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915A - 부유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 Google Patents

부유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915A
KR20030041915A KR1020030025289A KR20030025289A KR20030041915A KR 20030041915 A KR20030041915 A KR 20030041915A KR 1020030025289 A KR1020030025289 A KR 1020030025289A KR 20030025289 A KR20030025289 A KR 20030025289A KR 20030041915 A KR20030041915 A KR 20030041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ate
water gate
cylinder
up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ublication of KR20030041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915A/ko
Priority to KR1020030041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327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093Incision instruments for skin inci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수문본체(1)를 개폐하기 위한 실린더(4)를 언체(100)의 밀폐공간 부(11)에 설치하여 수초 등의 불순물에 의해 실린더(4)가 고장을 일으킬 우려를 크게 줄이고,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하류에서 상류로의 어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자연생태계의 보존을 도모한다.
또한 수문본체(1)의 하층수들을 빨아올리도록 구성되는 싸이폰 통로(16)를 통하여 배출하는 기능에 의해 수문이 안 열리고도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입 수를 배출하는 구성됨으로 인하여 하천에서 물놀이 하는 유영객들의 안전을 도모 할 수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수문본체(1)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싸이폰 통로(16)를 통하여 수문본체(1)을 닫은 상태에서도 저수측의 수중에 침전된 오염물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여 수질개선작용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수문의 상단에 걸리는 부유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위한 부유물질 제거판을 수문의 상단에 구성하여 수문의 상단에 걸리는 부유물질들을 용이하게 제거 할수 있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부유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 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omitted}
본 발명은 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수문본체에 의해 수로를 개폐하여 수로 상류측의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부상식 자동보 수문에 관한 것이며, 수문본체(1)를개폐하기 위한 실린더(4)를 언체(100)의 밀폐공간부(11)에 설치하여 수초등의 불순물에 의해 실린더(4)가 고장을 일으킬 우려를 크게 줄이고,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하류에서 상류로 이동하는 어류들이 용이하게 소상함으로서 자연생태계의 보존을 도모함과 함께 수문본체(1)의 하층수들을 빨아올리도록 구성되는 싸이폰 통로(16)를 통하여 유입수를 배출하는 기능에 의해 수문(1)이 안 열리고도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입수의 하층부만을 배출하도록 구성됨으로 인하여 하천에서 물놀이 하는 유영객들의 안전을 도모 할 수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수문본체(1)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싸이폰 통로(16)를 통하여 수문본체(1)을 닫은 상태에서도 저수측의 하층부에 포진하고 있는 비중이 무거운 물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함으로 인하여, 하층부에 침전된 오염물의 배출을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오염된 수질의 수질개선작용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상식 자동보 수문에 관한 것이다.
즉 수문의 작동 방식이 부상식이기 때문에 하류에서 상류로 어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어도의 기능을 갖고 수질개선 작용을 발휘하는 사이폰 배출 시스템의 작용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 자연정화되면서 어도가 자연 형성되는 부상식 자동보 수문에 관한 것이다.
수로에는 홍수조절기능과 농업용수의 확보 또는 수로 상류측의 미관 등을 고려하여 수로 상류측의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중보가 설치되며 그 구성의 주요 부재로 수문이 설치된다.
종래에 제공된 수문으로는 많은 종류의 것들이 있고 그 작동 방법들 또한 수많은 것들이 있는바, 대부분의 수문의 경우는 수로의 폭방향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축조된 콘크리트와 같은 지지구조체 사이에 수문본체를 배치함과 함께 이 수문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를 축을 통해 지지구조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시켜 모터나 실린더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수문본체를 회동시켜 유입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됨으로 인하여 물놀이 하는 유영객들의 안전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키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즉 수문이 부상되면서 약간만 개방되었을 때에 수문의 하단부로 빨려들어가는 사람들이 수압의 힘을 이기지 못하여 익사할 수가 있는 중대한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홍수시에 하천의 상류에서 떠내오는 부유물질들이 수문의 상단에 걸리게 되는데 이 부유물질들을 인위적으로 제거해 주어야 하는 중대한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홍수시에 하천의 상류에서 떠내려 오는 부유물질들을 용이하게 제거 해주기 위해서 수문의 상단에 부유물질 제거판을 구성하여 부유물질들을 용이하게 제거해주도록 구성하는 것을 본 발명의 주요 과제로 삼는다.
