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401Y1 -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 Google Patents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8401Y1 KR200418401Y1 KR2020060006831U KR20060006831U KR200418401Y1 KR 200418401 Y1 KR200418401 Y1 KR 200418401Y1 KR 2020060006831 U KR2020060006831 U KR 2020060006831U KR 20060006831 U KR20060006831 U KR 20060006831U KR 200418401 Y1 KR200418401 Y1 KR 20041840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sh
- water
- dam structure
- inlet
- upstrea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3238 esophagu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555745 Sciu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8)
- 물고기(f)가 상류로 이동되게 하는 댐구조물(10)을 구성함에 있어서;상기 댐구조물(10)의 하측에 출수구부위(21)가 매립되게 하되 출수구(22)가 하류수(Wa)쪽 수중으로 노출되도록 매립시켜 고정되고 입수구부위(23)는 상류수(Wb) 쪽에 위치하도록 길다란 길이를 갖는 플렉시블 어도관(20)을 설치하되 상기 입수구부위(23)에는 부력을 받는 부력부재(30)가 고정되게 하여 입수구(24) 하측으로부터 절반 크기의 면적이 상류수(Wb)에 잠기는 상태로 입수구부위(23)가 수면(p)으로 부상되게 하여 수면(p) 부근의 상류수(Wb)가 입수구(24)를 통해 이동통로(25)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통로(25) 바닥에는 유속을 저감시키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유속저감부재(26)를 등간격적으로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24) 전방에 상면부겸용 전면부(41)와 양측면부(42)가 차폐되고 하부에 개방공(43)이 있는 이물질차단수단(4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차단수단(40)의 상면부겸용 전면부(41)에 폭이 작은 물통과공(44)을 더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유속저감부재(26)는 이동통로(25)의 하측에서 일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기립되게 하되 일측과 상부쪽으로 공간부(27,27')를 갖도록 형성시키고 물흐름로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지그재그 방향이면서 등간격적으로 구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저감부재(26)의 선단부에는 이동통로(25)로 흐르는 상류수(Wb)가 회오리되어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입수구(24) 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된 라운딩부(26a)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저감부재(26) 사이에 이동통로(25)의 횡방향으로 낮은 높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륜부(28)가 등간격적으로 구비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어도관(20)은 상하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고 양측방향으로는 휨억제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양측면 높이에 비해 상,하측면 길이가 긴 직사각형태의 이동통로(25)를 갖는 합성수지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구조물(10)에 매립된 출수구부위(21)부터 상류수(Wb) 방향으로 노출되는 어도관(20)이 댐구조물(10)에 고정되는 보강부재(5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6831U KR200418401Y1 (ko) | 2006-03-14 | 2006-03-14 |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6831U KR200418401Y1 (ko) | 2006-03-14 | 2006-03-14 |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8401Y1 true KR200418401Y1 (ko) | 2006-06-14 |
Family
ID=4176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683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8401Y1 (ko) | 2006-03-14 | 2006-03-14 |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8401Y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9562B1 (ko) | 2009-06-19 | 2010-01-29 | 이성우 | 다단 나선형 어도 |
KR100955709B1 (ko) | 2008-12-30 | 2010-05-04 | 이지현 | 집수조를 구비하는 어도 |
KR100969642B1 (ko) | 2007-11-15 | 2010-07-12 | 민선영 | 하천의 보용 어도 |
KR100969641B1 (ko) | 2007-11-12 | 2010-07-14 | 민선영 | 저수지의 제방용 어도 |
KR101008462B1 (ko) * | 2007-07-26 | 2011-01-14 | 조남열 | 치어류 이동용 어도 장치 |
KR101254224B1 (ko) * | 2010-08-23 | 2013-04-18 | 손광재 | 어도 |
KR20180045691A (ko) * | 2016-10-25 | 2018-05-04 | 민승기 | 지천의 낙차공용 어도 |
CN113235531A (zh) * | 2021-04-26 | 2021-08-10 | 华川技术有限公司 | 一种鱼类洄游通道 |
-
2006
- 2006-03-14 KR KR2020060006831U patent/KR200418401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8462B1 (ko) * | 2007-07-26 | 2011-01-14 | 조남열 | 치어류 이동용 어도 장치 |
KR100969641B1 (ko) | 2007-11-12 | 2010-07-14 | 민선영 | 저수지의 제방용 어도 |
KR100969642B1 (ko) | 2007-11-15 | 2010-07-12 | 민선영 | 하천의 보용 어도 |
KR100955709B1 (ko) | 2008-12-30 | 2010-05-04 | 이지현 | 집수조를 구비하는 어도 |
KR100939562B1 (ko) | 2009-06-19 | 2010-01-29 | 이성우 | 다단 나선형 어도 |
KR101254224B1 (ko) * | 2010-08-23 | 2013-04-18 | 손광재 | 어도 |
KR20180045691A (ko) * | 2016-10-25 | 2018-05-04 | 민승기 | 지천의 낙차공용 어도 |
CN113235531A (zh) * | 2021-04-26 | 2021-08-10 | 华川技术有限公司 | 一种鱼类洄游通道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18401Y1 (ko) |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 |
KR101377437B1 (ko) |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 | |
KR20120015557A (ko) | 수중생태계 보호를 위한 어도 블록 | |
KR101104030B1 (ko) | 부유식 방파제 | |
US20160017559A1 (en) | Floating barrier | |
KR101898671B1 (ko) | 횡방향 어도를 구비한 하천시설물 | |
KR100586483B1 (ko) | 철교교각의 세굴방지구조 | |
KR20110000468A (ko) | 댐의 내측에 형성되는 어로 | |
KR101403564B1 (ko) | 부유식 소파장치 | |
KR100932666B1 (ko) | 친환경적인 하천 굴곡부의 사면 보호시설 | |
CN102828489B (zh) | 摆桩定河床主流的系统 | |
ES2864875B2 (es) | Rompeolas. | |
KR100932665B1 (ko) | 하천유속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바닥 블록 시설물 | |
JP3185169B2 (ja) | 放流構造 | |
JP6065162B1 (ja) | 網場設備 | |
US1768310A (en) | Irrigating system | |
JP2005113675A (ja) | 魚道 | |
CN107503321A (zh) | 一种板式山型防波堤 | |
KR100688895B1 (ko) |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 |
KR100680154B1 (ko) | S형 계단식 어도시설 | |
JPH0610326A (ja) | 消波構造物 | |
JP7507597B2 (ja) | 流木捕捉工 | |
KR20180108355A (ko) | 제방에 연설된 어도 | |
JP4213080B2 (ja) | 魚道 | |
CN115125905B (zh) | 自冲沙式河内基体、河内基体的安装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314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6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60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626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02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Patent event date: 20061201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005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