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283B1 -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 Google Patents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283B1
KR102337283B1 KR1020210117231A KR20210117231A KR102337283B1 KR 102337283 B1 KR102337283 B1 KR 102337283B1 KR 1020210117231 A KR1020210117231 A KR 1020210117231A KR 20210117231 A KR20210117231 A KR 20210117231A KR 102337283 B1 KR102337283 B1 KR 102337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ice gate
support structure
opening
water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수
박종수
서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성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성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성정공
Priority to KR1020210117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을 횡단하여 설치되는 지지구조체; 상기 지지구조체에 개폐 가능케 힌지 결합되는 수문; 상기 지지구조체와 상기 수문간에 설치되어 수문을 개폐하는 개폐수단; 상기 지지구조체와 상기 수문간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수단을 가리는 커버수단; 상기 수문 전면의 저수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폭기수단; 및 상기 수문의 전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입수구와, 상기 수문의 후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출수구와, 상기 수문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입수구와 상기 출수구가 연통되도록 하는 배출통로와, 상기 입수구를 통하여 상기 배출통로 내부로 유입되는 하층수에 포함된 퇴적물을 상기 출수구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로 구성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스크류잭 구조를 이용해 수문의 개방 각도를 신속하고, 정밀하며, 견고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위의 미세 조절이 가능하고, 하천의 흐름 정체 시 저수부의 하층에 퇴적되는 오니나, 각종 오염물질 등의 퇴적물이 수문 내부에 형성된 배출통로를 통해 하류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저수부의 수질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출통로로 유입된 퇴적물이 침전되지 않도록 배출수단에 의하여 출수구로 원활히 이송 및 배출시킬 수 있는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Eco-friendly movable weir system}
본 발명은 스크류잭 구조를 이용해 수문의 개방 각도를 신속하고, 정밀하며, 견고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위의 미세 조절이 가능하고, 하천의 흐름 정체 시 저수부의 하층에 퇴적되는 오니나, 각종 오염물질 등의 퇴적물이 수문 내부에 형성된 배출통로를 통해 하류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저수부의 수질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출통로로 유입된 퇴적물이 침전되지 않도록 배출수단에 의하여 출수구로 원활히 이송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수문 하부의 폭기수단을 이용해 수질을 개선할 수 있게 하며, 수문 상단 월류 시 산기판을 이용한 폭기를 통해 하류의 배출 수질을 개선할 수 있게 한 환경을 고려한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위를 조절하거나 용수 공급 등 물을 이용할 목적으로 하천을 횡단하여 설치하는 구조물을 '보'라 한다. 이러한 보에는 높이가 고정된 고정보와, 높이가 조절되는 가동보가 있다.
일반적인 고정보는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되어 보 하단에 흐름의 정체를 유발시켜 수질을 악화시키고, 어류의 이동을 단절시키는 등 환경 문제를 일으키며, 보 상류에 토사의 퇴적에 의한 수위 상승으로 내수침수를 일으키는 등 하천환경을 파괴하면서도 치수적인 단점이 있다.
가동보는 위와 같은 고정보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의 가동보가 있는데, 그중 국내 중·소하천에 설치되고 있는 가동보의 주요 방식은 고무보, 유압식 가동보가 있다.
고무보는 하천에 공기공급장치와 연결되는 고무튜브를 설치하여 고무튜브의 팽창과 수축 작용으로 기립과 도복이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서, 하천의 유수와 같은 방향으로 도복되기 때문에 홍수 시 통수단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홍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은 있다.
