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560B1 -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 Google Patents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560B1
KR100989560B1 KR1020090083180A KR20090083180A KR100989560B1 KR 100989560 B1 KR100989560 B1 KR 100989560B1 KR 1020090083180 A KR1020090083180 A KR 1020090083180A KR 20090083180 A KR20090083180 A KR 20090083180A KR 100989560 B1 KR100989560 B1 KR 100989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
fish
water
fishery
fish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단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전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희주 filed Critical 전희주
Priority to KR1020090083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Abstract

본 발명은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댐의 크기에 상관없이 기존의 댐 및 신설댐에 설치함으로써, 어류의 포획 위험없이 댐의 상,하류로 이동이 용이하고, 어류의 이동 모습을 모니터링 및 관람하며 생태학습 현장으로 활용이 가능한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댐에 일측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에 있어서, 댐의 상류에 설치되는 어도 수공급부와; 댐의 하류에 설치되고 홈이 형성된 물넘이벽과; 상기 수공급부와 물넘이벽을 연결하고, 하부에 통과구가 각각 형성된 소정 개수의 격벽이 계단식으로 설치된 어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어도, 댐, 회귀성어류, 계단식 어도, 생태계 보호

Description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Development of eco friendly fishway of installation for dam}
본 발명은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댐의 크기에 상관없이 기존의 댐 및 신설댐에 설치함으로써, 어류가 포획의 위험없이 댐의 상,하류로 이동이 용이하고, 어류의 이동 모습을 모니터링 및 관람하며 생태학습 현장으로 활용이 가능한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농업용수나 식수, 수력발전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천을 횡단하여 댐을 설치하고 있는데, 이러한 댐은 식수 등의 수자원을 확보하고 홍수와 가뭄을 조정하는 순기능을 발휘하기도 하지만, 주요한 회귀성 어류 및 기타 어류가 댐의 상,하류로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하는 장애물로 작용하여 생태계를 파괴하는 역기능을 동시에 갖는다.
주요한 회귀성 어류 및 기타 어류가 댐의 상,하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어도를 댐에 설치하는 것은 여러 기술적인 제약 사항과, 댐의 기능상 여러 어려 움이 있기 때문에 댐에 어도를 설치하기가 매우 힘들었다.
국내의 회귀성 어종을 살펴 보면 산란 또는 성장을 위해 6월경에는 황어, 사백어, 칠성장어(여름품종) 등의 어류가 강을 거슬러 이동하고, 10월경에는 칠성장어(겨울품종), 연어, 홍송어, 산천어, 바다빙어, 참게 등의 어류가 이동한다. 그러나, 댐이 이러한 어류의 회귀를 방해하여 여러 희귀어종이 멸종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고, 댐의 설치로 인해 회귀성 어류의 이동이 완전히 차단되어 댐의 상,하류 생태계 이원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신설댐은 물론 기존의 댐에도 설치할 수 있는 어도를 제공함으로써 멸종 위기에 처한 여러 회귀성 어류가 어도를 통해 댐의 상,하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댐에 일측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에 있어서, 댐의 상류에 설치되는 어도 수공급부와; 댐의 하류에 설치되고 홈이 형성된 물넘이벽과; 상기 수공급부와 물넘이벽을 연결하고, 하부에 통과구가 각각 형성된 소정 개수의 격벽이 계단식으로 설치된 어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물넘이벽과 어도 사이에는 수압완충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어도의 입벽에는 투명재질의 관람창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어도는 댐의 조정실 진입로의 교량하부에서 선회하도록 선회부가 설치되고, 상기 어도의 일측에는 관람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통과구의 일측에는 웅덩이 형태의 대피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과구의 타측에는 웅덩이 형태의 대피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도에는 자연석이 놓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신설댐은 물론 기존의 댐에도 설치할 수 있는 어도를 제공함으로써 멸종 위기에 처한 여러 회귀성 어류가 어도를 통해 댐의 상,하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어종의 고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초, 중, 고 학생들이 물고기가 강을 거슬러 올라 회귀하는 모습을 견학 통로를 통해 눈으로 직접 보며 현장체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교육적인 효과가 우수하고, 환경의 소중함을 일깨울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의한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어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물넘이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어도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어도 시설물은 제당(124)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공급부(130), 수공급부 수문(131), 관람로(117), 계단식 어도(100) 및 물넘이벽(111)으로 구성된다.
