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804B1 - 하천 또는 강의 전단면 전폭에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구축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 Google Patents

하천 또는 강의 전단면 전폭에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구축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804B1
KR101233804B1 KR1020090116429A KR20090116429A KR101233804B1 KR 101233804 B1 KR101233804 B1 KR 101233804B1 KR 1020090116429 A KR1020090116429 A KR 1020090116429A KR 20090116429 A KR20090116429 A KR 20090116429A KR 101233804 B1 KR101233804 B1 KR 101233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ver
reservoir
molecules
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0165A (ko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ublication of KR20090130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E02B8/045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automatically mov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3Downstream control, i.e. outlet monitoring, e.g. to check the treating agents, such as halogens or ozone, leaving the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또는 강의 전단면 전폭에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구축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히는 물 분자와 오염물질분자가 가지고 있는 질량과 비중을 역으로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자연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만큼 저수장치에 구비된 다수조의 수문을 통해 저수공간의 물을 배출해줌과 동시에 저수공간 하층부의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을 같이 배출해주어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저수장치을 통해 형성되는 저수공간의 일측에 수위센서를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저수공간의 수위를 감지하거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하천에 유속센서를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하천수의 유속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종합콘트롤시스템으로 송신하고, 종합콘트롤시스템에서는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연산하여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을 측정하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만큼 저수장치에 구비된 다수조의 수문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종합콘트롤시스템을 통해 각 수문의 권양기를 각각 구동해주고, 각 권양기에 의해 각 수문의 개방정도를 동시에 조절하여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에 해당하는 만큼 저수공간의 물을 각 수문의 하단부를 통해 배출해줌과 동시에 저수공간 하층부의 퇴적오니를 같이 배출해주어 저수공간의 수질 및 하천의 수질을 정화하는 것이다.
Figure R1020090116429
저수장치, 수질, 정화

Description

하천 또는 강의 전단면 전폭에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구축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본 발명은 하천 또는 강의 전단면 전폭에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구축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만큼 저수장치에 구비된 다수조의 수문을 통해 저수공간의 물을 배출해줌과 동시에 저수공간 하층부의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을 같이 배출해주어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삭제
삭제
주지하다시피, 종래의 모든 저수공간에 설치된 수문들은 한 개 또는 두 개의 수문만을 개문하여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수량만큼만을 배출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하천수들의 오염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한 두 개의 수문 많을 개문 하여 유입되는 하천수를 방류하는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이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들을 저수공간의 좌우측으로 밀어내는 물질 밀림작용이 연속하여 발생 되면서 저수공간의 좌,우측으로 오염물질들이 밀려나게 된다.
밀려난 오염 물질들과 또 다른 오염 물질들 사이에서 물질결합작용이 발생 되면서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들의 오염이 더욱더 가중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물 분자가 가지고 있는 고유질량에 따른 비중의 작용을 역으로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살려내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홍수조절 및 용수확보를 위해 대형 하천을 가로막아 저수장치을 건설하게 되는데, 이러한 저수장치에는 다수조의 수문이 구성되어 저수공간의 수위에 따라 수문의 개방수 및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홍수를 조절하게 되며, 이러한 물의 배출과정에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소수력발전시스템과 연계된 다목적저수장치도 있다.
통상적으로 저수장치에 설치된 수문들은 평상시에는 개문하여 방류하지 않고 있다가 홍수 시에만 개문 하여 넘쳐나는 물을 방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저수장치에 의해 저수공간에 물이 가두어진 상태에서 오랜시간 정체되면 오염물질들끼리 서로 결합하면서 발생시키는 물질 뭉침 작용과 물질 결합 작용에 의해 하천수의 오염이 가중되면서 퇴적오니가 발생되고, 이러한 퇴적오니의 발생으로 인해 수질오염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즉, 일반적인 소형 저수장치에서는 평상시 저수공간의 수위에 따라 다수조의 수문 중 한두개의 수문만을 개방하여 물을 배출하게 되므로 대부분의 물이 저수공간에 가두어진 상태에서 오랜시간 정체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오염물질들끼리 서로 결합되어 퇴적오니를 발생시킴으로써 수질오염을 더욱 가속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자가 10 여년 동안 하천 공사를 시행함과 동시에 하천수질을 연구하면서 밝혀낸 공지의 사실들에 대한 작용 효과들을 설명한다.
우선 학계에서 주장하는 물의 구조는 수소2개와 산소1로 구성되었다라는 H2O의 용어 자체가 잘못된 것이다라는 것을 주장하고자 한다.
물에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고 그 성분들의 크기에 따라서 물이냐 아니면 오염물질이냐로 구분 할수 있다.
사람이나 동물들이 먹는 음식을 입속으로 섭취하여 소화 시키면 오염물질이 아니고 사람이나 동물들이 먹는 음식을 물에 넣으면 오염물질로 변하는 것이다.
일례로 화장지 종이를 물에 집어 넣으면 자연적으로 분해되면서 얼마의 시간이 지나지 아니하여 화장지 자체의 형체가 없어지는 현상을 관찰 할 수가 있다.
또한 종이에 불을 붙이면 종이가 타면서 연기가 발생하는 현상을 관찰할수가 있다.
종이가 타면서 발생 시키는 연기는 대기중의 수분 또는 대기중의 물질과 물질결합하는 작용에 의해 또다시 물로 환원되는 작용에 의해 종이의 성분이 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물을 가열하면 수중기가 발생함과 동시에 끓는 물 속에서 공기방울이 연속하여 발생하는 작용들이 무슨 현상인가에 대하여 명확하게 설명한 과학적인 논리가 존재하지 않고 있으나 본 발명자는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불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면 물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물질 분자들이 폭발하는 물질 폭발작용에 의해 물분자의 크기가 더욱더 작은 크기로 쪼개지면서 가벼워진 물분자들이 중력의 작용에 의해 대기중으로 끌려 올라가는 현상에 의해 수증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 되어 진다.
