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215B1 -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 Google Patents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215B1
KR101404215B1 KR1020130154690A KR20130154690A KR101404215B1 KR 101404215 B1 KR101404215 B1 KR 101404215B1 KR 1020130154690 A KR1020130154690 A KR 1020130154690A KR 20130154690 A KR20130154690 A KR 20130154690A KR 101404215 B1 KR101404215 B1 KR 101404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storage tank
box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택
임아름
임슬기
김홍남
한재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진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진기업
Priority to KR1020130154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215B1/ko
Priority to PCT/KR2014/012179 priority patent/WO20150882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02F3/327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characterised by animals and pl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저장조를 갖도록 땅을 굴착한 후, 바닥면 및 측면에 부직포, 차수쉬트 또는 비니루 및 부직포의 순으로 설치되는 차수시설; 상기 차수시설 상단으로 상기 지하저장조에 적층되는 자갈 및 모래; 상기 적층되는 자갈 및 모래의 상단에 설치되는, 부직포, 차수쉬트 또는 비니루 및 부직포의 순으로 설치되는 외부차단시설; 상기 지하저장조로 빗물 등의 유수를 유입하도록 형성되는 원수유입조; 및 상기 지하저장조 하부에 저장되는 정수된 물을 외부로 유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취수조;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모래와 자갈의 공극률을 40% 로 유지하여, 상기 공극에 빗물 등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빗물저장시설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Rainwater Storage Assembly}
본 발명은 빗물저장시설 및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 없이 모래와 자갈의 공극률을 약 40%로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공극에 빗물 등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도시개발로 인해 도로를 포함한 모든 땅이 대부분 콘크리트 등으로 포장되어 있고, 적절한 빗물저장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빗물은 대부분은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고 있으며, 도서지방 역시 적절한 빗물저장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빗물은 대부분 바다로 그대로 흘려보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빗물저장시설은 건설시 상당한 구조물을 필요로 하므로 막대한 공사비용이 들게 되어 이러한 빗물저장시설을 보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사람들이 생활하는데 필요한 대부분의 물은 수돗물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날이 갈수록 수돗물 사용량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이에 비례하여 수돗물의 생산량은 증가하고 있지 않아 향후에는 상당한 물부족이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보다 적은 비용으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저장시설을 강구하게 되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 없이 설계되는 빗물저장시설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인 수처리방법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도록 한다. 이때, 친환경적인 수처리방법으로 사용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하여 빗물을 저장 및 정화하여 생활용수로 이용하거나, 친환경적인 수처리방법의 일환으로 미나리, 갈대, 부레옥잠, 부들, 줄 등 다양한 종류의 수생식물이 식재된 식생정화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식생정화시설은 주변 경관을 향상시키고 생태적 서식처로서 역할을 겸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시설로서, 여타의 다른 수질정화시설에 비해 바람직하며, 수생식물은 빗물이나 하천수 중의 오염물질을 직접적으로 흡수하거나 분해하게 된다. 또한, 토양정화용 유용성미생물과 식물은 토양과 하천수 중의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을 직접적으로 흡수하거나 분해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는 식물의 휴면기간이다. 식물이 휴면시에는 줄기는 마르고 당년에 자란 뿌리는 대부분 썩어 다음해에 거름이 되어 식물의 줄기와 뿌리가 성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수생식물을 이용하는 정화시스템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줄기나 뿌리로 인한 추가적인 오염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을 제안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을 형성하지 않고 지형지물을 이용하거나 저지대의 땅을 굴착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실용적인 비닐 등의 차수시설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빗물저장시설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 없이 모래와 자갈의 공극률을 약 40% 로 유지하도록 설계하여, 상기 공극에 빗물 등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 빗물저장시설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빗물저장시설을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과 저비용의 여과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하저장조를 갖도록 땅을 굴착한 후, 바닥면 및 측면에 부직포, 차수쉬트 또는 비니루 및 부직포의 순으로 설치되는 차수시설; 상기 차수시설 상단으로 상기 지하저장조에 적층되는 자갈 및 모래; 상기 적층되는 자갈 및 모래의 상단에 설치되는, 부직포, 차수쉬트 또는 비니루 및 부직포의 순으로 설치되는 외부차단시설; 상기 지하저장조로 빗물 등의 유수를 유입하도록 형성되는 원수유입조; 및 상기 지하저장조 하부에 저장되는 정수된 물을 외부로 유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취수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빗물저장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
