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224B1 - 어도 - Google Patents

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224B1
KR101254224B1 KR1020100081451A KR20100081451A KR101254224B1 KR 101254224 B1 KR101254224 B1 KR 101254224B1 KR 1020100081451 A KR1020100081451 A KR 1020100081451A KR 20100081451 A KR20100081451 A KR 20100081451A KR 101254224 B1 KR101254224 B1 KR 101254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ipe
inlet
outlet
area
d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540A (ko
Inventor
손광재
Original Assignee
손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광재 filed Critical 손광재
Priority to KR1020100081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22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에 설치되고, 상기 댐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하천수가 흐르는 이송공간이 형성된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상류측 일단부에 형성되는 입수구; 및 상기 이송관의 하류측 타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출수구; 를 포함하는 어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댐의 하류에 존재하는 어류가 용이하게 상류로 이동할 수 있어, 생태계 파괴를 방지하는 어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도{Fish Way}
본 발명은 어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댐에 설치되어, 댐의 하류에 존재하는 어류 등이 용이하게 상류로 이동할 수 있는 어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물을 저장하여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로 사용하거나, 토사유출방지, 수위상승방지(홍수조절), 발전 등을 위하여 하천을 횡단하여 구축되는 댐이 설치된다. 이러한 댐은 규모가 작은 경우 보나 제방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러나 하천에 댐이 설치된 경우에는 하천의 하류와 상류가 단절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는 어류들이 하천의 상/하류로 오르내리는 것이 곤란해지고, 결국 하천에서 서식하는 각종 어류들의 서식환경이 변화된다.
특히, 산란을 위해 회귀하는 어류가 하류에서 상류로 거슬러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어류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댐의 하류에 존재하는 어류 등이 용이하게 상류로 이동할 수 있어, 생태계 파괴를 방지하는 어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댐에 설치되고, 상기 댐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하천수가 흐르는 이송공간이 형성된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상류측 일단부에 형성되는 입수구 및 상기 이송관의 하류측 타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출수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수구 및 상기 출수구는, 각각 상류측 하천과 하류측 하천에 잠겨있음으로써, 상기 이송관 내부 이송공간에 물이 만충되도록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관 내부 이송공간의 면적은 상기 입수구 및 상기 출수구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출수구의 면적은 입수구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관은 상기 상류측 일단부으로부터 상기 하류측 타단부로 갈수록 상기 이송공간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수구 각각마다 설치되어, 상기 출수구의 개폐를 수행하는 개폐도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어도 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중카메라를 더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댐의 하류에 존재하는 어류 등이 용이하게 상류로 이동할 수 있어, 생태계 파괴를 방지하는 어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도어의 개폐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카메라가 설치된 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도는 댐(10)에 설치되는 이송관(20), 이송관(20)에 형성되는 입수구(30) 및 복수개의 출수구(40)를 포함한다.
댐(10)은 강과 같은 하천을 가로질러 구축되는 것으로, 하천은 댐(10)으로 인하여 수위가 높은 상류와 수위가 낮은 하류로 분할된다.
이송관(20)은 댐(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댐(10)에 의하여 분할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하천수가 흐를 수 있도록 내부에 이송공간(25)을 형성한다.
도 1에서는 이송관(20)의 경사진 부분이 댐(10)의 하류측 면에 접하도록 이송관(20)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송관(20)이 상류측 하천과 하류측 하천을 연결하는 형태이면 무방하다.
입수구(30)는 하천의 상류측 물이 유입되어 들어가는 곳으로, 이송관(20)의 상류측 일단부에 형성된다.
출수구(40)는 하천의 상류에서 이송관(20)을 통해 흘러온 물이 유출되는 곳으로, 이송관(20)의 하류측 타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출수구(40)는 이송관(20)의 상류측 일단부에 하나가 형성되는 입수구(30)와는 달리, 이송관(20)의 하류측 타단부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이송관(20) 내부의 이송공간(25)에 하천수가 가득 들어차 있기 위하여, 입수구(30)는 상류측 하천에 잠겨있고, 출수구(40)는 하류측 하천에 잠겨있어야 물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어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a 및 도 2b는 용이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측에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이송관(20) 내부에 존재하는 이송공간(25)의 면적은 입수구(30) 및 출수구(40)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즉, 이송공간(25)의 단면적이 입수구(30) 및 출수구(40)가 형성하는 구멍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송공간(25)의 단면적은 9 ~ 11 제곱미터(m2) 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입수구(30)의 면적은 2.5 ~ 3.5 제곱미터(m2), 출수구(40)의 면적은 0.5 ~ 1.5 제곱미터(m2)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설명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공간(25)의 면적은 입수구(30)의 면적보다 크고, 각 출수구(40)의 면적은 입수구(30)의 면적보다 작되, 각 출수구(40)의 면적을 합한 총면적은 입수구(30)보다 커야 한다. 이는 입수구(30)보다 출수구(40) 측이 유속이 느리게 되어 어류들이 출수구(40)측으로 들어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출수구(40)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집어 효과는 커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이송관(20)이 원통형인 경우, 그 직경이 입수구(30) 및 출수구(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관(20)은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한 폭을 유지할 수도 있으며, 이송관(20)의 하류측 타단부의 면적을 넓게 하여 보다 많은 출수구(40)가 형성될 수 있도록 도 2b와 같이 상류측 일단부로부터 하류측 타단부로 갈수록 그 이송공간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송관(20)이 원통형인 경우, 그 직경이 상류측 일단부로부터 하류측 타단부로 갈수록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출수구(40)는 보다 많은 개수가 이송관(20)의 하류측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도록 그 면적은 입수구(30)의 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출수구(40)가 형성하는 구멍의 면적은 입수구(30)가 형성하는 구멍의 면적보다 작게 되며, 이를 위하여 출수구(40)의 직경이 입수구(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도어의 개폐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도는 개폐도어(50)를 더 포함한다.
개폐도어(50)는 복수개의 출수구(40) 각각마다 설치되는 것으로, 각 출수구(40)의 개폐를 수행한다.
개폐도어(50)는 댐(10) 또는 어도를 관리하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개별 조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개폐도어(50)만 개방될 수도 있다. 모든 개폐도어(50)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물이 흐르지 않게 되어 이송관(20) 내부의 어류들이 방향을 잃게 되므로, 일부의 개폐도어(50)는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개폐도어(50)를 개방하여 어류 등을 출수구(40)를 통하여 이송관(20) 내부로 유인한 뒤, 개폐도어(50)를 일부 또는 전부를 폐쇄함으로써 이송관(20) 내부의 유속을 감속시켜 이송관(20) 내부에 위치한 어류 등이 입수구(30) 바깥측의 상류측 하천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카메라가 설치된 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도는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카메라(60)를 더 포함한다.
수중카메라(60)는 수중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도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입수구(30) 내부, 출수구(40) 내부, 이송관(20) 내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중카메라(60)로부터 입수되는 영상을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하여, 어도 내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폐도어(50)의 개폐시기를 정확히 정할 수 있게 된다. 이송관(20) 길이에 따라 개폐시기를 조절하여 하루에도 수십차례 어류를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댐 20: 이송관
25: 이송공간 30: 입수구
40: 출수구 50: 개폐도어
60: 수중카메라

