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412A - 다기능 생태 하천 - Google Patents

다기능 생태 하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412A
KR20140017412A KR1020120143644A KR20120143644A KR20140017412A KR 20140017412 A KR20140017412 A KR 20140017412A KR 1020120143644 A KR1020120143644 A KR 1020120143644A KR 20120143644 A KR20120143644 A KR 20120143644A KR 20140017412 A KR20140017412 A KR 20140017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reshwater
river
gate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성민
Original Assignee
지앤지 주식회사
나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앤지 주식회사, 나성민 filed Critical 지앤지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3/00257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21535A1/ko
Priority to KR1020130143570A priority patent/KR1016131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2Gates of segmental or sector-like shape with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에 일정 저수량이 유지되며 물고기와 수초가 서식가능하며 오염물질의 자정 능력을 갖는 담수천저수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하천수에 의한 상시발전과 우수기에 급격하게 유입되는 우수를 완충저수할 수 있도록 하고, 담수천저수부의 수위상승시 제방하부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천에 있어서, 하천에 일정 간격으로 차수벽을 형성하여 일정 수위를 갖는 담수천저수부를 등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담수천저수부에 생태블록부를 구비하여 담수천저수부가 구비된 생태 하천을 형성하고,
담수천저수부가 구비된 생태 하천에 있어서, 하천에 500~10,000m 간격으로 어도를 갖는 발전보부를 구비하여 발전저수부를 형성하며,
담수천저수부가 구비된 생태 하천에 있어서, 담수천저수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방의 바깥 측에 제방지지저수부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천에 일정 간격으로 담수천저수부를 형성함으로써 하천에 일정 수위의 담수천저수부를 형성하여 물고기와 수초가 상시 서식하게 되고, 유기물을 흡수하여 오염물질을 자정 정화하는 친환경적인 하천이 형성되고,
담수천저수부가 구비된 하천에 일정 간격으로 어도를 갖는 발전보부를 구비함으로써, 하천에서 상시 발전을 실시할 수 있으며 우수기에 급격하에 유입된는 우수가 완충저수되며,
담수천저수부가 구비된 하천의 제방 바깥 측에 제방지지저수부를 형성함으로써 담수천저수부의 수위상승시 상기 제방지지저수부가 하천수를 저수하여서 제방의 하부에 작용되는 수압을 지지하여 제방하부의 유실이 방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생태 하천{An ecology river}
본 발명은 다기능 생태 하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에 일정 간격으로 차수벽을 형성하여 일정 수위를 갖는 담수천저수부를 등 간격으로 형성한 생태 하천을 형성하고, 상기 차수벽에 수위연동수문을 형성하여서, 하천에 일정 수위의 담수천저수부를 형성하여 물고기와 수초가 상시 서식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유기물을 흡수하여 오염물질을 자정 정화하는 친환경적인 하천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담수천저수부의 배수가 하상으로부터 이루어져 퇴적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담수천저수부가 구비된 생태 하천에 500~10,000m 간격으로 어도를 갖는 발전보부를 구비하여 발전저수부를 형성하여서, 일정 수위 유지시 상시발전이 이루어지게 함과 더불어 우수기에 발전보를 통한 발전저수량을 확보하며 저수량이 상류로부터 순차 저수가 이루어져 급격한 우수의 유입을 완충 저수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담수천저수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방의 바깥 측에 제방지지저수부를 형성하여서, 담수천저수부의 수위가 제방까지 상승시 제방지지저수부로 심첨저수부의 하천수를 유입시켜 제방의 유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다양한 물고기와 수초들이 서식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물고기와 수초들이 서식하고 있는 하천은 강수량에 따라 그 수위가 변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천은 강수량이 적어 물이 흐르지 않더라도 하천 바닥에는 물의 흐름이 유지되는 심천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이 하천에는 강수량이 적은 갈수기에도 물고기와 수초들의 서식환경이 유지되게 보를 설치하여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하천의 양측에는 