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089B1 -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 Google Patents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8089B1 KR101288089B1 KR1020110033122A KR20110033122A KR101288089B1 KR 101288089 B1 KR101288089 B1 KR 101288089B1 KR 1020110033122 A KR1020110033122 A KR 1020110033122A KR 20110033122 A KR20110033122 A KR 20110033122A KR 101288089 B1 KR101288089 B1 KR 1012880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sh
- tank
- door
- pipe
- su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수기에도 어도(魚道)가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고, 특히 투명재질의 관찰어도를 따라 4계절 내내 어류가 사람이나 조류들의 포획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이동가능하면서도 상기 어류의 소상장면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생태환경 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천보의 상, 하류에 설치된 집수탱크 및 어류 유인탱크를 포함하여 상기 집수탱크 및 어류 유인탱크의 사이에 연결된 관찰어도에 각각 갈수기에도 자동으로 물을 원활하게 채워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어류 유인탱크를 일시적으로 개방하여 물고기를 어류 유인탱크의 내부로 유인하도록 하며, 상기 어류 유인탱크를 닫아줌과 동시에 집수탱크를 개방하여 상기 어류 유인탱크 내의 어류가 관찰어도를 경유하여 집수탱크로 안전하게 이동한 후 하천의 상류로 소상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천보의 상, 하류에 설치된 집수탱크 및 어류 유인탱크를 포함하여 상기 집수탱크 및 어류 유인탱크의 사이에 연결된 관찰어도에 각각 갈수기에도 자동으로 물을 원활하게 채워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어류 유인탱크를 일시적으로 개방하여 물고기를 어류 유인탱크의 내부로 유인하도록 하며, 상기 어류 유인탱크를 닫아줌과 동시에 집수탱크를 개방하여 상기 어류 유인탱크 내의 어류가 관찰어도를 경유하여 집수탱크로 안전하게 이동한 후 하천의 상류로 소상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갈수기에도 어도(魚道)가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고, 특히 투명재질의 관찰어도를 따라 4계절 내내 어류가 사람이나 조류들의 포획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이동가능하면서도 상기 어류의 소상장면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생태환경 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서는 물을 저장하여 농업용수 또는 공업용수로 이용하기 위하여 하천의 제방과 제방을 가로지르는 여러 종류의 횡단구조물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횡단구조물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것이 콘크리트로 타설한 하천보이며, 상기 하천보는 저수되는 물의 수위를 항상 일정범위 내에 있도록 물을 저장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홍수시 또는 가뭄시 수위를 조절해 주기 위하여 수문이 설치된다.
그러나 콘크리트로 하천보를 형성하는 경우 하천의 하류와 상류가 단절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물고기들이 하천의 상, 하류로 오르내리는 것이 곤란해지게 되고, 따라서 하천에서 서식하는 각종 물고기들의 서식환경이 변화한다.
또한, 상기 하천보를 형성함에 따라 산란을 위해 회귀하는 물고기가 하류에서 상류로 거슬러 이동할 수 없게 되고, 특히 작은 물고기들은 급경사면을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어류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써 통상의 하천보에는 물고기가 상류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계단식 형태의 어도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하천에 설치된 종래의 계단식 어도는 수량이 풍부한 홍수시에만 제한적으로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한다.
즉 천연 기념물인 산천어, 바다뱀장어 등 30여종의 희귀성 어종은 갈수기인 6월에 바다에서 하천으로 이동하고, 중요한 어족 자원인 연어 등의 40여종은 10월 하순에 바다에서 민물로 이동하나 시기적으로 6월 및 10월은 갈수기에 해당하므로 어도의 기능이 불가능한 심각한 문제점이 야기된다.