Claims (7)

  1. 댐에 설치되고, 상기 댐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하천수가 흐르는 이송공간이 형성된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상류측 일단부에 형성되는 입수구;
    상기 이송관의 하류측 타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출수구; 및
    상기 출수구 각각마다 설치되어, 상기 출수구의 개폐를 수행하는 개폐도어;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관은,
    상기 상류측 일단부로부터 상기 하류측 타단부로 갈수록 상기 이송공간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 및 상기 출수구는, 각각 상류측 하천과 하류측 하천에 잠겨있음으로써, 상기 이송관 내부 이송공간에 물이 만충되도록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 내부 이송공간의 면적은, 상기 입수구 및 상기 출수구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4. 제 3항에 있어서,
    각각의 출수구의 면적은, 입수구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는, 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중카메라; 를 더 포함하는 어도.
KR1020100081451A 2010-08-23 2010-08-23 어도 KR101254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51A KR101254224B1 (ko) 2010-08-23 2010-08-23 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51A KR101254224B1 (ko) 2010-08-23 2010-08-23 어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540A KR20120018540A (ko) 2012-03-05
KR101254224B1 true KR101254224B1 (ko) 2013-04-18

Family

ID=4612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451A KR101254224B1 (ko) 2010-08-23 2010-08-23 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2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8385B (zh) * 2015-11-18 2017-07-28 安徽农业大学 一种溪涧小型鱼类生态捕捞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5505A (ko) * 2004-09-16 2006-03-21 민선영 어도가 구성되는 하천용 제방
KR200418401Y1 (ko) * 2006-03-14 2006-06-14 송성도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KR20090060969A (ko) * 2008-11-17 2009-06-15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공법 및 여기에 적용되는 무정전 수문 작동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5505A (ko) * 2004-09-16 2006-03-21 민선영 어도가 구성되는 하천용 제방
KR200418401Y1 (ko) * 2006-03-14 2006-06-14 송성도 물고기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어도를 갖는 댐구조물
KR20090060969A (ko) * 2008-11-17 2009-06-15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정화시키는 공법 및 여기에 적용되는 무정전 수문 작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540A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jeldstad et al. Safe two-way migration for salmonids and eel past hydropower structures in Europe: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best-practice solutions
JP2021099027A (ja) 回遊魚通路装置
Thorstad et al. Survival and behaviour of Atlantic salmon smolts passing a run‐of‐river hydropower facility with a movable bulb turbine
CA2849548C (en) Fish counter
KR101532276B1 (ko) 보 상류의 녹조 방지 및 슬러지 방출 시스템
CN102392429B (zh) 引黄灌区渠首分层取水方法
CN103556610A (zh) 鱼道与运鱼车之间的转驳装置及其实施方法
CN102747715A (zh) 鱼道结构及集鱼方法
KR101254224B1 (ko) 어도
KR100989560B1 (ko)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JP2008142027A (ja) 定置網
KR101288089B1 (ko)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Sheridan et al. Screening at intakes and outfalls: measures to protect eel (Anguilla anguilla)
KR20160038747A (ko) 수리 시설물에서 어류의 이동을 위한 인공어도
KR20070111574A (ko) 물공급관이 연설된 제방의 어도
CN106106282A (zh) 海岸带渔业保护区海底监测系统
Bennett et al. An investigation of the substrate preference of white sturgeon (Acipenser transmontanus) eleutheroembryos
CN107893405A (zh) 一种可适应水位变幅的集运鱼系统
CN113274785B (zh) 一种浸没式悬浮固形物质富集导流罩装置
KR101257344B1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KR200286173Y1 (ko) 유속 안내판과 몸체의 저항 작용에 의해 물고기의 이동이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
CN110359414B (zh) 优化的外海与内湖水系水体交换方法
CN103283666A (zh) 高密度螃蟹养殖用池塘
KR20050042091A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RU2562205C2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регулируемого свободно текущего водного пото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