또 다른 문제로는 상기와 같은 대부분의 수문은 수문의 개폐가 물에 취약한 전기모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잦은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실린더에 의한 경우에는 물에 노출된 실린더의 작동틈새로 수초, 모래와 같은 불순물에 유입되어 고장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홍수시에 중력의 압력에 의해 수문본체의 뒷편 하층부로 밀려들어오는 모래 자갈과 같은 침전물에 의한 지렛대 현상에 의해 수문이 완전 개방되지 못하여 수문의 찌그러짐이 발생하면서 수문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 제공된 수문은 어느 것이든 단지 수로의 개폐기능만을 발휘하는 기능에만 치우쳐 있는 것이므로 어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거나 오염된 수질의 자연적인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배려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을 고려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수문본체 또는 그 하부에 별도의 어도를 형성 없이도 물고기들이 용이하게 하류에서 상류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자연생태계의 보존을 도모하고, 수문본체의 하부에 모래, 자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수문본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며, 수중에 침전된 오염물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여 수질개선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싸이폰 배출통로의 작용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 자연정화 되면서 수 문이 개방될 때에 어도가 자연 형성되는 부상식 자동보 수문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또한 홍수시에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부유물질들이 수문의 상단에 보기 흉하도록 걸리게 되어도 신속하게 부유물질제거판을 작동시켜주어 부유물질들이 하천의 하류부로 떠내려 가도록 구성하는 주요 기술적인 과제로 삼는다.
또한 평소에 수문이 열려 있을 때에 하천의 하류로부터 상류로 소상하는 물고기들이 쎈 물살을 헤치고 올라가는 것을 도와주기 위한 방편으로 수문이 설치되는 에프런의 상류부 바닥과 하류부 바닥에 다수의 어류이동 유도끈을 구성하여 하천생태계를 복원하는 작용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보 수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보 수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1의 B-B선 단면도
도4 A는 도 2의 A-B선선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수문본체 11. 실린더 밀폐공간부, 16. 싸이폰 통로 22.유압실린더 33. 싸이폰 배출통로 34, 부유물질제거판 35. 로울러 36.실린더로드 37. 탄성부재 겸 유동흰지 38. 실린더(회동부재) 39. 실린더 실 44.싸이폰 유입통로 51. 수압유도판 52. 어류이동 유도끈 55. 수문의 흰지 66. 차단판 100. 언체 및 에프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문은 어도의 기능을 발휘하면서 오염된 수질의 자연적개선 작용을 발휘하는 싸이폰 배출 시스템의 작용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 자연 정화되면서 어도가 자연 형성되는 부상식 자동보 수문에 관한 것이다.
수문의 지지체는 수로의 폭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구조체가 축조되고 지지구조체 사이에 중공의 사각 판 형상인 수문본체가 경사지게 배치되며, 수문본체의 상부는 중심축에 의해 지지구조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문본체의 양측면에 구성되는 언체부 내에 실린더가 수납되는 밀폐공간부가 형성됨과 함께 이 밀폐공간부에는 수문을 지지하는 지지축과 실린더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에 실린더가 배치되고 실린더의 상단은 밀폐공간부 상측에 고정된 지지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실린더의 하단은 일단부가 중심축에 연결된 링크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실린더를 신축하는 것에 의해 수문본체가 중심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수문본체의 저수측 하부에서 수문본체의 상부 가까이를 통하여 수문본체의 배수측 하부로는 중력의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하층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싸이폰 배수통로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문본체를 개폐하기 위한 실린더를 수문본체의 양측부의 언체부밀폐공간에 설치하여 수초 등의 불순물에 의해 실린더가 고장을 일으킬 우려를 크게 줄인 것이므로 수문본체의 개폐를 어떠한 문제점도 없이 용이하고 내구성 있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홍수시에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부유물질들이 수문의 상단에 보기 흉하도록 걸리게 되어도 신속하게 부유물질제거판을 작동시켜주어 부유물질들이 하천의 하류부로 떠내려 가도록 구성한다.
