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414A - 치어류 이동용 어도 장치 - Google Patents

치어류 이동용 어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414A
KR20090011414A KR1020070074958A KR20070074958A KR20090011414A KR 20090011414 A KR20090011414 A KR 20090011414A KR 1020070074958 A KR1020070074958 A KR 1020070074958A KR 20070074958 A KR20070074958 A KR 20070074958A KR 20090011414 A KR20090011414 A KR 20090011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water
water gate
tank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8462B1 (ko
Inventor
조남열
Original Assignee
조남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열 filed Critical 조남열
Priority to KR1020070074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462B1/ko
Publication of KR2009001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arrag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보나 갑문 덧문이 설치됨으로써 치어류가 상류로 올라가지 못하는 단절된 곳에 치어류나 달팽이류 등이 올라갈 수 있는 통로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의 특징은, 수위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문장치(10)와, 계단식 수조(21)로 이루어지는 어도(20)와, 상기 수문장치에 고정설치되는 보호망(30)을 포함하여 되는 점에 있다. 또한, 다른 특징은, 상기 계단식 수조(21)의 바닥면이 폭 방향으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의 다른 특징은, 배수 갑문의 덧문(40)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구(50)와, 일 끝단이 상기 덧문에 고정설치되고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오르내림이 가능하며 휘어짐이 자유로운 관로(60)와, 상기 관로의 다른 끝단에 고정설치되는 보호망(70)과, 상기 관로 내에 배치되고 상기 관로의 오르내림에 따라 상기 배수구의 개폐작용을 하는 역류방지수단(80)을 포함하여 되는 점에 있다. 또한, 다른 특징은, 상기 관로(60)의 내부에는 계단식 수조(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계단식 수조(61)의 바닥면이 폭 방향으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점에 있다.
그리하여, 치어류 등에 안전하고 안정적인 통로를 제공하여 치어류들의 이동을 돕게 된다.
어도, 수문장치.

