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388B1 - 부력을 이용한 어소의 토사 유입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부력을 이용한 어소의 토사 유입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388B1
KR100938388B1 KR1020090107560A KR20090107560A KR100938388B1 KR 100938388 B1 KR100938388 B1 KR 100938388B1 KR 1020090107560 A KR1020090107560 A KR 1020090107560A KR 20090107560 A KR20090107560 A KR 20090107560A KR 100938388 B1 KR100938388 B1 KR 100938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water
soil
inflow prevention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천
Original Assignee
보은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은군 filed Critical 보은군
Priority to KR1020090107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도의 하측에 인접하는 하천의 바닥에 설치되어 물고기의 산란처 및 휴식처를 제공하는 어소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량이 적은 갈수기에는 물고기가 서식하거나 산란, 휴식할 수 있는 생태공간을 제공하면서도 수량이 풍부한 장마철에는 부력탱크에 공급되는 수압에 의해 생성된 부력을 이용하여 토사 유입방지막을 들어올리면서 자동으로 어소의 상부를 막아주어 급류에 의해 쓸려가는 다량의 토사가 어소의 내부로 유입, 적체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을 이용한 어소의 토사 유입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천, 어소, 부력, 토사, 유입, 방지막

Description

부력을 이용한 어소의 토사 유입방지장치{Prevention Apparatus of Earth and sand inflow of fish pool by using buoyancy}
본 발명은 갈수기에 토사 유입방지막이 어소의 바닥면에 너부러진 상태로 물을 저수하여 어소가 제 기능을 다하면서도 장마철에는 수압을 받아 생성된 부력에 의해 자동으로 부양하면서 어소의 내부로 토사가 유입됨을 방지하는 기술분야에 속하는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서는 물을 저장하여 농업용수 또는 공업용수로 이용하기 위하여 하천의 제방과 제방을 가로지르는 여러 종류의 횡단구조물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횡단구조물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것이 콘크리트로 타설한 하천보이며, 상기 하천보는 저수되는 물의 수위를 항상 일정범위 내에 있도록 물을 저장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홍수시 또는 가뭄시 수위를 조절해 주기 위하여 수문이 형성된다.
그러나 콘크리트로 하천보를 형성하는 경우 하천의 하류와 상류가 단절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산란을 위해 회귀하는 물고기가 하천의 상류로 거슬러 이동할 수 없게 되고, 특히 작은 물고기들은 급경사면을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어류의 생태계 가 파괴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되어 특허등록이 허여된 「특허등록 제918451호 명칭 수문 일체형 어도」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선등록 발명은 수문과 함께 어도가 자유롭게 연동함으로써 수문의 개폐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유속을 줄여주어 물고기가 상류로 자유롭게 이동함은 물론 상기 어도는 갈수기에도 항상 물이 원활하게 흐르면서 물고기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선등록 발명을 실제 운용함에 있어서는 어족의 산란시기인 봄철의 갈수기에 배수로(어로)를 따라 상류로 회귀하는 물고기가 어도로 진입할 때 잠시라도 쉬어가거나 또는 서식, 산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도(1)의 하단부에 인접하는 지점에는 하천의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별도의 어소(2)를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소(2)는 갈수기에도 물고기의 서식처, 산란처를 제공함은 물론 어도(1)를 따라 상류로 이동하려던 물고기가 잠시 쉬어갈 수 있는 쉼터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어소(2)는 수량이 풍부한 장마철에 급류에 의해 휩쓸리는 토사나 각종 이물질이 순식간에 상기 어소(2)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그대로 적체됨으로써 장마철이 지나면 어소는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력을 투입하여 어소에 적체된 토사를 준설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야기 됨으로써 하천의 유지, 관리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어소가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어소의 상부면에 부착된 토사 유입방지막이 갈수기에는 바닥면에 너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어소의 기능을 다하도록 하고, 장마철에는 상기 토사 유입방지막이 자동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토사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어소의 상부면에 유연성을 갖는 토사 유입방지막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어소의 하측에 부력탱크를 매립 설치하며, 상기 부력탱크의 내부에는 선택적으로 부양하거나 가라앉는 부력체를 설치하며, 상기 부력체의 로드봉 상단에는 어소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토사 유입방지막을 선택적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트를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량이 부족한 갈수기에 상류로 회귀하는 물고기가 어도로 진입할 때 잠시 쉬어감은 물론 서식, 산란할 수 있는 생태공간을 제공하며, 수량이 풍부한 장마철에는 부력탱크에 공급되는 수압에 의한 부력으로 토사 유입방지막을 들어올리면서 자동으로 어소의 상부를 막아줌으로써 급류에 의해 쓸려가는 다량의 토사가 어소의 내부로 유입, 적체됨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어도(1)의 하측에 