그러나 고무 재질의 한계성으로 인해 인위적 손상에 취약하며,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진행되는 기립과 도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겨울철 하천의 결빙시 얼음팽창으로 고무 튜브가 파손될 가능성이 큰 단점도 있으며, 특히 고무 튜브의 기립 시, 저수부 내부에 퇴적오니 등 오염물질이 누적되면서 용존산소 부족, 토양 및 수질 오염을 유발하여 어류 등의 집단 폐사 등 하천 생태계를 파괴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유압식 가동보는 하천에 유압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는 수문을 설치한 것으로서, 고무보에 비해 수문의 개폐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주요 부품인 유압실린더가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오일 누유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오일 누유가 발생하는 경우에 수질 오염 및 수문의 개폐가 원활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홍수 발생 시 유압실린더 주변의 와류현상으로 인해 유압실린더의 파손 가능성이 커지는 단점도 있다. 또한 수문의 상부 월류 시, 수문의 배면부에 와류현상이 발생하면서 수문의 배면부에 토사나 자갈 등 각종 퇴적물이 쌓이게 되고, 퇴적물이 다량 축적되면 수문의 개폐를 방해하는 단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9103호(2009.05.18.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크류잭 구조를 이용해 수문의 개방 각도를 신속하고, 정밀하며, 견고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위의 미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천의 흐름 정체 시 저수부의 하층에 퇴적되는 오니나, 각종 오염물질 등의 퇴적물이 수문 내부에 형성된 배출통로를 통해 하류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저수부의 수질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출통로로 유입된 퇴적물이 침전되지 않도록 배출수단에 의하여 출수구로 원활히 이송 및 배출시키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문 하부의 폭기수단을 이용해 수질을 개선할 수 있게 하며, 수문 상단 월류 시 산기판을 이용한 폭기를 통해 하류의 배출 수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는 하천을 횡단하여 설치되는 지지구조체; 상기 지지구조체에 개폐 가능케 힌지 결합되는 수문; 상기 지지구조체와 상기 수문간에 설치되어 수문을 개폐하는 개폐수단; 상기 지지구조체와 상기 수문간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수단을 가리는 커버수단; 상기 수문 전면의 저수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폭기수단; 및 상기 수문의 전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입수구와, 상기 수문의 후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출수구와, 상기 수문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입수구와 상기 출수구가 연통되도록 하는 배출통로와, 상기 입수구를 통하여 상기 배출통로 내부로 유입되는 하층수에 포함된 퇴적물을 상기 출수구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로 구성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수단의 이송부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순환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어 하층수에 포함된 퇴적물을 상부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출수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운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수단의 이송부는 상기 수문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통로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연결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배출통로의 하부에서 분사하여 하층수에 포함된 퇴적물을 부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구조체는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부 간을 연결하게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후면을 관통하게 형성된 어도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면에 형성되되, 바닥부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단부 후면에 제1 개구부(104a)가 구비된 상류침수챔버와, 상기 바닥부의 후면에 형성되되, 상단부 후면에 제2 개구부가 구비된 하류침수챔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폭기수단은 상기 지지구조체의 상류침수챔버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산기관과, 상기 산기관의 측면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급기관과, 상기 지지구조체에 설치되고, 상기 급기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급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수문에 설치되는 힌지부재와, 상기 지지구조체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케 설치되며 유압의 공급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기어수단이 구비된 제1 잭케이스와, 상기 제1 잭케이스에 나사 결합되어 기어수단에 의해 제1 잭케이스에서 승강하며, 상단부가 상기 힌지부재에 힌지 결합된 제1 스크류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는 스크류잭을 이용하여 수문의 개방 각도를 신속하고 정밀하며 견고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수위의 미세 조절이 용이하고, 수문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수부의 폭기를 통해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기 방향 조절을 통해 폭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천의 흐름 정체 시 저수부의 하층에 퇴적되는 오니나, 각종 오염물질 등의 퇴적물이 수문 내부에 형성된 배출통로를 통해 하류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저수부의 수질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출통로로 유입된 퇴적물이 침전되지 않도록 배출수단에 의하여 출수구로 원활히 이송 및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배출통로가 퇴적물에 의하여 막히거나,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통로를 통해 하층수의 선택적인 배출이 가능케 됨으로써 저수부의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배출시켜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천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구조체에 개폐 가능한 어도를 형성함으로써 하천에 서식하는 생물들과 어류 등의 번식 활동을 도와 하천 생태계가 활성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단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문 기립 상태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문 도복 상태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폭기수단을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방수단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나타낸 수문 기립 상태 측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나타낸 수문 도복 상태 측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나타낸 배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 시스템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제어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는 스크류잭 구조를 이용해 수문(20)의 개방 각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저수부의 폭기 및 하층수의 배출 제어를 가능케 하면서 어도가 형성되도록 지지구조체(10), 수문(20), 개폐수단(30), 커버수단(40), 폭기수단(50) 및 배출수단(200)을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조체(10)는 하천을 횡단하여 설치되되, 지지부(101), 바닥부(102), 어도부(103), 상류침수챔버(104), 하류침수챔버(1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01)는 지지구조체(10)의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지지구조체(10)가 설치되는 하천의 천변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된다. 바닥부(102)는 지지부(101)의 하단부 간을 연결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하천을 횡단하도록 하천 바닥에 설치된다. 어도부(103)는 바닥부(102)의 전후면을 관통하게 형성되되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다. 이때 어도부(103)는 바닥부(102)의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개구부가 바닥부(102)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개구부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류침수챔버(104)는 바닥부(102)의 전면에 형성되어 어도부(103)의 전면개구부가 연통하게 형성되되, 바닥부(102)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단부의 후면에 제1 개구부(104a)가 형성된다. 즉 제1 개구부(104a)는 상류에서 하천의 흐름에 따라 유입되는 토사나 자갈 등 각종 퇴적물의 유동방향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류침수챔버 내부로 각종 퇴적물의 유입이 방지되고, 동시에 어도의 전면개구부가 각종 퇴적물의 유입으로 막히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어도부(103)를 통과한 어류 등이 상류로 이동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한다.
