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547A -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 Google Patents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1547A
KR20150091547A KR1020130168820A KR20130168820A KR20150091547A KR 20150091547 A KR20150091547 A KR 20150091547A KR 1020130168820 A KR1020130168820 A KR 1020130168820A KR 20130168820 A KR20130168820 A KR 20130168820A KR 20150091547 A KR20150091547 A KR 20150091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passage
wall
groove
movemen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8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1547A/ko
Publication of KR20150091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6Spillways; Devices for dissipation of energy, e.g. for reducing eddies also for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도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의 수심이 낮은 갈수위에도 회귀성 및 회유성 어류의 안전한 상류로의 이동이 용이한 지하이동통로를 구비하되, 지하이동통로의 유지와 보수가 용이하도록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은 하천을 가로막아 설치된 보(101)에 설치된 어도 시설물에 있어서, 보(101)의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된 지상 어도(100); 상기 지상 어도(100)의 상부 양측에 입벽 형태로 설치된 주벽(112); 상기 주벽(112)에 소정 간격으로 교호(交互)되도록 연속 설치되는 유속 완화 도벽(113); 상기 어도(100)의 내부를 관통하여 보(101)의 상,하류를 연결하는 지하이동통로(118); 상기 지상 어도(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지하이동통로(118)를 연통하는 구멍 형태의 유지관리 점검구(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Fishway facility with underground passage check hole for maintenance}
본 발명은 어도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의 수심이 낮은 갈수위에도 회귀성 및 회유성 어류의 안전한 상하로의 이동이 용이한 지하이동통로를 구비하고, 지하이동통로의 유지와 보수가 용이하도록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농업용수나 식수 등을 확보하기 위해 하천을 횡단하여 건설되는 보나 댐 등 수공 시설물들은 식수 등의 수자원을 확보하는 순기능을 발휘하기도 하지만, 어류가 보의 상,하류로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하는 장애물로 작용하여 생태계를 파괴하는 역기능적인 단점도 동시에 갖고 있다.
회귀성 및 회유성 어종으로는 성어가 소상하여 산란한 후 치어가 바다로 나가는 시기(4월 하순에서 5월 초순), 바다에서 강으로 오는 시기(10월 하순에서 11월 초순)에는 웅어, 빙어, 황복, 황어, 연어, 송어, 칠성장어 등이 있고, 치어들이 소상하여 성장한 후 산란을 위해 강하하는 은어, 뱀장어, 꺽정이, 꾸저구, 참게 등이 있으며, 하천을 상,하류를 수시로 왕래하는 숭어, 가숭어, 농어, 전어, 줄공치, 가실망둑 등이 있고, 국지회유성 어종인 파라미, 쉬리, 열목어, 납자루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회귀성 및 회유성 어종이 보에 의해 왕래가 차단되어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보나 댐에는 회귀성 및 회유성 어류가 자유롭게 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어류의 이동경로 즉, 어도를 만들어 회귀성 및 회유성 어류의 자유로운 이동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의 어도에는 주로 계단식 구조로 건설되어 왔는데, 이는 갈수기 때 보 상류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부족함에 따라 어도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태풍이나 홍수 발생시에는 유속이 너무 빨라 어류의 유영력이 떨어져 물고기들이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기가 곤란한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적당한 수량이 유지된다 하더라도 그 깊이가 얕아 큰 물고기들의 이동에 필요한 충분한 수량과 휴식공간을 제공하지 못하여 회귀성 및 회유성 어류의 이동시 조류나 야생동물 및 사람들에게 쉽게 포획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어류들이 산란(짝짓기)을 위해 이동하는 시기가 계절적으로 갈수기임에도 종래의 어도는 진수위까지 설치하지 않고 보 중간에 시공하므로 회귀성 어종들의 산란기가 아니므로 이동이 전혀 없는 시기인 장마기나 홍수 발생시에 많은 유량에 의해 외형적으로는 어도 기능이 회복되었다가 며칠만 지나면 수량이 부족하여 어도기능이 상실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갈수위에도 어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어도 시설물 내부에 내부 어도를 구성한 어도 시설물이 설치 운영되고 있으나, 내부 어도에 이물질이 퇴적되어 내부 어도가 막히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내부 어도가 막혔을 때 이를 보수하기가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실제로 내부 어도의 유지,보수를 실시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4218호 (등록일자 2010,04.