인접하여 하천의 바닥에 함몰 설치된 어소(10)와; 상기 어소(10)의 상부면(11) 둘레를 따라 고정 설치되고, 바닥면(12)에 너부러진 상태로 물을 담수하여 생태공간(13)을 조성하는 토사 유입방지막(20)과; 상기 어소(10)의 하측에 매립 설치된 부력탱크(30)와; 상기 부력탱크(30)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부면에 설치된 로드봉(41)이 부력탱크(30) 및 어소(10)의 바닥면(12)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부력체(40)와; 상기 로드봉(41)의 상단에 설치되어 토사 유입방지막(20)을 선택적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트(50)와; 상기 부력탱크(30) 내의 부력실(35)과 상류 측 수중의 사이에 통수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상류의 물을 부력실(35)로 공급하는 압력수관(60)과; 상기 부력실(35)과 하류 측 수중의 사이에 통수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부력실(35)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관(7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어소(10)는 도 1과 같이 수문(3)에 연결 설치된 어도(1)의 하측에 인접하여 하천의 바닥에 함몰 설치됨으로써 갈수기에도 물을 담수하여 상류로 회귀하는 물고기가 어도(1)를 진입하기 전에 잠시 쉬어가거나 서식, 산란할 수 있는 생태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수중보에 설치된 어도(1)에 인접하여 설치하 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어소(10)는 물을 담수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사각체의 박스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고, 통상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천의 바닥에 매설한다.
상기 어소(10)의 상부면(11)에는 둘레를 따라 유연성을 갖는 토사 유입방지막(2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토사 유입방지막(20)은 수량이 부족한 갈수기에 도 2와 같이 어소(10)의 바닥면(12)에 너부러진 상태를 유지하여 물을 담수할 수 있는 생태공간(13)을 조성함으로써 어소(10)가 제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하며, 장마철에는 부력체(40)가 부양함에 따른 부력에 의해 상부로 들어 올려짐으로써 어소(10)의 내부로 급류에 의해 휩쓸리는 토사나 각종 이물질이 유입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토사 유입방지막(20)은 어소(10)와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어소(10)의 상부면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된 고정요부(14)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에 지지판(15)이 맞대어지고, 상기 지지판(15) 및 토사 유입방지막(20)은 어소(10)의 내부에 매설된 고정앙카(16)로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어소(10)와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소(10)의 하측 지중에는 상기 토사 유입방지막(20)을 부양시키거나 가라앉을 수 있도록 하는 동력원인 부력체(40)를 수납하기 위한 부력탱크(30)가 매립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부력탱크(30)의 내부에는 부력체(40)가 수납 설치되고, 상기 부력체(40)는 부력탱크(30) 내의 부력실(35)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상부로 원활하게 부양할 수 있는 충분한 부력을 구비하고, 상부면에 설치된 로드봉(41)은 부력탱크(30) 및 어소(10)의 바닥면(12)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로드봉(41)의 상단에는 토사 유입방지막(20)을 밀착 상태로 받쳐주면서 선택적으로 토사 유입방지막(20)을 들어올리는 환형의 리프트(50)가 일체로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로드봉(41)의 상단에 환형의 리프트(50)를 설치하는 이유는 유연성을 갖는 토사 유입방지막(20)이 찢기거나 절손됨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날카로운 부분이 전혀 없어 토사 유입방지막(20)을 손상 없이 안전하게 받쳐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부력실(40)에 상류 측의 물을 가압하여 공급하는 압력수관(60)은 부력실(35)과 상류 측의 수중에 양측이 통수 가능하게 연결 설치됨으로써 상기 부력탱크(30)보다 더 놓은 상류 측의 수중과 하류 측에 위치한 부력실(35)의 고도차이에 의해 위치에너지가 발생하며, 이 위치에너지는 하류 측으로 갈수록 커짐에 따라 상기 압력수관(60)을 따라 흐르는 물은 수압이 점진적으로 강해지면서 부력실(35)로 공급되며, 상기 부력실(35)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 세기는 수위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가변된다.
따라서, 장마철 수위가 증가하면 수압이 더 강해지면서 부력체(40)를 부양시킴으로써 상기 부력체(40)의 부력에 의해 도 3과 같이 리프트(50)가 토사 유입방지막(20)을 자동으로 들어올려 어떠한 경우에도 토사는 어소(10)로 유입되지 않으며, 수위가 저하되면 수압이 점진적으로 약해지면서 부력체(40)가 하강하여 토사 유입방지막(20)은 가라앉게 된다.
상기 부력실(35)과 하류 측 수중과의 사이에는 배수관(70)이 통수 가능하게 연결 설치됨으로써 부력실(35)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이 과도한 경우 상기 배수관(70)을 통해 하류로 배수된다.
또한, 상기 배수관(70)에는 제수밸브(71)가 추가로 설치됨으로써 배수관로를 인위적으로 ON/OFF 제어하거나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완전 개방하는 경우 부력실(35)에 적체된 이물질을 외부로 드레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토사 유입방지장치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토사 유입방지막이 어소의 바닥면에 너부러진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토사 유입방지막이 상부로 부양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어소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어도 2, 10: 어소
3: 수문 12: 바닥면
20: 토사 유입방지막 30: 부력탱크
40: 부력체 50: 리프트
60: 압력수관 70: 배수관

Claims (3)