아울러 상기 어도를 따라 거슬러 올라가는 어류는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사람이나 황새 등의 조류가 어류를 포획하거나 잡아먹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오히려 자연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어도는 어류의 통로를 제공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할 뿐 상기 어류의 소상(遡上:어류가 하천을 거슬러 올라가는 것)장면을 용이하게 관찰하면서 생태환경을 교육하는 목적이나 생태관광의 목적으로는 전혀 사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어도가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하천보의 상, 하류에 설치된 집수탱크 및 어류 유인탱크를 포함하여 상기 집수탱크 및 어류 유인탱크의 사이에 연결된 관찰어도에 각각 갈수기에도 자동으로 물을 원활하게 채워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어류 유인탱크를 일시적으로 개방하여 물고기를 어류 유인탱크의 내부로 유인하도록 하며, 상기 어류 유인탱크를 닫아줌과 동시에 집수탱크를 개방하여 상기 어류 유인탱크 내의 어류가 관찰어도를 경유하여 집수탱크로 안전하게 이동한 후 하천의 상류로 소상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천보를 관통하여 설치된 관찰어도를 이용하여 상류에 설치된 집수탱크와 하류에 설치된 어류 유인탱크를 상호 통수가능하게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집수탱크에 연결된 메인 집수관의 개방부에 제1 도어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 차수도어를 설치하며, 상기 어류 유인탱크에 연결된 유인관의 후단에 삽입 설치된 메인 배수관의 전단에는 제2 도어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2 차수도어를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집수탱크에 연결된 서브 집수관의 개방부에 제3 도어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3 차수도어를 추가로 설치하고, 상기 어류 유인탱크에 연결된 분기관의 후방에 삽입 설치된 서브 배수관의 전단에는 제4 도어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4 차수도어를 추가로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갈수기에도 하류에 설치된 어류 유인탱크에는 물이 채워짐에 따라 상기 어류 유인탱크의 내부로 유인되는 어류는 관찰어도를 경유하여 상류에 설치된 집수탱크로 이동한 후 상류로 원활하게 소상 가능함으로써 갈수기는 물론 4계절 내내 어도가 항상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어류 유인탱크, 관찰어도 및 집수탱크는 투명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하천보를 산책하는 과정에서 어류의 소상장면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생태환경 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생태관광의 모델을 창출하며, 특히 사람들의 접근성이 용이하여 어류 관찰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외부와 격리된 관찰어도를 따라 어류가 더욱 안전하게 이동함으로써 사람들의 불법적인 어로행위를 근절함은 물론 조류 등이 어류를 잡아먹는 일을 미연에 방지하여 자연생태계를 보존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어도구조물의 설치상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어도구조물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 제3 차수도어, 메인 집수관 및 서브 집수관의 개방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2 차수도어 및 메인 배수관의 닫힘상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4 차수도어 및 서브 배수관의 닫힘상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2 차수도어 및 메인 배수관의 개방상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어류 유인탱크에서 어류가 관찰어도를 통해 상류로 이동하는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개방된 메인 집수관을 통해 어류가 상류로 소상하는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에어브리더 및 에어통기관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크래퍼 및 청소용 브러시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어도구조물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 제3 차수도어, 메인 집수관 및 서브 집수관의 개방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2 차수도어 및 메인 배수관의 닫힘상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4 차수도어 및 서브 배수관의 닫힘상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2 차수도어 및 메인 배수관의 개방상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어류 유인탱크에서 어류가 관찰어도를 통해 상류로 이동하는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개방된 