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9103A -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9103A
KR20090049103A KR20070115164A KR20070115164A KR20090049103A KR 20090049103 A KR20090049103 A KR 20090049103A KR 20070115164 A KR20070115164 A KR 20070115164A KR 20070115164 A KR20070115164 A KR 20070115164A KR 20090049103 A KR20090049103 A KR 20090049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ate
powered
slui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15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852B1 (ko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KR20070115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852B1/ko
Publication of KR2009004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9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 바닥부에 돌이나 자갈 등의 이물질이 끼어 수문과 접촉되더라도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각 수문에 모두 사이펀 통로를 구성하여 수로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사이펀 통로를 통해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배출할 수 있어 하천수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도록 한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측 지지구조체 하부 사이에 고정축을 고정하고, 양측 지지구조체 사이의 수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고정축에는 수문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전도식 수문의 구성방법에 있어서, 양측 지지구조체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축의 중간 중간에는 고정링크를 고정하고, 각 고정링크 위치 외측에는 내부가 빈 형상의 동력수문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위치시키며, 각 동력수문의 내상부에는 작동실린더를 각각 고정함과 동시에 그 피스톤로드의 선단부는 고정축에 고정된 각 고정링크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각 동력수문이 각 작동실린더의 신축에 따라 기립 또는 전도되게 하고; 다수의 무동력수문을 각 동력수문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하여 각 동력수문과 각 무동력수문이 수문을 이루도록 하되, 각 동력수문의 배수측면 일측 또는 양측으로 인접한 무동력수문의 배수측면이 걸리도록 걸림돌기를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연속 형성하며, 무동력수문은 인접한 위치에 무동력수문이 있는 경우에만 그 배수측면 일측으로 인접한 다른 무동력수문의 배수측면이 걸리도록 걸림돌기를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연속 형 성하여 각 동력수문의 기립에 따라 각 무동력수문이 같이 기립되게 하고, 각 동력수문이 전도되면 각 무동력수문은 자중과 수압에 의해 전도되도록 구성하며; 각 동력수문과 각 무동력수문의 저수측면으로부터 상부 위쪽까지 사이펀 통로를 형성하여 각 수문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Figure P1020070115164
하천수, 정화, 전도식 수문, 동력수문, 무동력수문, 사이펀 통로

Description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Method to purify water quality using falling down type water gate}
본 발명은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도식 수문을 측방으로 다단 구성하되, 동력을 제공하는 전도식 수문은 군데군데 설치하고 이러한 동력제공 수문 주위의 수문은 무동력으로 구성하면서 동력제공 수문에 의해 기립 또는 전도되도록 하여 수로 바닥부에 이물질이 끼일 경우에도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각 수문에 모두 사이펀 통로를 구성하여 수로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사이펀 통로를 통해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배출할 수 있어 하천수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하천 또는 저수지와 같은 저수공간으로는 여러 경로를 통해 물이 유입되므로 유입되는 물중에 오염물질들이 다량 포함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저수된 물을 정화하기 위해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었던 바, 종래 사용되어 오던 수질정화방법들은 자갈 접촉 산화법, 역간 접촉식 산화법, 하수처리장 수질정 화법, 염소 투입 정화법 등이 있으나 한결같이 많은 비용이 들고 비용에 비해 그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를 통해 수중에서 와류를 형성하여 오염물질을 부유시키고, 이를 걷어냄으로써 수질정화를 구현하도록 한 장치도 등장한 바 있으나, 이는 수질 개선을 위해 별도의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그 수질정화영역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보다 넓은 범위에서의 수질개선에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창안되어 공지된 특허 공개번호 제 2001-0000343호의 "다단 저수장치를 이용한 자연적인 수질개선방법"의 경우 한개의 수문으로 구성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폭기에 의한 자연적인 자정효과가 매우 낮은 결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결점으로 인해 수문의 내부에 가두어져 있는 물과 오염물질들이 결합하면서 발생시키는 물질 뭉침 작용과 물질 결합 작용에 의해 오염이 가중되면서 녹조 현상을 유발시킴으로 인하여 저장된 물을 더욱 더 악화시키는 중대한 결점이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기술적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용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된 수질들이 자연적으로 정화되거나 오염이 악화되는 “물질 가속도 현상“과“물질 새치기 작용”과“물질 보존 본능의 법칙”과 물질 뭉침 작용”과 “물질 결합작용“과 ”물질 거부작용”과 “물질 해탈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든 물질분자은 중력의 작용과 비중의 작용에 의해 그 물질분자가 지니고 있는 질량과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물속으로 유입되는 순간 그 물질분자들의 비중에 따라 포진하고 있는 위치가 물질분자별로 틀린 상태를 이루면서 즉 물질분자별로 각각의 다른 층을 이루면서 흐르게 된다.자세히는 불완전 분해된 상태를 이루는 물질 분자들은 물의 상층부에 떠 있게 되고 완전히 분해된 물질분자들은 하층부에 포진한 상태를 이루면서 또 다른 물질분자와 결합하거나 또 다른 물질분자와 화학반응하여 폭발하는 물질 폭발의 과정 또는 물질 마찰을 하는 과정을 통하여 더욱더 작은 크기의 물질 분자로 변형하게 되는 것이다.
자세히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물질분자가 초극미립자로 분해되는 과정 중에서 완전하게 분해된 물질분자가 있고, 완전하게 분해되지 않은 물질분자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물질분자들 모두가 물에 유입되는 그 순간부터 결합하고 분해되고 폭발하는 과정을 통하여 변형되는 크기에 따라서 포진하고 있는 위치가 틀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들을 항상 하면서 하류로 흘러가는 과정 또는 저수된 상태에서 또다른 물질분자들과 연속하여 이루어지는 물질폭발작용과 물질결합작용과 물질 마찰작용에 의해 더욱더 작은 초극미립자로 변하게 되어 결국에는 최초의 원초적인 물질분자를 이루는 DNA 분자 즉 물의 순수 기초단위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물질폭발작용"에 대하여 더욱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물질분자들은 자기가 좋아하는 물질분자가 있는 반면 자기가 싫어하는 물질분자가 있는 것은 당연한 원리이다.
지구상에 있는 모든 물질분자들은 완전 분해되거나 불완전 분해된 상태를 유지 한 상태에서 물속에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물의 성분들에 대하여 어느 성분이다라고 정의 할 수가 절대로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불완전 분해되거나 완전 분해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모든 물질분자들은 물에 유입되는 순간부터 또 다른 물질분자들과 물질 폭발작용이 발생함과 동시에 더욱더 작은 크기의 물질분자로 변형되어 쪼개 지면서 아주 작은 크기의 물질분자로 변형되게 되는 것이다.이러한 물질폭발작용에 대한 과정의 관찰은 물속에서 공기방울들이 발생되는 것을 관찰하여보면 물질폭발작용의 현상이 증명되는 것이다.
또 다른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물질 폭발작용의 증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술병에 들어 있는 술을 세차게 흔들어주게 되면 술병 속에서 거품들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가 잇다.
이 거품들이 발생하는 것은 술병의 술을 세차게 흔들어 주게 되면 물질분자와 물질분자가 접촉하면서 폭발하는 물질 폭발작용 때문이다.
물병의 물을 흔들어주면 거품이 발생하는 현상 또한 마찬가지이다.
다음은 물질 결합작용에 대하여 다른 부분의 현상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성인들이 아침에 일어나면 입안이 텁텁하고 쓴맛이 나게 되는 것은 건강이 좋지 않아서 그러한 현상이 발생한다 라고 생각할 수가 있게 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은 것이다.