또한, 다른 실시예로 지하저장조를 갖도록 땅을 굴착한 후, 바닥면 및 측면에 부직포, 차수쉬트 또는 비니루 및 부직포의 순으로 설치되는 차수시설; 상기 차수시설 상단으로 상기 지하저장조에 적층되는 자갈 및 모래; 상기 적층되는 자갈 및 모래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수생식물이 식재되고 내부에는 일정량의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바닥에는 상기 지하저장조에 물이 정화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스트레이너가 설치되는 원수유입조; 및 상기 지하저장조 하부에 저장되는 정수된 물을 외부로 유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취수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빗물저장시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이너는 상기 원수유입조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는 여과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하저장조에 적층되는 자갈과 모래는 공극률을 40% 대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공극에 빗물 등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취수조는 외부케이스유공관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케이스유공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유공관과 내부케이스유공관 사이에는 여과재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유공관 내부에 지하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취수관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이 어느 정도 높이를 갖고 유로를 형성하며 흐르며, 지중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처리가 형성된 수로; 상기 수로 주변에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수로를 통과하는 물의 정화를 위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박스; 및 상기 수로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으로 구비하도록 하는 빗물저장시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로의 입구에는 유입되는 물의 침전물을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조가 설치되고, 상기 수로의 출구단에는 유입유출이 가능한 수조 내에 수생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부유식성장박스가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빗물저장시설은 별도의 구조물을 형성하지 않고 지형지물을 이용하거나 저지대의 땅을 굴착하여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손쉽게 저비용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빗물저장시설을 포함하여 수생식물을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항구적으로 수질정화가 가능한 정화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장시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장시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장시설의 취수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박스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장시설을 도시하고 있는 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장시설은 별도의 구조물을 형성하지 않고 지형지물을 이용하거나 저지대의 땅을 굴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는 저지대의 땅을 굴착하여 형성된 빗물저장시설을 도시하고 있는 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지대의 땅을 굴착한 후, 농업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정두께가 있는 부직포(181)를 바닥이나 벽면에 깔고, 그 위에 일정두께가 있는 차수쉬트 또는 비니루(180)를 적층하는 것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한다. 한편, 상기 차수쉬트 또는 비니루(180)를 보호하기 위해, 그 상단에 추가적으로 일정두께가 있는 부직포(182)를 까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이나 벽면의 차수시설을 마친 후에, 그 상단으로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골재인 굵은 자갈을 하단에 깔고 그 상단에는 모래를 순서대로 깔아 자갈 및 모래(400)를 적층하도록 구성한다. 그 후, 상기 적층된 자갈 및 모래(400)의 상단부분을 장비 등을 이용하여 평평하게 고른 후, 그 위에 상기 바닥이나 벽면에 깐 방식대로, 부직포(181), 차수쉬트 또는 비니루(180) 및 부직포(182)의 순으로 깔도록 한다. 이를 통해,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내부의 물의 증발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자갈 및 모래(400)가 적층된 공간은 빗물 등이 저장되는 지하저장조(100)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수유입조(120)를 통해 상기 지하저장조(100)로 유입된 빗물 등의 원수는 상기 자갈 및 모래(400) 등에 의해 정화되고, 상기 정화된 물은 상기 취수조(130) 등을 통해 생활용수, 소방수, 농업용수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지하저장조(100) 내에 적층되는 자갈 및 모래(400)는 공극률이 약 40% 대를 갖도록 적층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공극에 빗물 등의 물을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빗물저장시설의 상단은 토사(420)를 적층한 후, 잔디(430)를 심는 것이 가능하며, 또는 도로, 운동장, 화단 등을 조성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장시설은 별도의 추가구조물을 설치하는 것 없이, 기존의 지하에 단순한 방법으로 빗물저장시설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빗물저장시설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현장 및 용도에 