메인 집수관을 통해 어류가 상류로 소상하는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에어브리더 및 에어통기관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크래퍼 및 청소용 브러시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하천보(1)의 상류 측에 설치된 집수탱크(10)와; 상기 하천보(1)의 하류 측에 설치된 어류 유인탱크(20)와; 상기 하천보(1)를 관통하여 양단부가 집수탱크(10)의 하부 및 어류 유인탱크(20)의 상부에 각각 통수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관찰어도(30)와; 상기 집수탱크(10)의 일측에 연결된 메인 집수관(11)의 개방부(12)에 제1 도어실린더(41)의 작동에 따라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제1 차수도어(40)와;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에 연결된 유인관(21)의 후단에 메인 배수관(22)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메인 배수관(22)의 전단에 제2 도어실린더(51)의 작동에 따라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제2 차수도어(5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갈수기에도 물을 집수하여 관찰어도(30) 및 어류 유인탱크(20)에 물을 원활하게 공급하면서 어도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하는 원통형의 집수탱크(10)가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된 하천보(1)의 상류 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천보(1)의 하류 측에는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타워형의 어류 유인탱크(20)가 설치되며,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내부 점검을 위해 입출할 수 있는 맨홀(21a)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천보(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원형 관찰어도(30)의 양단부는 상기 집수탱크(10)의 하부 및 어류 유인탱크(20)의 상부에 각각 통수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집수탱크(10), 어류 유인탱크(20) 및 관찰어도(30)는 내부가 훤히 들여다보이는 투명한 재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됨으로써 어류의 소상장면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집수탱크(10)의 일측에는 메인 집수관(11)이 연결되되 상기 메인 집수관(11)의 개방부(12)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하류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기술이 접목됨으로써 하천의 물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각종 이물질이나 부유물 등이 상기 개방부(12)로 유입됨을 억제하는 부수적인 효과를 제공하고, 상기 메인 집수관(11)의 개방부(12)에는 제1 도어실린더(41)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선회작동하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 차수도어(4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차수도어(40)는 상부에 부착된 힌지브라켓(42)이 메인 집수관(11)의 개방부(12) 상측에 부착된 힌지브라켓(42)과 힌지축(43)으로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메인 집수관(11)의 내주면 상부에 부착된 실린더브라켓(44) 및 상기 제1 차수도어(40)에 부착된 실린더브라켓(44)의 사이에는 제1 도어실린더(41)가 회동자유롭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도어실린더(41)의 작동에 따라 제1 차수도어(40)는 상기 힌지축(42)을 기점으로 상하로 선회작동하면서 개방부(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의 후방에는 유인관(21)이 연결되고, 이 유인관(21)의 후단에는 상기 메인 집수관(11)과 동일한 직경의 규격으로 이루어진 메인 배수관(22)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메인 배수관(22)의 전단에는 제2 도어실린더(51)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선회작동하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2 차수도어(50)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차수도어(50)는 상부에 부착된 힌지브라켓(52)이 메인 배수관(22)의 전단 상측에 부착된 힌지브라켓(52)과 힌지축(53)으로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메인 배수관(22)의 내주면 상부에 부착된 실린더브라켓(54) 및 상기 제2 차수도어(50)에 부착된 실린더브라켓(54)의 사이에는 제2 도어실린더(51)가 회동자유롭게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집수탱크(10)의 상부에는 내, 외부를 관통하는 에어브리더(80a)가 설치되고,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의 