잠을 자면서 실내에 있는 공기를 입안으로 들어 마시면서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성분들도 동시에 입속으로 들어올 때에 입속의 침과 같은 인간의 기본적인 호르몬들과 이루어지는 물질 결합작용과 물질 폭발작용이 동시에 발생 되면서 또 다른 유해성분들도 동시에 발생시키기 때문에 입속이 텁텁한 것이다.
이때에 우유 또는 요구르트 또는 귤과 같은 과일을 입에 넣고 씹을 상태에서 치솔을 이용하여 양치질을 하여 주게 되면 입속이 상쾌한 상태가 되는 것은 단백질과 인간에게 유익한 물질들이 입속에 있었던 유해성분들과 물질폭발작용과 물질결합 작용을 하면서 중화되거나 제게 되었기 때문인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들을 이용하여 귤이나 과일 또는 우유 또는 요구르트와 같은 음료들을 입에 넣은 상태에서 양치질을 하여 주게 되면 잠을 자고난 후에 입속에서 발생하는 유해성분들을 제거시켜주거나 중화시켜주기 때문에 성인병을 예방하여 줄수가 있는 것이다.
물속에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분자가 초극미립자의 형태로 분해되어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질의 기초단위는 정확히 어느 상태라고 정의 할 수가 없는 것이다.
분해된 크기에 따라서 또는 질량에 따라서 그 크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확실히 정의 할 수 있는 것은 "물의 기초성분들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들이 완전하게 분해되어 결합한 물질"이다 라는 것이다.
물질분자들이 물질마찰작용과 물질결합작용과 물질폭발작용과 물질뭉침작용 에 의해 커지기도 하고 작아지기도 하는 과정을 통하여 아주 작은 초 극미립자로 변형되어 결국에는 투명해지면서 물 분자로 변하게 된다 라는 것이다.
물 분자의 끝 부분은 뾰족한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물을 이용하여 그릇도 닦고 세수도 하고 물로 목욕을 하거나 손을 닦아 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 이루어지는 물질마찰작용에 의해 세균들의 세포조직을 물 분자의 뾰족한 부분이 파괴 시키기 때문에 물로 손을 닦거나 물로 목욕을 하면 세균들이 자연적으로 소멸해 지면서 청결해 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물을 이용하여 손을 닦거나 목욕을 할 때에 유해 성분인 비누를 이용하여 닦아 주면 소독이 되는 이유는 비누가 풀어지면서 발생하는 거품 즉 비누 성분이 물 분자와 만나면서 발생시키는 물질폭발작용이 이루어질 때에 연속적으로 발생 되는 거품분자의 뾰족한 부분이 세균들의 세포를 찢어 놓기 때문에 세균들이 죽게 되면서 손이 깨끗해 지거나 우리 몸이 청결해 지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이 바로 물질 폭발 작용인 것이다.
반대로 비누를 물과 함께 풀어주지 않으면 거품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는 물과 비누 성분이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물질폭발작용 자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인 것이다.
이러한 모든 작용들에 의해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은 하천수의 하층부에 포진한 상태를 이루면서 흐르고,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들은 하천수의 상층부에 포진한 상태를 이루면서 흐르게 되는데, 흐르는 속도는 오염이 가중되어 있는 상층부의 하천수가 하층수 보다도 더 빨리 흐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작용이 발생하는 것은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양 즉 오염부하량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리를 "물질 가속도 현상”이라고 정의한다.
하천에 흐르는 물들이 더욱더 오염이 가중되는 이유는 “물질 가속도현상” 과 “물질 뭉침 작용” 때문인데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현상 때문인 것이다. 지구와 태양계가 회전하면서 발생시키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들이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의 상층부에 포진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천의 하류 부분으로 흐르고 있을 때에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들은 수시로 유입되어 오는 또 다른 오염물질들과 결합하는 "물질 뭉침 작용"에 의해 오염이 악화 되게 됨으로 인하여 하천수의 오염은 더욱더 가중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물질 가속도 현상을 역으로 이용하게 되면 발생하게 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가속도 현상은 상호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물질 새치기 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오염된 하천수들이 수문의 하부를 통과하려고 할 때에 하천수를 이루고 있는 물들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이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들을 상층부로 밀어 올려놓은 다음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들의 하층부를 통하여 먼저 빠져나가려고 하는 작용을 발휘하게 되는데 이러한 원리를 “물질 새치기 작용“ 이다. 라고 정의한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들은 그 물질을 이루고 있는 물질 속의 원자량과 분자량에 의해서 그 크기가 똑같다고 해도 그 부피 즉 비중이 틀리기 때문에 물속에 들어가는 순간 부터 그 물질들이 포진하고 있는 위치를 달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다음은 모든 물질들은 그 물질의 본질(本質)적 성분을 본능적으로 보존하려 고 하는 “물질 보존 본능의 법칙”과 이러한 작용에 의해서 발휘되는 “물질 뭉침작용”과 물질 밀림작용에 의해 발생 하는 “물질 해탈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물은 물이 지니고 있는 구조적인 특성에 의해서 물 이외의 물질이 물속의 구조 속으로 침투하게 되면 본능적으로 그 침투물질을 받아들이면서 그 물질과 결합 하여 또 다른 물질을 만들어내는 특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작용을 “물질 뭉침 작용”이다, 라고 정의한다.
또한 물의 결정을 이루고 있는 순수 물 분자구조 속에 침투 해 있는 오염물질들을 털어 내어 순수 물분자를 만들기 위하여 물에 일정한 충격을 가해주게 되면 물의 순수 분자 구조 속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들은 물분자 속에서 즉시 이탈해 나오는 작용을 “물질 해탈 작용“이다. 라고 정의한다. 즉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의 힘에 의해 오염된 물이 깨끗해지는 작용을 ”물질 해탈 작용“이다. 라고 정의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질 뭉침 작용이 발생되는 이유는 하천수를 가두어 두는 저수 시스템을 콘크리트보, 전도식 수문, 또는 고무댐과 같이 유입되는 하천수를 상단부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저수장치를 구성하여주게 되면 이러한 작용에 의해 오염이 가중되게 되는 것이지만, 하천수를 하단부로 배출하는 수문 시스템을 설치하여 주게 되면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밀림작용과 물질 해탈 작용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오염된 하천수가 자연적으로 정화 되게 되는 것이다. 대형의 댐들 또한 이러한 방식에 따라 댐을 구성하여 주게 되면 절대적으로 오염이 가중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저수시스템의 하층 부분에 포진하고 있는 일부분의 하천수들만 배출 하도록 구성된 수문 시스템을 설치하면 오염이 가중되는 이유는 수문이 구성되어 있는 배출부 이외의 부분에 정체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들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에게 밀리는 물질 밀림 작용에 의해 배출구 이외 부분으로 밀려나가면서 또 다른 오염물질들과 결합하는 물질 뭉침작용에 의해 오염이 더욱더 가중되게 되는 것이다. 물질 밀림작용과 물질 뭉침 작용에 의해 수문의 배출구 이외에 정체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는 절대적으로 하천의 하류로 이동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면서 또 다른 물질들과 결합 하는 물질 결합 작용과 오염된 물질들끼리 뭉치는 물질 뭉침 작용에 의해 오염이 더욱더 가중 되게 되는 것이다. 자세히는 고무댐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일부의 배출구 또는 전도식 수문의 하층부분에 포진하고 있는 일부분의 하층수 만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싸이폰 방식의 수문을 설치하게 되면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이 비중이 가벼운 물들을 밀어내고 먼저 빠져나가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밀림작용에 의해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들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에게 밀리면서 수문의 내부에서 정체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수밖에 없는 물질 밀림작용에 의해 하류부분으로 절대적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또다시 오염된 물질끼리 뭉치는 물질 뭉침 작용과 오염된 물질끼리 결합하여 또 다른 물질을 만들어내는 물질 결합작용에 의해 오염이 더욱더 가중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들에 의해서 상단부로 유입수를 배출하는 방식의 수중보를 이용하여 물을 가두어 두게 되면 저수 시스템의 내부에 물을 가두어 두는 동안 오염 물질과 물 분자의 물질들끼리 뭉치면서 발생시키는 물질 뭉침 작용과 물질 결합 작용에 의해 오염이 오히려 가중되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다음은 "물질보존 본능의 법칙'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든 물질들은 그 물질이 지니고 있는 구조적인 특성에 의해 그 물질만의 구조를 유지하려고 하는 자연적인 특성에 의해 그 물질이 지니고 있는 물질적인 구조 속에 다른 이물질이 침투하여 있으면 그 물질들을 거부하여 밀어내 버리거나 또는 그 물질 또는 오염물질들 속에서 이탈해 나오려고 하는 작용을 발휘하여 그 물질이 지니고 있는 순수한 구조들을 영구히 보존하려고 하는 작용을 본 발명에서는 "물질보존본능의 법칙"이다라고 정의한다.