따라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빗물저장시설에 유입되는 유입원수는 빗물 외에도, 하천수, 공장폐수 처리수, 하수처리수 등을 유입하여 정수처리한 후 재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하저장조(100)에 사용되는 차수쉬트 또는 비니루(180)는 가급적 1장으로 된 대형 비니루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장여건이나 필요에 따라 두꺼운 비닐천막용 천, 차수쉬트, 콘크리트, 강판, PE판넬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장시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장시설은 빗물이나 하천수가 원수로 유입되는 경우, 많은 부유물과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바, 이를 1차로 원수유입조(120')에서 여과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원수유입조(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빗물 또는 하천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원수유입조(120')의 상단은 수생식물을 심어 1차로 여과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수유입조(120')의 측면과 바닥에는 다수의 스트레이너(121)를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수유입조(120')의 구성 역시,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손쉽게 개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원수유입조(120')의 바닥 또는 측면에 탈부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트레이너(121)는 케이스인 외형관(122)과 여과재(129)가 충진되어 있는 내부관(125)으로 구성되며, 상기 원수유입조(120')에 손쉽게 탈부착가능하도록 유입구(12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장시설은 빗물이나 하천수가 유입되는 경우, 지하저장조(100) 상단에 현장여건에 따라 원수유입조(120')를 다수개를 설치하여 폭우시에 일시적으로 물이 지하저장조(100)로 유입되는 경우, 빗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양을 조절하여 수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요시에 지하저장조(100)의 자연 정화된 물을 생활용수나 농업용수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빗물저장시설에 설치되는 취수조(13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장시설의 취수조(130)는 외부케이스유공관(170)과 일정거리 이격하여 내부케이스유공관(180)이 설치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유공관(170)과 내부케이스유공관(180) 사이에는 활성탄 등의 여과재(150)를 충진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유공관(180) 내부에는 취수관(190)을 형성하여 지하저장조(100) 상단에 설치된 취수펌프(140)와 송수관(16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장시설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에 사용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박스(5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박스(500)는 전, 후, 좌, 우, 상, 하로 물이 유입되도록 스크린(507)으로 구성하고 상단에는 수생식물(510)이 식재되며,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덮개부(5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505)는 스크린(507)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505) 상에 수생식물을 식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덮개부(505)는 상기 정화박스(500)와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바,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정화박스(500)의 상단에는 상기 덮개부(505)가 더 이상 하부로 내려오지 않고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걸림턱(501)이 설치되며, 상기 정화박스(500)의 측면은 상기 걸림턱(501)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리핀, 볼트 등과 같은 연결부재(506)를 사용하여, 상기 덮개부(505)와 정화박스(500)를 안정적으로 고정결합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부재(506)를 통한 고정을 통해 폭우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덮개부(505)와 정화박스(500)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박스(500)는 덮개부(505)와 정화박스(50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 수생식물의 뿌리가 과다하게 성장하는 경우, 상기 수생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덮개부(505)를 상기 정화박스(50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수생식물의 뿌리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정화박스(500) 내에 고여 있는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덮개부(505)를 상기 정화박스(50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정화박스(500)와 덮개부(505)는 걸림턱(501), 고리핀과 같은 연결부재(506) 등을 사용하여 결합하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고정방법을 사용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박스(500)를 이용하여 오염수를 정화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박스(500)는 수로(200)의 양측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때, 수로(200)는 가급적 자갈 및 모래(400) 등으로 형성하여 물 흐름이 용이하고 친환경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화박스(500) 상에는 창포와 같은 키가 큰 수생식물을 식재하도록 하고, 수로(200)에는 상대적으로 키가 작은 수생식물을 식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화박스(500)는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정화박스(500)를 호수, 강 또는 하천 상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박스를 사용하여 오염수를 