상부에도 내, 외부를 관통하는 에어브리더(80)가 설치되되,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의 에어브리더(80)는 통기 제어밸브(81)가 구비된 에어통기관(82)이 외부로 노출되게 추가로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류 측의 제1 차수도어(40)를 개방함과 동시에 하류 측의 제2 차수도어(50)를 닫아주면 집수탱크(10)로 집수된 물이 관찰어도(30)를 경유하여 어류 유인탱크(20)까지 공급됨으로써 상기 집수탱크(10) 및 어류 유인탱크(20)의 내부에는 물이 채워지고, 이와 동시에 내부의 공기는 에어브리더(80)(8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만수위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만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1 차수도어(40)를 닫아줌과 동시에 제2 차수도어(50)를 개방하더라도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에는 공기유입이 전혀 없어 물이 배수되지 않는 진공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개방된 메인 배수관(22)을 통해 각종 어류는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인되며,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차수도어(40)를 개방함과 동시에 제2 차수도어(50)를 닫아주면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의 내부로 유인된 어류는 개방된 메인 집수관(11)을 통해 갈수기에도 상류로 원활하게 소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통상의 어류는 상부로 도약하려는 습성이 있음을 고려하여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에서 관찰어도(30)로 어류가 도약하기 적합한 도약 수심을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에 조성할 필요성이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만수위 도달 후 상기 제1 차수도어(40)를 닫아줌과 동시에 제2 차수도어(50)를 개방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상기 에어브리더(80)에 설치된 에어통기관(82)의 통기 제어밸브(81)를 열어주면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에 외부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자동으로 수위가 저하되고,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의 수위가 관찰어도(30)의 중간에 도달하면 통기 제어밸브(81)를 닫아주어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면 어류가 도약하기에 수월한 도약 수심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정상적인 어도의 기능을 발휘하면서도 상기 관찰어도(30)의 내부에 물흐름을 연출함으로써 더욱 뛰어난 경관을 제공함은 물론 어류의 소상을 돕기 위한 적정 유속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3 차수도어(60) 및 제4 차수도어(70)의 기술구성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본 발명의 집수탱크(10)는 메인 집수관(11)의 하측에 상기 메인 집수관(11)보다 작은 규격을 갖는 서브 집수관(14)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서브 집수관(14)의 개방부(15)에는 제3 도어실린더(61)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선회작동하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3 차수도어(60)가 설치되며, 상기 제3 차수도어(60)의 외측에는 여과망(66)이 감싸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서브 집수관(14)으로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은 사전에 여과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 차수도어(60)는 상부에 부착된 힌지브라켓(62)이 서브 집수관(14)의 개방부(15) 상측에 부착된 힌지브라켓(62)과 힌지축(63)으로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서브 집수관(14)의 내주면 상부에 부착된 실린더브라켓(64) 및 상기 제3 차수도어(60)에 부착된 실린더브라켓(64)의 사이에는 제3 도어실린더(61)가 회동자유롭게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의 유인관(21) 일측에는 분기관(23)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분기관(23)의 후방에는 상기 유인관(21)보다 작은 규격을 갖되 서브 집수관(14)과 동일한 직경의 규격으로 구성된 서브 배수관(24)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서브 배수관(24)의 전단에는 제4 도어실린더(71)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선회작동하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4 차수도어(70)가 설치된다.