또한 평소에 수문이 열려 있을 때에 하천의 하류로부터 상류로 소상하는 물고기들이 쎈 물살을 헤치고 올라가는 것을 도와주기 위한 방편으로 수문이 설치되는 에프런의 상류부 바닥과 하류부 바닥에 다수의 수압 유도판을 구성 한 후 수압 유도판의 후면부에 어류이동 유도끈을 구성하여 하천생태계를 복원하는 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자동보 수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자동보 수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 자동보 수문(AW)과 그 구성방법은, 종래와 같이 수로의 폭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축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지구조체(100)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수문본체(1)는 중공의 사각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수문본체(1)의 일측과 타측의 상부에는 중심축(55)이 구성되며, 이 중심축(55)은 수문(1)의 양측부에 구성되는 언체(100)에 구성되는 지지축(88)에 흰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문본체(1)는 중심축(5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문본체(1)를 지지하는 지지축(88)을 기점으로 긴 밀폐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밀폐공간부(11)에 실린더(22)가 흰지에 의해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22)의 상단은 밀폐공간부(11)의 상측에 고정된 수문(1)의 지지브라켓(88)에 링크(99)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실린더(22)의 하단은 일단부가 실린더 고정축(71)에 고정 연결된 핀(72)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실린더(22)를 신축하면 도 1과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본체(1)는 중심축(55)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로를 개폐할 수 있고, 이러한 작동에 있어서, 실린더(22)는 수문본체(1)의 양측부 언체 밀폐공간부(11)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물질들이 실린더 밀폐 공간부(11)로 유입되지 못하므로 이물질들에 의한 고장의 우려가 없는 것이다.
위와 같은 작동에 있어서 수문본체(1)가 도 1에 도시된 에서와 같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저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문본체(1)의 저수측 하부에서 수문본체(1)의 상부 가까이를 통하여 수문본체(1)의 배수측 하부측 방향으로 ∩자형태의 싸이폰 배수통로(16)가 형성되고, 저수측 배수통로(16)는 차단판(66)에 의해 수문(1)이 개방되었을 때에 싸이폰 통로(16)를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흰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수문본체(1)가 폐쇄된 상태일 때는 차단판(66)이 외부의 조작에 의해 열리게 되고 도 4에서와 같이 수문본체(1)가 개방된 상태일 때는 차단판(6)에 의해 입구(44)가 자동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차단판(66)의 조작을 인위적으로 하여주기 위해 차단판을 회동부재와 결합하는 것 또한 당해 업자라면 용이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문(1)의 내부에 싸이폰 배수통로(16)를 형성함에 따라 수문본체(1)가 폐쇄상태일 때 저수측 수위가 상승되면서 발생되는 중력의 압력의 작용에 의해 저수 수위가 수문(1)의 본체 상단에 도달하면 자연적인 중력의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수압의 압력에 의해 저수 되어 있는 하층부의 물들이 수문본체(1)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싸이폰 배출통로(16)의 입구(44)를 통하여 저수측 뒤부분에 구성되는 싸이폰 통로(33)를 타고 배출됨으로 인하여 저수측 하층부에 정체되면서 부패(腐敗)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여기서 수문본체(1)가 개방상태일 때 싸이폰 배수통로(16)는 차단판(66)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싸이폰 배수통로(16)가 모래, 자갈 등에 의해 막힐 우려는 없다.
싸이폰 배출통로(16)의 좌측과 우측부분은 밀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
된다.
이와 같이 작동 되도록 구성하는 이유는 물속에 함유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은 하천의 하층 부분에 포진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깨끗한 물을 우선 배출 하여주게 되면 오염된 물이 연속적으로 살아나기 때문인 것이다.
또한 수문을 개방하지 않고도 유입되는 양만큼 하천수를 방출함으로 인하여 물놀이하는 유영객들의 안전을 도모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해 구성되는 또다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문본체가 구성되는 에프런(100) 바닥의 상류부분과 하류 부분에다수의 수압유도판(51)이 구성되며, 이 수압유도판에는 다수의 어류 이동 유도 끈(52)이 구성되는 구조이다.