하류침수챔버(105)는 바닥부(102)의 후면에 형성되어 어도부(103)의 후면개구부가 연통하게 형성되되, 상단부의 후면에 제2 개구부(105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류침수챔버(104)와 어도부(103) 및 하류침수챔버(105)를 통해 하천의 상류와 하류가 연통됨에 따라 하천을 횡단하게 지지구조체(10)가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하천의 상류와 하류 간 어류의 이동이 용이하고, 이로 인해 어류 등 각종 수생생물의 번식 활동과 하천 생태계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 주변, 즉 하천의 저층부에 수초(WP)를 설치하여 담수(FW)의 수질 개선을 도모함으로써 수질뿐만 아니라, 어류의 서식처 제공을 통해 친환경적인 가동보로 생태계의 보호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문(20)은 지지구조체(10)에 개폐 가능케 힌지 결합되되, 회전축(201), 입수구(202), 출수구(203), 배출통로(2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축(201)은 수문(2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지지구조체(10)의 지지부(101)에 회전 가능케 결합됨으로써 회전축(201)을 기준으로 수문(20)의 회동에 따른 개폐, 즉 기립과 전도가 가능케 된다. 입수구(202)는 수문(20)의 정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수문(20)이 기립될 때, 입수구(202)는 저수부에 침수된 상태가 된다. 아울러 출수구(203)는 수면의 배면 상단부에 형성되고, 배출통로(204)는 입수구(202)와 출수구(203)가 연통되도록 수문(20) 내부 공간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수문(20)이 기립 상태에서 수문(20)의 정면에 위치하는 상류측으로 저수부가 형성될 때, 저수부의 하층수가 입수구(202)를 통해 유입되어 배출통로(204)를 통해 출수구(203)로 배출됨으로써 하천의 흐름 정체 시 저수부의 하층에 퇴적되는 오니 등 각종 오염물질을 하류 쪽으로 배출하여 저수부의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문(20)에는 저수부 하층의 퇴적물, 즉 오니 등 각종 오염물질을 하류 측으로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해 배출수단(20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배출수단(200)은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입수구(202), 출수구(203), 배출통로(204)와, 배출통로(204)에 유입되는 하층수에 포함된 퇴적물(D)을 출수구(203)로 이송하여 하류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이송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3의 (a)는 배출수단(200)의 제1 실시례로서, 배출수단의 이송부(210)가 구동부(211)와, 구동부(211)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순환하는 회동부재(212)와, 회동부재(212)에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어 하층수에 포함된 퇴적물(D)을 상부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출수구(203)로 배출시키기 위한 운반부재(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의 (a) 도시에 따른 이송부의 구동부(211)는 지지구조체의 바닥부에 구동모터(211a)가 설치된다. 아울러 배출통로(204) 하부와 상부에는 배치되는 회동축(211b)이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축과 회동축에 각각 풀리 또는 스프라켓이 구비되고, 풀리 또는 스프라켓에 벨트 또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동축(211b)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구동부(211)의 설치는 하부에 배치되는 회동축(211b)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부에 배치되는 회동축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회동부재(212)는 컨베이어 또는 스크린망으로 구성되어 상부 및 하부 회동축(211b)에 연결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상부에서 하부로 순환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회동부재(212) 양단에는 회동축(211b)에 구비되는 또 다른 스프라켓에 연결되도록 체인이 구비되어 구동부(211)에 의한 구동력이 회동부재(212)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송부의 운반부재(213)는 회동부재(212)를 따라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부재로 연결된다. 따라서 운반부재(213)는 배출통로(204)로 유입되는 하층수, 보다 자세하게는 하층수에 포함된 퇴적물(D)을 운반하게 되고, 특히 배출통로(204)에 하부에 이러한 퇴적물(D)이 침전되지 않도록 운반부재(213)가 배출통로(204) 하부 부분을 이동하면서 퇴적물(D)을 긁어 올림과 동시에 적재하여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배출통로(204) 하부에 퇴적물이 쌓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b)는 배출수단(200)의 제2 실시례로서, 배출수단의 이송부(210)가 수문(20) 하부에 배치되고, 배출통로(204)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214)과, 분사노즐(214)에 연결되는 공급관(215)과, 공급관(215)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부(2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관(215)은 배출통로(204)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내부관(215a)과 연결되고, 내부관(215a)에는 다수의 분사노즐(214)이 배치되어 에어공급부(216)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공급관(215)을 통해 각 분사노즐(214)을 통해 일정한 압력으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분사노즐(214)에 의하여 배출통로(204) 하부에 분사되는 에어는 배출통(204)로 하부에 침전된 퇴적물을 상부 방향으로 부양시켜 출수구(203)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배출통로(204)로 유입되는 하층수와, 이에 포함된 퇴적물(D)을 부양시켜 출수구(203)로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공급부(216)는 폭기수단(50)에 구비된 에어공급부(503)에 공급관(215)이 연결되거나, 또는 별도의 에어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고, 공급관의 경우에는 플렉시블 소재를 사용하여 수문의 기립 및 전도 동작에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에어공급부는 후술하겠으나, 일정한 분사압력이 유지될 수 있는 송풍기나 압축펌프 등의 설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배출수단(200)은 