다음은 "물질보존본능의 법칙"에 의해 발생하는 "물질 거부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든 물질은 물속에 들어가면 물속에 섞여 있는 물질들과 희석되게 되면서 물의 오염을 가중되게 하는 물질 뭉침 작용이 처음부터 발휘되는 게 아니라 순수 물분자의 구조들이 오염물질을 거부하는 물질 거부 작용에 의해 곧바로 결합되지 못하고 즉 물질과 물질이 뭉치는 뭉침 작용을 거부하고 있다가 일정시간이 지나면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삼투작용과 분해 작용에 의해 즉 용존산소와 태양열과 미생물과 삼투압작용등과 같은 자연적인 반응에 의해 오염물질들이 서서히 물 분자들과 결합하면서 오염물질로 변형되게 되는 것이다. 이 물질들이 또다시 자연적으로 분해되면서 발생시키는 미립자들이 또다시 또 다른 물질들과 결합되면서 물의 오염이 가중되는 것이다,이것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발생시키는 것이 바로 육지의 녹조 현상과 바다에서 발생 되는 적조 현상인 것이다. 태형동물이라고 칭하는 물질은 유기물질과 무기물질들과 뭉치면서 발생시키는 부산물인 것이다.
다음은 물질 분해 작용과 물질 결합 작용과 물질 부상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의 순수 분자들은 순수 물 분자를 유지하고 있으려는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에 의해 물질 거부작용이 발생 되면서 또 다른 물질들과 결합하지 않으려고 반응하다가 오염물질들의 강한 점성력에 의해 어쩔 수 없이 다른 물 분자들과 결합하는 물질결합작용에 의해 결합 됨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워지면서 하천의 바닥 층에 가라 앉아 있는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자연적 분해 작용에 의해 그 물질들이 분해되면서 미세한 미립자들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미립자로 구성되는 물 분자와 상류에서 밀려오는 오염물질의 일부 물질들과 물질 결합 작용이 이루어지는 반복적인 작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물 분자 속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들은 자연분해되는 자정작용에 의해 미립자로 변하여서 또다시 저수 층의 상층부로 이동하는 반복적 물질 부상 작용을 발휘하면서 또다시 또 다른 오염물질들과 재차 결합하는 물질 결합 작용에 의해 결합 된 물 분자들은 결합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워지면서 저수 층의 바닥에 가라앉게 되는 반복적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하천수의 오염을 가중시키게 되는 작용이 바로 "물질 분해 작용"과 "물질 결합 작용"과 "물질 부상 작용"인 것이다.
다음은 물의 오염을 가중시키는“물질 폭발 작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물속에는 다양한 종류의 화학적인 반응을 하게 되는 물질이 자연적으로 유입되게 되는데 종류 미상의 이러한 물질들은 또 다른 물질을 만나면서 그 물질이 지니고 있는 고유한 화학적 성분과 종류 미상의 화학적 성분이 만나면 물질의 미립자가 폭발하면서 미세한 공기방울과 같은 물질을 만들어내면서 수면 위로 부상하는 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즉 맥주잔 속에서 미세한 방울이 계속하여 발생하는 것은 맥주 속에 함유된 미립자와 미립자가 만나면서 폭발하기 때문에 계속하여 방울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물질 폭발 작용이 물속에서 계속하여 발생하는 것은 물질과 물질이 만나면서 폭발하는 물질 폭발작용 때문에 미세한 방울을 계속하여 만들어 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폭발작용이 발생 할 때에 생성되는 공기방울과 물속에 함유된 또 다른 미립자들이 물질결합을 하면서 또 다른 물질이 생성되는데 이때에 발생되는 미립자는 물의 분자구조보다도 비중이 무거워지면서 물을 저장하여 놓은 저수공간의 바닥 층에 침전되면서 퇴적오니로 변형되어 물의 오염을 가중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물질마찰작용"과 "물질 분해 작용"과 "물질 결합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든 물질들은 물보다도 가볍거나 물의 비중보다 무겁더라도 물속에 들어가는 순간 물에 가해지는 중력의 작용과 수압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깨끗한 물 분자를 이루는 미립자들의 뾰쪽한 부분과 또 다른 깨끗한 물 분자에 구성되어 있는 미립자의 뾰쪽한 부분들과 활발한 접촉이 이루어질 때에 물 분자의 사이사이에 끼어 있는 오염물질의 미립자에 연속적인 타격이 자연적으로 가해지면서 물 분자의 사이사이에 끼어 있는 오염물질의 미립자가 서서히 마모가 이루어지면서 오염물질을 이루는 미립자의 존재 자체가 마도되어 사라지게 되면서 오염된 수질이 깨끗한 수질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것은 "물질마찰작용에 의한 자연적인 수질정화작용"이다라고 정의하고 "학술용어"는 Han sang kwans action.이다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작용이 이루어질 때에는 산소의 작용이 없이도 오염된 물질들이 자연 분해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중에서 불완전 분해된 물질들의 미립자들은 미립자 속에 함유되어 있는 점성력 즉 자력과 또 다른 물질에서 분해된 미립자들 속에 함유되어 있는 점성력과 자력에 의해 오염물질과 깨끗한 물들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작용이 바로 "물질 결합작용"인 것이다. 물질들이 분해되면서 발생시키는 미립자들이 점성력과 자력을 자연적으로 가지게 되는 이유는 물 분자들이 물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라운 운동을 활발히 하면서 즉 숫자로 셀수 없을 정도로 많은 이동하면서 물질과 물질을 마모 시키는 물질 마찰운동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물질의 표면에서는 표면 장력이 자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물질의 뾰쪽한 부분에는 물질과 결합하려는 점성력과 물질을 당겨오는 자력이 자연적으로 강해지는 것이다.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작용을 "물질 결합작용"이다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발생시키는 물질 결합 작용에 의해 탄생 되는 새로운 물질들은 물의 비중 보다도 무거워 지기 때문에 물질 결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저수 되어있는 하층부분에 침전되면서 퇴적오니로 변하는 것이다.
이때에 발생 되는 퇴적오니를 이루고 있는 오염물질들이 물질마찰작용과 또다른 분해작용에 의해 또다시 분해되는 연속적인 과정을 통하여 대량의 미립자들을 또다시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분해되면서 발생되는 미립자들끼리 또다시 물질결합작용과 물질 마찰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살아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이 연속적으로 과다하게 발생하게 되면 육상에서는 녹조현상이 바다에서는 적조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모든 물질들은 물에 유입되는 순간 물 분자를 이루는 미립자들이 발휘하는 물질 마찰작용과 또 다른 물질 분해 작용들에 의해 분해되어 결국에는 깨끗한 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일례로 철이 분해되면서 발생시키는 시뻘건 녹물들이 바로 물분자보다도 비중이 더 가벼운 미립자들로서 물 분자들에 의해 분해된 또다른 미립자들과 물질 결합작용이 이루어지면서 하상에 침전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때에 발생하는 물질이 바로 퇴적오니인 것이다.
