(10)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어도(50)에 관한 것으로, 고정보(10)의 일측으로 어도(50)가 설치될 수 있는 일정폭을 갖도록 양쪽으로 옹벽(21)을 돌출되게 형성하되 상기 옹벽(21)은 상류에서 하류 쪽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한다.
옹벽(21)으로 설치되는 고정보(10)의 내측 공간은 단면이
Figure 112012051837034-pat00001
자 형태를 갖도록 하고, 양쪽으로 옹벽(21)이 설치되어 고정보(10)에 막힌 하천수가 유입구(30)에서 옹벽(21) 사이 공간으로 흐르게 한다.
본 발명의 어도(50)는 옹벽(21) 사이의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51)로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어도(50)와 고정보(10)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공간(20)에서 어도(50)의 저면에 가해지는 수압과, 어도(50)의 길이 및 무게를 고려하여 하천수가 평균수량을 유지할 때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위치에 힌지(51)를 설치한다.
이때, 경사형 어도(50)는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어도 작동에는 문제가 없으며, 경사형 어도(50)가 힌지(51)를 중심으로 낮은 쪽이 개폐되게 하는 것은 홍수시에 어도(50)를 개방시켜 어도(50)의 하측에 채워진 이물질을 깨끗이 청소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어도(50)는 단면이
Figure 112013118527541-pat00002
자 형태를 갖고, 일정 길이를 갖도록 스텐레스를 이용하여 공장에서 제작된 후 현장에서 조립 설치되는 것으로,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으며, 어도(50)의 상면으로 ㅅ자 형태의 감압틀(60)을 어도(50)의 경사를 따라 다단으로 설치하여 어도(50)를 타고 흐르는 하천수가 감압틀(60)에 의해 형성되는 감압공간(65)에 저수되었다가 감압틀(60)의 이동 통로구(62)(63)를 따라 흐르거나 월류홈(64)을 타고 넘치게 된다.
상기 감압틀(60)은 하천수를 감압공간(65)에 채운 상태에서 상측으로 형성된 월류홈(64)을 타고 하천수가 넘치게 하거나 감압공간(65)의 내부와 관통되는 이동 통로구(62)(63)를 통하여 하천수가 흐르도록 하는 것으로, 어도(50)를 타고 흐르는 하천수의 유속을 낮추어 어류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어도(50)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감압틀(60)에 하천수가 채워지면 감압틀(60)의 이동통로구(62)(63)를 통해서 물이 흐르게 되는데 유속이 빨라 이동 통로구(62)(63)를 타고 이동하지 못하는 어류가 많게 된다.
따라서, 감압틀(60)의 감압공간(65)에 압력공간(20)에서 올라오는 수압이 가해지면 물벽이 만들어져서 감압공간(65)을 흐르는 하천수의 유속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어도(50)에 흐르는 물의 유속을 느리게 한다.
즉, 어도(50)의 감압틀(60)에 형성된 감압공간(65)에 흐르는 유량과 유속이 압력공간(20)에서 올라오는 수압과 같게 하거나 수압을 약간 크게 하면 유속이 정체되거나 유속이 느려지는 원리다.
상기 된 원리에 의해 어도(50)에 흐르는 유속이 저속이므로 어류가 쉽게 이동 할 수 있게 된다.
이 같이 본 발명의 감압공간(65)에는 내측으로 압력공간(20)와 관통되는 관통구(61)를 통하여 분출되는 하천수의 수압을 감압공간(65)에서 감압되게 함으로써, 어류가 이동 통로구(62) (63)를 통하여 감압공간(65)로 이동한 후 관통구(61)를 통하여 압력공간(20)으로 이동되게 하거나 이동 통로구(62)(63)를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되게 하며, 상기 관통구(61)는 어도(50)의 낮은 쪽보다 높은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크게 한다.
상기 어도(50)의 감압공간(65)은 관통구(61)로 분출되는 하천수의 수압을 감압시켜 이동 통로구(63)로 배출시키게 되고, 어도(50)를 타고 흐르면서 이동 통로구(62)(63)로 유입되지 않은 하천수는 다단으로 설치된 감압틀(60)에 저수되면서 월류홈(64)에서 흘러넘치도록 한다.
