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174B1 -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 - Google Patents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174B1
KR102615174B1 KR1020230086676A KR20230086676A KR102615174B1 KR 102615174 B1 KR102615174 B1 KR 102615174B1 KR 1020230086676 A KR1020230086676 A KR 1020230086676A KR 20230086676 A KR20230086676 A KR 20230086676A KR 102615174 B1 KR102615174 B1 KR 102615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
automatic
opener
water gate
automatic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6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주)케이디이엔지
(주) 한텍엔지니어링
(주)송학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디이엔지, (주) 한텍엔지니어링, (주)송학기술 filed Critical (주)케이디이엔지
Priority to KR1020230086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1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4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suspended jacks

Abstract

본 발명은 수압에 의해 개폐되는 무동력 자동수문을 열기 위한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는 수로 출구의 턱 부분에 결착되는 "ㄱ" 자의 제1고정부; 자동수문의 하부 내측에 결착되는 제2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ㄱ" 자의 외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1강봉; 상기 제1 강봉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유압잭; 및 상기 유압잭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고정부와 힌지 결합도록 설치되는 제2강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HANDY TYPE AUTOMATIC GATE OPENER}
본 발명은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자동수문 또는 자동수문 내측의 수로를 점검할 경우에 자동수문을 쉽게 열고, 열어놓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는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무동력 자동수문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천변이나 정수장의 우수관, 수질관, 하수관에 설치되어 수압에 의해 수문이 개방 및 폐쇄되는 기계장치를 의미한다.
무동력 자동수문은 수위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주로 강수량이 많은 계절에는 수문이 열려 물이 자유롭게 흐르도록 하고, 건조한 계절에는 수문이 닫힌다. 또한 홍수, 강우, 해일 등의 긴급한 상황에서도 사용된다.
무동력 자동수문은 일정 이상의 수압에 의해서만 개방되어야 한다. 따라서 무동력 자동수문의 무게는 수백 키로 내지 수 톤으로 무거울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무동력 자동수문의 무게는 점검이나 수리시에 작업자에게 난관이 된다. 무게로 인해 무동력 자동수문을 여는 것도 쉽지 않다. 무엇보다 무동력 자동수문이 작업중에 닫히게 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63671호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작업자가 자동수문 또는 자동수문 내측의 수로를 점검할 경우에 자동수문을 쉽게 열고, 열어놓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는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해결수단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는 수압에 의해 개폐되는 무동력 자동수문을 열기 위한 것으로서, 수로 출구의 턱 부분에 결착되는 "ㄱ" 자의 제1고정부; 자동수문의 하부 내측에 결착되는 제2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ㄱ" 자의 외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1강봉; 상기 제1 강봉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유압잭; 및 상기 유압잭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고정부와 힌지 결합도록 설치되는 제2강봉;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강봉의 연결부에 결합되며, 일단이 바닥에 닿아 자동수문이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 중 자동수문에 닿는 부분에 고무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자동수문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 및 자동수문의 상기 밀착부로부터 자동수문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자동수문의 외측면에 형성된 턱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수문과 수로 출구 사이에서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가 이탈할 경우에 경고를 발생시키는 경고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자동수문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 및 자동수문의 상기 밀착부로부터 자동수문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자동수문의 외측면에 형성된 턱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유닛은, 상기 밀착부와 자동수문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센서; 및 상기 밀착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합 제어부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 발생 모듈; 현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GPS 모듈; 및 자동수문과 수로 출구 사이에서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가 이탈했다는 것을 상기 GPS 모듈에서 측정한 위치 정보와 함께 구조자에게 알리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자동수문 또는 자동수문 내측의 수로를 점검할 경우에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를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자동수문을 열고, 또 작업 중에 자동수문을 열어놓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는 자동수문과 수로 출구 사이에서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가 이탈할 경우에 경고를 발생시키는 경고유닛이 설치되므로, 작업자의 작업 중 자동수문이 닫히게 되면 빠르게 주위에 알려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실제 무동력 자동수문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1고정부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경고유닛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는 수압에 의해 개폐되는 무동력 자동수문을 시설 점검 등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손쉽게 열기 위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형태의 본 발명의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이하, '핸디형 개폐기'라 한다)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아래에서는 다양한 실시형태의 핸디형 개폐기에 대해서 설명하며, 각 실시형태는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핸디형 개폐기(100)는 제1고정부(10), 제2고정부(20), 제1강봉(31), 제2강봉(32) 및 유압잭(40)을 포함한다.