그러나 결국에는 철의 성분들이 완전하게 분해되는 과정을 통하여 물 분자 속에 함유된 일정 부분의 성분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모든 유기물질들과 무기물질들과 인과 질소들이 물질 마찰작용과 산소와 미생물과 태양열의 작용과 물의 분자들에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과정을 통하여 오염된 수질이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로 변하게 되면서 저수장치의 하층부분에 포진하고 있기 때문에 하층수 배수장치 즉 수문에 구성되는 싸이폰을 통하여 배출하여 주게 되면 깨끗한 물만을 연속적으로 생산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물이 저수되어 있는 하층수를 싸이폰을 통하여 배출하여 주게 되 면 물질 새치기 작용과 비중의 법칙에 따라 물질이 지니고 있는 비중의 차이에 따라 자연적으로 분류되는 층류 작용에 의해 물질이 지니고 있는 고유 질량 별로 포진하고 있는 위치가 틀리기 때문에 물질 결합 작용이 이루어 지지 않으므로 인하여 오염이 가중되지 아니하고 오히려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작용이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물을 일정한 장소에 오랜시간 가두어두게 되면 물질분해작용과 물질 결합작용에 의해 오염이 더욱더 가중되므로 저수공간에 저수되어 있는 물은 항상 만수위를 유지하면서 상류에서 내려오는 물을 수문에 구성되는 싸이폰을 통해 수시로 방류하는 방법이 하천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며, 또한 저수공간의 물을 수문에 구성되는 싸이폰을 통하여 방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주게 되면 물속에 함유된 물질끼리 결합하는 물질결합작용에 의해 뭉쳐진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을 배출하여주면서 동시에 물질 가속도 현상, 물질 새치기 현상, 물질 분해 작용, 물질 부상 작용 등을 발생시켜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 시켜줌과 함께 수문의 상단부로도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약간의 물을 배출하여 물의 상부에 부유하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질들과 수문에 구성되는 싸이폰을 통하여 배출되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과 희석시켜주는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수질을 정화 시켜줌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전도식 수문의 경우 지지축이 지지구조체의 하부에 고정되어 수문의 상부로 저수공간의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문을 완전히 전도시키지 않는 한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배출할 수 없어 물질뭉침작용에 의해 퇴 적오니가 심하게 발생되어 수질오염이 가속화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며, 부상식 수문의 경우 지지축이 지지구조체의 상부에 고정되어 수문을 약간만 개방하여 수문의 하부로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배출하여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홍수시 물과 함께 대형 이물질이 같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대형 이물질이 수문을 타격하여 수문을 파손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전도식 수문의 경우 홍수시에는 저수공간의 물을 빠른 시간에 다량 방류하게 되므로 배출되는 물과 함께 돌이나 자갈 등의 이물질이 같이 배출되며, 이러한 돌이나 자갈 등의 이물질이 수로의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수문을 완전히 개방하게 되면 수문의 이면이 돌이나 자갈 등의 이물질에 의해 걸린 상태에서 실린더에 의한 지속적인 하강력이 작용되므로 마치 지렛대의 일측은 고정시킨 상태에서 반대측에 큰 하중을 받는 것과 같이 수문이 수압을 이기지 못하고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 320510 호 등에서 수문을 개방하지 않고도 사이펀 원리에 의해 저수공간 저부의 퇴적오니를 포함한 물을 수문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사이펀원리를 이용한 자동보 수문을 개시한 바 있으나, 이러한 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자동보 수문의 경우에도 수로의 바닥부에 돌이나 자갈 등의 이물질이 위치되어 수문이 완전 개방될 때 이러한 이물질과 수압에 의해 수문이 손상되는 문제는 여전히 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수로 바닥부에 돌이나 자갈 등의 이물질이 끼어 수문과 접촉되더라도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각 수문에 모두 사이펀 통로를 구성하여 수로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사이펀 통로를 통해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배출할 수 있어 하천수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도록 한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도식 수문을 측방으로 다단 구성하되, 동력을 제공하는 수문은 군데군데 설치하고 이러한 동력수문으로부터 인접한 다른 수문은 동력수문에 의해 기립되고 자중과 수압에 의해 전도되도록 무동력수문으로 구성하여 무동력수문의 자중과 수압에 의한 전도시 이물질이 걸리면 당해 무동력수문은 더 이상 전도되지 않아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각 수문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각 수문에 모두 사이펀 통로를 구성한 것이다.
물속에는 수만 가지의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물질은 무기물질성 미립자들과 유기물질성 미립자들로 구분할 수 있다,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미립자들끼리 접촉하면서 부딪히는 마찰 작용에 의해 미립자들이 분해되면서 또다른 미립자들을 생산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생산된 미립자들은 또다른 무기 및 유기물질성 미립자들과 물질 결합작용이 발생하면서 물의 무게 보다도 더 무거워진 미립자로 변형되면서 하천의 하단부에 가라앉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물의 오염이 가중되는 것이며 이러한 작용이 바로 물질 결합작용인 것이다, 이때에 발생하는 것이 바로 퇴적오니인 것이다.
또한 지구상의 모든 물질은 물 분자와 물 분자가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물질 마찰작용에 의해 완전히 분해되어 결국에는 물 분자로 변형되는 물질 순환의 과정을 통하여 물질 DNA로 변형되어 물속에서 생명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즉 모든 물질은 물질이 지니고 있는 DNA 분자로 구성되어 있어서 결국에는 최저단위 세포 즉 완전히 분해되어 존재 자체가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DNA를 이루는 극 미립자로 분해되어 있는 상태에서 즉 수분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상태에서 물 분자를 사용하고자 하는 물질에게 흡수되면서 또 다른 물질로 재탄생되는 순환의 과정을 통하여 그 물질이 지니고 있는 물질의 DNA는 계속하여 재탄생되는 순환의 과정을 이어가면서 생명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불완전한 분해 상태에 놓여 있는 물질들이 쌓이면서 즉 불완전 분해 물질인 퇴적오니들이 쌓이게 되면서 하천수의 수질이 더욱더 악화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산소가 없어도 물속 함유되어 있는 미립자들끼리 부딪히는 마찰작용이 발생하면서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이 자연적으로 분해되는데 그 작용이 바로 물질마찰작용인 것이다.
물질 폭발작용에 대하여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누를 물에 풀면 비누성분을 이루는 물질들이 물질 폭발을 하면서 물분자들 이 확장는 과정 즉 물질 폭발작용이 이루어지면서 비눗물 성분들의 사이에서 서식하는 세균들이 물질 폭발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시키는 물 분자의 뾰쪽한 부분에 찔려서 죽게 되기 때문에 물에 비누를 녹여서 비눗물로 손을 닥거나 또는 세수를 하거나 목욕을 하면 세균이 소독되는 것이다.
물 분자 속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 가지 물질분자들은 서로 좋아하는 물질도 있고 만나면 폭발하는 물질도 있기 때문에 가두어 놓은 물속에서 공기 방물이 계속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이 바로 물질 폭발 작용인 것이다.
이러한 물질 폭발작용과 물질 마찰작용에 의해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미립자들이 더욱더 미세하게 분해되는 것이다.