정화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박스(500)가 설치되어 있는 수로(200)의 입구에는 상기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로(20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침전물을 침전시키기 위해 침전조(전처리조)(80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수로(200)로 유입되는 물은 1차적으로 이물질 등의 침전물이 걸러지게 되며, 그 후 정화박스(500)로 원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침전조(전처리조)(800)를 통과한 물은 수로(200)의 양 측에 매립되어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정화박스(500)를 통해 창포 등의 수생식물을 사용하여 정화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정화박스(500)가 서로 상하가 교체되도록 구성하여 물이 상하로 반복되게 교차하여 흘러가며 정화 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로(200)의 일단에는 수질정화를 향상시키기 위해 연못 형태로 물이 저장되고 유입유출이 가능한 수조(700)를 형성하여 부유식으로 수생식물(510)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유식성장박스(60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수질정화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로(200) 상에는 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수로(200)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속, 유량 및 수질을 체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박스(500)를 설치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일정 깊이로 땅을 파서, 바닥과 둑을 형성하여 바닥으로 누수가 되지 않도록 비닐이나 고무 등으로 제조된 차수쉬트를 설치한다. 또한, 논과 같이 물이 지중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방수능력이 있는 점토 흙 등을 바닥과 둑에 도포하여 물을 채우도록 한 후, 쟁기질을 통해 논처럼 물이 고일 수 있도록 물다짐을 하거나 물을 담아 침전시켜 지중으로 물이 침투되지 않도록 지반을 다진 후, 상기 다져진 지반 위에 1개 이상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정화박스(500)를 가로 또는 세로와 상하로 교차 설치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한다. 또한, 수로(200)의 일단에는 수질정화를 향상시키기 위해 연못 형태로 물이 저장되고 유입유출이 가능한 수조(700)를 형성하여 부유식으로 수생식물(510)을 식재할 수 있도록 부유식성장박스(600)를 수조(700) 내에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정화박스(500) 상단과 측면 공간에는 정화박스(500)의 덮개부(505)와 일치하거나 약간 낮은 위치까지 여과재를 적층하여 창포 등의 수생식물을 식재하고, 수위와 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일정구간마다 돌 등으로 형성한 자연형 수중보를 형성하도록 하여 수위와 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처리수가 많은 경우에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유입유출관을 설치하여 복수개의 정화박스(500)를 연결하여 물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정화박스(500)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수질의 오염원인, 질소, 중금속 등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보다 맑고 깨끗한 물을 지하저장조(100) 또는 땅속 대수층으로 흘려 보내도록 하거나, 강 또는 저수지로 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수질정화용으로 다공성소재의 여과재를 사용하고 있는 바, 상기 여과재는 고비용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쇄석을 수질정화에 도움을 주는 광합성세균이 함유된 미생물에 10시간 이상 침지시켜 수질정화용 여과재로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저비용으로 달성할 수 있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빗물저장조 120,120': 원수유입조
130 : 취수조 180 : 비니루
181 : 부직포 182 : 부직포
200 : 수로 400 : 자갈 및 모래
500 : 정화박스 501 : 걸림턱
505 : 덮개부 506 : 고리핀
507 : 스크린 510 : 수생식물
800 : 침전조

Claims (10)

  1. 삭제
  2. 지하저장조를 갖도록 땅을 굴착한 후, 바닥면 및 측면에 부직포, 차수쉬트 또는 비니루 및 부직포의 순으로 설치되는 차수시설;
    상기 차수시설 상단으로 상기 지하저장조에 적층되는 자갈 및 모래;
    상기 적층되는 자갈 및 모래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수생식물이 식재되고 내부에는 일정량의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바닥에는 상기 지하저장조에 물이 정화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스트레이너가 설치되는 원수유입조; 및
    상기 지하저장조 하부에 저장되는 정수된 물을 외부로 유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취수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빗물저장시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상기 원수유입조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는 여과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장시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조는 외부케이스유공관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케이스유공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유공관과 내부케이스유공관 사이에는 여과재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유공관 내부에 지하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취수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장시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저장조에 적층되는 자갈 및 모래는 공극률이 40%를 유지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장시설.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저장조에 적층되는 쇄석을 수질정화에 도움을 주는 광합성세균이 함유된 미생물에 10시간 이상 침지시켜 수질정화용 여과재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장시설.