또한 가을철과 봄철의 일교차가 클때에 안개가 발생하는 현상은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대기중의 공기속에 포진한 수분분자들과 지표면에 포진한 찬공기를 이루는 수분분자들이 대류작용에 의해 상승하면서 충돌함과 동시에 발생하는 물질마찰작용과 물질 폭발 작용에 의해 공기중의 수분분자들이 더욱더 작은 크기로 쪼개짐과 동시에 수분분자들의 무게가 가벼워지면서 중력의 작용에 의해 수분분자들이 대기중으로 상승하는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안개인 것으로 판단 되어진다.
즉 지표면과 대기중에 포진한 수분분자들이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안개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 되어진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발생한 안개들이 태양열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의 작용에 의해 대기권의 공기들과 결합 하는 작용이 발생하면서 자연적으로 소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대기중의 공기 속에 수분분자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일례로 폭포에서 낙하하는 물의 색깔이 흰색을 띠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 학술논문이 존재하지 않는 것 또한 물의 근본에 대하여 상세하게 연구한 논문들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자가 물을 연구하기 시작한 후에 관찰한 바에 따르면 폭포수가 낙하 할때에 물의 색깔이 흰색으로 변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물 분자의 고유질량에 따라서 낙하하는 속도가 틀리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즉 폭포를 낙하하는 물 분자들이 지니고 있는 질량에 따라서 낙하하는 속도가 틀리기 때문에 낙하하는 과정 중에서 질량이 무거운 물 분자와 질량이 가벼운 물 분자들의 속도 차이에 의한 위치변화에 의해 자연스럽게 충돌하는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이 발생하면서 물 분자의 크기가 더욱더 작은 크기의 물 분자로 변형되는 과정 중에서 자연스럽게 확장하는 기포들 때문에 외부에서 관찰하는 관찰자의 눈에는 폭포수의 색깔이 흰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자세히는 낙하하는 물 분자들의 질량이 모두 틀리기 때문에 낙하하는 속도가 천차만별로 차이가 나는 것이다.
폭포수를 이루는 물 분자들이 낙하하는 속도가 틀리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질량이 무거운 물 분자들과 질량이 가벼운 물 분자들의 사이에서 물질 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이 발생하면서 발생시키는 기포들에 의해 물의 색깔이 흰색으로 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울목을 흐르는 물의 색깔이 흰색을 띠는 것 또한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물의 색깔이 흰색을 띠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이와 같이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인위적으로 발생시켜주면 어떠한 오염된 수질들이라 하여도 자연적으로 정화시킬 수가 있다 라는 기초작용에 대한 원리를 밝혀낸 것은 10여년 동안 200여 개소의 하천에 물을 막는 하단부 배출식 수문 공사를 시행하면서 자연스럽게 터득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들에 의해서 물 분자와 물 분자들이 만나면서 자연스럽게 발생시키는 물질마찰작용과 물질 폭발작용에 의해 아무리 오염된 수질이라고 하여도 결국에는 자연적으로 정화 되게 되는 것이다.
일례로 지하수에 오염물질들이 유입되면서 지하수를 심각하게 오염시킨다 하여도 결국에는 지구가 공전과 자전하는 회전작용들에 의해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물질 마찰작용과 물질 폭발작용에 의해 오염된 지하수가 깨끗한 수질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바다에서 파도가 칠 때에 바닷물이 흰 거품으로 변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바닷물 분자를 이루는 물질분자들이 충돌하면서 발생시키는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 때문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물을 이루는 물 분자의 기초적인 정의"는 모든 동물과 식물과 물질을 이루는 모든 물질 분자들이 모여서 물이 된것이다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모든 물질들이 시간이 흐른 후에는 결국에는 분해되어 초극미립자로 변하는 과정을 통하여 깨끗한 물 분자로 변하여 물이 된다 라고 정의 하고자 한다.
다음은 오염물질분자와 결합 된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정화되거나 오염이 더욱더 가중되는 작용들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태양열에 의한 자연적인 정화 작용
태양으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 알파선, 감마선과 같은 전파성 물질이 물분자에 닺는 순간 물분자의 구조가 팽창되면서 물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분자구조가 더 작은 크기로 연속하여 쪼개지거나 폭발하는 분자폭발과 분자 팽창이 발생하면서 오염된 수질의 분자 구조가 초극미립자로 변형되면서 오염된 수질을 개선 시켜주는 작용
예: 태양열에 노출되면 피부가 검게 타면서 부풀러 오르는 것은 태양열에서 발사되는 여러 가지 물질이 피부세포와 반응하는 물질결합작용과 동시에 발생하는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피부세포의 구조가 파괴되면서 피부의 표면이 부풀어 오르면서 검은색으로 변하는 것임.