우수기에 하천수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천 주변보다 높은 높이의 제방을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하천에 일정 수위의 유지를 위하여 보를 설치 운영하여도 갈수기에는 적정수위의 유지가 용이하지 않고 물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물고기의 서식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하천의 바닥에 형성되는 심천은 물고기의 생존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하천은 우수기에 대량으로 유입되는 우수를 저수하지 못하고 하류로 바로 흘러보내거나 유입된 우수가 하천의 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제방으로 하부로부터 흙의 유실이 발생하여 제방이 붕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하천이 갈수기에 물고기와 수초의 서식환경이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과 충분한 저수량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우수기에 유입되는 우수를 수용하지 못하고 수용용량이 초과하면 제방이 하부로부터 유실 붕괴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천에 있어서, 하천에 일정 간격으로 차수벽을 형성하여 일정 수위를 갖는 담수천저수부를 등 간격으로 형성한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담수천저수부가 구비된 생태 하천에 500~10,000m 간격으로 어도를 갖는 발전보부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담수천저수부가 구비된 생태 하천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방의 바깥 측에 제방지지저수부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천에 일정 간격으로 담수천저수부를 형성함으로써 하천에 일정 수위의 담수천저수부를 형성하여 물고기와 수초가 상시 서식하게 되고, 유기물을 흡수하여 오염물질을 자정 정화하는 친환경적인 하천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담수천저수부가 구비된 하천에 일정 간격으로 어도를 갖는 발전보부를 구비함으로써, 하천에서 상시 발전할 수 있으며 우수기에 급격하에 유입되는 우수가 완충 저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담수천저수부가 구비된 하천의 제방 바깥 측에 제방지지저수부를 형성함으로써 담수천저수부의 수위상승시 상기 제방지지저수부가 하천수를 저수하여서 제방의 하부에 작용되는 수압을 지지하여 제방하부의 유실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측 단면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 차수벽에 담수천수문을 구비한 것을 보인 측 단면 예시도.
도 3 은 도 2 에 따른 차수벽의 예시 사시도.
도 4 는 도 2 에 따른 차수벽의 예시 측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담수천수문과 담수천보조수문의 열림과정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담수천수문과 담수천보조수문의 닫힘과정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담수천수문의 강제 개방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발전보부를 구비한 것을 보인 측 단면 예시도.
도 9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보부의 예시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보의 상세 측 단면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보의 발전수문 개방과정 예시 측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보의 어도 개방과정의 예시 측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보의 강제 개방 예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생태블록을 구비한 것을 보인 예시 정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블록의 예시 사시도.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제방지지저수부를 구비한 것을 보인 예시 정 단면도.
도 17 은 도 16 에 따른 제방지지저수부의 저수에 의한 제방지지과정을 보인 예시 정 단면도.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수초섬을 구비한 것을 보인 측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천에 일정 저수량이 유지되며 물고기와 수초가 서식가능하며 오염물질의 자정 능력을 갖는 담수천저수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하천수에 의한 상시발전과 우수기에 급격하게 유입되는 우수를 완충저수할 수 있도록 하고, 담수천저수부의 수위상승시 제방 하부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천에 있어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상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차수벽(100)에 분리되어 하류 측으로 계단을 이루는 