  7. 물이 어느 정도 높이를 갖고 유로를 형성하며 흐르며, 지중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처리가 형성된 수로;
    상기 수로 주변에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수로를 통과하는 물의 정화를 위해 설치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박스; 및
    상기 수로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며, 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라 설치되는 빗물저장시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의 입구에는 유입되는 물의 침전물을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조가 설치되고, 상기 수로의 출구단에는 유입유출이 가능한 수조 내에 수생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부유식성장박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박스는,
    전,후,좌,우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스크린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정화박스;
    상기 정화박스의 개방된 상부에는 수생식물의 식재가 가능하며 상기 정화박스와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정화박스와 연결부재를 통해 고정되고, 수생식물의 과도하게 자란 뿌리의 제거시 또는 정화박스 내에 고인 슬러지를 제거하는 경우, 상기 덮개부를 개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10. 삭제
KR1020130154690A 2013-12-12 2013-12-12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KR101404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690A KR101404215B1 (ko) 2013-12-12 2013-12-12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PCT/KR2014/012179 WO2015088258A1 (ko) 2013-12-12 2014-12-11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690A KR101404215B1 (ko) 2013-12-12 2013-12-12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213A Division KR20150068885A (ko) 2014-05-21 2014-05-21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215B1 true KR101404215B1 (ko) 2014-06-11

Family

ID=5113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690A KR101404215B1 (ko) 2013-12-12 2013-12-12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4215B1 (ko)
WO (1) WO20150882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6624A (zh) * 2018-03-20 2019-10-08 陈进 一种适用于海绵城市发展的高速公路生态雨水利用种植系统剖面构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2730B (zh) * 2016-11-07 2019-06-18 江苏帝井环保科技有限公司 雨水回收系统
CN106880966A (zh) * 2017-03-29 2017-06-23 广西顺帆投资有限公司 饮用水过滤装置
CN109319939B (zh) * 2018-11-28 2019-07-26 广东东篱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人工湖水体复合生态净化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171B1 (ko) * 2003-11-19 2006-04-27 조명호 생태연못의 수(水) 처리장치
JP2008133626A (ja) * 2006-11-27 2008-06-12 Taiyo Kogyo Corp 貯留水設備
KR101326581B1 (ko) * 2013-07-31 2013-11-08 주식회사 현진기업 비점오염제거를 위한 수생식물식재용 성장박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682B1 (ko) * 2010-12-15 2013-01-29 한삼코라(주) 수질정화를 갖는 하천유지용수 저류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171B1 (ko) * 2003-11-19 2006-04-27 조명호 생태연못의 수(水) 처리장치
JP2008133626A (ja) * 2006-11-27 2008-06-12 Taiyo Kogyo Corp 貯留水設備
KR101326581B1 (ko) * 2013-07-31 2013-11-08 주식회사 현진기업 비점오염제거를 위한 수생식물식재용 성장박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6624A (zh) * 2018-03-20 2019-10-08 陈进 一种适用于海绵城市发展的高速公路生态雨水利用种植系统剖面构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8258A1 (ko)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51376B (zh) 一种河滩坡岸多塘湿地废污水处理方法及装置
KR101067023B1 (ko) 자연식생형 비점오염원 여과장치를 이용한 분산식 빗물관리장치
CN102120677B (zh) 多级污水处理用生物反应系统的制作方法及污水处理方法
KR101578551B1 (ko) 우수 오염 방지와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식생체류지
CN109399800B (zh) 一种河流湖泊径流污染梯级控制系统
JP2022035973A (ja) 初期雨水および農地戻り水を処理するための農業灌漑および再利用生態システム
KR20130036605A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JP6621653B2 (ja) 貯留浄化システム
US9175463B1 (en) Methods for modular catch basins
KR101404215B1 (ko)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KR102121069B1 (ko) 식물여과를 이용한 생태습지 유지용수 공급 물순환 시스템
KR101484891B1 (ko) 초기 비점 오염 우수 처리 시스템
KR100601908B1 (ko) 우수저류연못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정화 및 친수시설활용방법과 그 장치
US9593477B1 (en) Modular catch basins
KR101218769B1 (ko) 생태도랑을 이용한 도시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JP2007144265A (ja) 雨水濾過調整システム
CN205662974U (zh) 一种山丘区生态型雨水分质集蓄系统
KR101635966B1 (ko)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생태수로
KR20150068885A (ko)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KR101326581B1 (ko) 비점오염제거를 위한 수생식물식재용 성장박스 시스템
KR100874503B1 (ko) 오수처리용 인공습지 시설
US9162169B1 (en) Flexible filter hand bags for catch basins
KR101390357B1 (ko) 살수여상기능 및 정수처리기능을 갖는 자연형 하천 호안 공법
CN114212889A (zh) 一种感潮河道生态净化岛及其反冲排泥方法
KR100437076B1 (ko) 침전, 여과 및 미생물 분해에 의한 수질정화 방법과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