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050A -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 Google Patents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050A
KR20120133050A KR1020110051531A KR20110051531A KR20120133050A KR 20120133050 A KR20120133050 A KR 20120133050A KR 1020110051531 A KR1020110051531 A KR 1020110051531A KR 20110051531 A KR20110051531 A KR 20110051531A KR 20120133050 A KR20120133050 A KR 20120133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sh
inner space
space portion
enclos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2777B1 (ko
Inventor
서성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천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천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천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10051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777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어도의 내부에 물길을 따라 상호 연락되는 식생공간부들을 제공하고, 그 식생공간부들의 바닥에는 인조토양 및 펄프를 감싼 식생매트를 설치함에 의해 식생공간부에서 수초가 자생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어도의 상부에는 물저항돌부가 형성된 블록을 설치하고, 그 블록에는 식생공간부와 연락될 수 있는 어류이동로를 제공하여 상기 어류이동로를 통해 어류들이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서 생물들의 에너지원이 제공되게 함으로서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이다.

Description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fish way apparatus}
본 발명은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도 내에서 미생물이나 수초 또는 나무, 풀 등이 서식할 수 있게 하여 생물들의 에너지원이 제공되게 함과 아울러 어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수 또는 산업용수를 확보하면서 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목적으로 하천 등에는 제방이 축조됨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하천 등에 제방이 축조되면 물길을 끊어 어류들의 이동로가 차단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제방으로부터 경사지게 어도(魚道)를 설치하여 어류가 그 어도를 따라 거슬러 올라감으로서 제방의 상류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어도는 물살이 너무 빠르기 때문에 어류들이 거슬러 올라가는데 많은 문제가 있었고, 또 어도 내에서 미생물이나 수초 또는 나무, 풀 등이 서식할 수 없기 때문에 생태계의 균형을 파괴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어도 내에서 미생물과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하여 생물들의 에너지원이 제공되게 함으로서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방의 배수로에 설치되어 월류되는 물이 흘러가게 하여 어도(魚道)를 형성하며, 내부에는 흐르는 물이 경유하는 내부공간부를 갖도록 어느 일측에는 유입구를 형성하고 반대측에는 배출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부는 개구되게 형성한 사각형상의 함체들을 계단 형태로 설치하여 된 어도본체; 상기 어도본체를 이루는 함체들의 내부공간부에 설치되어 수초가 자생할 수 있도록 생육기반 조성용 인공 토양 및 펄프를 감싸 형성한 식생매트; 및 상기 식생매트가 설치되는 함체들의 상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어류들이 상기 내부공간부로 이동할 수 있는 어류이동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일측면 하부에는 상기 내부공간부와 연락되는 요입홈을 형성하고, 상부면에는 흐르는 물이 일시 정체된 후 흘러갈 수 있게 하는 물저항돌부가 형성된 블록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도본체의 측부에는 어류들을 관람할 수 있게 유리 혹은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투시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도본체를 구성하는 내부공간부에는 어류들이 피신하거나 산란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게 돌이나 바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도본체에는 제방의 배수로에 인접하는 최선단부의 유입구에는 커버를 설치하여 이물질이 직접 내부공간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한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도본체와 제방의 배수로 사이에는 저수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수문의 개폐 여부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자동어도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자동어도와 어도본체의 연결부위에는 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도의 내부에 물길을 따라 상호 연락되는 식생공간부들을 제공하고, 그 식생공간부들의 바닥에는 인조토양 및 펄프를 감싼 식생매트를 설치함에 의해 식생공간부에서 수초가 자생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어도의 상부에는 물저항돌부가 형성된 블록을 설치하고, 그 블록에는 식생공간부와 연락될 수 있는 어류이동로를 제공하여 상기 어류이동로를 통해 어류들이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서 