배출통로(204)에 유입된 하층수와, 특히 하층수에 포함된 퇴적물(D)을 상방으로 이송하여 출수구(203)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배출통로(204) 하부에 침전되는 퇴적물(D)을 적재하여 운반하거나, 또는 부양시켜 출수구(203)로 이송 및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퇴적물(D)에 의하여 배출통로가 막히거나, 하층수의 원활한 배출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30)은 지지구조체(10)와 수문(20)간에 설치되어 수문(20)을 개폐하도록 힌지부재(301), 제1 잭케이스(302), 제1 스크류샤프트(3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은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를 구현하기 위한 개폐구조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힌지부재(301)는 수문(20)의 후면에 설치되되, 수문(20)의 가로 길이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잭케이스(302)는 하단부가 지지구조체(10)의 상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되, 그 내부에는 유압의 공급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기어수단이 구비된다. 이때 제1 잭케이스(302)는 지지구조체(10)의 상면에서 지지구조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되, 수문(20)에 설치되는 힌지부재(301)와 일렬로 정렬되게 힌지부재(301)와 동일한 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스크류샤프트(303)는 제1 잭케이스(302)에 나사 결합되어 기어수단에 의해 제1 잭케이스(302)에서 승강하며, 상단부가 힌지부재(301)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유압공급수단(302a)를 이용해 제1 잭케이스(302)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제1 잭케이스(302) 내부의 기어수단을 구동시키면, 기어수단과 나사 결합된 제1 스크류샤프트(303)가 기어수단의 구동 방향에 따라 승강함으로써 제1 스크류샤프트(303)의 상단부와 힌지부재(301)로 힌지 결합된 수문(20)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1 스크류샤프트(303)가 승강되는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수문(20)의 개방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수위의 미세 조절이 가능케 된다.
또한 제1 잭케이스(302)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어수단은 웜기어 방식으로 제1 스크류샤프트(303)와 나사 결합됨으로써 수문(20)을 통해 하중이 전달되더라도, 제1 잭케이스(302)의 기어수단에 나사 결합된 제1 스크류샤프트(303)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수문(20)의 안정적인 각도 유지가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수단(40)은 지지구조체(10)와 수문(20) 간에 설치되어 개폐수단(30)을 가리도록 신축 가능한 다단 셔터형으로 구성된다.
즉 커버수단(40)이 다단 셔터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수문(20)이 기립되면 커버수단(40)의 길이가 늘어나고, 수문(20)이 도복되면 다단 셔터형으로 된 커버수단(40)이 중첩되면서 길이가 줄어들기 때문에 수문(20)의 개방 각도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수단(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수문(20) 월류수가 커버수단(4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실시 예에서, 커버수단(40)을 구성하는 다단 셔터 간에는 방수부재(40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다단 셔터의 신축 과정에서 다단 셔터 사이로 하천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문(20)이 도복되면서 커버수단(40)의 각도가 수평에 근접하게 기울어지더라도 하천수가 역류하여 커버수단(4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실시 예에서, 커버수단(40)은 신축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기립되는 산기판(40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수단(40)은 산기판(403)이 자동으로 기립되도록 관통공(402)을 포함하게 된다. 이 경우 관통공(402)은 커버수단(40)을 구성하는 각 다단 셔터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산기판(403)은 일단부가 커버수단(40)을 구성하는 각 다단 셔터의 후면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관통공(402)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이때 산기판(403)의 타단부는 톱니형, 파형, 요철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문(20)이 기립되면 다단 셔터형으로 된 커버수단(40)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각 다단 셔터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산기판(403)이 관통공(402)의 하단에 걸리면서 기립함에 따라 월류수가 커버수단(40)의 외표면을 타고 흐를 때, 산기판(403)과 부딪히면서 부서지는 과정에서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켜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수문(20)이 도복되면 다단 셔터형으로 된 커버수단(40)이 중첩되면서 길이가 줄어드는 과정에서 각 다단 셔터에 회동 가능케 설치된 산기판(403)은 관통공(402)의 상단에 걸리면서 각 다단 셔터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되기 때문에 홍수 위험 방지를 위해 수문(20)을 완전 도복시켜 통수단면적을 최대화할 때, 산기판(403)의 의한 흐름 저항이나 와류 발생 및 그로 인한 토사, 자갈, 협잡물 등의 퇴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폭기수단(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20) 전면의 저수부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산기관(501), 급기관(502), 에어공급부(503)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기관(501)은 지지구조체(10)의 상류침수챔버(104)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상하로 관통되며, 하단부는 바닥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급기관(502)은 산기관(501)의 측면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연결된다. 