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665A - 무언체 전도 수문 - Google Patents

무언체 전도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665A
KR20180062665A KR1020160162603A KR20160162603A KR20180062665A KR 20180062665 A KR20180062665 A KR 20180062665A KR 1020160162603 A KR1020160162603 A KR 1020160162603A KR 20160162603 A KR20160162603 A KR 20160162603A KR 20180062665 A KR20180062665 A KR 20180062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time interval
water
foreign mat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0712B1 (ko
Inventor
박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지
Priority to KR102016016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7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언체 전도 수문은 하천을 막거나 개방하는 수문 본체와 상기 수문 본체의 상류측 바닥에 수문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수문 본체의 상류측 물을 수문 본체의 하류측으로 배출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천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이물질 차단판과 상기 배수관을 열거나 닫는 막음판을 포함하는 저류수 배출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언체 전도 수문에는 압축공기발생수단이 더 포함되어 저류배출수단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문 본체에 의해 정체된 하천수의 부영양화를 억제하도록 정체된 저류 하천수에 공기를 공급하여 폭기하도록 압축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언체 전도 수문{A FLOOD GATE}
본 발명은 무언체 전도 수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무언체 전도 수문은 압축공기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수문 본체에 의해 정체된 하천의 물에 공기를 공급하여 폭기시켜 정화하고, 이물질 차단판 쪽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 차단판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수문이란 일반적으로 농업 또는 산업용수로 이용하기 위하여 물을 가둬 사용하는 것으로, 물을 일정량 가두기 때문에 어류의 생태계에 좋은 영향을 끼치며 홍수에 의해 물이 불어날 때는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수해의 피해를 줄이는데 많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수문은 수문의 회전 중심을 하부에 형성하여 수문이 물 흐르는 방향으로 쓰러지면서 물이 수문을 타고 넘는 전도식과 수문의 회전 중심을 상부에 형성하여 수문의 하부가 물 흐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물이 수문의 하부로 흐르도록 하는 하단 배출식으로 나누어진다.
전도식 수문은 수문 본체(1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가 하부에 형성되고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기립되거나 하천 바닥에 도복된 상태로 구성되어, 기립 상태에서 담수된 물이 수문 본체(10)를 타고 넘어가면서 배출되어, 홍수시에는 지면과 밀착되도록 도복되어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무언체 수문은 수문 본체(10)의 상류측 바닥에 저류수 배출수단(20)이 설치되어, 수문 본체(10)에 의해 정체된 상류측 물을 하류측으로 배출하여 정체된 물이 배출한다.
그러나, 저류수 배출수단(20)이 구비된 경우라 하더라도 정체된 물을 모두 배출할수 없기 때문에 정체된 하천수가 썩기 쉽다. 즉,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이 물속에서 세균, 균류 등에 의하여 생화학적으로 분해되면서 물속에 녹아있는 용존산소가 부족하게 되어 정체된 물이 쉽게 오염된다. 또한,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는 유해한 황화수소 등이 발생하고, 물이 산성화되어 악취가나며, 물이 매우 탁해지기 때문에 물의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저류수 배출수단에 이물질이 끼게 되어 정체된 하천수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0980723(2010년9월1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류배출수단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여, 수문 본체에 의해 정체된 상류측 물을 하류측으로 원활하게 배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문 본체에 의해 정체된 하천수의 부영양화를 억제하기 위해 저류 하천수에 공기를 공급하여 폭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언체 전도 수문은 하천의 폭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기립 또는 도복하면서 상기 하천을 막거나 개방하는 수문 본체;상기 수문 본체의 상류측 바닥에 수문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수문 본체의 상류측 물을 수문 본체의 하류측으로 배출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천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이물질 차단판과 상기 배수관을 열거나 닫는 막음판을 포함하는 저류수 배출수단; 상기 이물질 차단판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압축공기와 상기 수문 본체에 의해 정체된 하천의 물을 정화하는 제2 압축공기를 발생하여 상기 이물질 차단판 쪽으로 분사하는 압축공기발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시간은 상기 제2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차단판은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정체된 하천의 물은 통과시키나 상기 이물질을 차단하는 여과망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발생수단은 상기 저류수 배출수단 외부에 배치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켜 토출하는 공기발생기; 상기 공기발생기로부터 압축공기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메인배관;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배수관 일면을 통과하여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 