물질분해작용에 의해 분해된 물질은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또다른 미립자들과 물질적 결합을 하는 물질 뭉침작용이 이루어지면서 물의 비중보다도 더욱더 무거운 물질로 변하면서 상단부 배출식 저수장치의 내부에 가라앉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물질새치기작용에 의해 가두워둔 물이 더욱더 오염되는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단부 배출식 수문 또는 고무댐과 같이 저수장치의 내부에 물을 가두어두면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물질성 미립자들과 유기물성 미립자들이 서로 결합하는 물질결합작용에 의해 물의 비중보다도 가두워둔 물의 비중이 무거워진 상태로 변하기 때문에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비중이 가벼운 유기물질성 하천수들이 수문의 내부에 저수되어 있는 비중이 무거운 물의 내부로 파고들어가지 못하고 물의 표면을 스쳐 지나가는 즉 빙판에서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형태를 띠면서 그대로 하천의 하류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물의 오염이 가중되게 되는 것이다.
즉 저수장치의 내부에 가두워진 물들은 정체된 상태로 있지만 하천의 상류에서 부터 흘러 내려오는 물들은 유속이 빠르기 때문에 정체된 상태로 있는 저수된 물의 상단부를 통하여 스쳐지나가듯이 저수장치의 상단부를 통하여 먼저 빠져나가기 때문에 저수되어 있는 물들과 혼합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이 바로 물질새치기작용 인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를 이용한 수중보와 상단부 배출식 수문과 상단부 배출식 고무댐들을 이용하여 물을 가두워두게 되면 물의 오염이 가중되게 되는 이유는 상류에서 흘러내려오는 물들과 혼합되지 못하고 저수되어 있는 물을 제처두고 먼저 빠저나가는 물질 새치기작용과 저수되어 있는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미립자들끼리 부딪히는 물질 마찰작용과 분해된 물질끼리 또다시 뭉치거나 결합하는 물질결합작용과 물질 뭉침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퇴적오니들이 저수장치의 내부에 계속하여 적층됨 과 동시에 ①물속에 함유된 용존산소에 의한 자연적인 분해작용과 ②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분해작용과 ③미립자와 미립자들이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물질 마찰작용에 의한 분해작용과 ④태양열에 의해 분해되는 자연적인 분해작용과 ⑤공기와 맏닷는 대수층의 마찰력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 분해작용과 ⑥삼투압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 분해작용과 ⑦중력의 압력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 분해작용과 ⑧모세관 현상에 의한 물질 분해작용들에 의해 그 퇴적오니들이 자연적으로 분해되면서 또다른 미립자들을 발생 시킴과 동시에 또다시 물질마찰작용과 물질분해작용과 물질 결합작용과 물질 뭉침작용에 의해 또다른 미립자들을 연속적으로 발생 시킴으로 인하여 물 의 오염이 더욱더 가중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무댐의 일부에 하층수 배출장치를 설치하여 일부분의 하천수를 배출하도록 구성하여 주거나, 또는 전도식 수문의 일부분에 싸이폰 통로를 설치하여 하천의 상류로 부터 유입되는 유입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방식의 저수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가두워두게 되면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이 비중이 가벼운 물들을 제쳐두고 먼저 빠져나가는 물질새치기 작용에 의해 저수장치에 가두워둔 오염된 물들은 물질 결합작용과 물질 뭉침작용이 더욱더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더욱더 오염이 가중되게 되는 것이다.
즉 비중이 무거운 물들이 비중이 가벼운 물들을 옆으로 제처 놓고 그 사이를 통하여 먼저 빠져나가는 작용에 의해 밀려난 물들은 물질 결합이 더욱더 활발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의 오염이 가중되는 것으로서 그 원리를 물질 새치기 작용이다라고 칭한다.돌을 물에 던지면 물을 밀어 내고 물속으로 가라앉는 원리가 바로 물질 새치기작용인 것이다.
다음은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살아나게 되는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에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약 60만여종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그속에 함유되어 있는 모든 물질은 물질고유의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그 질량에 따라 저수된 물에 포진하고 있는 위치가 다르다.
즉 물질 별로 차지하고 있는 층이 다른데 이러한 현상을 층류작용이다라고 칭한다.
똑같은 질소성 성분과 인의 성분이어도 그 미립자들이 분해되어 있는 크기에 따라서 포진하고 있는 층이 다르게 되는 것이다.
즉 오염물질의 비중이 0.99999998 인 물질이 비중 1 인 물질 또는 비중0.99999999의 물질속으로 절대로 파고 들어 가지 못하게 되는 것은 바로 중력의 힘 때문인 것이다. 이는 기름이 물에 뜨는 원리와 같다.
이와 같은 현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코올리의 힘 즉 중력의 작용 때문인 것이다.
이와 같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층류작용을 계속하여 유지하고 있게 되는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저수하여 놓게 되면 비중이 다른 오염물질과 물분자의 미립자 물질이 뭉치거나 결합하는 점성력에 의해 발생하는 물질 뭉침작용과 물질 결합작용이 발생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물의 오염이 가중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하천수를 저수장치의 상단부로 배출하는 상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설치하여 물을 가두어두게 되면 물 속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분자와 오염물질의 미립자들이 뭉쳐지는 물질 뭉침작용과 물질 결합작용들에 의해 물의 오염이 가중되게 되지만, 저수장치의 하단부 즉 하단부 배출식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양 많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가두워 두게 되면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를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의 하단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입수 만큼만을 상시 배출하여 줄수가 있기 때문에 물의 오염이 가중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미립자와 미립자들이 ①물속에 함유된 용존산소에 의한 자연적 인 분해작용과 ②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분해작용과 ③미립자와 미립자들이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물질 마찰작용에 의한 분해작용과 ④태양열에 의해 분해되는 자연적인 분해작용과 ⑤공기와 맏닷는 대수층의 마찰력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 분해작용과 ⑥삼투압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 분해작용과 ⑦중력의 압력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 분해작용과 ⑧모세관 현상에 의한 물질 분해작용들에 의해 기존의 미립자들보다도 더 작게 분해됨과 함께 이러한 작용들에 의해 분해된 미립자들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저수되어 있는 물의 상층부로 이동되면서 또다시 이상과 같은 8대 자연 정화 작용에 의해 더욱더 미세하게 분해하는 작용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하천수에 함유되어 있는 아주 깨끗한 물들이 지니고 있는 "물질 보존의 법칙"의 작용이 동시에 자연적으로 발생되면서 물분자와 결합되거나 물분자의 내부에 끼어 있는 오염된 물들은 물분자로 부터 이탈되어 나오면서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의 상층부로 이동되는 과정을 통하여 또다시 자연분해됨과 동시에 오염된 미립자들과 결합 되어 있는 상태에서 오염된 미립자들을 이탈 시킨 상태에 있는 아주 깨끗한 순수한 물들은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의 하단부를 통하여 하천의 하류로 이동하게 되는 자연적인 순환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면서 오염된 물들이 자연적으로 정화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들이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오염된 하천수들이 자연적으로 정화되도록 하기 위해선 하천의 횡단 전단면 전폭과 하천의 종단면 전체에 다단계 저수 시스템을 설치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인과 작용들로 인하여 물의 오염이 가중되기도 하고 오염된 물들이 살아나기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물을 저수하여 놓는 방식을 하단부 배출식으로 하느냐 아니면 상단부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하느냐에 따라서 물의 오염이 가중되기도 하고 오염된 물이 살아나기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인지하여 수문의 폐쇄시에도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방식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 이물질이 수로의 바닥부에 위치된다 하더라도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최소한의 동력수문과 이러한 동력수문의 기립시 같이 기립되고 또 자중과 수압에 의해 전도되는 다수의 무동력수문이 수문을 이루게 되므로 각 동력수문을 구동하면 모든 무동력수문이 같이 기립되어 수로의 폐쇄 동작을 수행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고, 또 각 동력수문이 전도되면 모든 무동력수문이 자유상태가 되어 이때부터 자중과 수압에 의해 전도될 수 있으므로 수로의 개방 동작을 수행하는 것 역시 전혀 문제가 없으며, 만일 각 수문의 전도시 돌이나 자갈 등의 이물질이 무동력수문의 이면과 접촉되더라도 무동력수문은 그 상태 그대로 멈출 수 있어 수문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수문이 모두 폐쇄된 상태에서도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각 수문의 사이펀 통로를 통해 각 수문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저수공간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음은 물론 사이펀 