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726B1 - 다단형 상계감압형 어도 - Google Patents

다단형 상계감압형 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726B1
KR102349726B1 KR1020190033967A KR20190033967A KR102349726B1 KR 102349726 B1 KR102349726 B1 KR 102349726B1 KR 1020190033967 A KR1020190033967 A KR 1020190033967A KR 20190033967 A KR20190033967 A KR 20190033967A KR 102349726 B1 KR102349726 B1 KR 102349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fish
river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562A (ko
Inventor
나성민
Original Assignee
삼화건설환경(주)
나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건설환경(주), 나성민 filed Critical 삼화건설환경(주)
Priority to KR1020190033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72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형 상계감압형 어도에 관한 것으로서, 댐과 같이 저수 수위가 높고 수압이 높은 곳에서 최소 길이로 삼계감압형어도를 적용하여 물고기들이 자유로이 하천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계감압형 어도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이 연결 형성되어 공급된 하천수에 따라 유입수조의 깊이를 설치장소와 무관하게 설정되어서 유속을 감속하여 배출하는 어도를 형성하는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와 두 번째의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의 유입수조에 물고기의 이동경로가 유지되게 이전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의 출수부 수위와 동일 수위로 입수수조의 수위가 유지되게 급수가 이루어지는 연결급수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댐과 같이 저수 수위가 높고 수압이 높은 곳에서 최소 길이로 삼계감압형어도를 적용하여 물고기들이 자유로이 하천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다단형 상계감압형 어도{Fish ladder}
본 발명은 다단형 상계감압형 어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계감압형 어도에 있어서,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와 연결급수부로 이루어진 어도를 구비하여서 댐과 같이 저수 수위가 높고 수압이 높은 곳에서 최소 길이로 삼계감압형어도를 적용하여 물고기들이 자유로이 하천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도는 물의 저수를 위하여 보 또는 댐이 설치된 곳에서 물고기들이 보 또는 댐을 넘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어도는 물고기체류부를 보 또는 댐의 높이에 따라 경사지게 다단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어도는 물고기에 하류에서 다단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물고기체류부로 한 단계씩 뛰어오르며 상류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어도는 물의 하천의 물이 적은 경우 물고기체류부에 물이 채워지지 않으면 물고기들이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어도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결과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어도는 댐과 같이 그 높이가 수십 미터에 달하는 경우에는 그 길이가 너무 길게 형성되어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건 발명자는 상계감압에 의하여 물기고기가 자유로이 왕래할 수 있는 어도를 개발하여 특허 출원한바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367005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어도는 물의 하천의 물이 적은 경우 물고기체류부에 물이 채워지지 않으면 물고기들이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어도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결과를 유발하는 문제점과 댐과 같이 그 높이가 수십 미터에 달하는 경우에는 그 길이가 너무 길게 형성되어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계감압형 어도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이 연결 형성되어 공급된 하천수에 따라 유입수조의 깊이를 설치장소와 무관하게 설정되어서 유속을 감속하여 배출하는 어도를 형성하는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와 두 번째의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의 유입수조에 물고기의 이동경로가 유지되게 이전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의 출수부 수위와 동일 수위로 입수수조의 수위가 유지되게 급수가 이루어지는 연결급수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를 상류의 하천수가 유입되며 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하천수를 일정수위로 채워 물고기가 상승 유영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게 저수공간을 형성하고 하부에 물고기가 하류에서 상류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입어도를 형성한 유입수조, 상기 유입수조의 유입어도를 통하여 배출되는 하천수를 초기 수압에 따라 일부는 저수하고 일부는 하류로 흘려보내며 상기 유입어도와 연통되는 어도를 형성할 수 있게 하부에 감압어도를 형성하는 감압벽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감압수조, 상기 감압수조 중 최하류 측에 형성되며 하천수가 하류로 배출되고 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하는 진입로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출수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급수부를 상류 측 하천 또는 최 상위 측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의 유입수조에서 하천수를 공급받는 