생물들의 에너지원이 제공되게 함으로서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A"부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에 구비되는 블록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블록본체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표시의 실시예에서 수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100)는 제방의 배수로에 설치되어 월류되는 물이 흘러가게 하여 어도(魚道)를 형성하는 어도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어도본체(110)는 흐르는 물이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부(112a)를 갖는 사각형상의 함체(112)들을 계단 형태로 설치하여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어도본체(110)를 구성하는 함체(112)에는 어느 일측에 유입구(112b)를 형성하고 반대측에 배출구(112c)를 형성하여 흐르는 물이 상기 내부공간부(112a)를 경유하게 하고, 또 상기 함체(112)의 상부는 개구(112d)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112b)와 배출구(112c)는 계단 형태의 어도를 구성할 수 있게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부(112a)에 물이 머무룰 수 있게 하고자 상호 인접하는 함체들의 일측과 그 반채측에 상호 교호적인 높이차를 갖게 형성함이 좋다.
이와 같은 어도본체(110)에서 상기 제방의 배수로에 인접하는 최선단부에 위치된 유입구(112b)에는 커버(116)를 설치하여 이물질이 직접 내부공간부(112a)로 유입되지 못하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100)는 상기 어도본체(110)를 이루는 함체(112)들의 내부공간부(112a)에 설치되는 식생매트(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식생매트(120)는 수초가 자생할 수 있도록 생육기반 조성용 인공 토양 및 펄프를 감싸 형성한다.
이러한 식생매트(120)의 고정은 앙카볼트(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생매트(120)에 의해 수초(12)가 자생할 수 있게 함으로서, 어류들의 쉼터를 제공함과 아울러 에너지원으로서 기능하게 하게 된다. 즉, 상기 내부공간부(112a)에 설치된 식생매트(120)에 의해 수초(12)가 자생할 수 있게 하여 어류들의 이동로 혹은 쉼터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어도본체(110)를 구성하는 내부공간부(112a)에는 어류들이 피신하거나 산란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게 돌(118)이나 바위를 설치함이 좋고, 또 상기 어도본체(110)의 측부에는 어류들을 관람할 수 있게 유리 혹은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투시창(114)을 형성함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100)는 상기 식생매트(120)가 설치되는 함체(112)들의 상부에 블록본체(130)를 설치함이 좋다. 이 블록본체(130)에는 어류들이 상기 내부공간부(112a)로 이동할 수 있는 어류이동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일측면 하부에 상기 내부공간부(112a)와 연락되는 요입홈(134)이 형성된다. 이러한 요입홈(134)과 함체(112)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112d)를 통해 어류들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130)의 상부면에는 흐르는 물이 일시 정체된 후 흘러갈 수 있게 하는 물저항돌부(132)가 형성된다. 이러한 물저항돌부(132)에 의해 블록본체(130)의 상부를 흐르는 물이 일시 고이는 형태로 흐르게 함에 의해 어류들이 상류로 거슬러 올라감에 제약을 받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물저항돌부(132)에 의해 흐르는 물이 일시 정체된 후 흘러갈 수 있게 함으로서 물살의 속도를 줄여주어 어류들이 힘들이지 않고 거슬러 올라갈 수가 있다.
도 5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100)에 자동어도(200)를 설치한 것이다. 즉, 상기 어도본체(110)와 제방의 배수로 사이에 저수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수문(10)의 개폐 여부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자동어도(200)를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자동어도(200)는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11-116957호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문(10)의 개폐 여부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자동어도(200)의 하류측에 본 발명에 따른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100)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자동어도(200)와 본 발명의 어도장치(100)가 상호 인접하는 연결부위에는 물과 어류들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통로(202)를 설치함이 좋다. 상기 통로(202)는 자동어도와 본 발명의 어도장치를 어류들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의 어도본체(110)를 이루는 함체(112)의 내부공간부(112a)에 물이 경유되게 하고, 또 어류이동로를 제공할 수 있게 블록본체(130)에 형성한 요입홈(134)을 통해 어류들이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도의 내부에 물길을 따라 상호 연락되는 식생공간부들을 제공하고, 그 식생공간부들의 바닥에는 인조토양 및 펄프를 감싼 식생매트를 설치함에 의해 식생공간부에서 수초가 자생할 수 있게 하여 생물들의 에너지원이 제공되게 함으로서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110 - 어도본체 110 - 함체
112a - 내부공간부 112b - 유입구
112c - 배출구 112d - 개구
120 - 식생매트 130 - 블록본체
132 - 물저항돌부 134 - 요입홈

Claims (5)