통로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물질마찰작용과 물질분리작용에 의해 깨끗한 물분자로부터 오염물질분자를 분리할 수 있고, 중 력과 비중의 작용과 물질 새치기작용과 물질 밀림작용에 의해 깨끗한 물분자는 하천의 하층부에 포진하여 빠른 속도로 빠져나가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들은 하천의 상층부에 포진하여 배출된 하천수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된 각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이 동력수문의 사이에 다수의 무동력 수문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의 수문 상세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이 동력수문의 사이에 하나의 무동력 수문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의 수문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의 기립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의 전도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은, 양측 지지구조체(100) 하부 사이에 고정축(102)을 고정하고, 양측 지지구조체(100) 사이의 수로(10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고정축(102)에는 수문(200)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한 전도식 수문에 있어서, 양측 지지구조체(100)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축(102)의 중간 중간에는 고정링크(211)를 고정하고, 각 고정링크(211) 위치 외측에는 내부가 빈 형상의 동 력수문(210)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위치시키며, 각 동력수문(210)의 내상부에는 작동실린더(212)를 각각 고정함과 동시에 그 피스톤로드(213)의 선단부는 고정축(102)에 고정된 각 고정링크(21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각 동력수문(210)이 각 작동실린더(212)의 신축에 따라 기립 또는 전도되게 하고, 다수의 무동력수문(220)을 각 동력수문(21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고정축(102)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하여 각 동력수문(210)과 각 무동력수문(220)이 수문(200)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각 동력수문(210)의 배수측면 일측 또는 양측으로 인접한 무동력수문(220)의 배수측면이 걸리도록 걸림돌기(214)를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연속 형성하며, 무동력수문(220)은 인접한 위치에 무동력수문(220)이 있는 경우에만 그 배수측면 일측으로 인접한 다른 무동력수문(220)의 배수측면이 걸리도록 걸림돌기(224)를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연속 형성하여 각 동력수문(210)의 기립에 따라 각 무동력수문(220)이 같이 기립되게 하고, 각 동력수문(210)이 전도되면 각 무동력수문(220)은 자중과 수압에 의해 전도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도 2와 같이 각 동력수문(210)의 사이에 무동력수문(220)이 3개 위치한다면 동력수문(210)은 그 배수측면 양측으로 각각 걸림돌기(214)를 형성하고, 무동력수문(220) 중 동력수문(210)과 인접한 무동력수문(220)은 그 배수측면 일측에만 각각 걸림돌기(224)를 형성하며, 양측으로 무동력수문(220)이 인접해있는 중간에 위치한 무동력수문(220)에는 걸림돌기(224)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고, 도 3과 같이 각 동력수문(210)의 사이에 무동력수문(220)이 1개만 위치한다면 동력수문(210)은 그 배수측면 양측으로 각각 걸림돌기(214)를 형성하고, 무동력수문(220)에는 걸림돌기(224)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각 걸림돌기(214)(224)의 무동력수문 접촉면에는 패킹부재(215)(225)를 부착하여 각 수문(210)(220)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자명하다.
또한, 각 동력수문(210)과 각 무동력수문(220)의 저수측면 하부 일측으로부터 상부 위쪽까지 사이펀 통로(216)(226)를 형성하여 각 수문(210)(220)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며, 각 사이펀 통로(216)(226)의 입수구(217)(227)측에는 각 수문(210)(220)의 기립 또는 전도에 따라 사이펀 통로(216)(226)를 개폐하는 개폐문(218)228)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219와 229는 사이펀 통로(216)(226)를 통해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동력수문(210) 내부에 위치된 각 작동실린더(212)가 신장되면 그 피스톤로드(213)가 고정링크(211)를 밀어주게 되고, 고정링크(211)는 고정축(102)에 고정된 상태에 있으므로 반작용에 의해 각 동력수문(210)이 기립된다.
각 동력수문(210)이 기립되면 각 동력수문(210)에 형성된 걸림돌기(214)가 동력수문(210)과 인접한 무동력수문(220)의 배수측면과 접촉되면서 무동력수문(220)이 동력수문(210)과 같이 기립되며, 동일한 원리로 무동력수문(220)의 걸림돌기(224)에 인접한 다른 무동력수문(220)이 접촉되어 같이 기립될 수 있고, 각 동 력수문(210)과 각 무동력수문(220)이 모두 기립되면 양측 지지구조체(100) 사이의 수로(101)가 폐쇄되어 저수공간에 물이 차오르게 된다.
이때, 각 수문(210)(220)의 저수측면 하부 일측으로부터 상부 위쪽까지 사이펀 통로(216)(2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사이펀 통로(216)(226)의 입수구(217)(227)는 각 수문(210)(220)의 기립과 동시에 자중에 의해 개폐문(218)(228)이 하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저수공간의 하층수는 이러한 입수구(217)(227)를 통해 유입되어 사이펀 통로(216)(226)를 거쳐 배수구(219)(229)를 통해 각 수문(210(220)의 외부로 배출되며, 저수공간의 하층부에는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이 쌓여있다가 하층수의 배출시 이러한 배출되는 물에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이 같이 배출되므로 저수공간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한 저수공간 하층수의 배출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물질마찰작용과 물질분리작용에 의해 순수한 물분자로부터 오염물질분자가 서로 분리되고, 중력과 비중의 작용과 물질 새치기작용과 물질 밀림작용에 의해 깨끗한 물분자는 하천의 하층부에 포진하여 빠른 속도로 빠져나가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들은 하천의 상층부에 포진할 수 있어 각 수문(210)(220) 너머로 배출되어 하천을 따라 흘러내려가는 하천수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로(101)의 폐쇄 상태에서 각 작동실린더(212)를 수축시키게 되면 각 동력수문(210)이 전도되면서 각 무동력수문(220)이 자유상태가 되며, 각 무동력수문(220)은 자중과 수압에 의해 전도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런데, 저수공간의 물이 급격하게 빠져나가는 경우 돌이나 자갈 등의 이물질이 물과 같이 배출되다가 하방향으로 가라앉아 수로의 바닥부에 위치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수문이 전도되면 이물질과 수문의 이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동력이 작용되어 수문을 손상시킬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이를 감안하여 다수의 무동력수문(220)을 구비한 것으로, 각 수문(210)(220)이 동력 또는 자중과 수압에 의해 전도될 때 이물질이 무동력수문(220)의 이면, 즉 배수측면에 걸리게 되면 무동력수문(220)은 전도시에는 이를 구속하는 동력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더 이상 전도되지 않고 이물질이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무동력수문(2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동력수문(210)의 이면, 즉 배수측면에 이물질이 걸리게 되면 동력수문(210)의 손상 우려가 있으나, 전체 수문(200)의 폭을 감안할 때 동력수문(210)의 이면에 이물질이 걸릴 확률은 현저히 낮게 되므로 동력수문(210)의 손상 가능성을 감안한다고 하더라도 종래 전도식 수문에 비해 이물질에 의한 수문(200)의 손상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양측 지지구조체(100) 사이에 고정축(102)을 고정하고, 여기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동력수문(210)의 내부에 동력수단인 작동실린더(212)가 위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동력수문(210)의 내부에 작동실린더(212)를 구비하는 대신 동력수문(210)의 외부에 작동실린더를 연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등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각 수문(210)(220)의 기립 또는 전도에 따라 사이펀 통로(216)(226)의 입수구(217)(227)를 개폐해주는 개폐문(218)(228)은 무동력으로 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개폐문(218)(228)에 동력을 제공하여 각 수문(210)(220)의 기립 또는 전도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에 따라 사이펀 통로(216)(226)의 입수구(217)(227)를 자동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제 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의 기립시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의 전도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의 하부 걸림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가 적용되는 전도식 수문은, 수문(300)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회전축(310)을 양측 지지구조체(100)의 하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양측 지지구조체(100)의 안쪽에는 밀폐공간(미도시)을 각각 구성하여 이 밀폐공간에 위치된 회전축(310)에 작동링크(311)를 각각 고정하고, 밀폐공간의 일측에는 작동실린더(312)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작동실린더(312)의 피스톤로드(313) 선단부는 작동링크(31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작동실린더(312)의 신축에 따라 수문(300)을 회전시켜 기립 또는 전도되게 함으로써 수로를 개폐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때, 