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629A -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629A
KR20130089629A KR1020130087026A KR20130087026A KR20130089629A KR 20130089629 A KR20130089629 A KR 20130089629A KR 1020130087026 A KR1020130087026 A KR 1020130087026A KR 20130087026 A KR20130087026 A KR 20130087026A KR 20130089629 A KR20130089629 A KR 20130089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cylinder
water
operating
multifunctional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303B1 (ko
Inventor
한민섭
Original Assignee
한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섭 filed Critical 한민섭
Priority to KR102013008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303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05Y2600/322Rotary motion around a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arrag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하단부 톱니기어(11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의 상단부에 상단부 톱니기어(10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와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상부에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를
Figure pat00005
자 형태로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 상부에 실린더로드(201)와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200)를 고정식으로 부착하는 과정과;
실린더브라켓(202)에
실린더로드(310)와 결합된 실린더(3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에 감속 로울러(203)와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실린더 브라켓(2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브라켓(202)일측에 로울러흰지(300)를 이용하여 감속 로울러(203)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202)의 타측에 실린더흰지(301)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302)후면부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로프 작동대(31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에 상기로프작동대(313)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로프작동대 브라켓(303)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브라켓(303)와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를 로프작동대흰지(311)를 이용하여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중간부에 실린더로드흰지(312)를 구성시킨후 상기 실린더로드(310)와 상기 실린더 로드 흰지(312)를 흰지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상단부에 로프고정흰지(50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고정흰지(500)에 제1 로프(600)의 일단부(501)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501)를 길게 늘려 트려서 상기 감속 로울러(203)을 10~50 바퀴 정도 감은 후에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로프(102)의 일단부를 결합하는 과정과;
하천바닥을 준설한 후 정리하고 기초콘크리트(120)를 설치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에 일단부 일측에 제1 로울러(211)를 구성 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에 수문의 흰지(122)를 구성시킨후 상기 수문의 흰지(122)에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8000)을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8000)을 과정과;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상단부에 수압을 버팅겨 주는 수압 대응봉(131)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압대응봉(131)의 상단부에 상기 제2 로프 고정대(150)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의 바닥의 중간에 제2 로울러(21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문판(8000)과 상기 제2 로울러(212)의 사이에 10cm~30cm정도의 넓이로 제2 로프 지지판(31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제2 로프 지지판(310)의 상부에 제3 로울러(21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와 상기 제1로울러(211)와 상기 제2 로울러(212)와 상기 제3 로울러(213)와 상기 제2 로프 고정대(150) 사이를 상기 제2 로프(102)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을 수행 할 때에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하단부에 어도를 겸하면서 비중이 무거운 저층수 배출통로(130)을 다수개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저층수 배출 통로(130)의 전면부에 어도조절수문(132)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132)의 상부에 상기 어도조절수문(132)을 조절하여주는 제3 로프연결 고리(53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하단부 톱니기어(11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의 상단부에 상단부 톱니기어(10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와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상부에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를
Figure pat00006
자 형태로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 상부에 실린더로드(201)와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200)를 고정식으로 부착하는 과정과;
실린더브라켓(202)에
실린더로드(310)와 결합된 실린더(3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에 감속 로울러(203)와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실린더 브라켓(2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브라켓(202)일측에 로울러흰지(300)를 이용하여 감속 로울러(203)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202)의 타측에 실린더흰지(301)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302)후면부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로프 작동대(31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에 상기로프작동대(313)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로프작동대 브라켓(303)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브라켓(303)와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를 로프작동대흰지(311)를 이용하여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중간부에 실린더로드흰지(312)를 구성시킨후 상기 실린더로드(310)와 상기 실린더 로드 흰지(312)를 흰지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상단부에 로프고정흰지(50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고정흰지(500)에 제1 로프(600)의 일단부(501)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501)를 길게 늘려 트려서 상기 감속 로울러(203)을 10~50 바퀴 정도 감은 후에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로프(102)의 일단부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에 일단부 일측에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1조절 로울러(511)를 구성 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 바닥에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2 조절로울러(55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1조절 로울러(511)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2 조절로울러(252)와 상기 제3 로프연결 고리(533)와 상기 제2 로프(102)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본 발명은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우선적으로 배출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되, 갈수기에 하천수가 수문의 저층수 배출유도 통로를 통해 모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천 수량을 일정량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산업 사회의 발전으로 인해 하천수를 오염시키는 다양한 물질들이 존재한다.
이들물질들이 아무런 여과장치 없이 그대로 하천으로 유입되다보니 하천수의 오염은 물론 정화되지 않은 하천수들이 그대로 바다로 유입되다보니 바다 또한 오염시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에서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들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정수한 후 정수된 깨끗한 하천수들을 하천으로 흘러보내고자 창안된 기술이다.
또한 물을 저장하여 농사용 또는 공업용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기 위해 하천, 저수지의 여수로(余水路) 또는 관계 용수로에는 수중보 또는 수문이 설치되어 저수측(貯水側)의 수위를 항상 일정 높이로 유지하여 주게 된다.
종래 수중보는 대부분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유입수가 수중보의 상부로 넘쳐흐르는 방식으로 배출되므로 저장된 물속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저수측의 하단부에 지속적으로 쌓여 퇴적오니가 누적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퇴적오니로 인해 병원성 세균 또는 해충의 발생이 심각해지는 등 2차 오염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 0821690호와 등록실용신안 제 320510 호 와 공개번호 10-2012-0094877호 와 공개번호 10-2011-0060875호 와 10-2011-0047182호 와 공개번호 10-2011-0116102호와 공개번호 10-2011-0086678호와 공개번호 10-2011-0042275호와 공개번호 10-2012-0090916호와 공개번호 10-2012-0086681호와 10-2011-0060876호와 10-2010-0020019호와 등에서 수문을 개방하지 않고도 사이펀 원리에 의해 저수공간 저부의 퇴적오니를 포함한 저층수를 수문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을 개시한 바 있다.