상기 분기관과 연통되며, 상기 압축공기를 분출하는 에어노즐 및 에어노즐과 연통되며, 상기 에어노즐로부터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이물질 차단판 쪽으로 분사하는 산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기구의 직경은 상기 에어노즐 직경의 10 내지 30 배이며, 상기 이물질 차단판 직경의 0.8 내지 1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 발생수단은 상기 메인배관을 개폐하는 제1 개폐밸브와 상기 분기관을 개폐하는 제2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언체 전도수문은 상기 제1 압축공기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압축공기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신호는 기설정된 제1 시간간격을 갖는 활성구간과 기설정된 제2 시간간격을 갖는 비활성구간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며,상기 활성구간은 상기 제1 개폐밸브를 열어 상기 공기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가 상기 메인배관 쪽으로 연통되는 시간구간이며, 비활성구간은 제1 개폐밸브 닫아 공기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가 메인배관 쪽으로 연통되는 것을 막는 시간 구간이며, 상기 활성구간은 상기 제2 개폐밸브를 열어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메인배관에서 상기 분기관 쪽으로 연통되는 시간구간인 제1 내지 제N-1 세부 활성구간이 순차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간간격은 제2 시간간격에 비해 1000배 내지 24000배 더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신호는 기설정된 제3 시간간격을 갖는 활성구간과 제4 시간간격을 갖는 비활성구간이 순차적으로 반복되고, 상기 제3 시간간격을 갖는 활성구간은 제1 개폐밸브와 제2 개폐밸브를 열어 공기발생기로부터 생성된 압축공기를 메인배관을 거쳐 분기관 쪽으로 연통하는 시간구간이며, 상기 제4 시간간격을 갖는 활성구간은 제1 개폐밸브를 닫아 압축공기가 메인배관쪽으로 연통되지 않도록 하는 시간구간이며, 상기 제3 시간간격은 상기 제1 시간간격보다 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저류배출수단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여, 수문 본체에 의해 정체된 상류측 물을 하류측으로 원활하게 배출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류 하천수에 공기를 공급하여 폭기하하여, 수문 본체에 의해 정체된 하천수의 부영양화를 억제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언체 전도 수문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언체 전도 수문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 발생수단 중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1 제어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2 제어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감시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 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언체 전도 수문은 수문 본체(10), 저류수 배출수단(20), 압축공기 발생수단(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문 본체(10)는 하천의 폭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단부가 하천의 언체에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기립 또는 도복하면서 하천을 막거나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류수 배출수단(20)은 수문 본체(10)의 상류측 바닥에 수문 본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수문 본체(10)에 의해 정체된 하천의 물을 하류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저류수 배출수단(20)은 배수관(21), 이물질 차단판(22), 막음판(23)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배수관(21)은 수문 본체(10)의 상류측 바닥에 폭 방향을 따라 매설되며, 입구측은 수문 본체(10)의 상류측에 위치되고, 도중이 수문 본체(10)의 하류측을 향하도록 절곡되게 설치된다. 입구측은 개방된 부분과 막힌 부분이 교차형성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하천의 물이 배수관(21)으로 유입되어 수문 본체(10)에 의해 정체된 하천의 낮은 부분의 물이 배수관(21)을 통해 하류측으로 배출됨으로써, 새로운 물이 배출된 물 부분에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차단판(22)은 일부분이 배수관(2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수문 본체(10)의 상류측 바닥면에 설치된다. 상기 이물질 차단판(22)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정체된 하천의 물이 배수관(21)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물질 차단판(22)은 단면이 대략 "∧"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하천 바닥면에 설치되었을 때 수문 본체(10)와 마주보는 부분은 개방된 형태로 되어 수문 본체(10)가 닫혔을 때 정체되는 물이 배수관(21)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물질 차단판(22)은 전체 또는 일부가 정체된 하천의 물은 통과할 수 있으나 이물질이 차단되도록 하는 여과망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물질 차단판(22)은 배수관(21) 입구 전체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넓이를 가지면서, 배수관(21)의 입구 중 개방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방된 형태이며, 상기 개방된 부분의 정면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여과망이 설치되거나, 개방된 부분 자체가 여과망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막음판(23)은 상하로 회동하면서 배수관(21)을 막거나 열어, 배수관(21)으로 정체된 물이 유입되지 못 하게 막거나,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체된 물이 배수관(21)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막음판(23)은 상부로 이동하며 배수관(21)의 개방된 부분을 막게 된다. 반대로 정체된 물을 배수관(21)으로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막음판(23)은 하부로 이동하며 배수관(21)의 개방된 부분을 열 수 있다.