상기 제4 차수도어(70)는 상부에 부착된 힌지브라켓(72)이 서브 배수관(24)의 전단 상측에 부착된 힌지브라켓(72)과 힌지축(73)으로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서브 배수관(24)의 내주면 상부에 부착된 실린더브라켓(74) 및 상기 제4 차수도어(70)에 부착된 실린더브라켓(74)의 사이에는 제4 도어실린더(71)가 회동자유롭게 연결된다.
상기한 제3 차수도어(60) 및 제4 차수도어(70)가 추가로 접목된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상류 측의 제1 차수도어(40) 및 제3 차수도어(60)를 개방함과 동시에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하류 측의 제2 차수도어(50) 및 제4 차수도어(70)를 닫아주면 상기 집수탱크(10), 관찰어도(30) 및 어류 유인탱크(20)에는 물이 완전하게 채워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만수위 상태에서 제1 차수도어(40)를 닫아주고, 제3 차수도어(60) 및 제2 차수도어(50)를 개방하면 상기 제3 차수도어(6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관찰어도(30)를 따라가면서 물흐름을 연출하면서 개방된 제2 차수도어(50)를 통해 하류도 배수되며, 이때 서브 집수관(14)보다 큰 규격의 메인 배수관(22)을 통해 배수되는 물은 확산하면서 유속이 저하됨으로써 상기 제2 차수도어(50)가 설치된 메인 배수관(22) 및 유인관(21)을 통해 어류는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의 내부로 더욱 원활하게 유인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의 내부로 어류가 유인된 이후에는 상기 제2 차수도어(50)를 닫아주고, 상기 제1 차수도어(40) 및 제4 차수도어(70)을 개방하면 상기 제1 차수도어(4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관찰어도(30)를 따라가면서 물흐름을 연출하면서 개방된 제4 차수도어(70)를 통해 하류로 배수되면서 정체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서브 배수관(24) 보다 큰 규격의 메인 집수관(11)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병목현상이 발생하면서 유속이 저하됨으로써 상기 제1 차수도어(40)가 설치된 메인 집수관(11)을 통해 어류가 상류 측으로 더욱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메인 배수관(22)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낙차를 이용하여 별도로 구비된 수차형 발전기를 가동함으로써 전력을 자가생산하여 본 발명의 어도구조물(컨트롤러 등)을 운전하기 위한 전력으로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별도의 전력공사를 추가로 실시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의 내부 바닥에 모래층(90)이 추가로 조성됨으로써 모래층에서 주로 서식하기를 좋아하는 습성을 지닌 미꾸라지, 모래무지 등과 같은 어류의 전용 서식환경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의 내부에는 감속모터(100)의 작동에 따라 회전작동하는 "ㄷ" 형상으로 구성된 스크래퍼(10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래퍼(101)의 상, 하부 및 측면에는 연속하여 브러시 장착홈(102)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 장착홈(102)에 청소용 브러시(103)가 끼워지되 상기 청소용 브러시(103)는 체결구(104)로 관통하여 스크래퍼(101)에 일체화 고정되는 브러시 고정판(105)에 의해 눌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스크래퍼(101)의 회전작동시 청소용 브러시(103)는 어류 유인탱크(20)의 내면을 말끔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의 바닥에는 폭기장치(110)와 연결된 산기관(111)이 내부로 연결 설치됨으로써 컨트롤러(2)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폭기장치(110)가 가동하면서 산기관(111)을 통해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수질을 더욱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으며, 상기 집수탱크(10)의 내부에는 컨트롤러(2)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초음파를 발생하면서 어류를 유인할 수 있도록 하는 초음파 유도기(120)가 추가로 배치됨으로써 어류를 더욱 원활하게 상류로 유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1: 하천보 10: 집수탱크
11: 메인 집수관 12, 15: 개방부
14: 서브 집수관 20: 어류 유인탱크
21: 유인관 22: 메인 배수관
23: 분기관 24: 서브 배수관
30: 관찰어도 40: 제1 차수도어
41: 제1 도어실린더 42, 52, 62, 72: 힌지브라켓
43, 53, 63, 73: 힌지축 44, 54, 64 ,74: 실린더브라켓
50: 제2 차수도어 51: 제2 도어실린더
60: 제3 차수도어 61: 제3 도어실린더
70: 제4 차수도어 71: 제4 도어실린더
80, 80a: 에어브리더 81: 통기 제어밸브
82: 에어통기관 90: 모래층
100: 감속모터 101: 스크래퍼
103: 청소용 브러시 110: 폭기장치
111: 산기관 120: 초음파 유도기
11: 메인 집수관 12, 15: 개방부
14: 서브 집수관 20: 어류 유인탱크
21: 유인관 22: 메인 배수관
23: 분기관 24: 서브 배수관
30: 관찰어도 40: 제1 차수도어
41: 제1 도어실린더 42, 52, 62, 72: 힌지브라켓
43, 53, 63, 73: 힌지축 44, 54, 64 ,74: 실린더브라켓
50: 제2 차수도어 51: 제2 도어실린더