발명특허 제10-01233804호 ,특허등록 번호10-0891621호 ,등록번호10-1027047호,특허등록번호10-0949325호 ,특허등록번호10-1006170호. 특허공개번호10-2011-0094778호,특허등록번호10-0791422호,특허 등록 번호10-0791422호,실용신안등록번호20-0459753호, 특허등록번호10-1129407호,특허공개번호10-2012-0133855호, 특허등록제 0821690호, 특허 공개번호 10-2011-0086678호 ,특허 공개번호 10-2011-0073414호 ,특허공개번호 10-2006-0126869호, 특허 공개번호 : 10-2005-0080009호,특허 공개번호 : 10-2003-0041915호, 특허 공개번호 10-2009-0049103호, 특허 공개번호 : 10-2003-0063267호 ,특허공개번호 10-2008-0009252호 ,특허공개번호 10-2008-0009253호 특허공개번호 10-2012-0086681호 ,특허공개번호 10-2012-0094877호 ,특허공개번호10-2011-0060875호,특허공개번호 10-2007-0105949호 ,특허공개번호 10-2009-0043689호, 특허공개번호10-2006-0130538호,특허 공개번호 : 10-2006-0121793호,특허공개번호10-2007-0003747호 특허공개번호10-2007-0083441호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공법들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함과 동시에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의 힘을 이용하여 더 효율적으로 정화시켜줌과 동시에 가뭄철에도 저장된 물들이 모두 빠저 나가지 않도록 구성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에서는 가뭄철에 저장된 하천수들이 자동으로 빠저나가는 현상을 방지 시키고자 가동보 수문의 내부에 구성되는 싸이폰통로의 크기를 하부는 넓게 구성하고 중간에는 약간 꺽이는 형태로 하고 상부는 넓게 구성하여 가뭄철에 저장된 하천수가 모두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하여줌과 동시에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저층수 배출통로를 구성하여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우선적으로 배출하여주도록 구성되는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제시한다
저수공간의 하층부에 포진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해 줌으로 인해 항상 저수공간의 하층부분에 포진하여 있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층수가 우선 배출됨과 동시에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이 같이 배출되어 저수공간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다기능 가동보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우선 배출되는 과정에서 물질마찰작용, 물질부상작용, 물질새치기작용, 물질폭발작용이 자연적으로 발생되어 물속에 포함된 오염물질들이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소멸 될 수 있어 하천수의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대용량 저수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면 대용량의 물을 저수하여 놓을 수가 있음은 물론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적은 비용을 들여서 손쉽게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킬 수 있으며, 오염된 하천수가 자연에 의해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자연정화 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완전무결한 깨끗한 하천수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낼 수가 있고, 염소와 불소와 같은 화학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깨끗한 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단부 배출식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하천수를 저장하여 놓게 되면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가 비중이 무거운 하천수에 의해 저수공간의 좌,우측으로 밀려나면서 발생시키는 물질결합작용으로 인해 저수공간의 물을 더욱더 오염시키는 작용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비중이 무거운 하천수를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줌으로 인해 오염된 하천수가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작용효과가 발생함과 동시에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자연생태계를 살려내는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즉 다기능 가동보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배출통로를 통하여 상시 물이 흐르고 있으므로 물고기가 다기능 가동보의 하단부를 통하여 하류로 이동하거나 상류로 이동할 수 있어 생태계를 복원 또는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무리 많은 물을 가두어 두어도 저장된 물이 썩지 않기 때문에 대용량의 물을 가두어 둘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수를 지속적으로 저장해 놓음으로 인히여 발생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하천 인근의 산과 들에는 수분의 함유량이 높은 상태의 토질을 유지하고 있게 되면서 수분을 항상 필요로 하는 식물들과 나무들의 성장을 촉진하여 주는 동시에 수분에 항상 젖어 있는 낙엽들이 담뱃불과 같은 화력에 의해 쉽게 점화되지 못하기 때문에 산불발생을 사전에 예방하여주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가뭄에 따른 토지의 사막화를 막아주는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산림녹화의 촉진작용을 도와주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이 설치되는 하천의 상류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이 설치되는 하천의 하류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 제1과 제3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전도시켰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기립 시켰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 제3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이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기립시켰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 제3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에 적용되는 작동용 실린더와 비상실린더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 제4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이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과 결합된 로프를 당기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 제4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이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과 결합된 로프를 풀어 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 제10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 제5의 실시 예에 따라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에 적용되는 비상 정지 시스템의 좌측 방향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 제5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에 적용되는 비상 정지 시스템의 우측 방향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 제2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어도 통로를 조절하여 주는 어도 조절수문의 분해사시도
다음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이 설치되는 하천의 상류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발명 제1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이 설치되는 하천의 하류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3은 본 발명 제1과 제3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의 사시도 이다.