Description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FISH PASSAGE SYSTEM FOR FRY}
이 발명은 치어류나 달팽이류 등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국토 종합개발 계획 등에 의한 대규모 간척 사업이나 또는 다목적 댐 혹은 각종 보의 건축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런데, 이들 건축활동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검토되고 있는 것이 갑문이나 보 혹은 덧문등에 의해 이동통로가 차단되는 어류들의 어도 확보이다. 특히, 하류에서 상류로 치어들이 이동하여 성장하는 어류들의 경우 상기 어도 확보가 미흡한 나머지 멸종 위기에 이른 것들도 있는 현실이다.
종래에 이와 같은 어류 등의 이동을 돕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가지 계단식 어류 이동로나 완만한 목책 등 다양한 어도들이 발명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어류 이동로나 어도 등은 어느 정도 크기 이상의 어류들은 비교적 이동 가능한 것이었으나, 치어류나 달팽이류 들이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수위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문장치와 계단식 수조로 이루어지는 어도와 상기 수문장치에 고정설치되는 보호망을 포함하여 되며 치어류나 달팽이류 등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의 특징은, 수위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문장치와, 계단식 수조로 이루어지는 어도와, 상기 수문장치에 고정설치되는 보호망을 포함하여 되는 점에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의 다른 특징은, 상기 수문장치는, 삼각기둥 형상의 지지면을 가지는 수문 틀과, 삼각기둥 형상의 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수문 틀에 지지되는 수문 문과, 상기 수문 틀에 고정되어 상기 수문 문을 지지하는 수문 문 고정롤러와, 상기 수문 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수문 문의 높이 상승을 제한하는 수문 문 높이제한수단과, 상기 수문 문에 고정설치되는 수문 문 높이조절구를 포함하여 되는 점에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계단식 수조의 바닥면이 폭 방향으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의 특징은, 배수 갑문의 덧문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구와, 일 끝단이 상기 덧문에 고정설치되고 수위 에 따라 부력에 의해 오르내림이 가능하며 휘어짐이 자유로운 관로와, 상기 관로의 다른 끝단에 고정설치되는 보호망과, 상기 관로 내에 배치되고 상기 관로의 오르내림에 따라 상기 배수구의 개폐작용을 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하여 되는 점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의 다른 특징은, 상기 관로의 내부에는 계단식 수조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계단식 수조의 바닥면이 폭 방향으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은, 수위에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수문에 의하여 아주 소량의 물만 있어도 매우 작은 치어류 특히 실뱀장어의 치어류 들도 상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어족 자원의 보호는 물론 수산물 생산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에 따른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의 모식적인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제 1도에서의 수문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은, 수위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문장치(10)와, 계단식 수조(21)로 이루어지는 어도(20)와, 상기 수문장치에 고정설치되는 보호망(30)을 포함하여 되어 있다.
상기 수문장치(10)에는, 삼긱기둥 형상의 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수문 틀에 지지되며 부력이 있는 수문 문(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문 문 고정롤러(13)가 상기 수문 틀에 고정되어 상기 수문 문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수문 문 높이제한수단(14)이 상기 수문 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수문 문의 높이 상승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부력이 있는 수문 문 높이조절구(15)가 상기 수문 문의 상류쪽 면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문 문 높이조절구로서 소정 무게의 추가 사용될 수 있으며, 추의 무게에 따라 수문 문이 열리는 높이를 자동적으로 조절해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계단식 수조(21)의 바닥면은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으며, 물이 내려가는 방향을 바꾸어주기 위해서 꺾이는 계단 형태의 수조가 형성되는 바, 이것은 길이방향으로의 앞뒤부분을 터놓고 길이를 길게하여 형성된다. 또한, 각 수조의 낙수되는 곳에는 바닥면에 칸과 칸이 형성되고 칸과 칸의 저부가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 계단식 수조(21)에는 수초체 걸이구(22)가 각 수조의 높은 쪽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초체 걸이구(22)에 수초체(23)가 걸려 있고 다음 수조에 걸쳐 늘어뜨려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초체(23)로는 풀린 로프나 헝겊류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치어류등의 쉼터나 은신처가 될 수 있다.
또한, 이 계단식 수조는 상기 수문 문 지점까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의 개략 설명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배수 갑문의 덧문(40) 하부에 배수구(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휘어짐이 자유로운 관로(60)의 일 끝단이 상기 덧문에 고정설치되며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오르내림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관로의 다른 끝단에 보호망(70)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한, 역류방지수단(80)이 상기 관로 내에 배치되어 상기 관로의 오르내림에 따라 상기 배수구의 개폐작용을 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관로(60)의 내부에는 계단식 수조(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계단식 수조(61)의 바닥면은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된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이 발명에 따른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에는, 수문장치(10)에 보호망(30)이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류로부터 떠내려 오는 각종 이물질들은 댐 본류로 흘러 내려가거나 또는 정기적인 제거작업등을 통해 제거되기 때문에 계단식 수조(21)로는 이물질들이 흘러 들어가는 일은 없게된다.
수문 문의 높이 조절은 수문 문 높이 조절구에 의해서 조절하며, 이 실시예에서는 수문에 추를 달아서, 수문 문의 수압에 의해 자동 조절된다.
수문 문틀 높이와 같이 계단형 수조를 쌓아 수문 틀과 접한 부위는 직각으로 하여 수문에서 상부로 넘쳐 나온 물이 계단형 수조로 바로 들어와서, 앞쪽 계단 수조의 배출 측의 일측은 낮게 일측은 높게 된 곳으로 물이 통과되면 낮은 쪽은 물살이 세고 높은 쪽은 물살(힘)이 약하므로 어류에 따라서 물살의 세기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서 어류의 이동을 자유롭게 한다.
수조 계단 낙수되는 곳에 수조 바닥에 칸과 칸이 형성되고 칸과 칸 저부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어서, 계단과 계단에서 내려오는 물살의 세기를 줄여 줌으로써 작은 어류들이 상류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한편, 계단식 수조(21)의 수초체 걸이구(22)에 수초체(23)가 걸려 있으므로실뱀장어 치어를 비롯한 치어류 및 달팽이류 들도 이들 수초체에 의지하여 상류로의 이동이 더욱 용이해지는 것이다.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배수 갑문의 덧문(40) 하부의 배수구(50)를 두고 관로(60)의 일 끝단이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류쪽의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관로의 다른 끝단이 올라가게 되고 관로내의 역류방지 수단(80)이 배수구를 막게되므로 바닷물의 역류가 방지된다. 반대로, 상류쪽의 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관로내의 역류방지 수단이 배수구를 벗어나게 되며 관로내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식 수조를 따라서 실뱀장어등의 치어류들이 상류로 이동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은, 수위에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수문에 의하여 아주 소량의 물만 있어도 매우 작은 치어류 특히 실뱀장어의 치어류 들도 상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족 자원의 보호는 물론 수산물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뱀장어 등과 같은 고급 어종들의 수출 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등의 경제적인 측면에서 대단히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의 모식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제 1도에서의 수문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문장치 11: 수문 틀
12: 수문 문 13: 고정 롤러
14: 수문 문 높이제한수단 15: 수문 문 높이 조절구
20: 어도 21, 61: 계단식 수조
22: 수초체 걸이구 23: 수초체
30, 70: 보호망 40: 덧문
50: 배수구 60: 관로
80: 역류방지수단

Claims (8)