60: 제3 차수도어 61: 제3 도어실린더
70: 제4 차수도어 71: 제4 도어실린더
80, 80a: 에어브리더 81: 통기 제어밸브
82: 에어통기관 90: 모래층
100: 감속모터 101: 스크래퍼
103: 청소용 브러시 110: 폭기장치
111: 산기관 120: 초음파 유도기
Claims (11)
- 하천보(1)의 상류 측에 설치된 집수탱크(10)와;
상기 하천보(1)의 하류 측에 설치된 어류 유인탱크(20)와;
상기 하천보(1)를 관통하여 양단부가 집수탱크(10)의 하부 및 어류 유인탱크(20)의 상부에 각각 통수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관찰어도(30)와;
상기 집수탱크(10)의 일측에 연결된 메인 집수관(11)의 개방부(12)에 제1 도어실린더(41)의 작동에 따라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제1 차수도어(40)와;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에 연결된 유인관(21)의 후단에 메인 배수관(22)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메인 배수관(22)의 전단에 제2 도어실린더(51)의 작동에 따라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제2 차수도어(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 제 1항에 있어서,
집수탱크(10)는 메인 집수관(11)의 하측에 상기 메인 집수관(11)보다 작은 규격의 서브 집수관(14)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서브 집수관(14)의 개방부(15)에는 제3 도어실린더(61)의 작동에 따라 개폐가능한 제3 차수도어(6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어류 유인탱크(20)는 유인관(21)의 일측에 분기관(23)이 설치되고, 상기 분기관(23)의 후방에 상기 유인관(21)보다 작은 규격의 서브 배수관(24)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서브 배수관(24)의 전단에는 제4 도어실린더(71)의 작동에 따라 개폐가능한 제4 차수도어(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 제 2항에 있어서,
메인 집수관(11) 및 메인 배수관(22)은 동일한 직경의 규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 집수관(14) 및 서브 배수관(24)은 동일한 직경의 규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 제 1항에 있어서,
집수탱크(10), 어류 유인탱크(20) 및 관찰어도(30)는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투명재질의 소재를 이용하에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 제 2항에 있어서,
제1, 제3 차수도어(40)(60)는 힌지축(43)(63)을 매개로 메인 집수관(11) 및 서브 집수관(14)의 개방부(12)(15) 상측에 각각 상하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 집수관(11) 및 서브 집수관(14)의 내주면 상부에 각각 회동자유롭게 설치된 제1, 제3 도어실린더(41)(61)는 상기 제1, 제3 차수도어(40)(60)와 각각 회동자유롭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 제 2항에 있어서,
제2, 제4 차수도어(50)(70)는 힌지축(53)(73)을 매개로 메인 배수관(22) 및 서브 배수관(24)의 전단 상측에 각각 상하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 배수관(22) 및 서브 배수관(24)의 내주면 상부에 각각 회동자유롭게 설치된 제2, 제4 도어실린더(51)(71)는 상기 제2, 제4 차수도어(50)(70)와 각각 회동자유롭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 제 1항에 있어서,
집수탱크(10)의 상부 및 어류 유인탱크(20)의 상부에는 각각 내, 외부를 관통하는 에어브리더(80)(80a)가 설치되고, 상기 어류 유인탱크(20)의 에어브리더(80)는 외부로 노출된 에어통기관(82)이 추가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에어통기관(82)에는 통기 제어밸브(8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 제 1항에 있어서,
어류 유인탱크(20)의 내부 바닥에는 모래층(90)이 추가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 제 1항에 있어서,
어류 유인탱크(20)의 내부에는 감속모터(10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ㄷ" 형상의 스크래퍼(101)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래퍼(101)의 상, 하부 및 측면에 연속하여 함몰 형성된 브러시 장착홈(102)에는 청소용 브러시(103)가 끼워지며, 상기 청소용 브러시(103)는 체결구(104)로 관통하여 스크래퍼(101)에 고정된 브러시 고정판(105)으로 눌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제1 차수도어(40)를 닫아주고, 상기 제3 차수도어(60) 및 제2 차수도어(50)를 개방하면 상기 제3 차수도어(60)를 통해 유입된 후 상기 제2 차수도어(50)를 통해 하류로 배수되는 물은 확산하면서 유속이 저하되어 상기 제2 차수도어(50)가 설치된 메인 배수관(22) 및 유인관(21)을 통해 어류가 원활하게 유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제2 차수도어(50)를 닫아주고, 상기 제1 차수도어(40) 및 제4 차수도어(70)를 개방하면, 상기 제1 차수도어(40)를 통해 유입된 후 제4 차수도어(70)를 통해 하류로 배수되는 물은 정체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차수도어(40)가 설치된 메인 집수관(11)에 병목현상이 발생하면서 유속이 저하되어 상기 메인 집수관(11)을 통해 어류가 상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3122A KR101288089B1 (ko) | 2011-04-11 | 2011-04-11 |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3122A KR101288089B1 (ko) | 2011-04-11 | 2011-04-11 |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5672A KR20120115672A (ko) | 2012-10-19 |