로프로 작동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에 있어서
하단부 톱니기어(11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의 상단부에 상단부 톱니기어(10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와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상부에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를
Figure pat00001
자 형태로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 상부에 실린더로드(201)와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200)를 고정식으로 부착하는 과정과;
실린더브라켓(202)에
실린더로드(310)와 결합된 실린더(3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에 감속 로울러(203)와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실린더 브라켓(2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브라켓(202)일측에 로울러흰지(300)를 이용하여 감속 로울러(203)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202)의 타측에 실린더흰지(301)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302)후면부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로프 작동대(31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에 상기로프작동대(313)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로프작동대 브라켓(303)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브라켓(303)와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를 로프작동대흰지(311)를 이용하여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총 100% 길이 중에서 지렛대 작용이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10~40% 정도의 하단부에 실린더로드흰지(312)를 구성시킨후 상기 실린더로드(310)와 상기 실린더 로드 흰지(312)를 흰지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상단부에 로프고정흰지(50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고정흰지(500)에 제1 로프(600)의 일단부(501)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501)를 길게 늘려 트려서 상기 감속 로울러(203)을 10~50 바퀴 정도 감은 후에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로프(102)읠 일단부를 결합하여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을 작동시켜주는 작동 시스템(1000)을 완성 시키는 과정과;
하천바닥을 준설한 후 정리하고 기초콘크리트(120)를 설치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에 일단부 일측에 제1 로울러(211)를 구성 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에 수문의 흰지(122)를 구성시킨후 상기 수문의 흰지(122)에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8000)을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상단부에 수압을 버팅겨 주는 수압 대응봉(131)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압대응봉(131)의 상단부에 상기 제2 로프 고정대(150)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의 바닥의 중간에 제2 로울러(21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문판(8000)과 상기 제2 로울러(212)의 사이에 10cm~30cm정도의 넓이로 제2 로프 지지판(31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제2 로프 지지판(310)의 상부에 제3 로울러(21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와 상기 제1로울러(211)와 상기 제2 로울러(212)와 상기 제3 로울러(213)와 상기 제2 로프 고정대(150) 사이를 상기 제2 로프(102)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과정과;
상시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하단부에 어도를 겸하면서 비중이 무거운 저층수 배출통로(130)을 다수개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저층수 배출 통로(130)의 전면부에 어도조절수문(132)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132)의 상부에 상기 어도조절수문(132)을 조절하여주는 제3 로프연결 고리(53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하단부 톱니기어(11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의 상단부에 상단부 톱니기어(10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와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상부에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를
Figure pat00002
자 형태로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 상부에 실린더로드(201)와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200)를 고정식으로 부착하는 과정과;
실린더브라켓(202)에
실린더로드(310)와 결합된 실린더(3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에 감속 로울러(203)와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실린더 브라켓(2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브라켓(202)일측에 로울러흰지(300)를 이용하여 감속 로울러(203)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202)의 타측에 실린더흰지(301)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302)후면부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로프 작동대(31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에 상기로프작동대(313)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로프작동대 브라켓(303)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브라켓(303)와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를 로프작동대흰지(311)를 이용하여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총길이 100% 중에서 지렛대 작용이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10~40% 정도의 하단부에 실린더로드흰지(312)를 구성시킨후 상기 실린더로드(310)와 상기 실린더 로드 흰지(312)를 흰지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상단부에 로프고정흰지(50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고정흰지(500)에 제1 로프(600)의 일단부(501)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501)를 길게 늘려 트려서 상기 감속 로울러(203)을 10~50 바퀴 정도 감은 후에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일단부와 상기 제2로프(102)의 일단부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에 일단부 일측에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1조절 로울러(511)를 구성 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 바닥에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2 조절로울러(55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1조절 로울러(511)와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2 조절로울러(252)와 상기 제3 로프연결 고리(533)와 상기 제2 로프(102)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제2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은 어도통로와 결합되는 실린더(2531)가 어도 조절수문(2512)을 개문시켜주게 되면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를 밀어내고 우선적으로 배출되는 물질새치기 작용이 발생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가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작용이 발생하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작용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다기능 가동보의 좌우측에 구성되는 지수벽과 수문의 측판은 통상적을 구성되는 방식이기에 때에 이에 따른 도면과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 하였다.
[실시예2]
다음은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 제1과 제2 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도 4는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전도 시켰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 제2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기립 시켰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13은 본 발명 제2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어도 통로를 조절하여 주는 어도 조절수문의 분해사시도이다.
하천 바닥을 준설하여 정리한 후 기초콘크리트(120)를 설치하고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기초 프레임(1)을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 프레임(1)에 흰지(2)를 다수개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흰지(2)의 상부에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8000)을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하단부에 어도 통로(25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상부에 어도조절수문(2512)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어도조절수문(2512)의 일측과 타측에 어도 통로가이드(2530)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일측에 실린더로드와 결합된 실린더(2531)를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 로드와 상기 어도 조절수문(2512)의 일측을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상단부에 수압 대응봉(131)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시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후면부에 이물질 분리판(25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압 대응봉(131)의 상단부에 로프 고정대(150)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의 상류부분에 상기 이물질 분리판(250)과 교차하여 로프작동대 프레임(31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 프레임(310)의 일측에 이물질 끼임 방지판(3113)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 프레임(310) 의 끝단부에 끝단부 로울러(215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 프레임(310) 의 중간부에 중간 로울러(213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 프레임(310)의 하단부에 하단부 로울러(212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 고정대(150) 와 상기 끝단부 로울러(2151)와 상기 중간 로울러(2130)와 상기 끝단부 로울러(2120)의 사이에 제2 로프(1020) 를 결합시키는 과정과;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상기 작동 시스템(1000)에 구성되는 상기 제2로프(1020)와 결합하여 줌과 동시에 상기 어도조절수문(2512)을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에 구성되는 상기 어도 통로(251)의 상부에 모두 구성시켜서 하천의 하류와 상류를 이동하는 물고기와 같은 생물들의 생활터전을 보호하여 주면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우선적으로 배출하여주는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제시한다.
다기능 가동보의 좌우측에 구성되는 지수벽과 수문의 측판은 통상적을 구성되는 방식이기에 때에 이에 따른 도면과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 하였다.