상기 어도 수공급부(130)는 제당(124) 상류에 설치되어 회귀성 어류가 거슬러 오르는 어도(100)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시설로서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는 저장부가 형성되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댐 상류의 물을 상기 저장 부에 유입시키기 위한 약 40㎝×40㎝ 크기의 유입구(미도시)는 수공급부(130) 앞측의 수문(131) 하부 일측 중앙에 형성되고, 수공급부(130)의 물을 어도(100)로 흘려 내려보내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평소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항상 일정한 수량의 물이 어도(100)로 흘려 내려보내고, 어도(100)의 수량을 늘이고자 할 때는 상기 수문(131)을 열어 많은 양의 물을 어도(100)로 흘려보내도록 한다.
그리고, 제당(124)의 하류에는 어도(100)를 흘러 내려 상기 수공급부(130)의 물이 하류로 방류되는 물넘이벽(111)이 설치된다. 물넘이벽(11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공급부(130)에서 흘러내린 물이 물넘이벽(111)을 넘쳐 흘러 하류로 방류되도록 구성된 것인데, 상기 물넘이벽(111)에는 '└┘', 'V' 또는 'U' 형태의 홈(111a)이 형성되다. 상류의 물이 상기 물넘이벽(111)의 홈(111a)을 통해 하류로 방류될 때 회귀성 어류가 상기 홈(111a)을 통해 방류되는 물을 통해 어도(100)로 거슬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넘이벽(111)과 이후 설명하는 어도(100)의 중간에는 수압완충구(11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상기 수압완충구(112)는 어도(100)의 너비보다 큰 너비를 가진 것으로서 어도(100)를 통해 흘러내리는 물의 수압을 줄여주어 어도(100)를 오르는 물고기가 쉽게 흘러 내리는 물의 수압을 이기며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압완충구(112)는 어도(100)를 흘러내리는 물이 수압완충구(112)에 일시 저수되도록 함으로써 물넘이벽(111)을 통해 하류로 방류되는 물의 수량이 일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회귀성 어류가 어도(100)를 통해 제당(124) 상류의 수공급부(130)에 도달하게 되고, 어류는 수공급부(130)의 유입구(미도시)를 통해 상류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어도 수공급부(130)를 통해 방류되는 물이 하류로 흘러 내려 방류되는 어도(100)가 설치된다.
상기 어도(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개수의 격벽(114)이 각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하류측으로 내려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계단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격벽(114)의 하부에는 약 45㎝×45㎝ 크기의 통과구(123)가 형성되어 어도(100)를 통해 강을 거슬러 오르는 회귀성 어류가 상기 격벽(114)의 통과구(123)를 통해 강의 상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격벽(114)의 통과구(123) 일측(격벽에서 하류측 어도) 바닥에는 웅덩이 형태의 대피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대피부(122)는 어도(100)를 거슬러 오르는 어류가 어도(100)를 흘러내리는 물의 수압을 피해 잠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대피부(122)는 격벽(114)의 통과구(123)를 통해 흘러 내리는 물의 유속을 감소시킴으로써 어류가 쉽게 어도(100)를 거슬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격벽(114)의 일측 뿐 아니라, 격벽(114)의 통과구(123) 타측에도 대피부(122)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와 같이 격벽(114)의 통과구(123) 타측에도 대피(122)부를 구성함으로써 유속을 더욱 감소시켜 어류가 어도(100)를 거슬러 오르기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도(100)의 격벽(114) 사이 사이에는 자연석(미도시)을 놓아 둠으로써, 작은 물고기가 자연석을 대피 수단으로 삼아 어도(100)를 더욱 쉽게 오르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도(100)가 마치 자연상태의 하천과 같이 보이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어도(100)는 일직선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실(116)로 통하는 차량 진입로(118)의 교량(121) 하부에서 상기 어도(100)가 선회되는 선회부(115)를 구성함으로써 어도(100) 시설공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선회부(115)는 물넘이벽(111) 이후에 설치되는 수압완충구(112)와 같이 많은 물을 일시 저수할 수 있기 때문에 어도(100)를 통해 흘러내리는 물의 수압을 줄여 주어 어도(100)를 오르는 물고기가 쉽게 어도(100)를 이동할 수 있고, 어도(100)를 오르는 물고기가 상기 선회부(115)에서 