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갈수위에도 어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하이동통로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에서 지하이동통로 입구에 이물질이 퇴적되었을 때 유지와 보수가 간편하도록 내부 어도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하이동통로에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은 하천을 가로막아 설치된 보(101)에 설치된 어도 시설물에 있어서, 보(101)의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된 지상 어도(100); 상기 지상 어도(100)의 상부 양측에 입벽 형태로 설치된 주벽(112); 상기 주벽(112)에 소정 간격으로 교호(交互)되도록 연속 설치되는 유속 완화 도벽(113); 상기 어도(100)의 내부를 관통하여 보(101)의 상,하류를 연결하는 지하이동통로(118); 상기 지상 어도(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지하이동통로(118)를 연통하는 구멍 형태의 유지관리 점검구(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지관리 점검구(115)의 상부에는 커버(11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상슬라브 받침대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홈 형태의 세굴방지홈(1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101)의 타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된 어류유도벽(103)이 설치되고, 그 단부에 그물망 형태의 스크린(10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속 완화 도벽(113) 사이에는 주벽(112)에 접하여 홈 형태로 안식홈(1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하이동통로(118)는 어도(100) 내부 양측에 각각 제1지하이동통로(118a)와 제2지하이동통로(118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하이동통로(118a)는 굴절된 경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하이동통로(118) 바닥에는 유속 감속과 물고기들이 이동시 휴식할 수 있는 지하이동통로 안식홈(1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하이동통로(118) 안식홈(119)에는 지상 슬래브 받침대(111) 방향으로 홈 형태로 광폭홈(12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하이동통로(118)의 지하이동통로 출구(121)에는 개폐수단에 의해 여닫히는 지하이동통로 수문(12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되는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은 내부 어도가 이물질의 퇴적에 의해 막혔을 때 어도 상부의 커버를 열고 내부 어도 점검구를 통해 내부 어도를 간편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점검구를 통해 지하이동통로를 유영하는 어류를 점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상류측에서 바라본 어도 시설물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의 평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지하이동통로에 지하이동통로 수문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내부어도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상류측에서 바라본 어도 시설물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의 평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지하이동통로에 지하이동통로 수문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이동통로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101)의 중간에 홈 형태로 지상 어도출구(102)가 형성되고, 보(101)의 일측에는 상기 지상 어도출구(102)와 연통되어 지상 어도출구(102)를 통해 하천수가 흘러가도록 경사진 어도(100)가 설치된다.
상기 어도(100)는 경사진 몸체의 상부 양측에 입벽 형태로 주벽(112)이 형성되고 상기 주벽(112)에는 소정 간격으로 유속 완화 도벽(113)을 설치하되, 다른 주벽(112)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유속 완화 도벽(113)과 서로 교호(交互)되도록 유속 완화 도벽(113)이 연속 설치된다.
상기 유속 완화 도벽(113)은 어류가 어도(100)를 따라 소상(遡上)하기 쉽도록 어도를 따라 흘러 내리는 하천수의 유속을 낮추어 준다.
그리고 상기 유속 완화 도벽(113)과 유속 완화 도벽(113) 사이의 지상어도 상부에는 홈 형태로 안식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안식홈(114)은 지상 어도(100)를 따라 하천수를 거슬러 소상하는 어류가 잠시 쉬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식홈(114)은 홈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안식홈(114) 하부에는 유속이 느려서 소상하던 어류가 쉬어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도(100)의 하류측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홈 형태의 세굴방지홈(116)을 설치한다.
지상 어도(100)를 따라 흐르는 하천수는 어도(100)가 끝나는 지점에서 낙하하는데, 이러한 낙수(落水)에 의해 하상이 세굴되는데,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홈 형태의 세굴방지홈(116)을 설치함으로써 낙수에 의한 하상세굴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보(101)의 타측에는 지상 어도출구(102)를 내부에 포함하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류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어류유도벽(103)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어류유도벽(103)의 상류측 단부에는 그물망 형태의 스크린(104)가 설치된다.