[실시예3]
다음은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기립시켜주거나 전도시켜주도록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 제3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이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기립시켰을 때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 제3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에 적용되는 작동용 실린더와 비상실린더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을 작동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기계실(미도시)에 기초콘크리트(23)를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23)에 기초좌대(25)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좌대(25)의 일단부에 실린더브라켓(2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실린더로드(22)와 결합되는 실린더(21)를 준비하는 과정과;
상시 실린더(21)의 후면부를 상기 실린더브라켓(20)과 실린더흰지(19)를 이용하여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지렛대 작동봉(28)을 준비하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작동봉(28)의 하단부와 상기 실린더로드(22)의 끝단부를 실린더로드흰지(26)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좌대(25)의 타단부에 지렛대 작동봉 지지대(37)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 작동봉 지지대(37)의 전면부에 상기 지렛대 작동봉(28)를 지지하여주는 지렛대 작동봉브라켓(3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 작동봉(28) 100% 길이 중에서 지렛대 작용이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10~40% 정도의 하단부에 상기 지렛대 작동봉브라켓(30)과 흰지(27)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과정과;
다기능가동보 저장수위 조절대(31)와 상기 지렛대 작동봉(28)을 흰지(29)로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흰지(29)에제2 로프(102) 를 결합시켜서 상기 다기능 가동보(8000)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다기능가동보 저장수위 조절대(31)의 하단부에 조절용 톱니(32)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 작동봉 지지대(37)의 상단부에 상기 톱니(32)를 걸어 둘수 있도록 톱니 걸침턱(36)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 작동봉 지지대(37)의 상단부에 상기 톱니걸침턱(36)을 상하로 이동시켜주도록 실린더로드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작동용 실린더(33)를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톱니걸침턱(36)의 후면부에 상기 작동용 실린더(33)가 고장 낮을 때에 비상용으로 사용할수 있도도록 실린더로드와 결합된 비상 실린더(35)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21)는 종합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유압커트롤 시스템(미도시)와 결합시키는 과정과;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3000)에 구성되는 상기 작동용 실린더(33)를 가동하여 실린더로드를 신장시켜서 상기 다기능가동보 저장수위 조절대(31)가 상기 톱니걸침턱(36)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다기능가동보 저장수위 조절대(31)상승 시켜 놓은 과정과;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8000)를 기립하여 하천수를 저장시키기 위해서 종합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유압커트롤 시스템(미도시)에 의해 작동하는 상기 실린더(21)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실린더로드(22)를 신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21)의 압력에 의해 상기제2 로프(102) 가 당겨지면서 서서히 상기 다기능 가동보(8000)가 기립하면서 하천을 폐쇄하여 하천수를 저장함과 함께;
홍수가 발생하거나 많은 비가와서 하천수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되면 수위감지기(미도시)가 체크한 신호를 전달받은 종합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유압커트롤 시스템(미도시)이 상기 실린더(21)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실린더로드(22)를 서서히 수축시켜서 하천을 폐쇄시켜 놓고 있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수문(8000)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3000)과 결합하여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제시한다.
[실시예4]
다음은 본 발명 제 4의 실시 예에 대해설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 제4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이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과 결합된 로프를 당기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9는 본 발명 제4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이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과 결합된 로프를 풀어 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10은 본 발명 제10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
저층수 배출통로가 구성되며 실린더와 결합되고 로프지지대와 결합하여 로프로 작동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에 있어서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을 작동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기계실(미도시)에 기초콘크리트(23)를 설치하는 과정과;
실린더 브라켓(185)를 상기 기초콘크리트(23)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과정과;
실린더로드(176)와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196)의 후면부를 상기 실린더 브라켓(175)과 흰지(179)를 이용하여 상하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196)의 외부에 작동대 내부 안내 케이스(17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작동대 내부 안내 케이스(172)의 외부에 작동대 외부 안내 케이스(17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일측에는 실린더로드흰지(177)와 타측에는 로프 결합부(173)와 결합되는 전,후 작동대(170)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전,후 작동대(170)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전,후 작동대(170)가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가이드 역활을 하여주는 안내 가이드(185)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전,후 작동대(170)의 일측과 상기 실린더로드(176)의 끝단부를 상기 실린더로드흰지(177)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전,후 작동대(170)의 타단부에 구성되는 상기 로프 결합부(173)를 로프결합부 흰지(179)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로프 결합부(173)에 상기 제2 로프(102)를 결합하는 과정과;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로프 작동 시스템(8100)의 일단부에 구성되는 상기 로프(102)의 일측 단부를 상기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과 결합하여 구성되는 수질정화겸용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을 이용하여 하천수를 저장하여 놓거나 하천을 개방하여 저장된 하천수를 방류하도록 작용하는 상기 작동시스템(8100)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제시한다.
[실시예5]
다음은 본 발명 제 5의 실 시예에 대해설 설명한다.
도11은 본 발명 제5의 실시 예에 따라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에 적용되는 비상 정지 시스템의 좌측 방향 사시도 이고,도12는 본 발명 제5의 실시 예에 따라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에 적용되는 비상 정지 시스템의 우측 방향 사시도 이다.
저층수 배출통로가 구성되며 실린더와 결합되고 로프지지대와 결합하여 로프로 작동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에 있어서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을 정지 시켜 놓거나 비상 정지 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기계실(미도시)에 기초콘크리트(23)를 설치하는 과정과;
성가 기초콘크리트(23)의 일측과 타측에 기초좌대(6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좌대(61)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기초 프레임(5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 프레임(50)의 상부에 비상정지 기어(51)과 회전조절로울러(58)와 로프로울러(59)를 흰지(60)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로울러(59)에 제2 로프(102)를 감아주는 과정과;
상기 기초 프레임(50)의 내부 일측 하단부에 상기 회전조절로울러(58)의 회전력을 조절하여주는 실린더(53)를 실린더로드와 결합하여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로드의 상부에 마찰부재(56)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마찰부재(56)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마찰부재(56)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작용하는 마찰부재가이드(55)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 프레임(50)의 내부 타측 하단부에 상기 비상정지 기어(51)를
정지 시켜주는 실린더(65)를 실린더로드와 결합하여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로드의 상단부에 상기 비상정지기어(51)를 고정시켜주거나 정지 시켜주는 조절기어(66)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조절기어(66)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조절기어(66)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작용하는 조절기어가이드(6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2 로프(102)의 일단부는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과 결합하고 상기 제2 로프의 타단부(1022)는 상기 작동장치시스템( 1000,3000,8100)과 결합하여 구성하는 과정과;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비상정지 시스템(8200)의 일단부에 구성되는 상기 로프(102)의 일측 단부를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과 결합하여 구성되는 상기 비상정지 시스템(8200)을 이용하여 하천수를 저장하여 놓거나 하천을 개방하여 저장된 하천수를 방류하도록 작용하는 상기 비상정지 시스템(8200)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제시한다.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의 좌우측에 구성되는 지수벽과 수문의 측판은 통상적을 구성되는 방식이기에 때에 이에 따른 도면과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 하였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로프 제어 장치는 실린더의 압력을 이용하면 매우 다양하게 변경 구성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지렛대 작동이론을 응용하여 구성한 로프제어작치들은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로프작동봉을 구성 할 때에 유압실린더와 결합하여 지렛대 이론을 이용하여 로프 작동봉을 구성하게 되면 유압실린더의 작동길이를 매우 단축시킬수가 있음으로 이러한 설계변경 또한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실린더와 결합되는 유압배관라인은 공사 현장에 따라서 배관상태가 틀리기에 실린더와 결합되는 유압배관라인의 상세한 도면의 표시와 설명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은 하천 바닥에 유압배관라인을 구성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로프 만으로 작동이 되기 때문에 유압배관이 파손될시에 발생되는 환경 오염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주는 작용효과가로 매우 큰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스템이 발명되지 않은 현실을 감안하면 새로운 시장이 형성 될수가 있음으로 산업화 가능성이 매우 높은 기술이라는 것을 공표한다.