제1고정부(10)는 수로(1)의 출구 끝부분, 즉 턱부분에 결착될 수 있도록 "ㄱ"자로 접혀진 형태를 가지며, 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10)의 내측면인 수로 출구의 턱부분과 맞닿는 면에는 복수개의 돌기(10a)가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복수개의 돌기(10a)는 제1고정부(10)가 수로 출구의 턱부분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고정부(10)의 "ㄱ"자의 외측에는 제1강봉(31)이 연결된다.
제1강봉(31)과 제1고정부(10)가 연결되는 위치는 "ㄱ"자의 외측 어디라도 괜찮지만, 자동수문(2)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ㄱ"자 형태에서 수평면과 수직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제1강봉(31)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자동수문(2)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위해 제1강봉(31)은 제1고정부(10)에 대해 정해진 각도가 변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제1강봉(31)은 제1고정부(10)의 "ㄱ"자의 수평면에 대해 위쪽으로 기울어진 각도를 가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고정부(10)가 수로 출구의 턱부분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강봉(31)이 위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후술하는 유압잭(40)에 의해 제1고정부(10)와 제2고정부(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짐(P)에 따라 자동수문(2)이 위쪽으로 들어올려진다.
제2고정부(20)는 자동수문(2)의 내측 하부에 결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고정부(20)는 자동수문(2)의 내측면(수로쪽 면)의 하부 면 중 적어도 일부에 밀착된다.
제2고정부(20)에는 고무패드(21)가 설치되어 자동수문(2)에서 제2고정부(2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고정부(20)에는 제2강봉(31)의 연결된다.
제2고정부(20)와 제2강봉(31)은 힌지 결합되도록 연결된다.
후술하는 유압잭(40)에 의해 제1고정부(10)와 제2고정부(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자동수문(2)이 들어올려지게 됨에 따라 제2고정부(20)와 제2강봉(31) 사이의 각도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수문(2)이 들어올려짐에 따라 각도가 변하더라도 제2고정부(20)가 자동수문(2)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정리해보면 제1강봉(31)의 일단에는 제1고정부(10)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고, 제1강봉(31)의 타단에는 유압잭(40)의 일단이 연결되고, 유압잭(40)의 타단에는 제2강봉(31)의 일단이 연결되고, 제2강봉(31)의 타단에는 제2고정부(20)가 힌지 결합되어 각도가 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제1강봉(31)과 제2강봉(32) 사이에는 유압잭(40)이 설치된다.
유압잭(40)은 제1강봉(31)과 제2강봉(32) 사이의 거리(P)가 멀어지도록 길이를 증가시키며, 이에 따라 자동수문(2)을 들어올리도록 하는 힘을 가한다.
먼저, 작업자는 자동수문(2)과 수로(1)의 턱 부분에 핸디형 개폐기(100)를 위치시킨다.
수로(1)의 턱부분에는 제1고정부(10)를 결착시키고 자동수문(2)에는 제2고정부(20)를 결착시킨다.
작업자가 자동수문(2)과 수로(1)의 턱 부분에 핸디형 개폐기(100)를 위치시키기 위한 정도로 자동수문(2)을 여는 것에는 큰 힘이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사람과 공구가 들어가기 위해서는 자동수문(2)을 더 열어야 하는데, 자동수문(2)은 위쪽 모서리를 축으로 열리기 때문에 열리는 각도에 비례하여 자동수문(2)을 열기위해 더 큰 힘이 필요하다.
이때 작업자는 핸디형 개폐기(100)를 이용하여 자동수문(2)을 손쉽게 더 열 수 있는 것이다.
작업자가 자동수(2)을 조금 열고 자동수문(2)과 수로(1)의 턱 부분에 핸디형 개폐기(100)를 위치시킨 후에 유압잭(40)의 레버를 돌리거나 전동 공구로 유압잭(40)을 작동시켜 자동수문(2)을 작업하기 충분하게 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를 도시한 것이다.
제2 실시형태의 핸디형 개폐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2실시형태의 핸디형 개폐기(100)는 제2고정부(20)와 제2강봉(32)의 연결부에 결합되는 고정봉(90)을 포함한다.
고정봉(200)은 일단이 바닥에 닿아 자동수문(2)의 무게를 제2강봉(32)으로부터 분산시켜, 자동수문(2)이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를 도시한 것이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핸디형 개폐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3실시형태의 핸디형 개폐기(100)는 제2고정부(20)의 형태에 일 특징이 있다.
제3실시형태의 핸디형 개폐기(100)의 제2고정부(20)는 자동수문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자동수문의 밀착부로부터 자동수문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자동수문의 외측면에 형성된 턱(2a)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밀착부와 걸림부로 이루어진 공간은 자동수문의 외측면에 형성된 턱(2a)을 끼울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는 자동수문(2)을 약간 들어올린 후 제2고정부(20)의 걸림부를 턱(2a)에 걸고 밀축부를 자동수문(2)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후 제1고정부(10)를 수로의 끝 턱부분에 결착시킨다.
그 후 유압잭(40)을 동작시켜 자동수문(20)을 들어올릴 수 있다.
제3실시형태의 핸디형 개폐기(100)의 제2고정부(20)를 이용할 경우 제2고정부(20)가 자동수문(2)에서 미끄러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의 핸디형 개폐기(100)의 또 다른 특징은 경고 유닛(50, 도 6 참조)이다.
경고유닛(50)은 자동수문과 수로 출구 사이에서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가 이탈할 경우에 경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경고유닛(50)은 밀착부와 자동수문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센서와 밀착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한다.
센서로는 압력 센서를 이용하거나, 스프링을 이용한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센서가 압력 센서인 경우에는 압력이 약해진 경우에 신호를 통합 제어부에 전달하게 되며, 스위치인 경우에는 자동수문의 무게에 의해 단축되어 있던 스프링이 복원될 경우 스위치가 떨어져 신호를 통합 제어부에 전달하게 된다.
통합 제어부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 발생 모듈과, 현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GPS 모듈 및 자동수문과 수로 출구 사이에서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가 이탈했다는 것을 GPS 모듈에서 측정한 위치 정보와 함께 구조자에게 알리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수문과 수로 출구 사이에서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가 이탈할 경우에 경고음을 통해 주위에 구조를 요청하거나, 구조자(소방서, 경찰서 등)에게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와 함께 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핸디형 개폐기를 이용함으로써 작업자는 쉽고 간편하게 자동수문을 열고, 또 작업 중에 자동수문을 열어놓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핸디형 개폐기를 이용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번 첨언한다.