감압공간(65)은 관통구(61)로 분출되는 하천수의 압력을 낮추어 줌으로써 어류가 관통구(61)를 통하여 압력공간(2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천수는 관통구(61)에서 어도(50)의 상부로 통하게 되어 어도(50)를 흐르는 하천수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본 발명의 관통구(61)는 어도(50)의 기울기에 따른 수두차에 따라 하측보다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게 되며 큰 어류는 상부에 위치한 관통구(61)를 통하여 어도(50)의 저면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어류의 이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어도(50)의 상측에서 감압틀(60)의 월류홈(64)을 타고 넘거나 이동 통로구(62)(63)를 통하여 감압공간(65)을 거쳐 이동하는 것은 감압공간(65)에서 하천수의 유속이 약하게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어류가 관통구(61)를 통하여 어도(50)의 저면에 형성되는 압력공간(20)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즉, 압력공간(20)에 하천수가 채워지면 어도(50)의 관통구(61)를 통하여 하천수가 분출되나 수압의 차이와 관통구(61)의 직경 차이에 따라 어도(50)의 하측으로 갈수록 하천수가 강하게 분출되나, 관통구(61)에서 분출되는 하천수는 감압공간(65)에서 감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어도(50)의 상측으로 갈수록 하천수의 분출이 미미하여 어류가 물 흐름을 이겨낼 수 있을 정도의 관통구(61)가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관통구(61)를 통하여 어류가 이동되나 어류의 크기에 따라 적정 크기의 관통구(61)를 통하여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고정보(10)에 형성된 옹벽(21) 사이의 공간에 힌지(51)를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어도(50)는 무게중심이 후방에 위치하는 관계로 하천수가 흐르지 않을 경우 어도(50)는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어도(50)는 힌지(51)에 의해 가동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천을 흐르는 하천수가 평균 수량을 유지하는 경우 압력공간(20)에서의 수압과 어도(50)의 길이 및 무게를 고려하여 어도(50)가 평형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한편 홍수시에는 압력공간(20)의 수압이 증가하여 어도(50)의 낮은 쪽이 완전히 개방되어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유입구(30)를 통하여 유입되는 하천수는 어도(50)의 저면 압력공간(20)을 채운 후 어도(50)에 뚫린 관통구(61)를 통하여 어도(50)의 상부로 분출되게 되고, 상기 관통구(61)에서 분출되는 하천수는 다단으로 설치되는 감압틀(60)의 감압공간(65)에서 물벽이 만들어져서 이동 통로구(62)(63)의 유속이 낮아진 채로 흐르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관통구(61)로 분출되는 하천수로 인하여 어도(50)의 상측으로 흐르는 하천수의 온도가 햇빛에 의해 올라가지 않고 하천수와 거의 같은 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온도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 어류가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올라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관통구(61)는 어도(50)의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커지게 되고, 감압공간(65)으로 이동한 어류는 관통구(61)를 통하여 압력공간(20)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어도(50)의 높은 쪽으로 갈수록 관통구(61)에서 분출되는 수압이 낮기 때문에 어류가 관통구(61)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수압을 갖고 직경이 충분한 곳에서 어류가 압력공간(20)으로 이동하게 된다.
압력공간(20)으로 이동한 어류는 유입구(30)를 통하여 상류로 이동하게 되고, 어도(50)의 상측으로 이동한 어류도 유입구(30)를 통하여 상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류가 어도(50)를 타고 상부로 이동하지 않고, 어느 정도 이동하다가 관통구(61)를 통하여 어도(50)의 저면에 형성된 압력공간(20)을 통해서 상류로 이동하는 것으로, 어류가 어도(50)의 상면으로 노출되지 않고 압력공간(20)에서 잠수를 통하여 상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홍수기에는 압력공간(20)의 수압이 커서 어도(50)의 낮은 쪽이 개방되므로, 저서생물이 어도(50)의 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압력공간(20)의 바닥에 쌓인 찌꺼기가 배출되어 깨끗이 청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어도(50)에 뚫린 관통구(61)를 이용하여 어류가 어도(50)의 저면에 형성되는 압력공간(20)을 통하여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어도(50)의 끝까지 올라가지 않고도 상류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어도(50)를 흐르는 하천수의 유속을 낮추어주어 어류가 쉽게 이동할 수 있고, 하천수가 어도(50)의 상측으로 다량 흐르게 되어 어도(50)의 상부를 흐르는 하천수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으며, 어류가 노출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도(50)는 외부에서 제작하여 조립 설치하게 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짧은 길이로도 어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0 : 고정보 20 : 압력공간
21 : 옹벽 30 : 유입구
50 : 어도 51 : 힌지
60 : 감압틀 61 : 관통구
62,63 : 이동 통로구 64 : 월류홈
65 : 감압공간

Claims (3)

  1. 하천을 가로막아 설치되는 고정보(10)의 일측으로 일정한 폭을 갖고 양쪽으로 단면이
    Figure 112013118527541-pat00016
    형태를 갖는 옹벽(21)을 경사지게 설치하되 상기 옹벽(21)의 사이공간에는 고정보(10)에 형성된 유입구(30)를 통하여 하천수가 유입되게 하고,
    상기 옹벽(21)의 사이공간에는 힌지(51)로 단면이
    Figure 112013118527541-pat00017
    형태의 어도(50)를 회동되게 설치하되 상기 어도(50)는 힌지(51)를 중심으로 하류쪽이 낮게 설치하고,
    상기 어도(50)의 저면과 고정보(10)의 바닥 사이에는 유입구(30)로 유입되는 하천수가 채워져 어도(50)에 수압을 가하는 압력공간(20)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어도(50)의 상측으로 ㅅ자 형태의 감압틀(60)을 다단으로 설치하되 상기 감압틀(60)에는 하천수가 감압틀(60)의 내부공간을 관통하여 흐르는 구멍(62)(63)을 형성하는 한편 하천수가 타고 흐르는 월류홈(64)을 형성하고,
    상기 감압틀(6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감압공간(65)에는 어도(50)의 저면에 형성되는 압력공간(20)과 관통되어 하천수를 분출시키는 관통구(6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식 어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어도(50)의 상측에 설치되는 감압틀(6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감압공간(65)의 바닥을 이루는 어도(50)에 형성되는 관통구(61)는 어도(50)의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식 어도.