100: 제동장치 101: 상부 톱니 102: 로프 103: 제동장치 케이스

Claims (5)

  1. 저층수 배출통로가 구성되며 실린더와 결합되고 로프지지대와 결합하여 로프로 작동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에 있어서
    하단부 톱니기어(11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의 상단부에 상단부 톱니기어(10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와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상부에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를
    Figure pat00003
    자 형태로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 상부에 실린더로드(201)와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200)를 고정식으로 부착하는 과정과;
    실린더브라켓(202)에
    실린더로드(310)와 결합된 실린더(3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에 감속 로울러(203)와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실린더 브라켓(2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브라켓(202)일측에 로울러흰지(300)를 이용하여 감속 로울러(203)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202)의 타측에 실린더흰지(301)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302)후면부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로프 작동대(31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에 상기로프작동대(313)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로프작동대 브라켓(303)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브라켓(303)와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를 로프작동대흰지(311)를 이용하여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총 100% 길이 중에서 지렛대 작용이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10~40% 정도의 하단부에 실린더로드흰지(312)를 구성시킨후 상기 실린더로드(310)와 상기 실린더 로드 흰지(312)를 흰지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상단부에 로프고정흰지(50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고정흰지(500)에 제1 로프(600)의 일단부(501)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501)를 길게 늘려 트려서 상기 감속 로울러(203)을 10~50 바퀴 정도 감은 후에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로프(102)읠 일단부를 결합하여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을 작동시켜주는 작동 시스템(1000)을 완성 시키는 과정과;
    하천바닥을 준설한 후 정리하고 기초콘크리트(120)를 설치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에 일단부 일측에 제1 로울러(211)를 구성 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에 수문의 흰지(122)를 구성시킨후 상기 수문의 흰지(122)에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8000)을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상단부에 수압을 버팅겨 주는 수압 대응봉(131)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압대응봉(131)의 상단부에 상기 제2 로프 고정대(150)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의 바닥의 중간에 제2 로울러(21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문판(8000)과 상기 제2 로울러(212)의 사이에 10cm~30cm정도의 넓이로 제2 로프 지지판(31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제2 로프 지지판(310)의 상부에 제3 로울러(21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와 상기 제1로울러(211)와 상기 제2 로울러(212)와 상기 제3 로울러(213)와 상기 제2 로프 고정대(150) 사이를 상기 제2 로프(102)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과정과;

    상시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하단부에 어도를 겸하면서 비중이 무거운 저층수 배출통로(130)을 다수개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저층수 배출 통로(130)의 전면부에 어도조절수문(132)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132)의 상부에 상기 어도조절수문(132)을 조절하여주는 제3 로프연결 고리(53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하단부 톱니기어(11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의 상단부에 상단부 톱니기어(10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하단부 톱니기어(111)와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상부에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를
    Figure pat00004
    자 형태로 구성시키는 과정과 ;
    상기 로프제어장치케이스(101) 상부에 실린더로드(201)와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200)를 고정식으로 부착하는 과정과;
    실린더브라켓(202)에
    실린더로드(310)와 결합된 실린더(3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에 감속 로울러(203)와 상기 실린더(302)의 후면부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실린더 브라켓(20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브라켓(202)일측에 로울러흰지(300)를 이용하여 감속 로울러(203)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202)의 타측에 실린더흰지(301)를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302)후면부를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로프 작동대(313)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에 상기로프작동대(313)를 흰지 고정하여주는 로프작동대 브라켓(303)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브라켓(303)와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하단부를 로프작동대흰지(311)를 이용하여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총길이 100% 중에서 지렛대 작용이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10~40% 정도의 하단부에 실린더로드흰지(312)를 구성시킨후 상기 실린더로드(310)와 상기 실린더 로드 흰지(312)를 흰지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313)의 상단부에 로프고정흰지(50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고정흰지(500)에 제1 로프(600)의 일단부(501)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501)를 길게 늘려 트려서 상기 감속 로울러(203)을 10~50 바퀴 정도 감은 후에 상기 제1 로프(600)의 타단부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타단부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상단부 톱니기어(101)의 일단부와 상기 제2로프(102)의 일단부를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에 일단부 일측에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1조절 로울러(511)를 구성 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 바닥에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2 조절로울러(55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1조절 로울러(511)와 상기 어도겸용 조절수문 제2 조절로울러(252)와 상기 제3 로프연결 고리(533)와 상기 제2 로프(102)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특징으로하는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2. 저층수 배출통로가 구성되며 실린더와 결합되고 로프지지대와 결합하여 로프로 작동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에 있어서