또한 송풍기(503)는 지지구조체(10) 내부에 설치되되, 급기관(502)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급기관(502)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에어공급부(503)는 외부공기를 일정한 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나 압축펌프로 구성되고, 에어공급부(503)로부터 외부공기는 급기관(502)을 통해 산기관(501)으로 공급되면서 기포 형태로 전환되어 상류침수챔버(104)의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상류측에 위치하는 저수부에 공기가 공급되어 저수부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저수부의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산기관(501)은 상하로 관통되되, 하단부가 바닥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급기관(502)을 통해 공급된 산기관(501)의 주벽 측방에서 공급된 외부공기가 기포화되어, 산기관(501)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산기관(501)의 상측으로 빠르게 토출됨에 따라 산기관(501)의 하단부에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하여 상류침수챔버(104)의 바닥면에 누적된 퇴적물을 흡입, 교반하면서 상측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상류침수챔버(104) 내부의 퇴적물 퇴적으로 인한 산기관(501)이나 급기관(502) 및 어도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실시 예에서, 폭기수단(50)은 급기관(502)과 송풍기(503) 간에 설치되어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발생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수중에 공기를 공급하는 폭기 과정에서 공급된 공기에 의해 발생한 기포의 크기가 크면 물과 공기 및 퇴적물의 교반에 유리하며, 반대로 기포의 크기가 작으면 수중 용존 산소량 공급에 유리하다.
따라서 저수부의 수질에 따라 단순 교반이 필요할 때는 미세기포발생기의 가동을 정지시켜 급기관(502)에서 크기가 큰 기포가 발생되게 하고, 저수부에 다량의 산소 공급이 필요할 때는 미세기포발생기를 가동시킴으로써 급기관(502)에서 크기가 작은 미세기포가 발생되어 산기관(501)을 통해 배출됨에 따라 저수부의 용존 산소량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방수단을 나타낸 배면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실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류침수챔버(104)는 폭기수단(50)에 의해 발생한 기포가 배출되는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3 개구부(104b), 개방수단(104c)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개구부(104b)는 상류침수챔버(104)의 상면에 형성된다. 또한 개방수단(104c)은 상류침수챔버(104)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지구조체(10)의 바닥부(102)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류침수챔버(104)의 상단부 후면에 형성된 제1 개구부(104a)와, 상류침수챔버(104)의 상면에 형성된 제3 개구부(104b)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따라서 수문(20)의 배출통로(204)를 통해 하류로 배출되는 저수부의 하층수에 대한 교반 및 폭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개방수단(104c)을 이용해 상류침수챔버(104) 후면의 제1 개구부(104a)를 개방함으로써 상류침수챔버(104) 내에 설치된 산기관(501)에서 배출되는 기포가 제1 개구부(104a)를 통해 후방 배출되어 저수부의 하층수에 교반 및 산소 공급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반면 저수부의 수질에 따라 저수부에 직접적인 교반 및 폭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개방수단(104c)을 이용해 상류침수챔버(104) 상면의 제3 개구부(104b)를 개방함으로써 상류침수챔버(104) 내에 설치된 산기관(501)에서 배출되는 기포가 제3 개구부(104b)를 통해 수직 상승하여 저수부에 교반 및 산소 공급이 보다 직접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나타낸 수문 기립 상태 측면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친환경 가동보시스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나타낸 수문 도복 상태 측면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실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30)은 지지구조체(10)와 수문(20)간에 설치되어 수문(20)을 개폐하도록 힌지부재(301), 제2 스크류샤프트(304), 제2 잭케이스(305), 제2 연결부재(306), 구동모터(M)를 포함한다.
이 경우 힌지부재(301)는 수문(20)의 후면에 설치되되, 수문(20)의 가로 길이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크류샤프트(304)는 지지구조체(10)의 상면에서 지지구조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되, 수문(20)에 설치되는 힌지부재(301)와 일렬로 정렬되게 힌지부재(301)와 동일한 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잭케이스(305)는 제2 스크류샤프트(304)에 나사 결합되되, 제2 스크류샤프트(304)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2 스크류샤프트(304)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된다. 또한 제2 연결부재(306)는 일단부가 힌지부재(301)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2 잭케이스(305)에 힌지 결합된다. 구동모터(M)는 지지구조체(10)의 상면에 설치되되, 구동축이 제2 스크류샤프트(304)와 연결됨으로써 구동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2 스크류샤프트(304)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제2 잭케이스(305)가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M)를 이용해 제2 스크류샤프트(30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스크류샤프트(304)와 나사 결합된 제2 잭케이스(305)가 제2 스크류샤프트(304)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 잭케이스(305)와 제2 연결부재(306)로 연결된 힌지부재(301)가 설치된 수문(20)이 제2 연결부재(306)에 의해 밀려나거나 당겨지면서 수문(20)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M)의 구동 제어를 통해 제2 스크류샤프트(304)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제2 잭케이스(305)의 위치 조절이 가능케 되고, 그로 인해 수문(20)의 개방 각도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수위의 미세 조절이 가능케 된다.