도면상에는 밀폐공간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지구조체(100)에 밀폐공간을 형성하여 기계실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은 유압 전도식 수문에 있어서 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도시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전도식 수문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나란하게 배치되어 서로 분리 회전되도록 다수의 무동력수문(320)을 회전축(31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수문(300)을 이루도록 하고, 회전축(310)으로부터 각 무동력수문(320)의 배수측면 외부 위치로 작동간(314)을 각각 인출하여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라 각 무동력수문(310)이 중력과 자중에 의해 전도될 수 있고 또 각 작동간(314)에 의해 각 무동력수문(320)을 기립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각 무동력수문(320)의 작동간 하부 위치에는 작동간(314)이 고정된 상태에서 이물질에 걸려 무동력수문(320)이 회전될 때 그 회전동작이 작동간(314)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가이드홈(321)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각 무동력수문(320)의 저수측면 하부 일측으로부터 상부 위쪽까지 사이펀 통로(322)를 형성하여 각 무동력수문(320)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며, 각 사이펀 통로(322)의 입수구(323)측에는 각 무동력수문(320)의 기립 또는 전도에 따라 사이펀 통로(322)를 개폐하는 개폐문(324)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325는 사이펀 통로(322)를 통해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양측 지지구조체(100)의 밀폐공간에 위치한 작동실린더(312)가 수축되면 그 피스톤로드(313)가 작동링크(311)를 당겨주게 되고, 작동링크(311)는 회전축(3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축(310)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310)으로부터 각 무동력수문(320) 배수측면 외부 위치로 작동 간(314)이 각각 인출되어 있으므로 회전축(310)이 회전되면 각 작동간(314) 역시 회전되면서 각 무동력수문(320)의 배수측면을 밀어주게 되며, 각 무동력수문(320)은 그 압력에 의해 한꺼번에 기립되어 수로(101)를 폐쇄하게 되고, 저수공간에는 물이 차오르게 된다.
이때, 각 무동력수문(320)의 저수측면 하부 일측으로부터 상부 위쪽까지 사이펀 통로(3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사이펀 통로(322)의 입수구(323)는 각 무동력수문(320)의 기립과 동시에 자중에 의해 개폐문(324)이 하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저수공간의 하층수는 이러한 입수구(323)를 통해 유입되어 사이펀 통로(322)를 거쳐 배수구(325)를 통해 각 무동력수문(320)의 외부로 배출되며, 저수공간의 하층부에는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이 쌓여있다가 하층수의 배출시 이러한 배출되는 물에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이 같이 배출되므로 저수공간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한 저수공간 하층수의 배출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물질마찰작용과 물질분리작용에 의해 순수한 물분자로부터 오염물질분자가 서로 분리되고, 중력과 비중의 작용과 물질 새치기작용과 물질 밀림작용에 의해 깨끗한 물분자는 하천의 하층부에 포진하여 빠른 속도로 빠져나가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분자들은 하천의 상층부에 포진할 수 있어 각 무동력수문(320) 너머로 배출되어 하천을 따라 흘러내려가는 하천수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로(101)의 폐쇄 상태에서 각 작동실린더(312)를 신장시키게 되면 각 무동력수문(320)을 받쳐주고 있던 작동간(314)이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라 같 이 회전하면서 각 무동력수문(320)이 자유상태가 되므로 각 무동력수문(320)은 그 자중과 중력에 의해 전도되어 수로(101)가 개방될 수 있으며, 수로(101)가 개방되면 각 무동력수문(320)의 위쪽으로 저수공간의 물이 빠져나가 방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저수공간의 물이 급격하게 빠져나가는 경우 돌이나 자갈 등의 이물질이 물과 같이 배출되다가 하방향으로 가라앉아 수로(101)의 바닥부에 위치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수문에 전도되는 방향으로 동력이 제공된다면 이물질과 수문의 이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공된 동력에 의한 힘이 작용되어 수문을 손상시킬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의 무동력수문(320)을 회전축(3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전도시에는 무동력수문(320)의 자중 및 중력에 의해 전도되게 하고 또 회전축(310)으로부터 각 무동력수문(320)의 배수측면 위치로 작동간(314)을 각각 인출하여 기립시에는 회전축(310)으로부터 인출된 각 작동간(314)에 의해 한꺼번에 각 무동력수문(320)을 기립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회전축(310)이 전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각 무동력수문(320)이 자중과 중력에 의해 전도될 때 이물질이 무동력수문(320)의 이면, 즉 배수측면에 걸리게 되면 무동력수문(320)은 전도시에는 이를 구속하는 동력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더 이상 전도되지 않고 이물질이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나머지 다른 무동력수문(320)들은 그대로 전도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무동력수문(320)은 전도시에 동력이 전혀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중과 중력에 의해서 만 전도되는 것이므로 무동력수문(320)과 수로(101)의 바닥부 사이에 이물질이 존재하게 되면 당해 무동력수문(320)은 이물질이 걸리는 위치까지만 전도되다가 이물질이 걸린 상태 그대로 멈추게 되므로 이물질이 걸린 상태에서도 지속적인 동력 제공에 의해 무리하게 회전하려는 힘에 의한 수문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무동력수문(320)이 이물질에 걸려 멈춘 상태에서도 회전축(310)은 완전 전도식까지 계속 회전되므로 회전축(310)에 고정된 작동간(314) 역시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되는데, 각 무동력수문(320)의 작동간 하부위치에는 가이드홈(3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무동력수문(320)이 이물질에 의해 멈춘 상태에서 회전축(310)이 회전되더라도 작동간(314)이 가이드홈(321)을 따라 움직이게 되어 무동력수문(320)의 손상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회전축(310)의 회전동작을 전혀 방해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각 무동력수문(320)의 기립 또는 전도에 따라 사이펀 통로(322)의 입수구(323)를 개폐해주는 개폐문(324)은 무동력으로 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개폐문(324)에 동력을 제공하여 각 무동력수문(320)의 기립 또는 전도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에 따라 사이펀 통로(322)의 입수구(323)를 자동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이 동력수문의 사이에 다수의 무동력 수문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의 수문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이 동력수문의 사이에 하나의 무동력 수문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의 수문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의 기립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의 전도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의 기립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의 전도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단 전도식 수문의 하부 걸림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지구조체 101 : 수로
102 : 고정축 200,300 : 수문
210 : 동력수문 211 : 고정링크
212,312 : 작동실린더 213,313 : 피스톤로드
214,224 : 걸림돌기 215,225 : 패킹부재
216,226,322 : 사이펀 통로 217,227,323 : 입수구
218,228,324 : 개폐문 219,229,325 : 배수구
220,320 : 무동력수문 310 : 회전축
311 : 작동링크 321 : 가이드홈

Claims (2)

  1. 양측 지지구조체(100) 하부 사이에 고정축(102)을 고정하고, 상기 양측 지지구조체(100) 사이의 수로(10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102)에는 수문(200)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전도식 수문의 구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측 지지구조체(100)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축(102)의 중간 중간에는 고정링크(211)를 고정하고, 상기 각 고정링크(211) 위치 외측에는 내부가 빈 형상의 동력수문(210)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위치시키며, 상기 각 동력수문(210)의 내상부에는 작동실린더(212)를 각각 고정함과 동시에 그 피스톤로드(213)의 선단부는 상기 고정축(102)에 고정된 각 고정링크(21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상기 각 동력수문(210)이 상기 각 작동실린더(212)의 신축에 따라 기립 또는 전도되게 하고;
