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5777A - 수초가 식재된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 - Google Patents

수초가 식재된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5777A
KR20120055777A KR1020100116957A KR20100116957A KR20120055777A KR 20120055777 A KR20120055777 A KR 20120055777A KR 1020100116957 A KR1020100116957 A KR 1020100116957A KR 20100116957 A KR20100116957 A KR 20100116957A KR 20120055777 A KR20120055777 A KR 20120055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sh
flow resistance
water flow
di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일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천하이테크
이상락
고일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천하이테크, 이상락, 고일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천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00116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5777A/ko
Publication of KR20120055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Abstract

본 발명은 제방의 배수로에 설치되어 저수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수문에 어도를 설치하여 수문의 개폐 여부에 따라 어도의 경사도가 조절되게 함으로서 갈수기에도 항상 어도에 물이 흘러갈 수 있게 하여 어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어도 내에서 미생물과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하여 생물들의 에너지원이 제공되게 함으로서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이다.

Description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fish way apparatus}
본 발명은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방의 배수로에 설치되어 저수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수문에 어도를 설치하여 수문의 개폐 여부에 따라 어도의 경사도가 조절되게 함으로서 갈수기에도 항상 어도에 물이 흘러가게 하여 어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어도 내에서 미생물이나 수초 또는 나무, 풀 등이 서식할 수 있게 하여 생물들의 에너지원이 제공되게 함으로서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수 또는 산업용수를 확보하면서 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목적으로 하천 등에는 제방이 축조됨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하천 등에 제방이 축조되면 물길을 끊어 어류들의 이동로가 차단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제방으로부터 경사지게 어도(魚道)를 설치하여 어류가 그 어도를 따라 거슬러 올라감으로서 제방의 상류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어도는 물살이 너무 빠르기 때문에 어류들이 거슬러 올라가는데 많은 문제가 있고, 또 제방으로부터 월류하는 물만을 흘려보내기 때문에 갈수기에는 물이 말라 어류의 물길이 끊기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방의 배수로에 설치되어 저수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수문에 어도를 설치하여 수문의 개폐 여부에 따라 어도의 경사도가 조절되게 함으로서 갈수기에도 항상 어도에 물이 흘러갈 수 있게 하여 어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어도 내에서 미생물과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하여 생물들의 에너지원이 제공되게 함으로서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방의 배수로에 하부가 회전되게 설치됨으로서 그 상부가 선회하여 상기 제방의 배수로를 개폐하는 수문; 상기 수문의 상부에 어느 일단이 회전되게 설치되고 그 반대측 하단에는 상기 배수로의 바닥을 구르는 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수문의 개폐 여부에 따라 세워졌다 눕혀졌다 하면서 상기 수문으로부터 월류되는 물이 흘러가게 하여 어도(魚道)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부 바닥면은 계단 형태를 이루게 형성된 어도몸체; 및 상기 어도몸체의 계단을 이루는 수평면 선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어도를 흐르는 물이 일시 정체된 후 흘러갈 수 있도록 표면에 물이 통과될 수 있는 구멍들이 형성된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으로 된 물 흐름 저항부재와 상기 물 흐름 저항부재 혹은 어도 바닥면 중 어느 하나 혹은 모두에 고정되어 수초가 자생할 수 있도록 생육기반 조성용 인공 토양이 적정 두께로 접착 충진됨과 아울러 상면에 씨앗매트를 얇은 두께를 이루게 분무하여 된 식생매트로 이루어진 식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 흐름 저항부재의 내부에는 물 정화용 나뭇가지 혹은 숯으로 이루어진 자연 친화적인 정화물질이 내장되어 상기 물 흐름 저항부재를 통과하는 물을 정화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문에 어도를 설치하여 수문의 개폐 여부에 따라 어도의 경사도가 조절되게 함으로서 갈수기에도 항상 어도에 물이 흘러갈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도의 