하천수유입관과, 상기 하천수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하천수를 두 번째 이후의 정수위상계감압어도의 유입수조로 공급하는 하천수연결공급관 및 상기 하천수연결공급관에 유입수조의 수위에 따라 급수를 제어하는 수위제어밸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이 연결 형성되어 공급된 하천수에 따라 유입수조의 깊이를 설치장소와 무관하게 설정되어서 유속을 감속하여 배출하는 어도를 형성하는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와 두 번째의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의 유입수조에 물고기의 이동경로가 유지되게 이전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의 출수부 수위와 동일 수위로 입수수조의 수위가 유지되게 급수가 이루어지는 연결급수부로 구성함으로써, 댐과 같이 저수 수위가 높고 수압이 높은 곳에서 최소 길이로 삼계감압형어도를 적용하여 물고기들이 자유로이 하천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상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부분 절개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상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며의 일 실시 예를 연결급수부의 상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댐과 같이 저수 수위가 높고 수압이 높은 곳에서 최소 길이로 삼계감압형어도를 적용하여 물고기들이 자유로이 하천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계감압형 어도에 있어서,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100)와 연결급수부(20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100)는 두 개 이상이 연결 형성되어 공급된 하천수에 따라 유입수조(120)의 깊이를 설치장소와 무관하게 설정되어서 유속을 감속하여 배출하는 어도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100)는 유입부(110)와 유입수조(120), 감압수조(130), 출수부(140)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유입부(110)는 상류의 하천수가 유입되며 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수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유입수조(120)는 유입부(110)를 통하여 유입된 하천수를 일정수위로 채워 물고기가 상승 유영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게 저수공간을 형성하고 하부에 물고기가 하류에서 상류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입어도(121)를 형성하는 수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감압수조(130)는 상기 유입수조(120)의 유입어도(121)를 통하여 배출되는 하천수를 초기 수압에 따라 일부는 저수하고 일부는 하류로 흘려보내며 상기 유입어도(121)와 연통되는 어도를 형성할 수 있게 하부에 감압어도(132)를 형성하는 감압벽체(131)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조인 것이다.
상기 출수부(140)는 감압수조(130) 중 최하류 측에 형성되며 하천수가 하류로 배출되고 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하는 진입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급수부(200)는 두 번째의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100)의 유입수조(120)에 물고기의 이동경로가 유지되게 이전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100)의 출수부(140) 수위와 동일 수위로 입수수조의 수위가 유지되게 급수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급수부(200)는 하천수유입관(210)과 하천수연결공급(220)관 및 수위제어밸브(230)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하천수연결공급(220)관은 연결급수부(200)를 상류 측 하천 또는 최 상위 측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100)의 유입수조(120)에서 하천수를 공급받는 관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하천수연결공급(220)관은 하천수유입관(210)을 통하여 유입된 하천수를 두 번째 이후의 정수위상계감압어도(132)의 유입수조(120)로 공급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수위제어밸브(230)는 하천수연결공급(220)관에 유입수조(120)의 수위에 따라 급수를 제어하는 밸브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계감압형 어도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이 연결 형성되어 공급된 하천수에 따라 유입수조(120)의 깊이를 설치장소와 무관하게 설정되어서 유속을 감속하여 배출하는 어도를 형성하는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100)와 두 번째의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100)의 유입수조(120)에 물고기의 이동경로가 유지되게 이전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의 출수부(140) 수위와 동일 수위로 입수수조의 수위가 유지되게 급수가 이루어지는 연결급수부(200)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댐과 같이 저수 수위가 높고 수압이 높은 곳에서 최소 길이로 삼계감압형어도를 적용하여 물고기들이 자유로이 하천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하천수유입관(210)과 하천수연결공급(220)관 및 수위제어밸브(230)로 구성한 연결급수부(20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류 측 하천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두 번째부터의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100)의 유입수조(120)에 수위가 상류 측의 정수위상계감압어도(132)의 출수부(140)와 동일 수위를 이루어 유입수조(120)에서 물고기가 상승 이동에 의하여 상류 측으로 원할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
110 : 유입부
120 : 유입수조 121 : 유입어도
130 : 감압수조
131 : 감압벽체 132 : 감압어도
140 : 출수부
200 : 연결급수부
210 : 하천수유입관 220 : 하천수연결공급 230 : 수위제어밸브

