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818B1 -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 - Google Patents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818B1
KR101787818B1 KR1020150015926A KR20150015926A KR101787818B1 KR 101787818 B1 KR101787818 B1 KR 101787818B1 KR 1020150015926 A KR1020150015926 A KR 1020150015926A KR 20150015926 A KR20150015926 A KR 20150015926A KR 101787818 B1 KR101787818 B1 KR 101787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am
multipurpose
square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4665A (ko
Inventor
김동옥
김치환
Original Assignee
김동옥
김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옥, 김치환 filed Critical 김동옥
Priority to KR1020150015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818B1/ko
Publication of KR20160094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E02B9/06Pressure galleries or pressure conduits;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pressure conduit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use therewith, e.g. housings, valves,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연통관 방류 설비를 갖는 다목적 요철광장 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기존의 강둑을 콘크리트 연통관으로 대체하여 누수 차단과 저수량을 확보, 강물을 저장하며 하천 내 유휴지를 활용하기 위해 수로를 횡단하여 형성되는 병열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댐, 및 상기 댐 다수의 연통관 사이 차수벽 내에 자연 가압 용수를 얻기 위해 마련되는, 취수와 하수로 어로 등 다목적 설비를 포함해, 전력을 생산하는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요철광장 공간 내에 도로, 도시 및 식물공장 등의 관련시설이 마련되고, 지역 조건에 맞는 연통관 수에 따라 저수량과 방류량 조절이 용이한 다수의 다단계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hydroelectric dam has multi-purpose discharge equipment through communicating vessel in underground}
본 발명은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설비를 갖는 수력 발전 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 연통관 방류 요철광장 댐을 건설함에 있어, 수로를 횡단하여 마련된 지하 연통관 방류 요철광장 설비로 저수를 저온 가압하며, 연통관 하단에 콘크리트로 성형된 경사 방류 턱을 구비해 저수 방류 시에 공기와 혼합함으로써, 혼합된 산소로 하여금 담수와 해수의 적조, 녹조, 등의 현상을 억제하고, 토지로 조성된 양측 강둑을 철근 콘크리트 방류 연통관으로 대체하여 저수량을 늘리고 누수를 차단하며, 수로 내 고수부지를 댐 내의 농경지로 전환하고, 상류지역의 인근 수몰 면적을 줄여 농경지와 주거지, 문화재 등을 보호하며, 지하 연통관으로 가압된 가압수를 이용한 자연분수 시설로 하여금, 가뭄을 극복할 수 있는 식물공장 등 영농을 가능하게 하고, 요철광장 외곽 내외 상하부의 빈 공간을 각각의 도로와 주거시설 등으로 이용하며, 공원 및 교육수련장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관련시설을 조성하면서, 평야의 저지대에서도 수력 발전이 가능한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 연통관 방류를 갖는 상기 요철광장 댐에 따른 수력 발전 시스템을 상 하류에 다단계로 설치함으로써, 이미 발전에 이용된 물을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량된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력의 영향을 받는 물이 가지고 있는 위치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과정에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방법을 수력 발전이라고 한다. 이러한 수력 발전은 여러 지표수 중에서도 하천에 흐르는 물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물의 유량이 풍부하고 낙차가 큰 지형일수록 경제성이 좋은 수력 발전의 후보지로 평가 될 수 있다.
보통, 수력 발전은 지형 조건에 따라 그 구체적인 발전 방법이 달라진다. 보다 자세하게는, 수력 발전은 저수지의 저수 용량의 크기 및 낙차를 조성하는 방법에 따라 수로식 발전, 댐식 발전, 댐·수로식 발전, 유역 변경식 발전, 양수 발전, 조력 발전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 중에서, 수로식 발전은 높은 곳에 위치한 물의 위치 에너지를 발전기 터빈의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고, 발전기 내부의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얻는 방법으로서,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낙차와 자연적인 물의 흐름을 이용하므로 발전량이 지형, 계절 및 강우량의 영향을 많이 받는 단점이 있다. 이에, 안전적인 발전량을 유지하고 낙차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댐식 발전이 이용된다.