KR1020120070089A 2012-06-28 2012-06-28 잠수식 어도 KR101381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089A KR101381901B1 (ko) 2012-06-28 2012-06-28 잠수식 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089A KR101381901B1 (ko) 2012-06-28 2012-06-28 잠수식 어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201A KR20140002201A (ko) 2014-01-08
KR101381901B1 true KR101381901B1 (ko) 2014-04-07

Family

ID=5013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089A KR101381901B1 (ko) 2012-06-28 2012-06-28 잠수식 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597A (ko) 2016-12-09 2018-06-19 조용성 갑문에 연동되는 어도가 구비된 가동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2892A1 (ko) * 2014-09-30 2016-04-07 전준모 수리 시설물에서 어류의 이동을 위한 인공어도
CN104863099B (zh) * 2015-05-21 2017-12-15 三峡大学 一种鱼类下行过坝系统
CN106702979B (zh) * 2016-12-23 2018-12-14 安徽理工大学 多级叠弧式鱼道及过鱼方法
KR102349726B1 (ko) * 2019-03-25 2022-01-11 삼화건설환경(주) 다단형 상계감압형 어도
CN116084354B (zh) * 2023-03-21 2024-06-14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温、水流调控式仿生态鱼道系统及其调控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452B1 (ko) * 2008-12-26 2009-09-24 보은군 유속 저감수 살수기능을 갖는 수문 일체형 어도
KR101152609B1 (ko) * 2010-02-09 2012-06-05 김근형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어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452B1 (ko) * 2008-12-26 2009-09-24 보은군 유속 저감수 살수기능을 갖는 수문 일체형 어도
KR101152609B1 (ko) * 2010-02-09 2012-06-05 김근형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어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597A (ko) 2016-12-09 2018-06-19 조용성 갑문에 연동되는 어도가 구비된 가동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201A (ko)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901B1 (ko) 잠수식 어도
CN104088260B (zh) 多级助驱式生态鱼道设施及其运行方法
KR101284196B1 (ko) 보의 상류 측 수중에 위치하여 수위 변동시에도 어류의 이동이 연중 가능한 어도
JPH03151408A (ja) 自動スウイング魚道
KR100592975B1 (ko) 어도블록
KR20130121488A (ko) 가동식 어도
CN107916650B (zh) 梯级箱体生态鱼道系统
KR101033101B1 (ko) 투명한 사이펀형 파이프라인 수조 로된 사이펀 수족관
KR100478245B1 (ko) 수위감지식 자동가변어도
KR100939562B1 (ko) 다단 나선형 어도
KR102259684B1 (ko) 댐에 설치되는 수압 저감 수단이 구비된 집수형 어도
KR20060121779A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한 이중어도의 구성방법
KR101152609B1 (ko)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어도
KR100634236B1 (ko) 인공 파도가 형성된 유수풀
JP2552616B2 (ja) 魚道装置の制御ゲートおよびその集魚装置
KR101613117B1 (ko) 부력 개폐형 차등차수보를 갖는 다기능 생태 하천
CN209798707U (zh) 一种引水式电站溢流坝段生态改造结构
KR100754850B1 (ko) 물고기 이동을 위한 친환경적인 하천 수중보
KR20180108355A (ko) 제방에 연설된 어도
KR200380657Y1 (ko) 어도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는 장치
KR102139517B1 (ko) 퇴적물의 통과 수로로 겸용되는 어도를 가춘 낙차공
KR20090046362A (ko) 수문용 어도
KR101497730B1 (ko) 어초 겸용 수중보
KR20090011414A (ko) 치어류 이동용 어도 장치
KR20050048564A (ko) 친환경적인 하천의 월류방지용 옹벽 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