광합성 작용에 의해 피부가 검게 변하는 것이 아니라 물질결합작용과 물질폭발작용에 의해 피부 세포가 폭발하기 때문에 피부세포가 부풀러 오르면서 검은색으로 변하는 것임
증거 1 : 태양열에 장시간 노출되면 피부 세포가 검게 타면서 부풀러 오르는 현상
증거 2 : 물을 끓이면 원적외선이 물분자를 자극하는 작용에 의해 물질폭발작용이 발생 하면서 물속에서 물방울이 연속하여 발생되는 현상과 이때에 발생되는 물 분자를 이루는 수증기가 중력의 작용에 의해 대기권으로 상승하면서 공기 속의 물질분자와 다시결합하는 물질물침작용에 의해 지상으로 낙하하는 것임
2. 대수층(大水層)의 마찰에 의한 정화작용
공기와 맞닿는 물의 표면층과 대기권의 공기층이 마찰하면서 발생 시키는 물질 마찰작용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작용
예: 하천의 여울목 또는 바다에서 파도가 칠 때 거품이 발생하는 현상
3. 모세관현상에 의한 정화작용
물분자의 질량과 밀도와 오염물질 분자의 질량과 밀도의 차이로 인하여 고분자성을 띠고 있는 오염물질 분자의 미립자의 틈새로 물분자가 자연스럽게 파고 들어가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분자와 물질 결합하여 있는 오염 물질 분자를 부풀려서 확장시키는 물질폭발작용을 자연스럽게 하면서 오염 물질분자의 구조를 초극미립자로 자연적으로 분해시키는 작용
예: 종이 속에 물이 스며들면서 종이가 쉽게 허물어지는 현상
4. 미생물에 의한 수질정화작용
물분자와 결합 하여 있는 오염물질 분자들을 미생물들이 섭취하여 분해 시켜버리는 작용에 의해 물분자만 남기고 오염 물질분자들 많을 골라서 미생물들이 정화 시키는 작용
5. 용존산소에 의한 정화 작용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산소분자가 오염물질 분자를 만나면 물질폭발작용이 발생하면서 오염물질의 분자 구조가 더욱더 작은 크기로 쪼개지면서 순수한 물분자의 분자구조로 변형되는 작용에 의해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 시켜주는 작용과 물속에 함유된 산소를 호흡하며 살아가는 미생물들이 물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섭취 할 때에 필요한 생명 연장 수단을 도와 주는 작용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작용
6. 삼투압에 의한 정화작용
대기압과 중력의 작용에 의해 물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오염 물질분자의 내부로 물분자가 파고 들어가는 침투작용에 의해 오염 물질분자의 내부에서 물질폭발작용이 발생하면서 오염 물질분자의 밀도를 물분자의 기초단위인 초극미립자로 변형시켜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 시키는 작용
예: 목욕탕의 물속에 들어가 있으면 때가 부풀어 나오는 작용
7. 물질마찰작용에 의한 정화작용
물분자들의 뾰쪽한 부분과 오염 물질분자의 뾰족한 부분이 서로서로 마찰하면서 발생 시키는 마찰작용에 의해 물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오염 물질분자를 물분자의 기초단위인 초극미립자의 크기로 분해 시켜 오염물질을 정화 시키는 작용
예: 음식을 이빨로 씹어서 소화 시키는 작용
예: 칫솔질을 하면 이빨이 깨끗해지는 현상
8.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질이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분자에게 밀리는 물질밀림작용에 의한 정화작용
중력과 부력의 지배를 받는 모든 물체들은 물속으로 유입되는 순간부터 질량과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수질이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분자에게 밀려서 물의 상층부에 포진한 상태에서 정화되는 작용.
예: 물에 돌을 넣으면 돌의 부피만큼 물이 밀려올라오는 작용과 플라스틱 병 속에 물과 기름을 같이 넣으면 중력의 작용과 부력의 작용에 의해 기름이 물의 상층부로 자연스럽게 뜨는 현상
예: 씨름선수가 어는 한쪽 선수를 이기는 현상
9. 수질오염을 가중시키는 물질가속도작용
물질가속도작용 이란 상단부 배출방식의 고무 저수장치이나 전도식 수문을 이용하여 물을 가두게 되면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질분자가 고무 저수장치이나 전도식 수문의 내부에서 정체되면서 발생되는 물질결합작용에 의해 비중이 무거워져 있는 저장수를 제쳐 놓고 고무 저수장치이나 전도식 수문의 상단부를 통하여 하류로 우선 배출되는 작용.
종래의 학설은 표면층에 가해지는 대기압과 지표면의 마찰작용에 의해 하천에 흐르는 물이 ⊃ 자 형태로 유속의 형태가 형성되면서 흐르고 있는 것으로 학설이 존재하였으나 수많은 하천공사를 시행한 현장에서 확인한 수류의 형태는 ∠ 이와 같은 형태로 즉 상단부분의 유속이 물질가속도 작용에 의해 더 빠른 상태를 유지하면서 유속의 단면이 형성되면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상단 부분 층에 포진한 유기 물질성 오염물질들은 질량과 비중이 가볍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발생되는 표면압력을 적게 받으면서 부력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물질가속도 작용에 의해 하층부분에 정체되면서 물질결합작용에 의해 비중이 무거워져 있는 정체수를 제쳐 놓고 빠른 속도를 유지하면서 흐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물질가속도 작용이 발생하는 것은 하천에 구간별로 구성되어 있는 저수시설에 의해 발생하는 빽워터 현상에 의한 물질밀림작용의 효과도 일부분 작용한다.
증명의 방법: 하천에 석유를 살포해 놓고 흘러내려가는 상태를 눈으로 집적확인 해보면 이 학설의 진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론의 기초: 오염물질의 기초물질인 유기물질과 물 분자들은 쉽게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하천에 처음 유입될 때에는 하천의 표면층에 부상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흐르기 때문에 하천수의 표면층 유속이 빠른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 학설은 오염부하량이 존재하는 하천에만 적용되는 이론이며 오염 부하 량이 아주 작은 깨끗한 하천수의 유속은 종래와 같다.
예: 빙판에서 브레이크를 밟으면 가속도에 의해 차가 미끄러지는 작용
10. 오염된 수질을 정화 시키는 물질 새치기 작용
회전식 수문이나 하단부 배출식 수문을 이용하여 물을 가둔 후에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유입수를 배출해 주게되면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분자들이 비중이 가벼운 오염물질자들을 수문의 상단부로 밀어 올려놓고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우 선 배출되는 작용
예: 플라스틱 병 속에 물과 기름을 같이 넣은 후 병의 밑 부분에 구멍을 뚫어주면 기름을 제쳐놓고 물이 먼저 빠지는 현상
11. 물질해탈작용
물분자와 결합 하여 있는 오염물질 분자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물분자로부터 떨어져 나오면서 오염된 수질이 깨끗해지는 작용.