본 발명의 압축공기 발생수단(30)은 압축공기를 발생시켜 이물질 차단판(22) 쪽으로 분사시켜, 이물질 차단판(22)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수문 본체(10)에 의해 정체된 하천의 물에 공기를 공급하여 정체된 하천 물에 용해된 산소 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이물질 차단판(22)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시간은 정체된 하천물을 정화시키기 위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시간보다 더 길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압축공기 발생수단(30)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는 이물질 차단판(22)의 개방된 부분으로 분사되어, 상기 개방된 부분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이물질 차단판(22)의 개방된 부분의 정면에 설치된 여과망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 발생수단(30)은 공기발생기(31), 메인배관(32), 분기관(33), 에어노즐(34), 산기관(3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발생기(31)는 저류수 배출수단(20) 외부에 배치되고, 펌핑 작용을 통해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메인배관(32)으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배관(32)은 공기발생기(31)로부터 압축공기를 입력받아 분기관(33)으로 전달할 수 있다. 분기관(33)은 메인배관(32)으로부터 전달받은 압축공기를 에어노즐(34)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분기관(33)은 메인배관(32)으로 분기되며, 배수관(21) 일면을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분기관(33)의 한쪽 끝은 배수관(21) 외부에 위치한 메인배관(32)과 연통되고, 다른 끝은 배수관(21) 내부에 위치한 에어노즐(34)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에어노즐(34)은 하단은 분기관(33)과 연통되고, 상단은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산기관(35)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산기관(35)은 압축공기가 이물질 차단판(22) 전체에 강하게 분사되도록 하여, 이물질 차단판(22)에 끼인 이물질을 순간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직경이 에어노즐(34)의 직경보다 크고, 이물질 차단판(22)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산기구의 직경은 에어노즐(34) 직경의 10 내지 30배이며, 산기구의 직경은 이물질 차단판(22) 직경의 0.8 내지 1배일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 발생수단(30)은 메인배관(32)을 개폐하는 제1 개폐밸브(미도시)와 분기관(33)을 개폐하는 제2 개폐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문 본체(10)는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제1 압축공기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와 제2 압축공기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는 제1 개폐밸브와 제2 개폐밸브로 전달되고, 이 제어신호들에 따라 산기관(35)을 통해 토출되는 압축공기의 제어가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제어신호는 기설정된 제1 시간간격을 갖는 활성구간과 제2 시간간격을 갖는 비활성구간이 순차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여기서 활성구간은 제1 개폐밸브를 열어 공기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가 메인배관 쪽으로 연통되는 시간구간이며, 비활성구간은 제1 개폐밸브 닫아 공기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가 메인배관 쪽으로 연통되는 것을 막는 시간 구간이다.