댐식 발전은 하천의 본류에 커다란 댐을 건설하여 물의 흐름을 막고 댐의 상·하류 사이에 생기는 수위차를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물의 유량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발전량도 늘릴 수 있다. 그러나, 댐식 발전의 경우에는, 유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댐의 크기가 커져야하므로 댐의 건설로 인한 수몰 지역이 넓어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수로식 발전과 댐식 발전이 절충된 형태의 발전 방법이 댐·수로식 발전이다. 댐·수로식 발전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큰 낙차를 형성하기 위해 댐을 건설하여 저수지를 만들고, 저수지로부터 발전에 필요한 만큼의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수로와 높은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수압관을 견고한 지형에 설치하며, 수압관이 끝나는 부분에 발전소를 건축하고, 그 안에 수차 발전기와 각종 부속 장치들을 설치하게 된다.
댐, 수로식 발전은 수로식 발전이나 댐식 발전 중 어느 하나만 채택하는 경우보다 더 큰 낙차를 얻을 수 있고 보다 풍부한 양의 물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댐·수로식 발전은 필연적으로 큰 용량의 저수지를 요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댐이 산악 지역보다는 거의 평야에 가까운 낮고 넓은 지역에 건설된다.
따라서, 저수지를 건설함으로 인해, 대규모의 농지, 각종 생산지 및 주거 지역을 비롯하여 심지어는 문화 관광지까지 영구적으로 수몰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어 저수지 형성 시에 극심한 손해가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댐·수로식 발전의 경우에는, 댐이 낮은 지역에 건설됨으로, 높은 지역에 댐을 건설하는 경우만큼 큰 낙차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큰 저수지를 요하는 댐을 다단계로 건설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한 번 이용된 물의 재사용이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이와 유사한 선행 기술문헌으로 터널 형 저수 설비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류 말단이 폐쇄된 터널로, 터널 내와 상부에 토사가 쌓이므로 침사구 마련이 필수적이고, 저수 가압의 방류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고, 이러한 터널 형은 댐 내에 주거 광장이나 농경지 및 자연 분수와 같은 시설 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는 상이한 단점이 있다.
KR1020080007237 (이 옥 재) 2010. 05. 28
Jerry B . Marion 대학 기초 물리학 (역 김 정 구. 김 철 구. 남 균. 이 재 형) 자연에 존재하는 기본적인 힘, 중력. 1993.3 . 94 ∼ 109 쪽
본 발명의 목적을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몰되는 지역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고수부지를 다용도로 이용하는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토지로 조성된 양측 강둑을 철근 콘크리트 방류 연통관으로 대체하여 저수와 함께 누수를 차단함으로써, 토지의 이용 효율을 높이게 하는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역적 강의 크기에 따라 강폭과 고저의 연통관 크기를 임의 조절하여 지역 특성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앞서 수력 발전에 이용된 물을 외부 지수와 함께 재활용함으로써 수자원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하 연통관으로 저수를 저온 가압하고 방류 턱의 경사각을 이용해 가압된 물을 공기와 혼합시켜 담수와 해수의 적조, 녹조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하는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댐 조성법 상에 적용되는 어로 시설을 수벽 내에 구비함으로서, 사용 공간을 확보하게 되는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댐에 구비된 가압수관을 통한 자연 방수로 하여금, 효율적인 영농과 식물공장 시설이 가능하고, 도로와 주거 공간 등을 확보해, 다목적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근원은 자연계의 근본적 힘인 중력으로 발생된 대기압으로 인한 유체의 표면장력과 함께 수평을 이루는 연통관 원리를 바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지하 연통관 방류 요철광장 다목적 수력 발전 댐으로, 물을 저장하기 위해 수로를 횡단하여 형성되는 댐, 및 요철광장 댐의 직하 지하에 저수 저온 가압할 장소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되는, 연통관 방류 형태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수 연통관 설비를 구비하고, 방류 연통관 하단에 방류수와 공기를 혼합 방류하기 위한 성형 경사 턱을 구비하여 방류수의 산소량을 높이며, 담수와 해수의 적조와 녹조 난조 등을 