상부면을 계단 형태를 이루게 함과 아울러 그 계단의 수평면에 미생물과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식생매트를 설치하여 생물들의 에너지원이 제공되게 함으로서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가 제방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의 수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에 구비되는 물 흐름 저항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는 제방의 배수로(10)에 설치되는 수문(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수문(110)은 상기 배수로(10)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고, 그 하부가 회전되게 설치됨으로서 상부가 선회하여 상기 배수로(10)를 개폐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는 상기 수문(110)의 개폐 여부에 따라 세워졌다 눕혀졌다 하면서 상기 수문으로부터 월류되는 물이 흘러가게 하여 어도(魚道)를 형성하는 어도몸체(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어도몸체(120)는 상기 수문(110)의 상부에 어느 일단이 회전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그 반대측 하단에는 상기 배수로(10)의 바닥을 구르는 롤러(122)가 설치되어 상기 수문(110)의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롤러(122)가 배수로(10)의 바닥을 구르면서 어도몸체(120)의 경사도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어도몸체(120)는 상부 바닥면이 계단 형태를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어도몸체(120)를 타고 흐르는 물이 상기 계단의 수평면에 의해 일시 고이는 형태로 흐르게 함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는 식생수단(1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식생수단(130)은 상기 어도몸체(120)에서 수초(12)가 자쟁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을 부분이다.
이러한 식생수단(130)은 상기 어도몸체(120)의 계단을 이루는 수평면 선단에 각각 물 흐름 저항부재(134)를 설치되는데, 이러한 물 흐름 저항부재(13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에 물이 통과될 수 있는 구멍(134a)들이 형성된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물 정화용 나뭇가지 혹은 숯으로 이루어진 자연 친화적인 정화물질(136)이 내장되어 상기 구멍(134a)들을 통해 물 흐름 저항부재(134)를 통과하는 물을 정화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물 흐름 저항부재(134)에 의해 상기 어도를 흐르는 물이 계단의 수평면에 일시 정체된 후 흘러갈 수 있게 함으로서 상기 어도몸체(120)에 수초(12)가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상기 식생수단(130)은 물 흐름 저항부재(134) 혹은 어도몸체의 바닥면(120) 중 어느 하나 혹은 모두에 식생매트(132)가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식생매트(132)는 수초(12)가 자생할 수 있는 생육기반 조성용 인공 토양이 적정 두께로 접착 충진됨과 아울러 상면에 씨앗매트를 얇은 두께를 이루게 분무하여 구성되며, 상기 식생매트(132)에 의해 수초가 자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식생매트(132)의 고정은 앙카볼트(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물 흐름 저항부재(134)에 식생매트(132)를 설치할 때에는 상기 물 흐름 저항부재(134)의 내측으로 설치하여 상기 물 흐름 저항부재(134)에 형성되는 구멍(134a)들을 통해 수초(12)가 자생할 수 있게 함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문(110)에 어도몸체(120)를 설치하여 상기 수문(110)의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어도몸체(120)의 경사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상기 수문(110)이 상기 배수로(10)를 폐쇄하기 위해서 세워진다 하더라도 어류의 이동로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즉, 상기 어도몸체(120)를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수문(110)이 세워진 상태에서도 그 상부를 월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문(110)을 월류하여 상기 어도몸체(120)를 흘러가는 물은 상기 어도몸체(120)에 구비되는 식생수단(130)의 물 흐름 저항부재(134)들에 의해 계단 형태를 이루는 수평면에 고이면서 흘러가기 때문에 상기 어도몸체(120)에는 항상 물이 고여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어류들은 고여는 물을 통해서 힘들이지 않고 상기 어도몸체(120)를 거슬러 올라갈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어도몸체(120)에 설치되는 식생매트(132)에 의해 수초(12)가 자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어도몸체(120)는 어류들에게 이동로 혹은 쉼터로 제공됨과 아울러 에너지원으로서 기능하게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생수단(130)을 구성하는 물 흐름 저항부재(134)의 내부에 나뭇가지 혹은 숯으로 이루어지는 자연 친화적인 정화물질(136)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물 흐름 저항부재(134)를 통과하는 물을 자연 정화할 수 있다.
110 - 수문 120 - 어도몸체
130 - 식생수단 132 - 식생매트