또한, 상기 활성구간은 제1 세부 활성구간 내지 제 N-1 세부 활성구간이 순차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3보다 큰 자연수이며, 이물질 차단판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N이 4인 경우라면 활성구간에서 제1 세부 활성구간(a1), 제2 세부 활성구간(a2), 제3 세부 활성구간(a3)이 순차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부 활성구간은 제2 개폐밸브를 열어 압축공기가 메인배관에서 분기관(33) 쪽으로 연통되는 시간구간이다. 상기 세부 활성구간은 수십 마이크로초 내지 수초로 매우 짧은 시간구간으로, 이물질 차단판 청소시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미리 정해진 세부 활성구간만큼) 고압의 순간분사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시간간격은 제2 시간간격에 비해 짧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시간간격은 제1 시간간격에 비해 1000배 내지 24000배 더 길 수 있다. 예컨대, 제1 시간간격은 2초이고, 제2 시간간격은 3600초(1시간)일 수 있다. 즉 대략 1시간마다 메인밸브를 열어 이물질 제거용 압축공기를 연통시켜 이물질 차단판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정체된 하천수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제어부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신호는 기설정된 제3 시간간격을 갖는 활성구간과 제4 시간간격을 갖는 비활성구간이 순차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활성구간은 제1 개폐밸브와 제2 개폐밸브를 열어 공기발생기로부터 생성된 압축공기를 메인배관을 거쳐 분기관(33) 쪽으로 연통하는 시간구간이며, 비활성구간은 제1 개폐밸브를 닫아 압축공기가 메인배관쪽으로 연통되지 않도록 하는 시간구간이다.
바람직하게, 제3 시간간격은 제1 시간간격보다 길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 시간간격은 제1 시간간격에 비해 100배 내지 2000배 더 길 수 있다. 예컨대, 정체된 하천수를 정화하기 위해 압축공기가 통과되는 제3 시간구간은 10분 내지 1시간일 수 있으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압축공기가 통과되는 제1 시간구간은 5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개폐밸브와 제2 개폐밸브는 전자밸브로, 제1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압축공기의 유통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7)

  1. 하천의 폭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기립 또는 도복하면서 상기 하천을 막거나 개방하는 수문 본체;
    상기 수문 본체의 상류측 바닥에 수문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수문 본체의 상류측 물을 수문 본체의 하류측으로 배출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천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이물질 차단판과 상기 배수관을 열거나 닫는 막음판을 포함하는 저류수 배출수단; 및
    상기 이물질 차단판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압축공기와 상기 수문 본체에 의해 정체된 하천의 물을 정화하는 제2 압축공기를 발생하여 상기 이물질 차단판 쪽으로 분사하는 압축공기발생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시간은 상기 제2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시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언체 전도 수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차단판은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정체된 하천의 물은 통과시키나 상기 이물질을 차단하는 여과망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언체 전도 수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발생수단은
    상기 저류수 배출수단 외부에 배치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켜 토출하는 공기발생기;
    상기 공기발생기로부터 압축공기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메인배관;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배수관 일면을 통과하여 상기 메인 배관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전달받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
    상기 분기관과 연통되며, 상기 압축공기를 분출하는 에어노즐 및
    에어노즐과 연통되며, 상기 에어노즐로부터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이물질 차단판 쪽으로 분사하는 산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산기구의 직경은 상기 에어노즐 직경의 10 내지 30 배이며, 상기 이물질 차단판 직경의 0.8 내지 1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언체 전도 수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발생수단은 상기 메인배관을 개폐하는 제1 개폐밸브와 상기 분기관을 개폐하는 제2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언체 전도 수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언체 전도수문은 상기 제1 압축공기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와 상기 제2 압축공기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언체 전도 수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신호는 기설정된 제1 시간간격을 갖는 활성구간과 기설정된 제2 시간간격을 갖는 비활성구간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며,
    상기 활성구간은 상기 제1 개폐밸브를 열어 상기 공기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가 상기 메인배관 쪽으로 연통되는 시간구간이며, 비활성구간은 제1 개폐밸브 닫아 공기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가 메인배관 쪽으로 연통되는 것을 막는 시간 구간이며,
    상기 활성구간은 상기 제2 개폐밸브를 열어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메인배관에서 상기 분기관 쪽으로 연통되는 시간구간인 제1 내지 제N-1 세부 활성구간이 순차적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시간간격은 제2 시간간격에 비해 1000배 내지 24000배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언체 전도 수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신호는 기설정된 제3 시간간격을 갖는 활성구간과 제4 시간간격을 갖는 비활성구간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되,
    상기 제3 시간간격을 갖는 활성구간은 제1 개폐밸브와 제2 개폐밸브를 열어 공기발생기로부터 생성된 압축공기를 메인배관을 거쳐 분기관 쪽으로 연통하는 시간구간이며,
    상기 제4 시간간격을 갖는 활성구간은 제1 개폐밸브를 닫아 압축공기가 메인배관쪽으로 연통되지 않도록 하는 시간구간이며,
    상기 제3 시간간격은 상기 제1 시간간격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언체 전도 수문.