쉬어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선회부(115)는 어도(100)를 흘러내리는 물이 선회부(115)에 일시 저수되도록 함으로써 어도(100)를 통해 하류로 방류되는 물의 수량이 일정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도 1과 같이 상기 선회부(115)는 어도(100)의 폭보다 너비를 넓게 구성함으로써 어도(100)를 통해 흘러 내리는 물의 수압을 더욱 줄여서 물고기가 쉴수 있도록 하고, 흘러 내리는 물을 더욱 많이 일시 저수할 수 있기 때문에 물넘이벽(111)을 통해 하류로 방류되는 물의 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도(100)의 일측과 제당(124)의 상부에는 관람로(117)를 설치함으로써, 학생들이 상기 관람로(117)를 따라 걸으며, 어도(100)를 통해 회귀성 어 종이 강을 거슬러 오르는 모습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어도(100)의 입벽(113)에는 유리 또는 아크릴 재질의 투명한 관람창(119)을 설치함으로써 진입로(118) 또는 관람로(117)에서 어도(00)를 통해 물고기가 강을 거슬러 오르는 모습을 생생하게 관찰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당(124)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람로(117)에는 도 2와 같이 안전펜스를 설치함으로써 관람자가 안전하게 댐을 관람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람창(119)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어도(100)의 격벽(114)에 설치되는 통과구(123)가 상기 관람창(119)측으로 밀착 형성됨으로써, 관람로(117) 사람들이 상기 관람창(119)을 통해 어류가 회귀하는 광경을 가까이서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어도 시설물은 신설 댐에도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제당(124)이 설치된 상태에서 일측에 본 발명의 어도 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시설비가 매우 절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 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어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물넘이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어도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어도
111 : 물넘이벽
111a : 홈
112 : 수압완충구
113 : 입벽
114 : 격벽
115 : 선회부
116 : 조정실
117 : 관람로
118 : 진입로
119 : 관람창
121 : 교량
122 : 대피부
123 : 통과구
124 : 제당
130 : 수공급부
131 : 수문
132 : 댐수위조절용 수문

Claims (9)

  1. 댐에 일측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에 있어서,
    댐의 상류에 설치되는 어도 수공급부와;
    댐의 하류에 설치되고 홈이 형성된 물넘이벽과;
    상기 수공급부와 물넘이벽을 연결하고, 하부에 통과구가 각각 형성된 소정 개수의 격벽이 계단식으로 설치된 어도와;
    상기 물넘이벽과 어도 사이에 설치된 수압완충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의 입벽에는 투명재질의 관람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는 댐의 조정실 진입로의 교량하부에서 선회하도록 선회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의 일측에는 관람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구의 일측에는 웅덩이 형태의 대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구의 타측에는 웅덩이 형태의 대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에는 자연석이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는 일시 저수되는 수량이 더욱 많도록 선회부의 폭을 어도의 폭보다 넓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KR1020090083180A 2009-09-03 2009-09-03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KR100989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180A KR100989560B1 (ko) 2009-09-03 2009-09-03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180A KR100989560B1 (ko) 2009-09-03 2009-09-03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9560B1 true KR100989560B1 (ko) 2010-10-25

Family

ID=43135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180A KR100989560B1 (ko) 2009-09-03 2009-09-03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5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701A (ko) * 2014-03-20 2015-10-02 변찬우 지그재그형 월류식 어도보 및 그 시공 방법