담수천저수부(11)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수벽(100)에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 수위가 상승하면 수위에 따라 개방되어 상류 측 담수천저수부(11)에서 하류 측 담수천저수부로 물의 흐름이 유지되게 수위연동수문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위연동수문은 도 2 와 도 3 및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차수벽몸체(110)에 상단이 힌지 고정되어 수압에 의하여 개방 가동되는 담수천수문(121)과 상기 담수천수문(121)의 하부에 담수천수문(121)의 회동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형성한 수문시트(111) 및 상기 담수천수문(121)의 하단 측에 구비된 담수천수문(121)의 회동에 따라 수위연동개방수단에 의하여 연동 개방되는 담수천보조수문(131)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수위연동개방수단은 차수벽몸체(110)에 부분치부(132a)가 형성된 보조수문개방호형치부(132)와, 담수천수문(121)의 힌지 측에서 돌출구비되어 상기 보조수문개방호형치부(132)에 치합되는 보조수문구동기어(133)와, 상기 보조수문구동기어(133)에 권취되어 담수천보조수문(131)을 개방하는 보조수문로프(134)와, 담수천수문(121)의 개방에 따른 기울어짐에 의하여 담수천보조수문(131)에 형성한 고정홈(131a)에 자중에 의하여 삽입되어 담수천보조수문(131)의 개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수문고정키(141) 및 담수천수문(121)이 닫힘과정에 보조수문구동기어(133)에 의하여 권취되어 담수천수문(121)이 완전히 닫히면 수문고정키(141)를 당김 견인하여서 고정홈(131a)으로부터 이탈시켜 담수천보조수문(131)이 닫히게 하는 키해제로프(142)로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담수천보조수문(131)의 열리 유지상태에서 풀려진 보조수문로프(134)와 담수천수문(121)의 열린상태에서 풀려진 키해제로프(142)는 각기 웨이트도르레(151)에 의하여 그 처짐이 흡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기에 담수천수문(121)을 인위적으로 개방하여 우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담수천수문개방수단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담수천수문개방수단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천수문힌지축(121a)을 클러치(122b)에 의하여 선택 결속하여 개방시킬 수 있게 워엄기어와 전동 결속수단과 같은 수동조작구 또는 전동모터와 같은 전동 조작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담수천수문강제개방구(122a)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담수천수문개방수단의 다른 실시 예로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천수문(121)에 구비된 개폐힌지(173)을 구속하는 개폐가이드장공(172a)를 형성하여 상기 담수천수문(121)을 구속한 담수천수문개폐링크(172)와, 차수벽몸체(110)에 고정되어서 상기 담수천수문개폐링크(172)를 구속하여 담수천수문(121)을 개폐동작시키는 담수천개폐유압액츄에이터(171)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담수천저수부가 구비된 생태 하천에 500~10,000m 간격으로 어로를 갖는 발전보부를 구비하여 발전저수부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발전보부(200)는 도 9 와 도 10 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천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발전부(211)와 상기 발전부(211)의 양측에 구비되어 발전부(211)를 개폐를 지지하는 보지지벽체(220)와, 상기 보지지벽체(22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발전수로(231)와, 상기 발전수로(231)에 구비되는 발전수문(232)과, 상기 보지지벽체(220)의 상부 측에 구비되어 발전수문(232)을 수위에 연동하여 개방하는 발전수문개방수단과, 상기 보지지벽체(22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어류가 이동가능한 통로를 형성하는 어도(241)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발전수로(231) 하류 측에 배수되는 물에 의하여 발전되는 수력발전기(23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발전수문개방수단은 보지지벽체(220)의 상부 측에 담수량이 일정 수위 이상 넘쳐 흘러 물이 유입되는 발전가동수로(234)와 상기 발전가동수로(234)를 통하여 넘쳐흐른 물의 하중에 의하여 하강 동작 되어 발전수문(232)을 개방동작시킬 수 있게 로프결속되며 상기 발전수문(232)보다 가볍게 형성된 발전수문개방물통(235)으로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어도(241)에서 어도수문(242)을 구비하고 상기 어도수문(242)을 수위에 연도하여 개방하는 어도수문개방수단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어도수문개방수단은 보지지벽체의 상부 측에 담수량이 일정 수위 이상 넘쳐 흘러 물이 유입되는 어도가동수로(243)와 상기 어도가동수로(243)를 통하여 넘쳐흐른 물의 하중에 의하여 하강 동작 되어 어도수문(242)을 개방동작시킬 