또한 제2 스크류샤프트(304)와 제2 잭케이스(305)의 나사 조립 구조를 통한 볼스크류 방식으로 인해 제2 잭케이스(305)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수문(20)의 신속한 개폐뿐만 아니라, 정밀한 개방 각도 조절 및 안정적인 각도 유지가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개폐수단을 나타낸 배면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실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개폐수단(30)은 지지구조체(10)와 수문(20)간에 설치되어 수문(20)을 개폐하도록 조인트부재(307), 제3 스크류샤프트(308), 제3 잭케이스(309), 제3 연결부재(310), 구동모터(M)를 포함한다.
이 경우 조인트부재(307)는 수문(20)의 후면에 설치된다. 이때 조인트부재(307)는 지지구조체(10) 및 수문(20)의 가로 길이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스크류샤프트(308)는 지지구조체(10)의 상면에서 지지구조체(10)의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되, 중앙을 기준으로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가 좌우대칭되게 형성된다.
제3 잭케이스(309)는 복수가 한 조를 이루어 제3 스크류샤프트(308)의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된다. 제3 연결부재(310)는 가운데가 절첩되는 관절형으로 형성되되, 가운데 형성된 관절부는 조인트부재(307)에 핀 결합되고, 양단부는 각각의 제3 잭케이스(309)에 핀 결합되어 복수의 제3 잭케이스(309) 간 간격에 따라 관절부가 절첩된다.
구동모터(M)는 지지구조체(10)의 상면에 설치되되, 구동축이 제3 스크류샤프트(308)와 연결됨으로써 구동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3 스크류샤프트(308)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제3 잭케이스(309)가 제3 스크류샤프트(308)의 설치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3 스크류샤프트(308)의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한 조를 이루는 복수의 제3 잭케이스(309)는 제3 스크류샤프트(308)의 회전방향에 따라 그 간격이 좁혀지거나 멀어지면서 제3 연결부재(310)가 절첩됨으로써 제3 연결부재(310)의 관절부 절첩 각도에 따라 수문(20)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M)의 구동 제어를 통해 제3 스크류샤프트(308)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수문(20)의 개방 각도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위의 미세 조절이 가능케 된다.
또한, 복수의 암 구조로 된 관절형 제3 연결부재(310)에 의해 수문(20)이 2점 지지되면서 수문(20)이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제어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실시 예예서, 본 발명에 따른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는 개폐수단(30)과 폭기수단(50)을 원격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제어수단은 개폐수단(30)과 폭기수단(50)을 원격 제어하기 위하여 제1 감지센서부(601), 제2 감지센서부(602), 제어부(603), 영상촬영부(604), 경보발생부(605), 관리서버(606), 모바일디바이스(60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감지센서부(601)는 수문(20)과 개폐수단(30)과 폭기수단(50)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603)에 제공한다. 아울러 제2 감지센서부(602)는 수문(20)에 의해 저수된 저수부의 수위, 수질, 수온, 유속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603)에 제공한다.
제어부(603)는 제1 감지센서부(601)와 제2 감지센서부(602)에서 제공된 센서값을 관리서버(606)로 전송하고, 관리서버(606)에서 전송된 제어신호를 개폐수단(30)과 폭기수단(50)에 인가한다. 따라서 제어부(603)와 관리서버(606) 간에는 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동일한 통신 규격의 유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상촬영부(604)는 하천변 일측에 설치되어 수문(20)의 동작상태를 촬영하고, 그 영상신호를 관리서버(606)로 전송한다. 따라서 관리서버(606)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원격으로 수문(20)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경보발생부(605)는 하천변 타측에 설치되어 관리서버(606)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재난방송, 경고음 등을 출력한다.
또한 관리서버(606)는 제어부(603)에서 전송된 제1 감지센서부(601)와 제2 감지센서부(602)의 센서값에 따라 개폐수단(30)과 폭기수단(50)의 제어신호 및 경보발생부(605)의 제어신호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606)에는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수단 및 출력을 위한 출력수단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디바이스(607)는 원격으로 관리서버(606)에 접속하여 관리서버(606)에 전송된 센서값 및 영상신호를 원격 확인과 제어신호의 생성 및 교환이 가능케 된다.