억제하는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기존의 토지로 조성된 양측 강둑을 철근 콘크리트 방류 연통관으로 대체하여 저수와 함께 누수를 차단함으로써, 토지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수로를 횡단하는 요철광장 댐의 교각 기둥 및 수벽 역할을 하는 지하 연통관 차수벽 내에 가압 취수관과 하수관 및 어로 설비를 내장하여 자연분수로 효율적인 영농과, 댐 설치법에 따른 어류의 이동이 용이한 효율적인 공간을 확보하는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으로서, 강물을 저장하기 위해 수로를 횡단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연통관 댐 각각의 지하에 지역 조건에 맞는 하나 이상의 연계된 연통관 수에 따라 저수량과 방류량 조절이 용이하게끔 병열횡단의 연통관을 형성하기 위해 마련되는, 지하 연통관 형태인 다수의 연계 콘크리트 저수 연통관 설비와 함께, 요철광장 댐 내와 외곽 상하 공간에 다용도의 관련시설이 구비되는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댐으로부터 먼 지류와 하류 지역에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본 요철광장 댐 설비를 연계하여 더 포함한 부가 효율적인 다수의 다단계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설비를 갖는 수력발전 댐에 의하여 큰 규모의 댐을 요하지 않으면서도 많은 양의 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댐을 구축함으로서, 직하 지하 연통관에 의한 저수 저온 가압과, 방류 시 방류 턱의 성형 경사각에 의해 상향 방류되는 물과 살균력을 지닌 공기 중의 산소가 혼합 희석됨으로서, 담수와 해수의 적조, 녹조, 난조 현상 등을 억제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토지로 조성된 양측면의 강둑을 철근 콘크리트 타설하여 횡단 연계된 방류 다목적 연통관으로 대체하고, 저수와 함께 누수를 차단하므로, 저수량 확보 등, 토지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이중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유휴 고수부지의 준설로 저수량을 늘리며, 지하 연통관으로 형성된 댐의 요철광장은 자연스레 연통관 취수관이 노출된 고효율의 새로운 농경지와 주거 공간을 확보, 교육수련장 등 그린시설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 연통관 방류 요철광장 댐을 구축할 때에, 댐 건설 및 저수지 형성에 의한 수몰지역이 없이 고수부지를 농토로 전환하는 효과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지대로부터 저지대에 이르는 다단계 다목적 댐과 수력 발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므로, 이미 사용한 물을 여러 번 다시 활용할 수 있어 수자원 이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댐이 구축되는 지역마다 그 지역의 최대 강수량을 고려한 계획적 설계가 가능하게 되므로, 댐 건설로 인한 효율적인 영농과 댐 통제실 상호간 교신으로 홍수 피해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우리나라와 같이 물이 부족한 국가에서도 보다 큰 저수 용량을 확보하기가 용이하게 되므로, 물 부족 현상이 완화될 수 있게 된다.
끝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산불이 발생할 경우에 지역적 긴급 소방 헬기의 소방 용수의 공급이 용이하며, 새로운 경제지역이 조성될 수 있으므로, 전력 생산뿐만 아니라, 더 다양한 용도로 댐의 인근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100)을 구성하고 있는 평면 배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철광장 댐(100) 연통관과 수문의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댐(100)의 가용 설비구역(301)을 포함한 다목적 설비구역(107)의 구성 설비들을 나타내는 측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통관 방류 요철광장 댐(100)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통관 방류 요철광장 댐(100) 중앙의 교각 내부를 구성하고 있는 차수벽(104)의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통관 방류 요철광장 댐(100)의 중앙 정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통관 방류 요철광장 댐(100)의 강둑 다목적 연통관(103)과 방류 수문(105) 그리고, 요철광장 내부(105)의 측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통관 방류 요철광장 댐(100)의 방류수를 조절하는 연통관 방류 수문(105)과 수문 개폐기(501) 및 가용 설비구역(301)과 다목적 설비구역(107) 내 수력 발전기(701) 설비 및 기타 가용설비 등으로부터 흘러나온 물이 방류되는 다목적 이용 방류로(702)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요철광장 댐(100)을 상류지역으로부터 하류 지역까지 다단계로 구축되는 수력 발전 시스템(70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다목적 요철광장 댐 110: 요철광장 102: 요철광장 연통관
103: 강둑 다목적 연통관 104: 연통관 차수벽 105: 연통관 방류 수문