    하천 바닥을 준설하여 정리한 후 기초콘크리트(120)를 설치하고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기초 프레임(1)을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 프레임(1)에 흰지(2)를 다수개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흰지(2)의 상부에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8000)을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하단부에 어도 통로(25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상부에 어도조절수문(2512)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어도조절수문(2512)의 일측과 타측에 어도 통로가이드(2530)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일측에 실린더로드와 결합된 실린더(2531)를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 로드와 상기 어도 조절수문(2512)의 일측을 흰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상단부에 수압 대응봉(131)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시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의 후면부에 이물질 분리판(25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수압 대응봉(131)의 상단부에 로프 고정대(150)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120)의 상류부분에 상기 이물질 분리판(250)과 교차하여 로프작동대 프레임(31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 프레임(310)의 일측에 이물질 끼임 방지판(3113)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 프레임(310) 의 끝단부에 끝단부 로울러(215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 프레임(310) 의 중간부에 중간 로울러(213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작동대 프레임(310)의 하단부에 하단부 로울러(212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 고정대(150) 와 상기 끝단부 로울러(2151)와 상기 중간 로울러(2130)와 상기 끝단부 로울러(2120)의 사이에 제2 로프(1020) 를 결합시키는 과정과;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상기 작동 시스템(1000)에 구성되는 상기 제2로프(1020)와 결합하여 줌과 동시에 상기 어도조절수문(2512)을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에 구성되는 상기 어도 통로(251)의 상부에 모두 구성시켜서 하천의 하류와 상류를 이동하는 물고기와 같은 생물들의 생활터전을 보호하여 주면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우선적으로 배출하여주는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특징으로하는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3. 저층수 배출통로가 구성되며 실린더와 결합되고 로프지지대와 결합하여 로프로 작동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에 있어서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을 작동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기계실(미도시)에 기초콘크리트(23)를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콘크리트(23)에 기초좌대(25)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좌대(25)의 일단부에 실린더브라켓(2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실린더로드(22)와 결합되는 실린더(21)를 준비하는 과정과;
    상시 실린더(21)의 후면부를 상기 실린더브라켓(20)과 실린더흰지(19)를 이용하여 흰지 고정하는 과정과;
    지렛대 작동봉(28)을 준비하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작동봉(28)의 하단부와 상기 실린더로드(22)의 끝단부를 실린더로드흰지(26)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기초좌대(25)의 타단부에 지렛대 작동봉 지지대(37)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 작동봉 지지대(37)의 전면부에 상기 지렛대 작동봉(28)를 지지하여주는 지렛대 작동봉브라켓(3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 작동봉(28) 100% 길이 중에서 지렛대 작용이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10~40% 정도의 하단부에 상기 지렛대 작동봉브라켓(30)과 흰지(27)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과정과;
    다기능가동보 저장수위 조절대(31)와 상기 지렛대 작동봉(28)을 흰지(29)로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흰지(29)에제2 로프(102) 를 결합시켜서 상기 다기능 가동보(8000)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다기능가동보 저장수위 조절대(31)의 하단부에 조절용 톱니(32)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 작동봉 지지대(37)의 상단부에 상기 톱니(32)를 걸어 둘수 있도록 톱니 걸침턱(36)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지렛대 작동봉 지지대(37)의 상단부에 상기 톱니걸침턱(36)을 상하로 이동시켜주도록 실린더로드와 결합되어 구성되는 작동용 실린더(33)를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톱니걸침턱(36)의 후면부에 상기 작동용 실린더(33)가 고장 낮을 때에 비상용으로 사용할수 있도도록 실린더로드와 결합된 비상 실린더(35)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21)는 종합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유압커트롤 시스템(미도시)와 결합시키는 과정과;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3000)에 구성되는 상기 작동용 실린더(33)를 가동하여 실린더로드를 신장시켜서 상기 다기능가동보 저장수위 조절대(31)가 상기 톱니걸침턱(36)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다기능가동보 저장수위 조절대(31)상승 시켜 놓은 과정과;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8000)를 기립하여 하천수를 저장시키기 위해서 종합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유압커트롤 시스템(미도시)에 의해 작동하는 상기 실린더(21)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실린더로드(22)를 신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21)의 압력에 의해 상기제2 로프(102) 가 당겨지면서 서서히 상기 다기능 가동보(8000)가 기립하면서 하천을 폐쇄하여 하천수를 저장함과 함께;
    홍수가 발생하거나 많은 비가와서 하천수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되면 수위감지기(미도시)가 체크한 신호를 전달받은 종합컨트롤 시스템(미도시)과 유압커트롤 시스템(미도시)이 상기 실린더(21)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실린더로드(22)를 서서히 수축시켜서 하천을 폐쇄시켜 놓고 있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8000)를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8000)를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다기능 가동보 작동 시스템(3000)과 결합하여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특징으로하는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4. 저층수 배출통로가 구성되며 실린더와 결합되고 로프지지대와 결합하여 로프로 작동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에 있어서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을 작동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기계실(미도시)에 기초콘크리트(23)를 설치하는 과정과;
    실린더 브라켓(185)를 상기 기초콘크리트(23)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과정과;
    실린더로드(176)와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196)의 후면부를 상기 실린더 브라켓(175)과 흰지(179)를 이용하여 상하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196)의 외부에 작동대 내부 안내 케이스(17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작동대 내부 안내 케이스(172)의 외부에 작동대 외부 안내 케이스(17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일측에는 실린더로드흰지(177)와 타측에는 로프 결합부(173)와 결합되는 전,후 작동대(170)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전,후 작동대(170)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전,후 작동대(170)가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가이드 역활을 하여주는 안내 가이드(185)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전,후 작동대(170)의 일측과 상기 실린더로드(176)의 끝단부를 상기 실린더로드흰지(177)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전,후 작동대(170)의 타단부에 구성되는 상기 로프 결합부(173)를 로프결합부 흰지(179)와 결합하는 과정과;
    상기 로프 결합부(173)에 상기 제2 로프(102)를 결합하는 과정과;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로프 작동 시스템(8100)의 일단부에 구성되는 상기 로프(102)의 일측 단부를 상기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과 결합하여 구성되는 수질정화겸용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을 이용하여 하천수를 저장하여 놓거나 하천을 개방하여 저장된 하천수를 방류하도록 작용하는 상기 작동시스템(8100)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특징으로하는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5. 저층수 배출통로가 구성되며 실린더와 결합되고 로프지지대와 결합하여 로프로 작동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에 있어서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을 정지 시켜 놓거나 비상 정지 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기계실(미도시)에 기초콘크리트(23)를 설치하는 과정과;