이를 위해 모바일디바이스(607)는 관리서버(606)와 동일한 통신 규격의 통신수단과 더불어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리자는 수문(20)과 원거리에 위치하는 가동보 통제실에 구비된 관리서버(606)를 이용해 가동보의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24시간 휴대 가능한 모바일디바이스(607)를 이용하여 가동보의 관리 및 제어가 가능케 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하천의 유량이나 수질에 따라 가동보의 효율적인 관리 및 제어가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는 저층수에 배출되는 물과 폭기장치의 가동을 위해 타이머를 설치하여 일정 시간 또는 원하는 시간에 가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지지구조체 101 : 지지부
102 : 바닥부 103 : 어도부
104 : 상류침수챔버 104a : 제1 개구부
104b : 제3 개구부 104c : 개방수단
105 : 하류침수챔버 105a : 제2 개구부
20 : 수문
200 : 배출수단
201 : 회전축 202 : 입수구
203 : 출수구 204 : 배출통로
210 : 이송부 211 : 구동부
211a : 구동모터 211b : 회동축
212 : 회동부재 213 : 운반부재
214 : 분사노즐 215 : 공급관
215a : 내부관 216 : 에어공급부
30 : 개폐수단
301 : 힌지부재 302 : 제1 스크류샤프트
303 : 제1 잭케이스 304 : 제2 스크류샤프트
305 : 제2 잭케이스 306 : 제2 연결부재
307 : 조인트부재 308 : 제3 스크류샤프트
309 : 제3 잭케이스 310 : 제3 연결부재
M : 구동모터
40 : 커버수단
401 : 방수부재 402 : 관통공
403 : 산기판
50 : 폭기수단
501 : 산기관 502 : 급기관
503 : 에어공급부
601 : 제1 감지센서부 602 : 제2 감지센서부
603 : 제어부 604 : 영상촬영부
605 : 경보발생부 606 : 관리서버
607 : 모바일디바이스

Claims (7)

  1. 하천을 횡단하여 설치되는 지지구조체(10);
    상기 지지구조체(10)에 개폐 가능케 힌지 결합되는 수문(20);
    상기 지지구조체(10)와 상기 수문(20)간에 설치되어 수문(20)을 개폐하는 개폐수단(30);
    상기 지지구조체(10)와 상기 수문(20)간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수단(30)을 가리는 커버수단(40);
    상기 수문(20) 전면의 저수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폭기수단(50); 및
    상기 수문(20)의 전면 하단부에 형성되는 입수구(202)와, 상기 수문(20)의 후면 상단부에 형성되는 출수구(203)와, 상기 수문(2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입수구(202)와 상기 출수구(203)가 연통되도록 하는 배출통로(204)와, 상기 입수구(202)를 통하여 상기 배출통로(204) 내부로 유입된 하층수에 포함된 퇴적물을 상기 출수구(203)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부(210)로 구성되는 배출수단(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수단(40)은 신축 가능한 다단의 셔터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수단(40)의 각 다단 셔터의 후면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커버수단(40)의 다단 셔터 하단부에 형성된 관통공(402)으로 통하여 돌출되어 상기 커버수단(40)의 신축 상태에 따라 기립되거나 눕혀지는 산기판(403)이 구비되며,
    상기 커버수단(40)의 다단 셔터 간에는 방수부재(401)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200)의 이송부(210)는
    구동부(211)와,
    상기 구동부(211)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순환하는 회동부재(212)와,
    상기 회동부재(212)에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어 하층수에 포함된 퇴적물을 상부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출수구(203)로 배출시키기 위한 운반부재(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200)의 이송부(210)는
    상기 수문(20)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통로(204) 내부로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214)과,
    상기 분사노즐(214)에 연결되는 공급관(215)과,
    상기 공급관(215)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부(2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사노즐(214)은 상기 공급관(215)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배출통로(204)의 하부에서 분사하여 하층수에 포함된 퇴적물을 부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10)는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01)와,
    상기 지지부(101)의 하단부 간을 연결하게 형성된 바닥부(102)와,
    상기 바닥부(102)의 전후면을 관통하게 형성된 어도부(103)와,
    상기 바닥부(102)의 전면에 형성되되, 바닥부(102)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단부 후면에 제1 개구부(104a)가 구비된 상류침수챔버(104)와,
    상기 바닥부(102)의 후면에 형성되되, 상단부 후면에 제2 개구부(105a)가 구비된 하류침수챔버(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수단(50)은
    상기 지지구조체(10)의 상류침수챔버(104)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산기관(501)과,
    상기 산기관(501)의 측면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급기관(502)과,
    상기 지지구조체(10)에 설치되고, 상기 급기관(502)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제2 급기관(502)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5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30)은
    상기 수문(20)에 설치되는 힌지부재(301)와,
    상기 지지구조체(10)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케 설치되며 유압의 공급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기어수단이 구비된 제1 잭케이스(302)와,