106: 토사 침적 준설구역 107: 다목적 이용 설비 구역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현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안전 등, 제반 시설은 지역 조건과 설비 규모에 맞게 통상적인 예로 실시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하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댐 설비(100) 및 다목적 이용 설비구역(107)내 수력 발전기(701)의 배치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 평면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형상 하나 이상의 저수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댐(100)에 따른, 요철광장 내부(110)를 다목적 용도로 변형할 수 있는 광장 연계 유동 공간(116)과 지하 요철광장 연통관(102), 강둑 다목적 연통관(103)의 방류 유입구와 유출구, 연통관 차수벽(104), 연통관 방류 수문(105), 토사 침적 준설구역(106), 연통관(102.103)저수구역 등 연통관 방류 요철광장(110)을 포함해 평면을 도시한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100)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댐(100)은 수로를 차단하여, 물을 저장하고 토사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토사 준설구역(106)을 구비하며, 수위를 상승시키는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방류 연통관(102,103)을 구비한 다목적 요철광장 댐(100)으로, 이에 따른 연통관 차수벽(104)에 다목적 취수관(401)과 취수밸브(402)를 설치하여 효율적인 영농을 하며, 요철광장(110)에 광장 하수로((404) 및 하수 집수구(405)를 구비해, 차수벽 내 하수관(403)을 통해, 하수를 방류하고, 기존의 토지 축조 방식의 강둑을 보다 큰 저수용량의 확보와 누수를 차단하기 위해, 연계 철근 콘크리트 타설 다목적 연통관(103)으로 대체하고, 광장 상부 공간(112)에 도로 및 주거 관제소(114) 등, 관련시설을 구비한 다목적 요철광장 댐(100)과 다목적 이용 설비구역(107)에 따른 수력 발전소(701)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100)의 구성을 상술하면 댐(100)은 상류 협곡으로부터 강폭이 넓어지는 하천 내에 수로를 횡단하는 형태로 건설되는 게 유리하고, U자형 방류 연통관(102,103)은 연통관의 원리에 따라, 내면 길이와 원통형, 아치형, 사각형 등, 선택한 형상에 따라 무관하지만, 연통관 내는 유속이 원활하도록 내면이 고르고, 기장의 전후 단면적이 일치하거나 약간의 하단 면적이 좁은 형상의 연통관으로, 댐(100)의 양측이 횡단 연장되는 형태로 구축될 수 있다.
그리고, 지하 저수 방류 연통관 설비(102,103)는 지역 하천의 위험 수위 이상의 방류량 조절이 가능한 규모로 구축되고, 다목적 댐(100)의 지하에는 지역 상황에 따라 원통, 아치, 사각 등 여러 형태 중에, 선택 설계한 사각의 U자형 기장의 방류 연통관(102,103)을 병열 횡단시켜, 상단은 연통관(102,103)의 방류수 유입구로 개방되고, 하단은 댐의 저면 기단(115)에 경사 방류 턱(111)을 구비한 연통관 방류 유출구 하단에, 유사시 개폐가 용이한 형상의 연통관 방류 수문((105)으로, 임시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단 수면과 평행하도록 다수 구축되며, 이때, 다수의 연통관(102,103)들은 토사 및 이물질들이 압력에 의해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내면이 고르고 각기 가급적 독립된 형태로 구축된 방류 연통관(102,103)과 연통관 차수벽(10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댐(100)의 요철광장 연통관(102) 내의 다목적 취수구(400)와 어류가 통행하는 차수벽 내 어로(408)를 비롯해, 요철광장 하부 공간(113) 및 요철광장(110) 내의 중앙 연통관 차수벽(104)의 측 내면을 도시한 것으로, 연통관의 원리에 의해, 연통관 기능 구성상 요철광장 연통관(102,103)은 수면의 고저 수위 편차에 따라 흐르도록 댐 연통관 하단의 저면이, 약간 낮으며 좁은 형상의 저면 기단(115)을 주축으로 한 사각 형상의 내부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로서, 연통관 방류 요철광장 댐(100)의 상 하단을 댐 물막이 차수벽(201)으로 차단하며, 지수로(601)를 통하여 토사 침적 준설구역(106)으로 들어온 물이 침적 정화되어, 본류와 함께 강둑 다목적 연통관(103)으로 유입 방류되는 방류수가 취수구(400)를 통하여 상수원, 수력 발전 등, 다용도로 공급되도록 한, 다목적 이용 설비구역(107)의 수력 발전기(701)를 회전시킨 물이 다목적용 방류로(702)로 방류되는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철광장 댐(100)을 구성하는 배면도로서, 흐르는 강물을 저장하며, 요철광장 댐(100) 외곽의 내 외부 공간(112,113)을 활용하기 위해 요철광장(110)의 상단과 하단을 댐 물막이 차수벽(201)으로 차단하고, 토사가 침적 준설구역(106)에 침적하며 수면의 부유물이 제거된 물이 병열횡단 형성된 요철광장 연통관(102,103) 안으로 본류와 지류의 방류수가 유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요철광장 댐(100) 중앙의 다목적 이용 상하 공간(112,113)과 차수벽(104) 내에 구비된 연계 방류 회로를 도시한 연통관 차수벽(104) 내부 단면도로서, 연통관(102,103) 방류 유입구를 통해 지하 연통관 안으로 들어온 물이 용도에 따라, 연통관 차수벽(104) 내 선택된 장소의 