KR101288089B1 true KR101288089B1 (ko) | 2013-07-22 |
Family
ID=4728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3122A KR101288089B1 (ko) | 2011-04-11 | 2011-04-11 |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808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7649B1 (ko) * | 2017-03-20 | 2018-11-13 | 이형덕 | 댐구조물용 어도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52214B (zh) * | 2018-12-06 | 2021-03-16 | 中国电建集团昆明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带驯养功能的升鱼机观察池 |
CN110725272A (zh) * | 2019-04-29 | 2020-01-24 | 贵州省水利投资(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利用增殖站原水的诱鱼方法 |
CN115961587B (zh) * | 2023-02-28 | 2024-04-19 |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飘行过坝的过鱼系统及其使用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72774A (ko) * | 2007-02-03 | 2008-08-07 | 이시영 | 수력 엘리베이터식 어도 |
KR100954218B1 (ko) | 2009-07-22 | 2010-04-21 | 장순단 | 갈수위에도 어류 이동이 가능한 어도시설물 |
-
2011
- 2011-04-11 KR KR1020110033122A patent/KR1012880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72774A (ko) * | 2007-02-03 | 2008-08-07 | 이시영 | 수력 엘리베이터식 어도 |
KR100954218B1 (ko) | 2009-07-22 | 2010-04-21 | 장순단 | 갈수위에도 어류 이동이 가능한 어도시설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7649B1 (ko) * | 2017-03-20 | 2018-11-13 | 이형덕 | 댐구조물용 어도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5672A (ko) | 2012-1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73645B2 (ja) | ボウフラ駆除容器 | |
KR101241838B1 (ko) | 복합효과를 얻는 오수의 습지정화 방법 및 장치 | |
US4260286A (en) | Integrated fish migration system | |
JP4069132B2 (ja) | 水槽、及びオーバーフロー排水管 | |
KR100875803B1 (ko) | 순환 유수식 양어장 | |
KR101288089B1 (ko) |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 |
KR100934092B1 (ko) | 하천용댐의 어류이동시스템 건설공법 | |
JP5639301B1 (ja) | 魚回収システムおよび魚回収方法 | |
KR101555831B1 (ko) | 유속저감 기능을 갖는 자연형 어도 | |
CN106719241A (zh) | 一种便于捕鱼的养殖池 | |
KR20100088359A (ko) | 인공하천용 민물 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 |
KR20090038402A (ko) | 어도의 유지수량과 유속저감용 간헐적작동 개,폐장치로된 사이펀어도및 그 장치방법. | |
JP3957721B2 (ja) | 魚類の養殖装置並びにその方法 | |
CN103663708A (zh) | 一种富营养化大型湖库生态敏感区蓝藻水华控制的方法及系统 | |
KR100989560B1 (ko) |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 |
KR102060828B1 (ko) | 수중생물 수조 양식 시스템 | |
JPWO2017199927A1 (ja) | 良質な海洋環境を創出して海洋生態系の持続的保持を可能とする水生生物生産インフラシステム及び水生生物生産方法 | |
KR20060118389A (ko) |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 |
CN106719240A (zh) | 一种鱼类水产养殖池 | |
KR20170067624A (ko) | 실뱀장어 포획장치 | |
KR101282777B1 (ko) |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 |
DE102021101195B4 (de) | Vorrichtung zum Erfassen von Wasserorganismen | |
JP2017184643A (ja) | ホタル幼虫育成システム及びホタル幼虫育成方法 | |
KR102259684B1 (ko) | 댐에 설치되는 수압 저감 수단이 구비된 집수형 어도 | |
CN211171868U (zh) | 一种用于溪流的过鱼设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