    상기 제1 잭케이스(302)에 나사 결합되어 기어수단에 의해 제1 잭케이스(302)에서 승강하며, 상단부가 상기 힌지부재(301)에 힌지 결합된 제1 스크류샤프트(3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천의 저층부에는 수질 개선을 위한 수초(WP)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KR1020210117231A 2021-09-02 2021-09-02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KR102337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231A KR102337283B1 (ko) 2021-09-02 2021-09-02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231A KR102337283B1 (ko) 2021-09-02 2021-09-02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283B1 true KR102337283B1 (ko) 2021-12-08

Family

ID=7886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231A KR102337283B1 (ko) 2021-09-02 2021-09-02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2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9025A (zh) * 2022-10-13 2022-12-02 江西煜鲲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水坝坝顶溢流导流结构
KR102553678B1 (ko) 2022-11-10 2023-07-10 주식회사 대한이앤씨 담수 수위 조절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KR102615174B1 (ko) * 2023-07-04 2023-12-19 (주)케이디이엔지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3173A (ja) * 2003-05-27 2004-12-16 Mitsubishi Heavy Ind Ltd 除塵機付きポンプゲート
KR20060027649A (ko) * 2004-09-23 2006-03-28 주식회사 유일기연 수문을 구비한 고무댐
KR20090049103A (ko) 2007-11-13 2009-05-18 한상관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KR101040322B1 (ko) * 2010-10-21 2011-06-1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전도수문
KR20130056255A (ko) * 2012-08-01 2013-05-29 나성민 다기능 생태 하천
KR20170112477A (ko) * 2016-03-31 2017-10-12 박도우 저층수 배출이 용이한 가동보의 개량형 패널 구조
KR20180062665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엘에스지 무언체 전도 수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3173A (ja) * 2003-05-27 2004-12-16 Mitsubishi Heavy Ind Ltd 除塵機付きポンプゲート
KR20060027649A (ko) * 2004-09-23 2006-03-28 주식회사 유일기연 수문을 구비한 고무댐
KR20090049103A (ko) 2007-11-13 2009-05-18 한상관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KR101040322B1 (ko) * 2010-10-21 2011-06-1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전도수문
KR20130056255A (ko) * 2012-08-01 2013-05-29 나성민 다기능 생태 하천
KR20170112477A (ko) * 2016-03-31 2017-10-12 박도우 저층수 배출이 용이한 가동보의 개량형 패널 구조
KR20180062665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엘에스지 무언체 전도 수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9025A (zh) * 2022-10-13 2022-12-02 江西煜鲲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水坝坝顶溢流导流结构
KR102553678B1 (ko) 2022-11-10 2023-07-10 주식회사 대한이앤씨 담수 수위 조절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KR102615174B1 (ko) * 2023-07-04 2023-12-19 (주)케이디이엔지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7283B1 (ko)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JP3702302B2 (ja) 汚泥除去装置
KR101844133B1 (ko) 이동식 조류 제거용 선박
KR102096206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활용한 어류 양식 설비
RU2720096C1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разведения рыб
KR20180136678A (ko) 일체형 사료 공급 및 교반 장치
CN107223016B (zh) 双重气力提升装置
CN113603258A (zh) 一种水面生态作业治理船
KR101544708B1 (ko) 부력기능을 구비한 양식장 프레임을 이용한 해저양식 시스템
US20240100896A1 (en) Amphibious vehicle
KR102313579B1 (ko) 친환경 가동보 시스템
CN206024888U (zh) 一种具有富氧流水功能的漂浮式鱼类饲养系统
KR101549795B1 (ko) 수질정화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
OA13109A (en) Saltwater intrusion prevention system.
KR101790145B1 (ko) 어도가 구비된 수문
US5347798A (en) Harvesting apparatus
KR101073437B1 (ko) 도크식 어도
KR101792105B1 (ko) 녹조 제거용 물 순환 장치
KR20030077521A (ko) 가동형 어도
KR102143546B1 (ko) 수중펌프를 이용한 이동식 녹조제거장치
US56476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mud and silt
JP3306231B2 (ja) 魚介類飼育水槽
KR20170005777A (ko) 2중으로 구성되는 권양기와 2중 권양기의 후면부에 구성되는 발전용 권양기의 내부에 다중으로 구성 발전수차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전력생산 친환경 공법
Hopkins An apparatus for continuous removal of sludge and foam fractions in intensive shrimp culture ponds
KR101172492B1 (ko)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