  1. 어도(1)의 하측에 인접하여 하천의 바닥에 함몰 설치된 어소(10)와;
    상기 어소(10)의 상부면(11) 둘레를 따라 고정 설치되고, 바닥면(12)에 너부러진 상태로 물을 담수하여 생태공간(13)을 조성하는 토사 유입방지막(20)과;
    상기 어소(10)의 하측에 매립 설치된 부력탱크(30)와;
    상기 부력탱크(30)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부면에 설치된 로드봉(41)이 부력탱크(30) 및 어소(10)의 바닥면(12)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부력체(40)와;
    상기 로드봉(41)의 상단에 설치되어 토사 유입방지막(20)을 선택적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트(50)와;
    상기 부력탱크(30) 내의 부력실(35)과 상류 측 수중의 사이에 통수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상류의 물을 부력실(35)로 공급하는 압력수관(60)과;
    상기 부력실(35)과 하류 측 수중의 사이에 통수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부력실(35)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관(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어소의 토사 유입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토사 유입방지막(20)은 어소(10)의 상부면(11)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된 고 정요부(14)에 안착되고, 상부에는 지지판(15)이 맞대어지며, 상기 지지판(15) 및 토사 유입방지막(20)은 고정앙카(16)로 관통하여 어소(10)에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어소의 토사 유입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배수관(70)에는 배수관로의 ON/OFF 제어, 배수량의 조절을 위한 제수밸브(7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어소의 토사 유입방지장치.
KR1020090107560A 2009-11-09 2009-11-09 부력을 이용한 어소의 토사 유입방지장치 KR100938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560A KR100938388B1 (ko) 2009-11-09 2009-11-09 부력을 이용한 어소의 토사 유입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560A KR100938388B1 (ko) 2009-11-09 2009-11-09 부력을 이용한 어소의 토사 유입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388B1 true KR100938388B1 (ko) 2010-01-21

Family

ID=41810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560A KR100938388B1 (ko) 2009-11-09 2009-11-09 부력을 이용한 어소의 토사 유입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3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4477A (zh) * 2015-11-26 2016-05-04 河海大学 一种设有过鱼装置的双向溢流挡水闸
CN108824346A (zh) * 2018-06-04 2018-11-16 贵州省水利水电勘测设计研究院 一种用于升鱼机的升鱼装置及升鱼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6224U (ko) 1978-11-17 1980-05-26
JPH0646034U (ja) * 1992-10-21 1994-06-24 財団法人ダム水源地環境整備センター 簡易魚道装置
KR100671264B1 (ko) 2005-09-09 2007-01-19 보은군 어도의 기능을 갖는 부력식 자동보
KR100805159B1 (ko) 2007-08-13 2008-02-21 (주)우주엔지니어링 퇴적물을 방출할 수 있는 수중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6224U (ko) 1978-11-17 1980-05-26
JPH0646034U (ja) * 1992-10-21 1994-06-24 財団法人ダム水源地環境整備センター 簡易魚道装置
KR100671264B1 (ko) 2005-09-09 2007-01-19 보은군 어도의 기능을 갖는 부력식 자동보
KR100805159B1 (ko) 2007-08-13 2008-02-21 (주)우주엔지니어링 퇴적물을 방출할 수 있는 수중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4477A (zh) * 2015-11-26 2016-05-04 河海大学 一种设有过鱼装置的双向溢流挡水闸
CN105544477B (zh) * 2015-11-26 2017-07-18 河海大学 一种设有过鱼装置的双向溢流挡水闸
CN108824346A (zh) * 2018-06-04 2018-11-16 贵州省水利水电勘测设计研究院 一种用于升鱼机的升鱼装置及升鱼方法
CN108824346B (zh) * 2018-06-04 2024-05-14 贵州省水利投资(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升鱼机的升鱼装置及升鱼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196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101522515B1 (ko)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친환경 발전시스템
JP5737675B2 (ja) 砂防堰
KR100913772B1 (ko) 자연형 하천의 생태 어도보
KR100822300B1 (ko)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KR100938388B1 (ko) 부력을 이용한 어소의 토사 유입방지장치
KR100487997B1 (ko) 생태복원형 수문식 자동보 시스템
WO2021125170A1 (ja) 水害時2次排水方法
KR100669228B1 (ko) 우수범람방지를 위한 건축단지내 배수로 구조물
KR101367005B1 (ko) 다기능 생태 하천
KR101267377B1 (ko)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KR101199119B1 (ko) 하천수를 이용하여 승강 작동되게 한 수중보
KR101316313B1 (ko) 저류조를 이용한 계곡수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20060113615A (ko) 조립식 자동보 수문
JP3671373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
KR100607455B1 (ko) 하천수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수중보
KR100957070B1 (ko)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KR101238984B1 (ko) 다기능형 자동 수문
KR20090129089A (ko) 이중배수관 감압구조체
KR101175304B1 (ko) 습지 수위조절장치
JPH1037173A (ja) 地滑り抑止井
KR20140140911A (ko)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379624B1 (ko) 부력방지와 안정적 담수위를 유지하는 수자원 지하비축시설의 시공방법
KR101459654B1 (ko) 친환경 수로 구조물
KR20050004456A (ko) 물추와 지렛대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수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