수 있게 로프결속되며 상기 어도수문(242)보다 가볍게 형성된 어도수문개방물통(244)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어도수문개방물통(244)과 발전수문개방물통(235)은 각기 수로로의 물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각 수문이 자중 닫힘 되게 담아진 물이 자연 배출되도록 하는 수문개방배수공(251)이 하부 측에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실시에 있어서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기에 발전부(211)를 강제 개방할 수 있게 보지지벽체(220)의 일측에 발전부(211)의 하부에 구비된 발전보힌지축(211a)를 회동시킬 수 있게 워엄기어와 전동 결속수단과 같은 수동조작구 또는 전동모터와 같은 전동 조작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발전보강제개방구(212)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 14 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담수천저수부에 생태블록을 깔아 둔치 및 하천 측면의 유실이 방지되게 생태블록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생태블록부(12)와 하상 사이에 심천(13)이 형성되게 이격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생태블록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사방으로 통수되며 상면에 수초의 식생을 위한 식생공이 통공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는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천저수부(11)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방(1)의 바깥 측에 제방지지저수부(310)를 형성하고, 상기 하천 둔치(2)에 하천의 바닥과 같은 깊이로 형성된 하천수공급우물(330)을 형성하고, 상기 제방지지저수부(310)에 하천의 바닥과 같은 깊이의 형성된 하천수유입우물(320)을 형성하며, 상기 하천수공급우물(330)과 하천수유입우물(320)을 하천수통수호스(340)로 연결되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하천수통수호스(340)는 제방의 상부로 매설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방지지저수부(310)에는 하천수유입우물(320)로 유입된 하천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 상승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부력승강 제수부지지벽(35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에 수위연동견인수단에 의하여 승강되는 팬더그래프리프트(420)에 의하여 수면에 부상되게 구성된 수초섬(41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위연동견인수단은 견인대상의 일 측에 견인구조물(431)을 구비하고 상기 견인구조물(431)에 견인대상물의 일정 수위에 견인을 위하여 담수된 물을 배출하는 견인수로(431a)를 형성하고, 상기 견인구조물(431)의 하류 측에 상기 견인수로(431a)를 통하여 배수되는 물을 담아 하강되며 견인력을 유발하는 견인물통(432)을 구비하며, 상기 견인물통(432)은 로프로 견인대상물과 연결되게 구성한 것이며, 상기 견인물통(432)의 하부에는 담아진 물일 일정량 배출되는 복원배수공(432a)이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천에 있어서, 하상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차수벽(100)에 분리되는 담수천저수부(11)를 구비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생태 하천을 조성하게 되면, 폭우로 인한 수량의 급격한 증가시 담수천저수부(11)가 흡수하여 수위 상승을 최소화함으로써 제방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4 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수벽(100)에는 담수천보조수문(131)을 구비한 담수천수문(121)으로 이루어진 수위연동수문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수위 상승에 따른 수압 상승에 따른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천수문(121)의 회동 동작에 의하여 보조수문개방호형치부(132)에 의하여 보조수문구동기어(133)가 회동하여서 보조수문로프(134)를 권취함으로써 담수천보조수문(131)이 개방되고 지속적인 수량이 유입되어 담수천수문(121)에 작용되는 수압이 더 증가하게 되면 상기담수천수문(121)이 수문시트(111)를 벋어나서 실질적인 담수천수문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담수천수문(121)이 개방된 상태에서 유입되는 수량이 줄어들게 되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천수문(121)이 닫히고 보조수문구동기어(133)가 보조수문개방호형치부(132)와 치합되어 권취된 보조수문로프(134)가 풀리게 되나 담수천수문(121)이 기울여져 개방되는 과정에 자중에 의하여 동작되어 담수천보조수문(131)을 고정홈(131a)에 끼워 구속하고 있는 수문고정키(141)의 고정상태가 유지되어 담수천보조수문(131)이 닫히지 않게 되고, 상기 담수천보조수문(131)이 닫히지 않게 되면, 담수천수문(121)은 유속저항을 받지 않고 닫히게 된다.