홍수가 발생하였을 때 상류로부터 나뭇가지 등의 많은 이물질이 흘러 내려오는데, 이러한 이물질이 어도에 퇴적되어 어도의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어류유도벽(103)은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어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보(101)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어류유도벽(103)이 구성되고, 상기 어류유도벽(103)의 개방된 단부에는 그물망 형태의 스크린(104)를 설치함으로써 상류로부터 흘러내려 오는 이물질이 어도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 스크린(104)는 그물망 형태인데, 소상하는 어류가 스크린(104)를 충분히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스크린(104)를 설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어도 시설물은 어도(100)의 몸체 내부에 지하이동통로(118)가 형성되어 수량이 부족한 갈수위에도 지하이동통로를 통해 어류가 소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하이동통로(118)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도(100)의 하류측에 지하이동통로 입구(120)가 형성되고 보(101)에는 지하이동통로 출구(121)가 형성되며, 상기 지하이동통로 입구(120)와 지하이동통로 출구(121)를 연통하는 지하이동통로(118)가 어도(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어도(100)의 내부에 지하이동통로(118)가 형성됨으로써 갈수위에도 지하이동통로(118)에는 하천수가 유지되어 회귀성 및 회유성 어류가 지하이동통로(118)를 통해 소상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도(100)의 지상어도에는 상기 지하이동통로(118)와 연통된 유지관리 점검구(115)가 소정 개수 형성되고, 상기 유지관리 점검구(115)에는 망 형태의 커버(117)가 덮힌다.
하천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지하이동통로(118)에 퇴적되어 지하이동통로(118)가 막히면 퇴적된 이물질을 제거하여야만 하는데, 상기 유지관리 점검구(115)를 통해 지하이동통로(118)에 퇴적된 이물질을 간편하게 걷어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지관리 점검구(115)에 커버(117)를 덮어서 유지관리 점검구(115)를 통해 이물질이 지하이동통로(118)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하이동통로(118)는 어도(100) 내부에 한 개를 형성할 수 있지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도(100) 내부에 제1지하이동통로(118a)와 제2지하이동통로(118b) 두 개이지만 어도(100) 크기에 따라서는 그 이상의 지하이동통로도 설치할 수 있다.
지하이동통로(118)를 여러 개 형성하면 회귀성 및 회유성 어류가 지하이동통로(118)를 쉽게 찾아 소상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이동통로(118)의 바닥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홈 형태의 지하이동통로 안식홈(119)을 형성함으로써 지하이동통로(118)를 유동하는 하천수의 유속이 저감되도록 하여 지하이동통로(118)를 따라 소상하던 어류가 상기 지하이동통로 안식홈(119)에서 쉬어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하이동통로 안식홈(119)에서 어도(100)의 지상 슬래브 받침대(111) 방향으로 홈 형태로 광폭홈(127)을 형성함으로써 지하이동통로 안식홈(119)의 폭을 넓혀 어류가 쉴 수 있는 공간을 넓힘과 동시에 내부어도 안식홈(119)에서 유속을 더욱 저감시켜 소상하는 물고기가 편하게 쉴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이동통로(118)가 제1지하이동통로(118a)와 제2지하이동통로(118b)로 구성되는데, 제1지하이동통로(118a) 또는 제2지하이동통로(118b)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지하이동통로에 경로가 굴절되는 굴절부를 구성함으로써 굴절된 경로로 인해 지하이동통로를 유동하는 하천수의 유속을 더욱 저감시켜 지하이동통로(118)로 소상하는 어류가 더욱 편히 소상하도록 구성한다.
보(101)의 상류측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이동통로(118)의 지하이동통로 출구(121)가 형성되는데, 지하이동통로 출구(121)를 여닫을 수 있도록 지하 이동통로 수문(124)을 구성하고, 상기 지하이동통로 수문(124)의 구동을 위한 개폐수단을 구비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의 지하이동통로 출구(121) 양측에 가이드(125)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125)에 지하이동통로 수문(124)을 삽입하며, 상기 지하이동통로 수문(124)을 구동하는 개폐수단을 설치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도 5와 같이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123)의 일 측 단부를 지하이동통로 수문(124)에 나사결합하고, 타측은 핸들(122)과 연결함으로서, 작업자가 핸들(122)을 돌려 지하이동통로 수문(124)을 승강시켜 지하이동통로 출구(121)를 개폐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수단에서 상기 핸들(122) 대신에 전동모터(미도시)를 설치하고, 전동모터에 스핀들(123)을 체결함으로 원격으로 전동모터를 구동시켜 지하이동통로 출구(121)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모터의 제어는 자동 또는 수동,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원격으로 제어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갑자기 홍수가 발생하였을 때 빠르게 지하이동통로 수문(124)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어도
101 : 보
102 : 지상어도출구
103 : 어류유도벽
104 : 스크린
111 : 지상 슬래브 받침대
112 : 주벽
113 : 유속 완화 도벽
114 : 안식홈
115 : 유지관리 점검구
116 : 세굴방지홈
117 : 커버
118 : 지하이동통로
118a : 제1지하이동통로
118b : 제2지하이동통로
119 : 지하이동통로 안식홈
120 : 지하이동통로 입구
120a : 제1지하이동통로 입구
120b : 제2지하이동통로 입구
121 : 지하이동통로 출구
121a : 제1지하이동통로 출구