예: 여울목에서 흰 거품이 발생하는 현상과 파도가 칠 때 흰 거품이 발생하는 현상
예: 세탁기에 세제와 옷감을 같이 넣고 회전시키면 옷감 속에 침투해 있던 오염물질들이 옷감 속에서 빠져 나오면서 옷감이 깨끗해지는 작용
12. 물질결합작용
물분자가 가지고 있는 자력과 점성력의 작용과 오염 물질분자의 점성력에 의해 물속에서 서로 결합 하면서 오염된 수질을 더욱더 악화시키는 작용
예: 난자와 정자가 만나서 수정이 이루어지면서 임신이 되는 작용과 하천바닥에 생성되는 퇴적오니
13. 물질뭉침작용
비중이 비슷한 물질분자와 물질분자들끼리 자력과 점성력에 의해 물속 또는 대기 중에서 뭉쳐지는 작용
예 : 물속에서 뭉쳐지면서 발생 시키는 퇴적오니와 대기 중에서 뭉쳐지는 구름
14. 물질보존본능의 작용과 법칙
모든 물질이 지니고 있는 물질 분자의 DNA는 절대로 변하지 않는 작용에 의해 항상 그 종(種)이 지니고 있는 순수 물질분자의 결정구조가 수 십 만 년을 이어져 내려오는 것임.
물질의 결정 구조가 변하지 않고 존속 되는 물질보존본능의 작용과 법칙에 의해 순수한 물분자가 오염된 물질분자와 물질 결합을 하여 있더라도 순수한 물분자의 결정구조는 절대로 변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리 오염된 수질이라고 하여도 결국에는 깨끗한 물분자로 환원되면서 깨끗한 물분자가 존속되는 것임.
예: 식물의 씨앗이 그 종의 순수성을 유지하고 있는 작용과 인간의 유전자와 동물의 유전자를 이용하여 만들어내는 복제동물
예: 백인, 흑인, 황인종으로 구분되는 인간과 식물의 씨앗과 인간의 유전자와 동물의 유전자를 이용하여 만들어내는 복제동물
15. 물질 폭발 작용
물속에 함유된 모든 물질분자는 물질이 지니고 있는 분자구조에 다른 종류의 물질이 접촉하면 자연적으로 분자구조가 더욱더 작은 크기로 연속하여 쪼개지면서 변형되거나 확장되어 폭발하는 현상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정화 되는 작용
예: 비누를 물과 같이 비벼주면 분자구조가 폭발하면서 거품이 발생 하는 현상, 세슘을 물에 넣으면 폭발작용이 발생 하는 현상, 화약이 터지는 현상
증거 1: 오염물질에 오염된 옷을 세탁 할 때에 세제를 투입 한 후 세탁기를 회전 시키면 물과 세제가 접촉함과 동시에 물질폭발작용이 발생 하면서 옷감 속에 침투해 있는 오염물질들의 분자구조가 초극미립자의 크기로 변형되면서 옷감과 결합해 있던 오염물질들이 옷감 속에서 이탈해 나오는 물질해탈작용에 의해 옷감이 깨끗해지는 현상. 옷감을 여러 번 세탁 하면 옷감이 손상되는 현상도 물질폭발작용의 영향임
증거2: 치약을 입속에 넣고 칫솔질을 하여주면 치약과 물분자가 만나면서 발생 시키는 폭발작용에 의해 거품이 발생하면서 거품의 외곽에 형성되는 뾰쪽한 부분에 세균이 찔리거나 찢겨서 살균됨과 동시에 입안에 있던 음식물 찌꺼기 들이 치약의 폭발력에 의해 이빨 사이에서 빠져 나오는 현상
16. 물분자가 가지고 있는 자력의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마찰작용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작용의 정의와 가설
물분자의 모양은 여러 가지의 형태가 있으나 통상적으로 5개 또는 6개의 봉우리로 되어 있고 끝 부분은 뾰쪽한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삼각형 봉우리의 하부에는 공간이 구성되어 있어서 물분자와 오염 물질분자의 결합이 용이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분자의 성질이 자력의 성질인 음극과 양극을 띠는 이유는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물분자들의 뾰쪽한 부분들 끼리 서로서로 마찰하는 물질마찰작용에 의해 더욱더 단단한 분자구조로 단련되어 있기 때문에 물분자의 끝부분에 자연적으로 자장이 생성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나침판의 끝부분이 자연적으로 남극과 북극의 방향으로 향하는 현상이 발생 하는 것도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 즉 물분자가 지니고 있는 자력의 극성을 따라서 나침판의 극성 방향도 자연적으로 남극과 북극의 방향으로 향해지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물분자의 끝부분에 이와 같은 자연적인 자장 발생 현상이 가미되면서 물분자들이 지니고 있는 양전하와 음전하의 방향들이 자기가 좋아하는 방향으로 향하려는 자연적인 작용이 발생 하면서 물분자와 물분자의 뾰쪽한 부분들 끼리 마찰하는 물질 마찰작용이 항상 발생하기 때문에 물분자와 결합되어 있는 모든 오염된 물질분자들이 자연적으로 분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물의 온도에 따라서 뾰쪽한 부분의 각도와 형태가 틀리다.
예: 나침판이 항상 남과 북의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현상은 물분자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양전하와 음전하를 띠고 있는 자력의 작용 때문임
17. 물질결합거부작용
물속에 물분자와 비중이 다른 오염물질이 유입되면 물분자들은 무조건 오염물질과의 물질결합작용을 거부하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물 속으로 유입된 오염 물질분자들은 물의 상층부로 밀어 올려 버리는 물질결합 거부현상이 발생한다, 하천으로 유입된 오염물질들이 물질결합 거부작용에 의해 물의 상층부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서 오염물질을 자연적으로 정화 시켜주는 여러 가지 작용들에 의해 오염물질 분자의 비중이 물분자의 비중과 비슷해지면 그 때부터 서서히 오염 물질분자와 물분자가 결합 하는 물질결합작용이 발생 하면서 비중이 무거운 퇴적오니로 변하면서 오염된 수질로 변형되는 것이다.