    다수의 무동력수문(220)을 상기 각 동력수문(21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축(102)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하여 상기 각 동력수문(210)과 상기 각 무동력수문(220)이 상기 수문(200)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각 동력수문(210)의 배수측면 일측 또는 양측으로 인접한 무동력수문(220)의 배수측면이 걸리도록 걸림돌기(214)를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연속 형성하며, 상기 무동력수문(220)은 인접한 위치에 무동력수문(220)이 있는 경우에만 그 배수측면 일측으로 인접한 다른 무동력수문(220)의 배수측면이 걸리도록 걸림돌기(224)를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연속 형성하여 상기 각 동력수문(210)의 기립에 따라 상기 각 무동력수문(220)이 같이 기립되게 하고, 상기 각 동력수문(210)이 전도되면 상기 각 무동력수문(220)은 자중과 수압에 의해 전도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각 동력수문(210)과 상기 각 무동력수문(220)의 저수측면 하부 일측으로부터 상부 위쪽까지 사이펀 통로(216)(226)를 형성하여 상기 각 수문(210)(220)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저수공간 및 하천의 수질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2. 수문(300)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회전축(310)을 양측 지지구조체(100)의 하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양측 지지구조체(100)의 안쪽에는 밀폐공간을 각각 구성하여 이 밀폐공간에 위치된 회전축(310)에 작동링크(311)를 각각 고정하고, 밀폐공간의 일측에는 작동실린더(312)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작동실린더(312)의 피스톤로드(313) 선단부는 작동링크(31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상기 작동실린더(312)의 신축에 따라 상기 수문(300)을 회전시켜 기립 또는 전도되게 함으로써 수로(101)를 개폐하도록 구성한 전도식 수문의 구성방법에 있어서,
    나란하게 배치되어 서로 분리 회전되도록 다수의 무동력수문(320)을 상기 회전축(31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상기 수문(300)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회전축(310)으로부터 상기 각 무동력수문(320)의 배수측면 외부 위치로 작동간(314)을 각각 인출하여 상기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 무동력수문(320)이 중력과 자중에 의해 전도될 수 있고 또 상기 각 작동간(314)에 의해 상 기 각 무동력수문(320)을 한꺼번에 기립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각 무동력수문(320)의 작동간 하부위치에는 상기 작동간(314)이 고정된 상태에서 이물질에 걸려 상기 무동력수문(320)이 회전될 때 그 회전동작이 상기 작동간(314)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가이드홈(321)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 무동력수문(320)의 저수측면 하부 일측으로부터 상부 위쪽까지 사이펀 통로(322)를 형성하여 상기 각 무동력수문(320)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저수공간의 하층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저수공간 및 하천의 수질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KR20070115164A 2007-11-13 2007-11-13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KR101042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5164A KR101042852B1 (ko) 2007-11-13 2007-11-13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5164A KR101042852B1 (ko) 2007-11-13 2007-11-13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9103A true KR20090049103A (ko) 2009-05-18
KR101042852B1 KR101042852B1 (ko) 2011-06-24

Family

ID=4085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15164A KR101042852B1 (ko) 2007-11-13 2007-11-13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8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8819A (ko) 2013-07-19 2013-08-08 한민섭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KR20130089629A (ko) 2013-07-23 2013-08-12 한민섭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KR101458583B1 (ko) * 2012-08-14 2014-11-10 주식회사 청천하이테크 전도식 가동보
KR102313579B1 (ko) 2021-05-28 2021-10-18 주식회사한성정공 친환경 가동보 시스템
KR102337283B1 (ko) 2021-09-02 2021-12-08 주식회사한성정공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6314A (en) 1979-04-09 1980-10-24 Sakai Tekkosho:Kk Tumbling gate
JPS58195617A (ja) 1982-05-10 1983-11-14 Kurimoto Iron Works Ltd サイフオン付水門扉
KR100627032B1 (ko) 2003-06-10 2006-09-26 한상관 부유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 역할에 의해 수문본체를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자동보 수문본체
KR20090042671A (ko) * 2007-10-26 2009-04-30 한상관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583B1 (ko) * 2012-08-14 2014-11-10 주식회사 청천하이테크 전도식 가동보
KR20130088819A (ko) 2013-07-19 2013-08-08 한민섭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KR20130089629A (ko) 2013-07-23 2013-08-12 한민섭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KR102313579B1 (ko) 2021-05-28 2021-10-18 주식회사한성정공 친환경 가동보 시스템
KR102337283B1 (ko) 2021-09-02 2021-12-08 주식회사한성정공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852B1 (ko)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4656A (ko) 하천수를 저장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권양기 수문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친환경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력 생산기 겸용 이물질제거용 권양기 수문
KR20090130165A (ko) 하천 또는 강의 전단면 전폭에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구축하여 하층부에 포진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우선 배출하는 공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KR101042852B1 (ko)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KR20070021288A (ko) 오염된 물을 자연적으로 정화하는 방법
KR100990621B1 (ko)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수문을 이용하여하천의 수질을 개선하는 방법
KR20090079272A (ko)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수문의 구성방법
KR101028991B1 (ko)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사이펀 통로를 갖는 수문을 이용하여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KR20060116184A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20130036115A (ko)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는 주도록 2유입구와 4개의 배출구가 구성되는 다기능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 정화장치
KR101363621B1 (ko)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수문
KR20070012746A (ko)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 정화시키는 수문
KR20090040413A (ko) 저수지 또는 수중보 또는 고무보의 저수공간에 저수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키는 공법
KR101468197B1 (ko) 어도를 형성시켜 주면서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 주는 수질정화용 수문
KR20090042671A (ko)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KR20070108437A (ko) 회전수문과 그 회전을 조절하는 종합컨트롤시스템에 의해발생되는 물질 새치기 작용과 물질 보존본능의 법칙을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100812595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20150087161A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면서 자동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삼각형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
KR20090038776A (ko) 고무댐과 사이펀 구조체를 복합 구성하여 오염된 하천수의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KR101028992B1 (ko) 저장수의 하층부에 포진하고 있는 깨끗한 물을 우선적으로 배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수질이 되도록 정화시켜주는 방법
KR20130105585A (ko) 강이나 호수 또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모든 종류의 오염물질분자들과 쓰레기들을 완벽하게 수거하여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 제거 시스템
KR20090039566A (ko) 회전수문과 사이펀 구조체를 복합 구성하여 사이펀 원리에의해 하천수의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KR20090060988A (ko)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를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공법
KR100852014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100686885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회전수문의 구성방법
KR20070003747A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