Claims (4)

  1. 수압에 의해 개폐되는 무동력 자동수문을 열기 위한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로서:
    수로 출구의 턱 부분에 결착되는 "ㄱ" 자의 제1고정부;
    자동수문의 내측 하부에 결착되는 제2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ㄱ" 자의 외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1강봉;
    상기 제1 강봉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유압잭; 및
    상기 유압잭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2고정부와 힌지 결합도록 설치되는 제2강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자동수문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 및
    자동수문의 상기 밀착부로부터 자동수문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자동수문의 외측면에 형성된 턱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강봉의 연결부에 결합되며, 일단이 바닥에 닿아 자동수문이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봉을 더 포함하는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 중 자동수문에 닿는 부분에 고무패드가 설치되는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

  4. 삭제
KR1020230086676A 2023-07-04 2023-07-04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 KR102615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6676A KR102615174B1 (ko) 2023-07-04 2023-07-04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6676A KR102615174B1 (ko) 2023-07-04 2023-07-04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174B1 true KR102615174B1 (ko) 2023-12-19

Family

ID=8938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6676A KR102615174B1 (ko) 2023-07-04 2023-07-04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1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916B1 (ko) * 2010-11-01 2011-06-29 주식회사 동인 하천 제방 배수구의 커튼 게이트
KR102263671B1 (ko) 2019-10-24 2021-06-10 주식회사 무진테크 무동력 자동수문
KR102337283B1 (ko) * 2021-09-02 2021-12-08 주식회사한성정공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916B1 (ko) * 2010-11-01 2011-06-29 주식회사 동인 하천 제방 배수구의 커튼 게이트
KR102263671B1 (ko) 2019-10-24 2021-06-10 주식회사 무진테크 무동력 자동수문
KR102337283B1 (ko) * 2021-09-02 2021-12-08 주식회사한성정공 담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스크류 유압식 가동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0506B2 (ja) 昇降路の底端部の高さが低いエレベータにおいて作業者を保護する安全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
KR200480751Y1 (ko) 맨홀 추락 방지장치
KR101267155B1 (ko) 항만 부두에 설치되는 선박충돌 완화장치
KR102615174B1 (ko) 무동력 자동수문 핸디형 개폐기
KR100725352B1 (ko) 맨홀뚜껑 이탈방지장치
US10435909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JP2005255294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1309571B1 (ko) 맨홀뚜껑의 이탈제한 및 복원장치
IT201600108172A1 (it) Dispositivo e metodo di monitoraggio di un'area operativa
CN108665681A (zh) 基于数据处理的城市内涝预警、防护及救援系统
JP6670702B2 (ja) トンネル内消火栓設備
KR200429090Y1 (ko)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
KR102185326B1 (ko) 매설관 모니터링 장치
CN205381841U (zh) 失重式锁轨触发机构
JP6318382B2 (ja) 避難装置
ITRM20110002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collettiva, in particolare per ponteggi.
KR102560655B1 (ko) 하수암거 보수작업용 견착식 안전장치
CN219138284U (zh) 一种土木工程建筑施工支架
FI20010637A0 (fi) Menetelmä vedettävän välineen irrottamiseksi köysihissistä ja irrotuselin
KR102203983B1 (ko) Lpg 액 긴급방출장치를 내장한 lpg 스마트탱크
JPH0592298U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CN218813773U (zh) 一种适用于滑坡灾害严重地区的碎屑流防护装置
KR100916951B1 (ko) 맨홀 뚜껑의 이탈제한 및 복원을 위한 맨홀 구조
JP2004306976A (ja) 給油所用ガード装置
BR102015030126A2 (pt) plataforma mecânica de emergênc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