예: 물에 기름을 부으면 기름이 물위로 밀어 올려지면서 뜨는 현상
18.물질분리작용
물속에 함유된 모든 물질분자들은 1/10,000,000 mm 정도의 아주 작은 크기의 미립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력의 작용과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분자가 지니고 있는 고유 질량과 비중 별로 층층으로 분리된 상태를 이루면서 물질분자별로 분리되면서 저수 층을 이루고 있는 작용.
즉 물분자가 가지고 있는 자력과 점성력에 의해 같은 질량과 비중이 같은 물질분자들 끼리 결합 한 상태에서 많은 양의 오염 물질분자들과 물질 결합한 물 분자들은 물 분자의 무게가 무거워지면서 퇴적오니로 변형되어 하층부분에 포진해 있고 물질결합작용을 많이 하지 않은 깨끗한 물질분자들은 퇴적오니의 상단부에 포진한 상태에서 물의 성분을 이루는 각각의 물 분자들 끼리 각각의 다른 층을 이루면서 물질분자별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저수되어 있는 것이다.
물질 별로 분리되거나 물질의 질량별로 분리되기 때문에 저수되어 있는 저수 층의 분리위치는 1/100,000,000mm이상 물질별로 저수 층을 분리할 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모든 물 분자와 오염 물질분자들은 중력과 비중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물질 결합 작용을 적게 또는 많이 하였는가에 따라서 저수 층에 포진하고 있는 층의 위치가 틀리기 때문에 저수되어 있거나 흐르는 물속에서 물 분자가 포진해 있는 층이 절대적으로 틀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물질분리 작용에 의해 물질별로 분리되는 작용을 이용하면 물 속에 함유된 수십만 가지의 물질을 비중과 질량 별로 분리 해 내어 필요한 물질을 물 속에서 채취해낼 수가 있기 때문에 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에너지 대란을 손쉽게 극복하면서 현대 생활의 물질적 기초의 기본 질서를 재편성 할 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예: 시루떡의 모양
19. 물질 산화 작용 즉 물질촉매 작용에 의해 수질의 ph가 변하는 작용
물속으로 유입되는 모든 물질분자들은 고유 DNA 분자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질분자의 구조에 다른 물질분자가 접촉하면 즉각적으로 물질촉매작용이 발생하면서 물질분자의 구조가 강해지기도 하고 약해지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물질분자의 구조에 약간의 변형이 발생한다.
이러한 물질촉매작용에 의해 물질분자의 구조가 약해지기거나 강해지는 작용에 의해 수질의 산도 즉 ph 농도가 변형되는 것이다.
물질촉매작용에 의해 분자의 구조가 강해진 물질분자의 DNA는 약해진 물질분자 DNA의 분자구조를 용이하게 분쇄시키는 물질 마찰작용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정화 되는 작용
예: 리트머스 시험지의 색깔이 변하는 현상
20.물질 살균 작용에 의해 물속으로 유입되는 세균이 살균되는 작용
깨끗한 물 분자로 구성되어진 순수한 물 분자의 구조 속에 세균이 유입되면 물질마찰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형성되어지는 물 분자의 뾰쪽한 부분에 찔려 죽거나 찢겨 죽게 되는 물질살균작용에 의해 미생물들과 세균들이 자연적으로 살균 되면서 오염된 수질이 자연적으로 정화 되는 작용.
그러나 오염된 물속에서는 물 분자와 오염물질이 결합되는 물질결합작용에 의해 물 분자의 뾰쪽한 분자 구조가 뭉툭한 형태의 분자구조로 변형되기 때문에 세균들에게 치명상을 입히는 물질살균작용을 하지 못하므로 인하여 세균과 같은 미생물들의 번식이 급속도로 번식하면서 오염된 수질을 더욱더 악화시키는 것임.
가설: 물의 온도가 0도 정도로 되도록 만들어주면 물 분자의 분자 구조가 뾰쪽한 형태로 변형된다.
이러한 물질 변화 작용을 이용하여 만든 물을 수증기 형태로 분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농작물의 표면에 엷은 형태로 순간적으로 살포해주면 물 분자의 뾰쪽한 부분에 식물에 기생하는 해충의 살 갓이 찢겨 지거나 찔리게 되면서 해충이 박멸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증거1: 절대적으로 깨끗한 물이 흐르는 금강산의 계곡에는 물고기의 먹이 사슬인 미생물과 세균들이 물 분자의 뾰쪽한 부분에 의해 살균되는 물질살균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살균되기 때문에 먹이 사슬이 형성되지 못하여 물고기들도 살지 못하는 것이다.