121b : 제2지하이동통로 출구
122 : 핸들
123 : 스핀들
124 : 지하이동통로 수문
125,126 : 가이드
127 : 광폭홈

Claims (11)

  1. 하천을 가로막아 설치된 보(101)에 설치된 어도 시설물에 있어서,
    보(101)의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된 지상 어도(100);
    상기 지상 어도(100)의 상부 양측에 입벽 형태로 설치된 주벽(112);
    상기 주벽(112)에 소정 간격으로 교호(交互)되도록 연속 설치되는 유속 완화 도벽(113);
    상기 어도(100)의 내부를 관통하여 보(101)의 상,하류를 연결하는 지하이동통로(118);
    상기 지상 어도(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지하이동통로(118)를 연통하는 구멍 형태의 유지관리 점검구(11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관리 점검구(115)의 상부에는 커버(11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100) 하류측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홈 형태의 세굴방지홈(1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101)의 타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된 어류유도벽(103)이 설치되고, 그 단부에 그물망 형태의 스크린(10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 완화 도벽(113) 사이에는 주벽(112)에 접하여 홈 형태로 안식홈(1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이동통로(118)는 어도(100) 내부 양측에 각각 제1지하이동통로(118a)와 제2지하이동통로(118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하이동통로(118a)는 굴절된 경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8. 제1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이동통로(118)에는 홈 형태의 지하이동통로 안식홈(1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이동통로(118) 안식홈(119)에는 지상 슬래브 받침대(111) 방향으로 홈 형태로 광폭홈(12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10.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이동통로(118)의 지하이동통로 출구(121)에는 개폐수단에 의해 여닫히는 지하이동통로 수문(12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자동 또는 수동,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되는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KR1020130168820A 2013-12-31 2013-12-31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KR20150091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820A KR20150091547A (ko) 2013-12-31 2013-12-31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820A KR20150091547A (ko) 2013-12-31 2013-12-31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547A true KR20150091547A (ko) 2015-08-12

Family

ID=5405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820A KR20150091547A (ko) 2013-12-31 2013-12-31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15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620B1 (ko) * 2020-06-30 2020-11-09 주식회사 유일기연 어도를 구비한 가동보 장치
KR102176616B1 (ko) * 2020-06-29 2020-11-09 주식회사 유일기연 수밀 힌지연결구조를 구비하는 가동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616B1 (ko) * 2020-06-29 2020-11-09 주식회사 유일기연 수밀 힌지연결구조를 구비하는 가동보 장치
KR102176620B1 (ko) * 2020-06-30 2020-11-09 주식회사 유일기연 어도를 구비한 가동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0286A (en) Integrated fish migration system
KR100966723B1 (ko) 하천 우회수로형 어도시설물
KR20110116100A (ko) 보의 상류 측 수중에 위치하여 수위 변동시에도 어류의 이동이 연중 가능한 어도
KR101235400B1 (ko) 수로 및 어도를 동시에 구비한 친환경 안전보
KR20150078694A (ko) 생태 어도 시설물
KR101046036B1 (ko) 안전어도
KR100592975B1 (ko) 어도블록
KR101772540B1 (ko) 어류선회망이 구비된 정치망
KR101119972B1 (ko) 친환경 어도구조물
KR20150091547A (ko)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KR102473651B1 (ko) 하천 보의 유인수로를 갖춘 어도
JP4787868B2 (ja) テラス構造付き護岸構造体
KR100308581B1 (ko) 잠수 조절 기능을 갖는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 및 그 사용방법
KR100423152B1 (ko) 잠수 조절 기능과 균형 부유 기능을 갖는 가두리 양식장구조물 및 그 사용방법
KR20120115672A (ko) 타워형 어류관찰용 어도구조물
KR20170067624A (ko) 실뱀장어 포획장치
KR102259684B1 (ko) 댐에 설치되는 수압 저감 수단이 구비된 집수형 어도
KR100478245B1 (ko) 수위감지식 자동가변어도
KR100954218B1 (ko) 갈수위에도 어류 이동이 가능한 어도시설물
CN209798707U (zh) 一种引水式电站溢流坝段生态改造结构
KR20120133050A (ko)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KR20050042091A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KR101264211B1 (ko) 퇴적물 퇴적방지 기능이 구비된 어도시설물
KR101943861B1 (ko) 후방형 어도를 갖는 사방댐
KR101147544B1 (ko) 유량 조절형 다기능 어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