Claims (3)

  1. 상계감압형 어도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이 연결 형성되어 공급된 하천수에 따라 유입수조의 깊이를 설치장소와 무관하게 설정되어서 유속을 감속하여 배출하는 어도를 형성하는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와 두 번째의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의 유입수조에 물고기의 이동경로가 유지되게 이전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의 출수부 수위와 동일 수위로 입수수조의 수위가 유지되게 급수가 이루어지는 연결급수부로 구성하며;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는 상류의 하천수가 유입되며 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하천수를 일정수위로 채워 물고기가 상승 유영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게 저수공간을 형성하고 하부에 물고기가 하류에서 상류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유입어도를 형성한 유입수조, 상기 유입수조의 유입어도를 통하여 배출되는 하천수를 초기 수압에 따라 일부는 저수하고 일부는 하류로 흘려보내며 상기 유입어도와 연통되는 어도를 형성할 수 있게 하부에 감압어도를 형성하는 감압벽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감압수조, 상기 감압수조 중 최하류 측에 형성되며 하천수가 하류로 배출되고 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하는 진입로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출수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상계감압형 어도.
  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급수부는 상류 측 하천 또는 최 상위 측 정수위상계감압어도부의 유입수조에서 하천수를 공급받는 하천수유입관과, 상기 하천수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하천수를 두 번째 이후의 정수위상계감압어도의 유입수조로 공급하는 하천수연결공급관 및 상기 하천수연결공급관에 유입수조의 수위에 따라 급수를 제어하는 수위제어밸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상계감압형 어도.
  3. 삭제
KR1020190033967A 2019-03-25 2019-03-25 다단형 상계감압형 어도 KR102349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967A KR102349726B1 (ko) 2019-03-25 2019-03-25 다단형 상계감압형 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967A KR102349726B1 (ko) 2019-03-25 2019-03-25 다단형 상계감압형 어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562A KR20200113562A (ko) 2020-10-07
KR102349726B1 true KR102349726B1 (ko) 2022-01-11

Family

ID=72883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967A KR102349726B1 (ko) 2019-03-25 2019-03-25 다단형 상계감압형 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7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290B1 (ko) * 2021-09-24 2022-08-03 차상우 어도모듈과 이것이 구비된 수직형 어도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8882B2 (ja) * 2006-12-22 2011-08-31 ランデス株式会社 魚道付き護岸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魚道付き護岸面の構築方法
KR101728609B1 (ko) * 2014-09-30 2017-04-19 전준모 수리 시설물에서 어류의 이동을 위한 인공어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901B1 (ko) * 2012-06-28 2014-04-07 일성보산업(주) 잠수식 어도
KR20140017412A (ko) 2012-08-01 2014-02-11 지앤지 주식회사 다기능 생태 하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8882B2 (ja) * 2006-12-22 2011-08-31 ランデス株式会社 魚道付き護岸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魚道付き護岸面の構築方法
KR101728609B1 (ko) * 2014-09-30 2017-04-19 전준모 수리 시설물에서 어류의 이동을 위한 인공어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562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6058B2 (en) Stormwater detention system and method
US4732689A (en) Feeder assembly for adding dissolvable agent to a flowing liquid
US2762202A (en) Siphons for the regulation of the upstream level of a liquid
KR102349726B1 (ko) 다단형 상계감압형 어도
US3159172A (en) Fluid dispensing device
KR20140002201A (ko) 잠수식 어도
JPH0767495A (ja) 人工塩濃度勾配を有した魚道装置
CN109138064A (zh) 防掺气方法及设有防掺气结构的高位水池
CN106049378B (zh) 一种适应水位变动的鱼道出口和设计方法
JP2003268749A (ja) 排水用シールピット
CN209099446U (zh) 设有防掺气结构的高位水池
KR20160038747A (ko) 수리 시설물에서 어류의 이동을 위한 인공어도
RU281327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уровня воды в нижнем бьефе канала-оросителя
JP2006009241A (ja) 魚道出口装置
RU65061U1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водосбросной плотины
JP2527694B2 (ja) 魚 道
JP2005009073A (ja) 魚道
KR20220030031A (ko) 하천 상태계 보존을 위한 인공 어도
JP2000144697A (ja) 階段式魚道設備
SU80908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уров-НЕй ВОды B иРРигАциОННыХ СиСТЕМАХ
SU102876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нижени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удара
SU1128225A1 (ru) Регул тор уровн верхнего бьефа
SU673992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уровн жидкости в верхнем бьефе
JP2016156130A (ja) 排水用シールピット
JP7236290B2 (ja) 水流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69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319

Effective date: 20211125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