취수관(401)과 취수밸브(402)를 통하여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요철광장 내부(110)로 방출된 가압수와 낙수가 광장 하수로(404)와 하수 집수구(405)를 거쳐, 차수벽(104) 내에 구비된, 유사시에 대비한 개폐 하수 펌프(406)와 차수벽 내 하수관(403)의 경로를 따라 외부로 방출되도록 구성되며, 양쪽 연통관으로부터 차수벽 입출 어로구(408)로 들어온 방류수가 차수벽(104) 내에 형성된 공동의 계단식 어로(407)를 통하여 방류하되, 어로의 낙차를 완만하게 하도록 차수벽(104)과 함께 끝 부분이 연장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다목적 요철광장 댐(100)으로 구성된 요철광장(110) 내의 상하부의 공간(112,113)에는 주거 및 관제소(114)와 체육 광장이나 식물공장, 도로 등, 용도에 따라 관련된 그린시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요철광장 댐(100)의 중앙 정단면도로서, 유속이 원활하도록 내면이 고르고 일정한 댐(100) 중앙의 저면 기단(115)에 상하 양단이 일정한 연통관(102,103) 내부와 요철광장(110)의 상하부 공간(112,113)을 도시하며, 지하의 양쪽 연통관(102)으로부터 선택된 취수구(400)를 통해 차수벽(104) 내에 설치된 취수관(401)과 취수밸브(402)에 이르는 과정을 거쳐 요철광장(110) 내부로 가압수를 방출시켜, 분수와 영농 등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철광장 댐(100) 저면 기단(115) 위에 설치된 강둑 다목적 연통관(103)에 방류 경사 턱(111)과 연통관(102,103) 방류 유입구와 유출구인 하단 저수 구역을 구비하며, 만수와 고장 등 유사시를 대비하여 흐르는 방류량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선택된 연통관 방류 수문(105)과 취수구(400) 및 요철광장 내(110) 하부 공간(113)을 도시한 강둑 다목적 연통관(103)의 측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댐(100)의 정면도로서, 댐 저면 기단(115) 위에 설치된 연통관(102,103) 방류 유출구와, 만수를 대비해 방류량 조절을 위해 선택된 설계의 연통관 방류 수문(105)과 개폐기(501), 그리고 다목적 설비 구역(107) 내의 취수구(400)를 통하여 수력 발전기(701)의 수차를 거쳐 전력을 생산한 방류수가 다목적 이용 방류로(702)로 방류되도록 구성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요철광장 댐(100)을 다단계로 다목적 이용 설비구역 내(107) 수력 발전 시스템(701)을 도시한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요철광장 댐(100)의 수력 발전 시스템을 상류 지역으로부터 하류 지역으로까지 다단계에 걸쳐 구축하게 되므로, 한 번 사용된 물을 여러 번 재활용하므로 전력 생산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댐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 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하천 내 유휴지를 활용하기 위해 수로를 횡단한 요철광장 직하 지하 연통관으로 물을 저온 저장 가압 방류하는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댐으로서,
    연통관의 원리에 준하여 환경에 따른 수문 조작으로 저수의 방류량 조절이 용이한 하나 이상의 방류 연통관을 댐 지하에 병열 연장 형태로 횡단 형성한 연통관 댐에 있어,
    환경에 따른 댐을 구성함에 기존의 강둑을 홍수 대처와 저수를 위해 횡적 연계 방류의 지하 확장이 용이한 타설 콘크리트 연통관으로 대체하고, 누수의 차단과 댐 상단 횡단면이 상하 진분수 형상의 소수면 수자원을 확보하여 토지의 이용 효율을 높이며,
    연통관 내의 비 광합성 저수와 가압 방류로 강과 바다의 녹조 적조 현상을 억제하고,
    다수의 지하 연통관 차수벽 내에 다목적 취수관을 설치, 사용 위치에 따라 구비된 취수밸브의 조작으로 유입된 자연 가압수를 요철광장 댐 내 외곽 저공간의 주거 발전 설비와 댐 내 확보된 토지에 연계 조성된 자연분수와 영농시설 등 복합시설물에 용수를 공급하여 다목적 용도로 활용하는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댐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댐으로부터 먼 본류의 하류 지역에 추가적인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 설비를 연계해 더 포함한 다수의 다단계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
  2. 삭제
  3. 삭제
KR1020150015926A 2015-02-02 2015-02-02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 KR101787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926A KR101787818B1 (ko) 2015-02-02 2015-02-02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926A KR101787818B1 (ko) 2015-02-02 2015-02-02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665A KR20160094665A (ko) 2016-08-10
KR101787818B1 true KR101787818B1 (ko) 2017-11-15

Family