    성가 기초콘크리트(23)의 일측과 타측에 기초좌대(61)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좌대(61)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기초 프레임(50)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 프레임(50)의 상부에 비상정지 기어(51)과 회전조절로울러(58)와 로프로울러(59)를 흰지(60)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과정과;
    상기 로프로울러(59)에 제2 로프(102)를 감아주는 과정과;
    상기 기초 프레임(50)의 내부 일측 하단부에 상기 회전조절로울러(58)의 회전력을 조절하여주는 실린더(53)를 실린더로드와 결합하여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로드의 상부에 마찰부재(56)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마찰부재(56)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마찰부재(56)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작용하는 마찰부재가이드(55)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초 프레임(50)의 내부 타측 하단부에 상기 비상정지 기어(51)를
    정지 시켜주는 실린더(65)를 실린더로드와 결합하여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실린더로드의 상단부에 상기 비상정지기어(51)를 고정시켜주거나 정지 시켜주는 조절기어(66)을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조절기어(66)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조절기어(66)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작용하는 조절기어가이드(62)를 구성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2 로프(102)의 일단부는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과 결합하고 상기 제2 로프의 타단부(1022)는 상기 작동시스템( 1000,3000,8100)과 결합하여 구성하는 과정과;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비상정지 시스템(8200)의 일단부에 구성되는 상기 제2로프(102)의 일측 단부를 상기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8000)과 결합하여 구성되는 상기 비상정지 시스템(8200)을 이용하여 하천수를 저장하여 놓거나 하천을 개방하여 저장된 하천수를 방류하도록 작용하는 상기 비상정지 시스템(8200)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KR1020130087026A 2013-07-23 2013-07-23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1579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026A KR101579303B1 (ko) 2013-07-23 2013-07-23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026A KR101579303B1 (ko) 2013-07-23 2013-07-23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629A true KR20130089629A (ko) 2013-08-12
KR101579303B1 KR101579303B1 (ko) 2015-12-22

Family

ID=4921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026A KR101579303B1 (ko) 2013-07-23 2013-07-23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303B1 (ko)

Citation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26A (ko) * 1999-10-31 2000-02-07 한상관 자동수문
KR20030041915A (ko) 2003-04-11 2003-05-27 한상관 부유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KR20030063267A (ko) 2003-06-10 2003-07-28 한상관 부유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KR20050080009A (ko) 2005-07-01 2005-08-11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만을 선별처리 하도록 구성되는 오염물질선별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처리하는하수처리 공법
KR20060121793A (ko) 2006-11-08 2006-11-29 한상관 오염된 하천을 정화시키는 방법
KR20060126869A (ko) 2006-11-17 2006-12-11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20060130538A (ko) 2006-11-29 2006-12-19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회전수문의 구성방법
KR20070003747A (ko) 2006-12-15 2007-01-05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20070083441A (ko) 2007-07-27 2007-08-24 한상관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수문의 구성방법
KR20070105949A (ko) 2007-01-12 2007-10-31 한상관 칸막이를 이용하여 오염된 물을 자연적으로 정화하거나바닷물을 정제하는 방법
KR100791422B1 (ko) 2006-04-28 2008-01-07 나상철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20080009253A (ko) 2007-12-28 2008-01-28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20080009252A (ko) 2007-12-28 2008-01-28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100821690B1 (ko) 2007-05-09 2008-04-14 한상관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방법
KR100891621B1 (ko) 2008-09-29 2009-04-02 주식회사두합크린텍 점ㆍ비점오염원처리용 수질정화시스템 및 그 정화방법
KR20090043689A (ko) 2007-10-30 2009-05-07 한상관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사이펀 통로를 갖는 수문을 이용하여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KR20090049103A (ko) 2007-11-13 2009-05-18 한상관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KR20090111064A (ko) * 2008-04-21 2009-10-26 주식회사 우진산업 콤팩트한 유압식 전도수문
KR100949325B1 (ko) 2009-04-17 2010-03-23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006170B1 (ko) 2010-03-17 2011-01-07 지유 주식회사 에너지 순환형 하천정화장치
KR101027047B1 (ko) 2010-09-11 2011-04-11 동원엔지니어링(주) 이엠을 이용한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 방법 및 장치
KR20110060875A (ko) 2011-05-03 2011-06-08 한상관 중력의 현상을 분산 시켜주도록 작용하는 싸이폰 배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는 수질정화 시스템
KR20110073414A (ko) 2011-06-13 2011-06-29 한상관 조립식 싸이폰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수질 정화 시스템
KR20110085578A (ko) 2010-01-21 2011-07-2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어셈블리 댐퍼
KR20110094778A (ko) 2010-02-16 2011-08-24 유성석 비점오염원 빗물처리장치
KR101129407B1 (ko) 2009-09-15 2012-03-26 이종명 비점오염원 정화 및 여과장치
KR200459753Y1 (ko) 2008-12-10 2012-04-16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120086681A (ko) 2012-05-30 2012-08-03 한민섭 싸이폰통로 자동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20120094877A (ko) 2012-05-13 2012-08-27 한민섭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면서 가뭄시에 저장된 하천수가 모두 배출되어 버리는 중력의 작용을 차단 시켜주도록 구성되는 수질정화용 저층수 배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20120133855A (ko) 2011-06-01 2012-12-11 동원엔지니어링(주) 비점오염원 초기우수정화장치
KR101233804B1 (ko) 2009-05-25 2013-02-18 한상관 하천 또는 강의 전단면 전폭에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구축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Patent Citation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26A (ko) * 1999-10-31 2000-02-07 한상관 자동수문
KR20030041915A (ko) 2003-04-11 2003-05-27 한상관 부유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KR20030063267A (ko) 2003-06-10 2003-07-28 한상관 부유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KR20050080009A (ko) 2005-07-01 2005-08-11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만을 선별처리 하도록 구성되는 오염물질선별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처리하는하수처리 공법