증거2: 물을 분사하여 철판을 절단하는 수압절단기
따라서, 물을 일정한 장소에 오랜시간 가두어두게 되면 물질분해작용과 물질 결합작용에 의해 오염이 더욱더 가중되므로 저수공간에 저수되어 있는 물은 항상 만수위를 유지하면서 상류에서 내려오는 물을 수문의 하단부를 통해 수시로 방류하는 방법 많이 하천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며, 또한 저수공간 의 물을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방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주게 되면 물속에 함유된 물질끼리 결합하는 물질결합작용에 의해 뭉쳐진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을 배출하여주면서 동시에 물질 가속도 현상, 물질 새치기 현상, 물질 분해 작용, 물질 부상 작용 등을 발생시켜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 시켜줌과 함께 수문의 상단부로도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약간의 물을 배출하여 물의 상부에 부유하는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물질들과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을 희석시켜주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 시켜주는 최선의 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물의 정화원리를 이용하여 어떠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없이도 오염된 물을 깨끗한 물로 자연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에 맞게 저수장치에 구비된 다수조의 수문을 모두 개방하여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만큼 저수공간의 물을 수문의 하단부를 통해 배출해줌으로써 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물질마찰작용, 물질부상작용, 물질새치기 작용에 의해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분해 소멸시킴은 물론 배출되는 물과 함께 저수공간 하층부의 퇴적오니가 같이 배출되도록 하여 오염된 수질을 정화토록 한 하천 또는 강의 전단면 전폭에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구축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수장치에 구비된 다수조의 수문을 모두 개방하되, 저수공간의 수위 또는 유속을 감지하여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에 해당하는 만큼 각각의 수문의 개방정도를 자동조절하여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만큼 저수공간의 물을 수문을 통해 배출해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천 또는 강의 전단면 전폭에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구축하여 하층부에 포진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우선 배출하는 공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으로서 즉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이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들을 저수공간의 상층부로 밀어 올려놓도록 작용하는 물질새치기 작용과 물질밀림작용을 자연적으로 발생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살려내는 친환경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히는 물 분자와 오염물질분자가 가지고 있는 질량과 비중의 작용에 의해 발생 되는 층류현상 즉 물질분자가 가지고 있는 질량에 따라 자동으로 층이 분리되는 분리작용을 역으로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로 자연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천 또는 강을 가로질러 전단면 전폭에 걸쳐서 설치되는 수문에 의해 형성되는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물들이 수문을 넘치지 않도록 동시에 모든 수문을 일정한 높이로 개문하여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만큼 배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 시키는 친환경 공법이다.
즉 저수공간의 하층부에 포진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해 줌으로 인해 항상 저수공간의 깨끗한 하층수가 우선 배출됨과 동시에 퇴적오 니와 같은 오염물질이 같이 배출되어 저수공간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우선 배출되는 과정에서 물질마찰작용, 물질부상작용, 물질새치기작용, 물질폭발작용이 자연적으로 발생되어 물속에 포함된 오염물질들이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소멸 될 수 있어 하천수의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대용량 저수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면 대용량의 물을 저수하여 놓을 수가 있음은 물론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적은 비용을 들여서 손쉽게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킬 수 있으며, 오염된 하천수가 자연에 의해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자연정화 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완전무결한 깨끗한 하천수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낼 수가 있고, 염소와 불소와 같은 화학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깨끗한 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저수공간에 설치되는 여러 개의 수문들 중에서 한,두개의 수문을 개문하여 저장수를 배출하여 주게 되면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가 비중이 무거운 하천수에 의해 저수공간의 좌,우측으로 밀려나면서 발생시키는 물질결합작용으로 인해 저수공간의 물을 더욱더 오염시키는 작용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친환경 공법을 이용하여 저수공간에 설치되는 모든 수문의 하단부를 동시에 개문 하여 유입되는 수량만큼 동시에 방류하는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가 저수공간의 좌우측면으로 밀려나지 않고 상층부로 상승 되는 작용에 의해 저수공간의 물이 정체되지 않으므로 물과 오염물질이 서로 결합 되어 발생 되는 녹 조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는 것이며, 육지의 하천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들이 바다로 흘러들어 가면서 발생시키는 물질결합작용과 물질뭉침작용에 의해 발생 되는 적조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시켜 줄 수 있는 것이며, 저수장치에 구비된 모든 수문이 동시에 개방되어 상시 물이 흐르고 있으므로 물고기가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상류로 이동할 수 있어 생태계를 복원 또는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무리 많은 물을 가두어 두어도 저장된 물이 썩지 않기 때문에 대용량의 물을 가두어 둘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가두어 둠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하천 인근의 산과 들에는 수분의 함유량이 높은 상태의 토질을 유지하고 있음으로 인하여 산에서 자라나는 나무들의 성장을 촉진하여 주는 동시에 산불을 사전에 예방하여주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가뭄에 따른 토지의 사막화를 막아주는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사막을 옥토로 바꾸어주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 및 각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단계 저수시스템에 적용되는 권양기 수문이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단계 저수시스템에 적용되는 레이디얼 게이트가 설치된 상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다단계 저수 시스템을 하천이나 강의 전체 길이 모두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하천 또는 강의 전단면 전폭을 다단계로 막아 저수공간을 형성하 여 오염된 하천수의 수질을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저수장치(10)를 통해 형성되는 저수공간(미도시)의 수위를 감지하거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하천수의 유속을 감지하여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을 측정하고,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에 따라 저수장치에 설치된 다수조의 수문(20)을 동시에 상승 시켜 한꺼번에 개방하는 것과 함께 그 개방정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에 해당하는 만큼 저수공간의 물을 각각의 모든 수문(20)의 하단부를 동시에 개방하여 하단부를 통해 배출해줌과 동시에 저수공간 하층부의 퇴적오니를 같이 배출해주는 과정을 통해 저수공간의 수질 및 하천의 수질을 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저수공간의 일측과 또는 타측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하여줌과 동시에 일측 또는 타측에 수위센서를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저수공간의 수위를 감지하거나 감시하면서,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하천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센서를 동시 에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하천수의 유속을 직접 목격하거나 감지하여 감지된 감지신호를 종합콘트롤시스템(30)으로 송신하고, 종합콘트롤시스템(30)에서는 센서(31)(수위센서와 유속센서와 감시카메라를 센서로 통칭함)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연산하여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을 측정하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만큼 저수장치(10)에 구비된 다수조의 수문(20)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종합콘트롤시스템(30)을 통해 각 수문(20)의 권양기(21)와 같은 작동수단을 각각 구동해주며, 각 권양기(21)에 의해 각 수문(20)의 개방정도를 동시에 조절해주는 것이다.