  1. 수위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문장치(10)와, 계단식 수조(21)로 이루어지는 어도(20)와, 상기 수문장치에 고정설치되는 보호망(30)을 포함하여 되는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장치(10)는,
    삼각기둥 형상의 가장자리를 가지고 상기 수문 틀에 지지되는 수문 문(12)과,
    상기 수문 틀에 고정되어 상기 수문 문을 지지하는 수문 문 고정롤러(13)와,
    상기 수문 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수문 문의 높이 상승을 제한하는 수문 문 높이제한수단(14)과,
    상기 수문 문에 고정설치되는 수문 문 높이조절구(15)를 포함하여 되는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수조(21)의 바닥면이 폭 방향으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20)에는 물이 흐르는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꺾이는 계단식 수조가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의 앞뒤부분을 터놓고 길이를 길게하여 형성되어 있는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20)에는 물이 흐르는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꺽이는 계단식 수조가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의 앞뒤부분을 터놓고 길이를 길게하여 형성되어 있는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
  6. 배수갑문의 덧문(40)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구(50)와,
    일 끝단이 덧문에 고정설치되고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오르내림이 가능하며 휘어짐이 자유로운 관로(60)와,
    상기 관로의 다른 끝단에 고정설치되는 보호망(70)과,
    상기 관로 내에 배치되고 상기 관로의 오르내림에 따라 상기 배수구의 개폐작용을 하는 역류방지수단(80)을,
    포함하여 되는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60)의 내부에는 계단식 수조(61)가 형성되어 있는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수조(61)의 바닥면이 폭 방향으로 경사면으로 되어있는 치어류 이동용 어도 시스템.
KR1020070074958A 2007-07-26 2007-07-26 치어류 이동용 어도 장치 KR101008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958A KR101008462B1 (ko) 2007-07-26 2007-07-26 치어류 이동용 어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958A KR101008462B1 (ko) 2007-07-26 2007-07-26 치어류 이동용 어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414A true KR20090011414A (ko) 2009-02-02
KR101008462B1 KR101008462B1 (ko) 2011-01-14

Family

ID=4068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958A KR101008462B1 (ko) 2007-07-26 2007-07-26 치어류 이동용 어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4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7833A (zh) * 2021-05-13 2021-06-18 武汉中科瑞华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光源控制方法、装置及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8891A (ja) * 2001-02-26 2002-09-03 Kotobuki:Kk 筆記具用レフィールのインキ収納管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6070B2 (ja) * 1998-01-06 2007-08-08 豊国工業株式会社 自動魚道ゲート
KR20020077591A (ko) * 2001-04-02 2002-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랫케이블 커넥터의 고정장치
TWI225416B (en) * 2001-06-29 2004-12-21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Sustained-releas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0277591Y1 (ko) * 2002-01-31 2002-06-14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하천의 수중보용 어도장치
KR200418401Y1 (ko) * 2006-03-14 2006-06-14 송성도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7833A (zh) * 2021-05-13 2021-06-18 武汉中科瑞华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光源控制方法、装置及设备
CN112987833B (zh) * 2021-05-13 2021-07-30 武汉中科瑞华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光源控制方法、装置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462B1 (ko)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196B1 (ko) 보의 상류 측 수중에 위치하여 수위 변동시에도 어류의 이동이 연중 가능한 어도
KR101235400B1 (ko) 수로 및 어도를 동시에 구비한 친환경 안전보
Morris Management alternatives to combat reservoir sedimentation
KR101555831B1 (ko) 유속저감 기능을 갖는 자연형 어도
KR20090011414A (ko) 치어류 이동용 어도 장치
CN213952150U (zh) 一种用于清洁水源的水域养鱼拦鱼系统
CN109371932A (zh) 水力竖井式过鱼结构
JP2012046937A (ja) 砂防ダムの取水機構
RU2656350C1 (ru)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KR101257344B1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KR102139517B1 (ko) 퇴적물의 통과 수로로 겸용되는 어도를 가춘 낙차공
KR101282777B1 (ko)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KR101161856B1 (ko) 이중수문
SK592022U1 (sk) Systém na regulovanie výšky hladiny podzemnej vody
KR102259684B1 (ko) 댐에 설치되는 수압 저감 수단이 구비된 집수형 어도
KR100619459B1 (ko) 수위에 따라 자동조절되는 하천용 수문
KR200380657Y1 (ko) 어도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는 장치
KR100571724B1 (ko) 슬라이드형 수문
KR20060000366A (ko) 어도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는 방법 및 그 장치
RU65061U1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водосбросной плотины
KR101152609B1 (ko)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어도
KR20180108355A (ko) 제방에 연설된 어도
JP2008308894A (ja) トリプル湖ダム構造
JP3075109B2 (ja) 貯水構造物から魚道への取水構造
KR101506848B1 (ko) 어도가 형성된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520

Effective date: 201009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