자세히는 상기 수압유도판(51)의 후면부에는 어류가 지지매체로 하여 배수측에서 저수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는 것을 돕기 위해 천 또는 폴리에치렌 사와 같은 유연한 재질의 로프와 같은 부재로 구성되는 어류 이동 유도끈(52)이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수압유도판(51)과 어류이동 유도끈(52)는 수문(1)이 구성되는 에프런(100) 바닥의 상류부와 하류부분에 지그재그형태로 다수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수문본체(1)가 설치되는 하류부분 에프런바닥과 상류부분에 다수의 수압유도판(51)과 어류이동 유도끈(52)을 구성함으로서, 수문본체(1)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류로 이동하는 어류들이 강한 수압에도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자연생태계의 보존을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수문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홍수시에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부유물질들이 수문(1)의 상단부에 걸리게 되는데 이러한 부유물질들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구조를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수문(1)의 상단부에 ⊂ 자형태로 구성되는 부유물질제거판(34)이 구성되며, 부유물질제거판(34)의 하단부는 탄성부재(37)에 결합되는 흰지(37)의해 수문(1)에 결합된다,부유물질제거판(34)과 결합되는 탄성부재(37)와 흰지(37)의 개소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부유물질제거판(34)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실린더(38)는 실린더실(39)의후면부에 구성되는 흰지(60)에 의해 결합되며, 수문(1)에 걸리는 부유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작동하는 부유물질 제거판(34)의 후진작동은 수문(1)의 상단 중앙에 구성되는 실린더(38)와 결합되는 실린더로드(36)에 의해 작동되며,실린더(38)와 실린더로드(36)의 힘에 의해 후진되었던 부유물질 제거판(34)은 부유물질제거판(34)을 흰지(37)고정하고 있는 탄성부재(37)의 탄성력에 의해 수문(1)에 원상태로 밀착되는 것을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부유물질제거판(34)를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실린더(38)와 결합되는 실린더 로드(36)는 직선 왕복 운동만을 하도록 구성되며, 실린더로드(36)의 끝단부에는 부유물질 제거판(34)의 내면부와 밀착되면서 로울링이 가능하도록 회전 로울러(35)가 구성되는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부유물질제거판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또는 공압 배관라인과 자동 콘트롤 시스템은 공지되어 있는 기계 들을 이용하면 얼마든지 사용이 가능하기에 미도시하고 미 설명한다.또한 부유물질제거판을 회동시키도록 구성 할 수 있는 부재는 수천가지로 변형하여 구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 구성이 틀리다 해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열거한 구성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그 기술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한 것이라 하겠다.
당해 업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의 변경은 아주 쉬운 일이다, 그러므로약간의 설계 변경을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완성 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그 구성과 기능을 약간 변형하여 구성한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수문의 양측부 언체부에 구성되는 밀폐공간부에 구성되는 원호형의 지수부재와 패킹부재는 공지되어 있는 부재를 이용하면 얼마든지 그 구성이 가능한 것임으로 그 구성을 생략 하였다 해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구성되는 싸이폰 배수통로를 구성함에 있어서, 당해업자라면 수 문이 개폐되는 방식이 어느 방식이라고 해도 이러한 구성을 도입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므로 이러한 구성을 다른 방식의 수문과 결합 구성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구성되는 수압 유도판의 모양과 형상 그리고 수압유도판과 어류이동 유도끈의 재료가 다르더라도 그 기능을 발휘할 수가 있는 것임으로 재료를 달리하거나 모양과 형상을 달리 하여 구성하였다 해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변형 구성한 기술들은 그 모양과 형상이 동일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해도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능을 발휘 할 수가 있는 것임으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토목공사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문본체를 개폐하기 위한 실린더를 수문본체의 양측부 언체부에 밀폐공간을 설치하여 수초 등의 불순물에 의해 실린더가 고장을 일으킬 우려를 크게 줄인 것이므로 수문본체의 개폐를 어떠한 문제점도 없이 용이하고 내구성 있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수문본체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싸이폰 배수통로를 통하여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입수 만큼만 중력의 압력에 의해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수문을 닫은 상태에서도 저수측의 수중에 침전된 오염물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여 수질개선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수문이 개방되었을 때에 상류로 이동하려는 물고기들이 수출의 상류부분과 하류부 에프런에 구성되는 수압 유도판과 어류 이동 유도끈의 작용에 의해 용이하게 하천의 상류로 이동할 수가 있는 작용에 의해 하천 생태계를 복원하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홍수시에 하천의 상류에서 떠내려 오는 부유물질들을 용이하게 제거 시켜줌으로 인하여 수문의 상단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시켜 줄수 있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수로의 폭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구조체(100)가 축조되고 지지구조체(100) 사이에 중공의 사각판 형상인 수문본체(1)가 경사지게 배치되며 수문본체(1)의 상부는 중심축(2)에 의해 지지구조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것에 있어서, 수문본체(1)의 저수측 하부에서 수문본체(1)의 상부 가까이를 통하여 수문본체(1)의 배수측 하부로는 하천수의 하층부분만을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배출 시킬수 있도록 싸이폰 배수통로 입구(44)와 연통되는 싸이폰 배출통로(16)가 싸이폰 배출통로 출구(33)와 연속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하여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입수의 