이때, 저수장치(10)에 구비되는 다수조의 수문(20)은 모든 방식의 수문을 이용 할수 있으나 통상 권양기 수문이나 레이디얼 게이트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권양기 수문이나 레이디얼 게이트는 상부의 권양기(21)에 의해 승하강되면서 수문(20)의 하단부와 저수장치(10)의 바닥부 사이로 저수공간의 물을 배출해주는 구조로 되어 있어 각 각의 수문(20)이 개방되면 수문(20)의 하단부와 저수장치(10)의 바닥부 사이로 배출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출공간을 통해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만큼 저수공간에 가두어져있던 물 중 하층수가 배출됨과 동시에 저수공간의 하층부에 포진하고 있는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이 함께 배출되어 저수공간에 저수된 오염된 하천수의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고, 물의 배출과정에서 폭기작용 등에 의해 물속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분해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오염된 하천수가 자연적으로 정화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위센서 또는 유속센서는 지속적으로 저수공간의 수위 또는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하천수의 유속을 감지하게 되며, 이러한 감지신호에 따라 종합콘트롤시스템(30)에서는 각 수문(20)의 개방정도를 결정하여 자동으로 저수장치(10)에 구비된 다수조의 수문(20)을 한꺼번에 조절해줄 수 있는 것이므로 항상 저수공간에는 적정한 정도의 수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홍수와 같이 수위가 급격하게 불어나는 경우에는 저수장치(10)에 구비된 모든 수문(20)을 개방하여 빠른시간 내에 수위를 안정화시켜 주어야 하고, 갈수기에는 유입수량이 매우 적으므로 저장수의 오염을 방지하여 주기 위해선 모든 수문을 0.5mm~50cm이내로 동시에 개방하여 상시 방류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정시간은 수문을 개방하고 개방시간이 경과 되면 폐쇄하는 것과 같은 패턴으로 구동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게 되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저수장치(10)과 다수조의 수문(20)을 그대로 이용하고 이러한 수문(20)들을 한꺼번에 제어할 수 있는 종합콘트롤시스템(30)과 수위센서 또는 유속센서 등의 센서(31)만을 추가 설치하게 되면 저수장치(10)를 통해 형성되는 저수공간의 수질과 하류의 하천수 수질을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모든 수질정화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관리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저수장치(10)에 권양기 수문 또는 레이디얼 게이트가 설치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저수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종류의 수문 들 역시 모두 적용가능한 것이므로 수문의 종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다단계 저수시스템에 적용되는 권양기 수문이 설치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단계 저수시스템에 적용되는 레이디얼 게이트가 설치된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단계 저수 시스템을 하천이나 강의 전체 길이 모두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저수장치 20 : 수문
21 : 권양기 30 : 종합콘트롤시스템
31 : 센서 또는 감시카메라

Claims (2)

  1. 강이나 하천의 전체 폭에 다수의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설치하면서 이러한 다수의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강이나 하천의 전체 길이에 다단계로 설치하여 강이나 하천의 전체 길이 모두에 물을 가득 채워줌과 함께 저수공간의 내측과 외측에 수위 체크카메라를 설치하여 하천수위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면서 변화되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설치하여 변화되는 수위를 감지하거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하천에 유속센서를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하천수의 유속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종합콘트롤시스템으로 송신하고, 상기 종합콘트롤시스템에서는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를 연산하여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을 측정하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만큼 상기 저수장치에 구비된 모든 수문을 동시 개문 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종합콘트롤시스템을 통해 상기 각 수문을 다단계로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을 각각 구동해주고, 상기 각 작동수단을 이용하여 측정된 유입 수량만큼 상기 각각의 모든 수문을 동시에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조절하여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량에 해당하는 만큼 저수공간에 저수된 물 중 퇴적오니를 포함하는 하층수를 상기 각각의 모든 수문의 하단부로 배출하여 저수공간에 저장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또는 강의 전단면 전폭에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구축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2. 삭제
KR1020090116429A 2009-05-25 2009-11-30 하천 또는 강의 전단면 전폭에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구축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KR101233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358 2009-05-25
KR1020090045358A KR20090060983A (ko) 2009-05-25 2009-05-25 모든 수문을 동시에 개문 하여 저수공간의 하층부에 포진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우선 배출하는 공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165A KR20090130165A (ko) 2009-12-18
KR101233804B1 true KR101233804B1 (ko) 2013-02-18

Family

ID=409906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358A KR20090060983A (ko) 2009-05-25 2009-05-25 모든 수문을 동시에 개문 하여 저수공간의 하층부에 포진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우선 배출하는 공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KR1020090116429A KR101233804B1 (ko) 2009-05-25 2009-11-30 하천 또는 강의 전단면 전폭에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구축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358A KR20090060983A (ko) 2009-05-25 2009-05-25 모든 수문을 동시에 개문 하여 저수공간의 하층부에 포진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우선 배출하는 공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90060983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629A (ko) 2013-07-23 2013-08-12 한민섭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KR20150146484A (ko) 2015-12-13 2015-12-31 한상관 민물과 바닷물과 우유와 술과 음료와 같은 유체성 식품과, 기호성 식품과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60013220A (ko) 2016-01-04 2016-02-03 한상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60023748A (ko) 2016-02-12 2016-03-03 한상관 중력 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60027962A (ko) 2016-02-21 2016-03-10 한상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70021265A (ko) 2017-02-07 2017-02-27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70026416A (ko) 2017-02-18 2017-03-08 한상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를 분리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70030499A (ko) 2017-02-23 2017-03-17 한상관 하천의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를 분리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70033820A (ko) 2017-03-07 2017-03-27 한상관 강이나 하천의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를 분리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80065978A (ko) 2017-02-07 2018-06-18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 시켜 주는 자연친화적인 정화처리장치 및 그 정화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200098148A (ko) 2019-02-12 2020-08-20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친환경 전력을 생산하는 친환경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기생산수단 및 하천수 정화수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6432A (ko) 2018-06-21 2019-02-18 한상관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자연 형성시키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200004479A (ko) 2018-07-03 2020-01-14 한상관 대형 빗물저장고 겸용 인공양어장을 조성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200032874A (ko) 2018-09-19 2020-03-27 한상관 대형 빗물저장고 겸용 인공양어장을 조성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CN111747454A (zh) * 2020-01-17 2020-10-09 浙江农林大学 一种防止河流水质污染的方法