CN105248385A (zh) * 2015-11-18 2016-01-20 安徽农业大学 一种溪涧小型鱼类生态捕捞方法
KR101787818B1 (ko) * 2015-02-02 2017-11-15 김동옥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
KR20210033786A (ko) * 2019-09-19 2021-03-29 이정신 댐에 설치되는 수압 저감 수단이 구비된 집수형 어도
CN115419028A (zh) * 2022-09-26 2022-12-02 浙江省水利河口研究院(浙江省海洋规划设计研究院) 一种具有下沉式休息池的感潮河口鱼道及其设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029U (ja) * 1992-11-12 1994-06-07 財団法人ダム水源地環境整備センター 簡易魚道装置
KR200311153Y1 (ko) * 2003-01-29 2003-04-23 (주)서경엔지니어링 물고기 이동통로가 구비된 계단식 하천 수중 구조물
JP2003166228A (ja) 2001-11-29 2003-06-13 Nippon Sakuhin Kenkyusho:Kk シラスウナギ用魚道システム
KR200413723Y1 (ko) * 2006-02-02 2006-04-12 강명식 어도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029U (ja) * 1992-11-12 1994-06-07 財団法人ダム水源地環境整備センター 簡易魚道装置
JP2003166228A (ja) 2001-11-29 2003-06-13 Nippon Sakuhin Kenkyusho:Kk シラスウナギ用魚道システム
KR200311153Y1 (ko) * 2003-01-29 2003-04-23 (주)서경엔지니어링 물고기 이동통로가 구비된 계단식 하천 수중 구조물
KR200413723Y1 (ko) * 2006-02-02 2006-04-12 강명식 어도 구조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701A (ko) * 2014-03-20 2015-10-02 변찬우 지그재그형 월류식 어도보 및 그 시공 방법
KR101660462B1 (ko) * 2014-03-20 2016-10-10 변찬우 지그재그형 월류식 어도보 및 그 시공 방법
KR101787818B1 (ko) * 2015-02-02 2017-11-15 김동옥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
CN105248385A (zh) * 2015-11-18 2016-01-20 安徽农业大学 一种溪涧小型鱼类生态捕捞方法
KR20210033786A (ko) * 2019-09-19 2021-03-29 이정신 댐에 설치되는 수압 저감 수단이 구비된 집수형 어도
KR102259684B1 (ko) * 2019-09-19 2021-06-01 이정신 댐에 설치되는 수압 저감 수단이 구비된 집수형 어도
CN115419028A (zh) * 2022-09-26 2022-12-02 浙江省水利河口研究院(浙江省海洋规划设计研究院) 一种具有下沉式休息池的感潮河口鱼道及其设计方法
CN115419028B (zh) * 2022-09-26 2023-08-11 浙江省水利河口研究院(浙江省海洋规划设计研究院) 一种具有下沉式休息池的感潮河口鱼道及其设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jeldstad et al. Safe two-way migration for salmonids and eel past hydropower structures in Europe: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best-practice solutions
KR100989560B1 (ko)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KR100966723B1 (ko) 하천 우회수로형 어도시설물
US4629361A (en) Integrated tubal by-pass fishway
KR20150078694A (ko) 생태 어도 시설물
CN105735210A (zh) 隧洞式仿自然鱼道结合鱼闸的综合布置及其使用方法
US20170138008A1 (en) Fish ladder facility
KR100925894B1 (ko) 생태어도 사방댐
CN109371932A (zh) 水力竖井式过鱼结构
PETER The future of fish in response to large-scale change in the San Francisco Estuary, California
Bakus Territoriality, movements, and population density of the dipper in Montana
KR101282777B1 (ko)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JPH07255315A (ja) カニ飼育装置
US6793440B2 (en) Natural cue surface bypass collector
JP2003166228A (ja) シラスウナギ用魚道システム
CN209798707U (zh) 一种引水式电站溢流坝段生态改造结构
KR20050042091A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JP2016027224A (ja) 魚道
KR102259684B1 (ko) 댐에 설치되는 수압 저감 수단이 구비된 집수형 어도
CN209429074U (zh) 水力竖井式过鱼结构
CN208219580U (zh) 水电站鱼道系统
KR20120115672A (ko)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KR20150091547A (ko)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JP2017023026A (ja) 循環水流式空中アクアリウム
JP2017184643A (ja) ホタル幼虫育成システム及びホタル幼虫育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