KR100791422B1 (ko) 2006-04-28 2008-01-07 나상철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20060121793A (ko) 2006-11-08 2006-11-29 한상관 오염된 하천을 정화시키는 방법
KR20060126869A (ko) 2006-11-17 2006-12-11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20060130538A (ko) 2006-11-29 2006-12-19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회전수문의 구성방법
KR20070003747A (ko) 2006-12-15 2007-01-05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20070105949A (ko) 2007-01-12 2007-10-31 한상관 칸막이를 이용하여 오염된 물을 자연적으로 정화하거나바닷물을 정제하는 방법
KR100821690B1 (ko) 2007-05-09 2008-04-14 한상관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방법
KR20070083441A (ko) 2007-07-27 2007-08-24 한상관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수문의 구성방법
KR20090043689A (ko) 2007-10-30 2009-05-07 한상관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사이펀 통로를 갖는 수문을 이용하여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KR20090049103A (ko) 2007-11-13 2009-05-18 한상관 오염된 하천을 정화하면서 수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다단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
KR20080009252A (ko) 2007-12-28 2008-01-28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20080009253A (ko) 2007-12-28 2008-01-28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KR20090111064A (ko) * 2008-04-21 2009-10-26 주식회사 우진산업 콤팩트한 유압식 전도수문
KR100891621B1 (ko) 2008-09-29 2009-04-02 주식회사두합크린텍 점ㆍ비점오염원처리용 수질정화시스템 및 그 정화방법
KR200459753Y1 (ko) 2008-12-10 2012-04-16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949325B1 (ko) 2009-04-17 2010-03-23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33804B1 (ko) 2009-05-25 2013-02-18 한상관 하천 또는 강의 전단면 전폭에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구축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KR101129407B1 (ko) 2009-09-15 2012-03-26 이종명 비점오염원 정화 및 여과장치
KR20110085578A (ko) 2010-01-21 2011-07-2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어셈블리 댐퍼
KR20110094778A (ko) 2010-02-16 2011-08-24 유성석 비점오염원 빗물처리장치
KR101006170B1 (ko) 2010-03-17 2011-01-07 지유 주식회사 에너지 순환형 하천정화장치
KR101027047B1 (ko) 2010-09-11 2011-04-11 동원엔지니어링(주) 이엠을 이용한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 방법 및 장치
KR20110060875A (ko) 2011-05-03 2011-06-08 한상관 중력의 현상을 분산 시켜주도록 작용하는 싸이폰 배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는 수질정화 시스템
KR20120133855A (ko) 2011-06-01 2012-12-11 동원엔지니어링(주) 비점오염원 초기우수정화장치
KR20110073414A (ko) 2011-06-13 2011-06-29 한상관 조립식 싸이폰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수질 정화 시스템
KR20120094877A (ko) 2012-05-13 2012-08-27 한민섭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면서 가뭄시에 저장된 하천수가 모두 배출되어 버리는 중력의 작용을 차단 시켜주도록 구성되는 수질정화용 저층수 배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20120086681A (ko) 2012-05-30 2012-08-03 한민섭 싸이폰통로 자동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303B1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34486B (zh) 雨水口自动溢流截污装置
KR101522515B1 (ko)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친환경 발전시스템
KR20140033194A (ko)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줌과 동시에 전기를 생산하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는 자연 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
KR20140005834A (ko)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 시키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이용하여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30129879A (ko) 생태계 복원용 어도를 자연적으로 형성시켜주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30089629A (ko)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KR101574480B1 (ko)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주는 친환경 수질정화용 가동보 수문 시스템
KR20130091705A (ko)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통로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KR20130036115A (ko)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는 주도록 2유입구와 4개의 배출구가 구성되는 다기능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 정화장치
KR20140016219A (ko) 대용량의 하천수를 다단계로 저수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 시키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구성하여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30088819A (ko)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KR20130100769A (ko) 하천의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통로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KR20110060876A (ko)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우선적으로 배출되는 저수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는 수질정화 시스템
KR20140006747A (ko) 어도를 항상 형성시킴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40024036A (ko) 수질 정화기 겸용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면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40025564A (ko) 자동 어도 겸용 수질정화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는 다기능 자동보 작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면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40032517A (ko) 하천수를 다단계로 저장하여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자연생태계를 살려내는 자연 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
KR20140019452A (ko) 대용량의 하천수를 저수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 시키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이용하여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50007271A (ko) 어도가 구성되는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줌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 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
KR101142291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하는 수문 시스템
KR100919318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할 수 있는 수문 시스템
KR20140025566A (ko) 다단계로 구성되는 자동어도와 하천생태계 복원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CN107859150A (zh) 雨水井系统
KR20110060875A (ko) 중력의 현상을 분산 시켜주도록 작용하는 싸이폰 배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는 수질정화 시스템
KR20150054730A (ko)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서 발생 되는 빗물에 함유된 각종 쓰레기들과 협잡물들을 완벽하게 처리하여 깨끗하게 정수하여 주면서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 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전기를 생산 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