KR1020160162603A 2016-12-01 2016-12-01 무언체 전도 수문 KR101950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603A KR101950712B1 (ko) 2016-12-01 2016-12-01 무언체 전도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603A KR101950712B1 (ko) 2016-12-01 2016-12-01 무언체 전도 수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665A true KR20180062665A (ko) 2018-06-11
KR101950712B1 KR101950712B1 (ko) 2019-03-05

Family

ID=6260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603A KR101950712B1 (ko) 2016-12-01 2016-12-01 무언체 전도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7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611B1 (ko) * 2020-12-22 2021-05-17 주식회사 신정기공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장치
KR102313579B1 (ko) * 2021-05-28 2021-10-18 주식회사한성정공 친환경 가동보 시스템
KR102337283B1 (ko) * 2021-09-02 2021-12-08 주식회사한성정공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723B1 (ko) 2010-02-12 2010-09-07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무언체 전도 수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124Y1 (ko) * 2001-02-23 2001-09-28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수문의 누수 및 파손방지장치
KR101019659B1 (ko) * 2010-02-25 2011-03-07 유일정공 주식회사 이물질 차단구조를 갖는 전도식 수문
KR101549795B1 (ko) * 2014-12-22 2015-09-11 (주)한중이엔지 수질정화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723B1 (ko) 2010-02-12 2010-09-07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무언체 전도 수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611B1 (ko) * 2020-12-22 2021-05-17 주식회사 신정기공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장치
KR102313579B1 (ko) * 2021-05-28 2021-10-18 주식회사한성정공 친환경 가동보 시스템
KR102337283B1 (ko) * 2021-09-02 2021-12-08 주식회사한성정공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712B1 (ko)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712B1 (ko) 무언체 전도 수문
NO20055500L (no) System og fremgangsmate for a styre fiskeflyt med jetstromsanordning
DE502006002804D1 (de) Kleinkläranlage mit Ablaufheber
KR100950100B1 (ko) 하수관거용 악취 저감시스템
US9663931B2 (en) Marine sanitising and deodorising device
JP6454003B2 (ja) 気体混合液体を用いた洗浄装置
KR102017000B1 (ko) 약액세정탑용 약액 투입 시스템
EA021579B1 (ru) Клапа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твода жидкой среды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клапанной системой
US8408840B2 (en) Aerobic irrigation controller
US20100086445A1 (en) Chemical Solution Feeder and Method
KR101549795B1 (ko) 수질정화용 다기능 가동보 수문
KR20100076349A (ko) 차량 방역시스템
US20050244282A1 (en) Biological wastewater purification device
US20060196816A1 (en) Chlorinator
US20090100579A1 (en) Toilet Device
JP2018001144A (ja) 洗浄装置
KR101936915B1 (ko)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
WO2016077930A1 (en) Self-cleaning ultraviolet wastewater disinfection unit and method
US274465A (en) And chaeles f
NL9201326A (nl) Uitstroommondstuk voor een fluidum alsmede bad voorzien van een dergelijk uitstroommondstuk.
KR101658916B1 (ko)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
US20170341091A1 (en) Self-Draining Shower Head
US7150827B1 (en) Dechlorinator
KR102252611B1 (ko)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장치
US20080083674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osing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