양 만큼만 중력의 압력에 의해 자연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문(1)이 설치되는 에프런(100)바닥의 상류부분 바닥과 하단부분의 에프런(100)바닥에 지그재그형태로 수압유도판(51)이 다수 고정되며 수압유도판(51)의 후면부에 어류들이 하천의 상류로 이동하는 주요 이동수단인 지느러미의 지지매체로 이용 할 수 있도록 천 또는 폴리에치렌 사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어류 이동 유도끈(52)을 구성 하여 하천생태계를 복원하는데 일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폰 통로들의 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중력의 압력에 의해 유입수 만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비가 오거나 홍수시에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부유물질 들이 수문의 상단에 걸려있는 것을 제거 시킬 수 있도록 부유물질제거판(34)이 수문(1)의 상단에 ⊂자형태로 구성되며,수문의 상단에 구성되는 부유물질제거 판은 탄성부재(37)와 결합되는 흰지(37)에 의해 수문에 결합됨과 함께 수문(1)의 중앙에는 실린더실(39)이 구성되며,실린더실에는 실린더와 실린더로드가 구성됨과 함께, 실린더 로드의 끝 단면에는 로룰러가 구성되고,실린더의 후면부는 실린더실에 흰지 결합됨과 함께,실린더는 배관라인(미도시)에 연결되는 구조로서 , 홍수시에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부유물질들이 수문의 상단에 걸리게 되면 실린더가 후진 신장 되는 것에 의해 수문의 상단에 구성되는 부유물질제거판이 후진하면서 부유물질제거판에 걸려있는 부유물질들이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이폰 통로들의 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중력의 압력에 의해 유입수 만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KR1020030025289A 2002-11-21 2003-04-21 부유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KR20030041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782A KR20030063272A (ko) 2002-11-21 2003-06-25 부유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158 2003-04-11
KR1020030023158 2003-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915A true KR20030041915A (ko) 2003-05-27

Family

ID=2957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289A KR20030041915A (ko) 2002-11-21 2003-04-21 부유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19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8819A (ko) 2013-07-19 2013-08-08 한민섭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KR20130089629A (ko) 2013-07-23 2013-08-12 한민섭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CN106120664A (zh) * 2016-06-24 2016-11-16 中国长江三峡集团公司 升船机下闸首工作闸门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8819A (ko) 2013-07-19 2013-08-08 한민섭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KR20130089629A (ko) 2013-07-23 2013-08-12 한민섭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면서 로프로 작동되는 수질정화 겸용 다기능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작동시스템
CN106120664A (zh) * 2016-06-24 2016-11-16 中国长江三峡集团公司 升船机下闸首工作闸门施工方法
CN106120664B (zh) * 2016-06-24 2018-05-11 中国长江三峡集团公司 升船机下闸首工作闸门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690B1 (ko)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방법
KR101579302B1 (ko) 자동 어도 겸용 퇴적오니 배출통로를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 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권양기 수문
KR20030041900A (ko) 다단 배출 시스템의 작용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자연정화되면서 어도가 자연 형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구성방법
KR20030041915A (ko) 부유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KR100757315B1 (ko) 어도를 갖는 자동보 수문
KR200320510Y1 (ko) 싸이폰 통로의 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유입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자동보 수문
KR100627032B1 (ko) 부유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 역할에 의해 수문본체를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자동보 수문본체
KR200392599Y1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100399744B1 (ko) 자동수문
KR100919318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할 수 있는 수문 시스템
KR101235065B1 (ko)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KR20070108436A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회전수문의 구성방법
KR200244423Y1 (ko) 지수장치의 역할에 의해 밀폐되어 작동하는 수문
KR200408865Y1 (ko) 수중보의 수문 개폐장치
KR20090057783A (ko) 보조수문을 구비한 수문
KR101184967B1 (ko) 이물질 제거 장치
KR200427634Y1 (ko) 수질개선의 기능을 갖는 가동보
KR100645331B1 (ko) 수중보의 수문 개폐장치
KR200310578Y1 (ko) 수문의 상단이나 측면 또는 수문과 문틀사이에 끼이는이물질들을 제거시킬 수 있도록 이물질 제거용 물분사장치가 구비되는 수문
KR20010008037A (ko) 자동보의 구성방법
KR20030063272A (ko) 부유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싸이폰 통로의역할에 의해 수문을 개방시키지 않고 유입수를 배출하도록구성되는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JP3253997B2 (ja) 河川等の流水浄化装置
KR100470748B1 (ko) 응급 손잡이 및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를 갖는 자동보 수문
KR200308612Y1 (ko) 이중 배출 시스템의 역활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정화되도록 작용하는 어도 겸용 수질개선용 자동보 수문
KR20030077480A (ko) 다중 접철식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