이때, 담수천수문(121)의 닫힘과정에 권취되는 키해제로프(142)에 의하여 수문고정키(141)가 당겨져서 담수천보조수문(131)의 고정홈(131a)으로 이탈되므로 담수천보조수문(131)이 닫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담수천보조수문(131)의 열림 유지상태에서 풀려진 보조수문로프(134)와 담수천수문(121)의 열린상태에서 풀려진 키해제로프(142)는 각기 웨이트도르레(151)에 의하여 그 처짐이 흡수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하천 수위가 상승하에 따라 상기 담수천보조수문(131)이 개방되어 하상으로부터 물의 흐름이 유지되어 담수천저수부(11)의 하상이 깨끗하게 유지되며, 담수천저수부(11)로 유입되는 유량이 많아질 경우 담수천수문(121)이 개방되어 물의 유입량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되어 상류 측 담수천저수부(11)에서 하류 측 담수천저수부(11)로 물의 흐름이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담수천저수부가 구비된 생태 하천에 500~10,000m 간격으로 발전보부를 구비하여 발전저수부를 형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발전수문개방수단에 의하여 발전수문(232)이 개방되어 발전이 이루어지고 어도수문개방수단에 의하여 어도(241)가 개방되어 고기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천수문개방수단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보강제개방구(212)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장마철과 같은 우기에 담수천수문(121)과 발전부(211)를 안전하게 개방시켜서 우수의 통수가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천저수부(11)에 생태블록부(12)를 하상으로부터 이격 형성하여 심천(13)을 형성하게 되면, 물고기의 서식공간과 수초의 식생공간이 형성되어 하천이 자연 정화과정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갈수기에 생태블록부(12)의 하부에 형성된 심천(13)에 물이 증발되지 않고 저장되어 물고기의 서식과 수초의 서식환경이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천저수부(11)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방(1)의 바깥 측에 제방지지저수부(310)를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담수천저수부(11)의 수위가 상승하게 제방(1)에 까지 이를 경우 하천수공급우물(330)로부터 담수천저수부(11)의 하천수가 하천수유입우물(320)로 유입되어 제방지지저수부(310)에 저수되어서 담수천저수부(11) 측의 수압에 대한 지지 수압을 형성하여 제방(1) 하부로부터의 토사 유출에 의하여 붕괴가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에 수위연동견인수단에 의하여 승강되는 팬더그래프리프트(420)에 의하여 수면에 부상되게 구성된 수초섬(410)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하천의 수위에 따라 상기 수초섬(410)이 승강되며 서식하여 하천의 수질을 정화하는 것이다.
1 : 제방 2 : 둔치
11 : 담수천저수부 12 : 생태블록부 13 : 심천
100 : 차수벽
110 : 차수벽몸체 111 : 수문시트
121 : 담수천수문 121a : 담수천수문힌지축
122a: 담수천수문강제개방구 122b: 클러치
131: 담수천보조수문 131a: 고정홈
132 : 보조수문개방호형치부 132a: 부분치부
133 : 보조수문구동기어
134 : 보조수문로프
141 : 수문고정키 142 : 키해제로프
151 : 웨이트도르레
171 : 담수천개폐유압액츄에이터
172 : 담수천수문개폐링크 172a: 개폐가이드장공
173 : 개폐힌지
200 : 발전보부
211 : 발전보 211a : 발전보힌지축
212 : 발전보강제개방구
220 :보지지벽체
231 : 발전수로 232 : 발전수문
233 : 수력발전기 234 : 발전가동수로
235 : 발전수문개방물통
241 : 어도 242 : 어도수문
243 : 어도가동수로 244 : 어도수문개방물통
251 : 수문개방배수공
310 : 제방지지저수부 320 : 하천수유입우물
330 : 하천수공급우물 340 : 하천수통수호스
350 : 부력승강 제수부지지벽
410 : 수초섬
420 : 팬더그래프리프트
431 : 견인구조물 431a : 견인수로
432 : 견인물통 432a : 복원배수공

Claims (10)

  1. 하천에 있어서;
    하상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차수벽(100)에 분리되어 하류 측으로 계단을 이루는 담수천저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 하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100)에는 하천 수위가 상승하면 수위에 따라 개방되어 상류 측 담수천저수부에서 하류 측 담수천저수부로 물의 흐름이 유지되게 수위연동수문을 구비하되,
    상기 수위연동수문은 상단이 차수벽몸체(110)에 상단이 힌지 고정되어 수압에 의하여 개방 가동되는 담수천수문(121)과 상기 담수천수문(121)의 하부에 담수천수문(121)의 회동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로 형성한 수문시트(111) 및 상기 담수천수문(121)의 하단 측에 구비된 담수천수문(121)의 회동에 따라 수위연동개방수단에 의하여 연동 개방되는 담수천보조수문(131)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 하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연동개방수단은 차수벽몸체(110)에 부분치부(132a)가 형성된 보조수문개방호형치부(132)와, 담수천수문(121)의 힌지 측에서 돌출구비되어 상기 보조수문개방호형치부(132)에 치합되는 보조수문구동기어(133)와, 상기 보조수문구동기어(133)에 권취되어 담수천보조수문(131)을 개방하는 보조수문로프(134)와, 담수천수문(121)의 개방에 따른 기울어짐에 의하여 담수천보조수문(131)에 형성한 고정홈(131a)에 자중에 의하여 삽입되어 담수천보조수문(131)의 개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수문고정키(141) 및 담수천수문(121)이 닫힘과정에 보조수문구동기어(133)에 의하여 권취되어 담수천수문(121)이 완전히 닫히면 수문고정키(141)를 당김 견인하여서 고정홈(131a)으로부터 이탈시켜 담수천보조수문(131)이 닫히게 하는 키해제로프(14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 하천.