  1. 제방의 배수로에 설치되어 월류되는 물이 흘러가게 하여 어도(魚道)를 형성하며, 내부에는 흐르는 물이 경유하는 내부공간부를 갖도록 어느 일측에는 유입구를 형성하고 반대측에는 배출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부는 개구되게 형성한 사각형상의 함체들을 계단 형태로 설치하여 된 어도본체;
    상기 어도본체를 이루는 함체들의 내부공간부에 설치되어 수초가 자생할 수 있도록 생육기반 조성용 인공 토양 및 펄프를 감싸 형성한 식생매트; 및
    상기 식생매트가 설치되는 함체들의 상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어류들이 상기 내부공간부로 이동할 수 있는 어류이동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일측면 하부에는 상기 내부공간부와 연락되는 요입홈을 형성하고, 상부면에는 흐르는 물이 일시 정체된 후 흘러갈 수 있게 하는 물저항돌부가 형성된 블록본체를 포함하는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본체의 측부에는 어류들을 관람할 수 있게 유리 혹은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투시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본체를 구성하는 내부공간부에는 어류들이 피신하거나 산란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게 돌이나 바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본체에는 제방의 배수로에 인접하는 최선단부의 유입구에는 커버를 설치하여 이물질이 직접 내부공간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한 특징으로 하는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본체와 제방의 배수로 사이에는 저수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수문의 개폐 여부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자동어도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자동어도와 어도본체의 연결부위에는 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KR1020110051531A 2011-05-30 2011-05-30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KR101282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531A KR101282777B1 (ko) 2011-05-30 2011-05-30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531A KR101282777B1 (ko) 2011-05-30 2011-05-30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050A true KR20120133050A (ko) 2012-12-10
KR101282777B1 KR101282777B1 (ko) 2013-07-08

Family

ID=47516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531A KR101282777B1 (ko) 2011-05-30 2011-05-30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7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8260A (zh) * 2014-07-11 2014-10-08 河海大学 多级助驱式生态鱼道设施及其运行方法
CN108782409A (zh) * 2018-07-02 2018-11-13 台州学院 周转箱联接组件和周转箱组件
KR20200025000A (ko) * 2018-08-29 2020-03-10 한국농어촌공사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8424A (ko) * 2006-10-27 2007-11-12 한상관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한 이중어도의 구성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8260A (zh) * 2014-07-11 2014-10-08 河海大学 多级助驱式生态鱼道设施及其运行方法
CN104088260B (zh) * 2014-07-11 2015-10-07 河海大学 多级助驱式生态鱼道设施及其运行方法
CN108782409A (zh) * 2018-07-02 2018-11-13 台州学院 周转箱联接组件和周转箱组件
KR20200025000A (ko) * 2018-08-29 2020-03-10 한국농어촌공사 회유성 어류 특성을 이용한 어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777B1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876B1 (ko) 인공섬의 기능형 관찰 부교
CN208792252U (zh) 具有植物生态修复功能的生态驳岸
KR101282777B1 (ko)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KR102064925B1 (ko) 문어 산란용 어초
KR101042510B1 (ko) 어도 시공방법
KR100955709B1 (ko) 집수조를 구비하는 어도
CN110016887A (zh) 一种营造水生态系统生境的筑堤方法
KR100925894B1 (ko) 생태어도 사방댐
KR100989560B1 (ko)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JP5252199B2 (ja) 浮体ビオトープ
KR101555831B1 (ko) 유속저감 기능을 갖는 자연형 어도
KR20100088359A (ko) 인공하천용 민물 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KR20120037831A (ko) 복합형 어초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JP2004068571A (ja) 魚類遡上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水路部材
KR100839660B1 (ko) 자연형 어도보를 갖는 하천
JP2021106516A (ja) 河川の護岸用魚礁ブロック
KR20100130107A (ko)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
KR102259684B1 (ko) 댐에 설치되는 수압 저감 수단이 구비된 집수형 어도
KR20050042091A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KR20150056728A (ko)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
KR100668128B1 (ko) 하천의 바닥에 설치되는 유속저감 및 어류서식블럭
KR20120055777A (ko) 수초가 식재된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
KR101101899B1 (ko)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KR20150091547A (ko) 지하이동통로 유지관리 점검구를 구비한 어도 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