CN111945679B (zh) * 2020-08-11 2022-02-11 安徽省万豪水坝节能技术有限公司 具有清淤排污功能的拦河液压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288A (ko) * 2007-01-12 2007-02-22 한상관 오염된 물을 자연적으로 정화하는 방법
KR20080073275A (ko) * 2008-07-21 2008-08-08 한상관 오염된 하천을 정화시켜주는 회전수문의 구성방법
KR20080106397A (ko) * 2008-11-17 2008-12-05 한상관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키는 방법
KR20090060988A (ko) * 2009-05-26 2009-06-15 한상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를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288A (ko) * 2007-01-12 2007-02-22 한상관 오염된 물을 자연적으로 정화하는 방법
KR20080073275A (ko) * 2008-07-21 2008-08-08 한상관 오염된 하천을 정화시켜주는 회전수문의 구성방법
KR20080106397A (ko) * 2008-11-17 2008-12-05 한상관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키는 방법
KR20090060988A (ko) * 2009-05-26 2009-06-15 한상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를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공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629A (ko) 2013-07-23 2013-08-12 한민섭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KR20150146484A (ko) 2015-12-13 2015-12-31 한상관 민물과 바닷물과 우유와 술과 음료와 같은 유체성 식품과, 기호성 식품과 혈액과 같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 또는 기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60013220A (ko) 2016-01-04 2016-02-03 한상관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60023748A (ko) 2016-02-12 2016-03-03 한상관 중력 가속도 작용과 중력의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60027962A (ko) 2016-02-21 2016-03-10 한상관 중력의 작용과 중력 가속도 작용과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이용하여 유체성 물질분자와 결합 되어 있는 비중이 가벼운 물질분자와 비중이 무거운 유체성 물질분자들을 분리가공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유체성 물질분자 분리기
KR20170021265A (ko) 2017-02-07 2017-02-27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80065978A (ko) 2017-02-07 2018-06-18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 시켜 주는 자연친화적인 정화처리장치 및 그 정화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70026416A (ko) 2017-02-18 2017-03-08 한상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를 분리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70030499A (ko) 2017-02-23 2017-03-17 한상관 하천의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를 분리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70033820A (ko) 2017-03-07 2017-03-27 한상관 강이나 하천의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를 분리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200098148A (ko) 2019-02-12 2020-08-20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친환경 전력을 생산하는 친환경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기생산수단 및 하천수 정화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165A (ko) 2009-12-18
KR20090060983A (ko) 200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804B1 (ko) 하천 또는 강의 전단면 전폭에 하단부 배출식 저수장치를 구축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KR101978251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 시켜 주는 자연친화적인 정화처리장치 및 그 정화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101468199B1 (ko) 대용량의 하천수를 저장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전력 생산기 겸용 이물질제거용 권양기 수문
KR100912792B1 (ko)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공법 및 여기에 적용되는 무정전 수문 작동 시스템.
KR100920268B1 (ko)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 분자를 우선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1389570B1 (ko) 저수지, 호수, 석호 또는 댐의 주변에 구성되어 있는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서 흘러들어오는 하천수와 오염물질들을 역방향으로 수집하여 정화하는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20130036115A (ko)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는 주도록 2유입구와 4개의 배출구가 구성되는 다기능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 정화장치
KR20170075686A (ko) 여울목 충돌작용을 이용하여 하천수에 함유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들이 자연적으로 분리되도록 작용하는 물질새치기 작용과 물질밀림작용을 발생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70069967A (ko)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들이 자연적으로 분리되도록 작용하는 물질새치기 작용과 물질밀림작용을 발생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080097368A (ko)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수문의 구성방법
KR20090040413A (ko) 저수지 또는 수중보 또는 고무보의 저수공간에 저수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키는 공법
KR101812803B1 (ko) 어도를 형성시켜 주면서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분리작용을 유도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1741836B1 (ko) 하천수 정화 친환경 공법
KR20130067480A (ko)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는 주는 저층수 배출통로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배출함과 동시에 물질분자별로 자동 분리되는 중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2유입구와 4개의 배출구로 오염된 하천수를 분리 배출시키는 공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친환경 수질정화 시스템
KR20080104244A (ko)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을 우선적으로 배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수질이 되도록 정화시키는 방법
KR20110086678A (ko) 다단계로 배출되는 싸이폰 통로를 통하여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 분자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들이 순차적으로 희석되면서 발생 시키는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을 유도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1028992B1 (ko) 저장수의 하층부에 포진하고 있는 깨끗한 물을 우선적으로 배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수질이 되도록 정화시켜주는 방법
KR101811192B1 (ko) 어도를 형성시켜 주면서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발생 되는 물질새치기 작용과 물질밀림작용과 물질분리작용을 강제적으로 발생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하천수 정화기능을 발휘하는 친환경 공법.
KR20180008812A (ko)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과 여울목 충돌작용을 이용하여 하천수에 함유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들이 자연적으로 분리되도록 작용하는 물질새치기 작용과 물질밀림작용을 발생시켜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090060985A (ko)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작용하여주는 권양기 수문을 이용한 친환경 수질정화공법
KR20090060974A (ko)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20090040276A (ko) 깨끗한 물 분자를 우선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1017000B1 (ko) 깨끗한 상태에 있는 물 분자를 우선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20170033820A (ko) 강이나 하천의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를 분리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70026416A (ko)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와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하천수를 분리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