  4. 제 2 항에 있어서;
    우기에 담수천수문(121)을 인위적으로 개방하여 우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담수천수문개방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담수천수문개방수단은
    담수천수문힌지축(121a)을 클러치(122b)에 의하여 선택 결속하여 개방시킬 수 있게 워엄기어와 전동 결속수단과 같은 수동조작구 또는 전동모터와 같은 전동 조작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담수천수문강제개방구(122a)를 구비한 것과,
    담수천수문(121)에 구비된 개폐힌지(173)을 구속하는 개폐가이드장공(172a)를 형성하여 상기 담수천수문(121)을 구속한 담수천수문개폐링크(172)와, 차수벽몸체(110)에 고정되어서 상기 담수천수문개폐링크(172)를 구속하여 담수천수문(121)을 개폐동작시키는 담수천개폐유압액츄에이터(171)로 구성한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 하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천저수부가 구비된 생태 하천에 500~10,000m 간격으로 어로를 갖는 발전보부를 구비하여 발전저수부를 형성하되,
    상기 발전보부(200)는 하천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발전부(211)와 상기 발전부(211)의 양측에 구비되어 발전부(211)를 개폐를 지지하는 보지지벽체(220)와, 상기 보지지벽체(22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발전수로(231)와, 상기 발전수로(231)에 구비되는 발전수문(232)과, 상기 보지지벽체(220)의 상부 측에 구비되어 발전수문(232)을 수위에 연동하여 개방하는 발전수문개방수단과, 상기 보지지벽체(22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어류가 이동가능한 통로를 형성하는 어도(241)로 구성되며, 상기 발전수로(231) 하류 측에 배수되는 물에 의하여 발전되는 수력발전기(233)가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 하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수문개방수단은 보지지벽체의 상부 측에 담수량이 일정 수위 이상 넘쳐 흘러 물이 유입되는 발전가동수로(234)와 상기 발전가동수로(234)를 통하여 넘쳐흐른 물의 하중에 의하여 하강 동작 되어 발전수문(232)을 개방동작시킬 수 있게 로프결속되며 상기 발전수문(232)보다 가볍게 형성된 발전수문개방물통(235)으로 구성하고,
    상기 어도(241)에서 어도수문(242)을 구비하고 상기 어도수문(242)을 수위에 연도하여 개방하는 어도수문개방수단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어도수문개방수단은 보지지벽체의 상부 측에 담수량이 일정 수위 이상 넘쳐 흘러 물이 유입되는 어도가동수로(243)와 상기 어도가동수로(243)를 통하여 넘쳐흐른 물의 하중에 의하여 하강 동작 되어 어도수문(242)을 개방동작시킬 수 있게 로프결속되며 상기 어도수문(242)보다 가볍게 형성된 어도수문개방물통(244)으로 구성하며,
    상기 어도수문개방물통(244)과 발전수문개방물통(235)은 각기 수로로의 물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각 수문이 자중 닫힘 되게 담아진 물이 자연 배출되도록 하는 수문개방배수공(251)이 하부 측에 형성되며,
    우기에 발전부(211)를 강제 개방할 수 있게 보지지벽체(220)의 일측에 발전부(211)의 하부에 구비된 발전보힌지축(211a)를 회동시킬 수 있게 워엄기어와 전동 결속수단과 같은 수동조작구 또는 전동모터와 같은 전동 조작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발전보강제개방구(21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 하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천저수부(11)에 생태블록을 깔아 둔치 및 하천 측면의 유실이 방지되게 생태블록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생태블록부(12)와 하상 사이에 심천(13)이 형성되게 이격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 하천.