ID=5671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926A KR101787818B1 (ko) 2015-02-02 2015-02-02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8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8725A (zh) * 2018-11-20 2019-06-07 华电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集团级水力发电厂群经济运行一体化系统平台架构
KR102373476B1 (ko) 2020-11-05 2022-03-11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물 보텍스를 이용한 마이크로 수력 발전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733B1 (ko) * 2008-01-23 2010-06-10 이옥재 터널형 저수 설비를 갖는 다단계 수력 발전 시스템
KR100989560B1 (ko) * 2009-09-03 2010-10-25 전희주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KR101270264B1 (ko) * 2010-12-24 2013-05-31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소수력발전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8538B2 (en) 2005-04-07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veying a delivery schedule to mobile termina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733B1 (ko) * 2008-01-23 2010-06-10 이옥재 터널형 저수 설비를 갖는 다단계 수력 발전 시스템
KR100989560B1 (ko) * 2009-09-03 2010-10-25 전희주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KR101270264B1 (ko) * 2010-12-24 2013-05-31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소수력발전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8725A (zh) * 2018-11-20 2019-06-07 华电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集团级水力发电厂群经济运行一体化系统平台架构
KR102373476B1 (ko) 2020-11-05 2022-03-11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물 보텍스를 이용한 마이크로 수력 발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665A (ko)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90805A (zh) 利用海力调度河水的方法
CN107916646A (zh) 一种雨洪资源挖潜量估算方法
CN106948310A (zh) 一套根治江河水库淤塞的蓄清排浑除淤系统
KR101787818B1 (ko) 지하 연통관 방류 다목적 요철광장 수력 발전 댐
Luis et al. Hydropower reservoir for flood control: a case study on Ringlet Reservoir, Cameron Highlands, Malaysia
CN102720266A (zh) 虹吸式蓄排水隧道清淤装置
Yang Coastal reservoir—How to develop freshwater from the sea without desalination
CN102561250A (zh) 一种水资源输送与存储方法及虹吸系统
CN103114565A (zh) 适用于斜坡急流河道引流发电的截流引水系统及水电站
Gotoh et al. Flood control and small-scale reservoirs
KR100961733B1 (ko) 터널형 저수 설비를 갖는 다단계 수력 발전 시스템
De Bruin et al. A simple start with far‐reaching consequences
CN105839584A (zh) 防洪系统
JP2012145090A (ja) 人工水路式水車発電機による発電方法と海水干満式水車発電機による発電方法と人工水路式水車発電機と海水干満式水車発電機と下掛け水車発電機用の人工水路と人工水路式灌漑用水車。
JP2015129427A (ja) 巨大ダムの倒壊リスクを多数の小型ダムや堰で代替する減災工法と安く短期に設置でき非常用水源と非常用電源小型となる据置き堰・防波堤の発明
CN220598587U (zh) 干枯河道导水供水结构
CN108086264A (zh) 集约式洪灌渠道
Wang et al. Flood defense and water/sediment management—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Yellow River
CN103485964B (zh) 利用浮力串联提升水的循环水力发电方法及系统
Platon et al. Water Resources in Romania during 1945-1989
CN207846537U (zh) 一种装配式取水装置
CHONG et al. A paradigm shift from upstream reservoir to downstream/coastal reservoirs management in Malaysia to meet SDG6
Mazur et al. Evaluation of options for erecting small hydroelectric power plants on the River Bystrzyca Północna
Vajda Small and Middle Dams Particularities, Categorization, Design Flood, Spillways and Bottom Outlets
Bongirwar et al. Innovative Arch Type Bridge Cum Bandhara for Economical and Quick Implementation of Jal Jeevan 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