  8. 제 2 항에 있어서;
    담수천저수부(11)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방(1)의 바깥 측에 제방지지저수부(310)를 형성하고, 상기 하천 둔치(2)에 하천의 바닥과 같은 깊이로 형성된 하천수공급우물(330)을 형성하고, 상기 제방지지저수부(310)에 하천의 바닥과 같은 깊이의 형성된 하천수유입우물(320)을 형성하며, 상기 하천수공급우물(330)과 하천수유입우물(320)을 하천수통수호스(340)로 연결되게 형성하며, 상기 하천수통수호스(340)는 제방의 상부로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 하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방지지저수부(310)에는 하천수유입우물(320)로 유입된 하천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 상승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부력승강 제수부지지벽(3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 하천.
  10. 제 2 항에 있어서;
    수위연동견인수단에 의하여 승강되는 팬더그래프리프트(420)에 의하여 수면에 부상되게 구성된 수초섬(4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생태 하천.
KR1020120143644A 2012-08-01 2012-12-11 다기능 생태 하천 KR20140017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2578 WO2014021535A1 (ko) 2012-08-01 2013-03-28 다기능 생태 하천
KR1020130143570A KR101613117B1 (ko) 2012-12-11 2013-11-25 부력 개폐형 차등차수보를 갖는 다기능 생태 하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439 2012-08-01
KR20120084439 2012-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412A true KR20140017412A (ko) 2014-02-11

Family

ID=486643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644A KR20140017412A (ko) 2012-08-01 2012-12-11 다기능 생태 하천
KR1020130031913A KR101367005B1 (ko) 2012-08-01 2013-03-26 다기능 생태 하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913A KR101367005B1 (ko) 2012-08-01 2013-03-26 다기능 생태 하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400174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694B1 (ko) 2014-09-19 2016-07-20 지앤지 주식회사 부하 승강 유도체
KR102349726B1 (ko) 2019-03-25 2022-01-11 삼화건설환경(주) 다단형 상계감압형 어도
KR102337283B1 (ko) * 2021-09-02 2021-12-08 주식회사한성정공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CN115142382B (zh) * 2022-07-29 2024-05-07 重庆交通大学 应用于源头型河道的景观补水系统及补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120A (ko) * 1999-11-27 2000-02-07 공응권 보조 수문을 갖는 자동개폐 수문
KR100579869B1 (ko) 2004-04-21 2006-05-22 김상국 다중구동원을 구비한 하부 방류형 어도 겸용 가동보 수문및 그 구동방법
KR100754965B1 (ko) 2007-03-15 2007-09-04 최성주 무동력 가동보
KR101050966B1 (ko) * 2009-07-14 2011-08-09 한상관 어도를 형성함과 동시에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분리작용을 유도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255A (ko) 2013-05-29
KR101367005B1 (ko) 201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005B1 (ko) 다기능 생태 하천
KR101522515B1 (ko)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친환경 발전시스템
WO2014021535A1 (ko) 다기능 생태 하천
KR20090083296A (ko) 담수용 차수문
JP5737675B2 (ja) 砂防堰
CN105735208A (zh) 堤坝超标准洪水分洪虹吸管带群
WO2020044355A1 (en) Integration of multipurpose box tunnels with empty lakes and mini dam for effective flood control
KR20140016407A (ko) 어도 겸용 퇴적오니 배출통로가 구비되는 2중 작동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하천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101404215B1 (ko)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KR20140005834A (ko)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 시키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이용하여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101205102B1 (ko) 회전개폐형 저수사방댐
KR100521900B1 (ko) 조위차를 이용한 해안가의 수영장 급배수 시설
KR20200109478A (ko) 물탱크를 활용한 하천재방시스템 및 녹조제거시스템을 통한 수자원관리 시스템
KR101257344B1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KR20090109252A (ko) 하구언의 생태복원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생태 하천
KR100957070B1 (ko)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AU2014224135A1 (en) System and method of river control
KR100607455B1 (ko) 하천수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수중보
KR20140025564A (ko) 자동 어도 겸용 수질정화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는 다기능 자동보 작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면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40024036A (ko) 수질 정화기 겸용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면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101613117B1 (ko) 부력 개폐형 차등차수보를 갖는 다기능 생태 하천
KR100938388B1 (ko) 부력을 이용한 어소의 토사 유입방지장치
KR20110031515A (ko) 복합 조지식 파력발전 장치
KR20050004456A (ko) 물추와 지렛대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수문 시스템
KR20010008139A (ko) 로타리형 자동보의 구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