Claims (2)

  1. 제방의 배수로에 하부가 회전되게 설치됨으로서 그 상부가 선회하여 상기 제방의 배수로를 개폐하는 수문;
    상기 수문의 상부에 어느 일단이 회전되게 설치되고 그 반대측 하단에는 상기 배수로의 바닥을 구르는 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수문의 개폐 여부에 따라 세워졌다 눕혀졌다 하면서 상기 수문으로부터 월류되는 물이 흘러가게 하여 어도(魚道)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부 바닥면은 계단 형태를 이루게 형성된 어도몸체; 및
    상기 어도몸체의 계단을 이루는 수평면 선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어도를 흐르는 물이 일시 정체된 후 흘러갈 수 있도록 표면에 물이 통과될 수 있는 구멍들이 형성된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으로 된 물 흐름 저항부재와 상기 물 흐름 저항부재 혹은 어도 바닥면 중 어느 하나 혹은 모두에 고정되어 수초가 자생할 수 있도록 생육기반 조성용 인공 토양이 적정 두께로 접착 충진됨과 아울러 상면에 씨앗매트를 얇은 두께를 이루게 분무하여 된 식생매트로 이루어진 식생수단을 포함하는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흐름 저항부재의 내부에는 물 정화용 나뭇가지 혹은 숯으로 이루어진 자연 친화적인 정화물질이 내장되어 상기 물 흐름 저항부재를 통과하는 물을 정화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
KR1020100116957A 2010-11-23 2010-11-23 수초가 식재된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 KR20120055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957A KR20120055777A (ko) 2010-11-23 2010-11-23 수초가 식재된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957A KR20120055777A (ko) 2010-11-23 2010-11-23 수초가 식재된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777A true KR20120055777A (ko) 2012-06-01

Family

ID=4660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957A KR20120055777A (ko) 2010-11-23 2010-11-23 수초가 식재된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57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91729C1 (ru) * 2015-04-07 2016-07-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Рыбозащитное сооружение "запань"
CN107034861A (zh) * 2017-05-23 2017-08-11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一种能够适应上游大水位变幅的混合型鱼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91729C1 (ru) * 2015-04-07 2016-07-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Рыбозащитное сооружение "запань"
CN107034861A (zh) * 2017-05-23 2017-08-11 水利部交通运输部国家能源局南京水利科学研究院 一种能够适应上游大水位变幅的混合型鱼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05064A2 (ko) 기초환경의 동시 복원을 위한 동식물간 공존환경 조성방법 및 그 장치
CN106145374A (zh) 一种具有修复功能的生态沟渠及该沟渠的铺设方法
CN1465242A (zh) 光诱除蚊装置
Mishra Living with Floods: People's Perspective
KR101231655B1 (ko) 복합형 어초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Tuchkovenko et al. The physio-geographical background and ecology of Tyligulskyi Liman Lagoon
KR20100088359A (ko) 인공하천용 민물 어패류의 자연서식가능한 서식구조체
KR101816075B1 (ko) 바이오폴리머를 이용한 투수성 식생 어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어소 시공방법
KR20120055777A (ko) 수초가 식재된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
CN112922084A (zh) 用于水利的雨水收集装置
JP2010136662A (ja) 浮体ビオトープ
KR100839660B1 (ko) 자연형 어도보를 갖는 하천
Evans et al. BMP pollution reduction guidance document
KR101282777B1 (ko)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JP3012485B2 (ja) ホタルの養殖装置
KR20150056728A (ko)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
JP2004089139A (ja) ビオトープ観察池
KR20040070980A (ko) 생물다양성 복원에 적합한 인공 생태늪
KR101271148B1 (ko) 생태형 농수로 조립블록
Uncapher et al. Creating rain gardens: capturing the rain for your own water-efficient garden
Gilmer Living on Flood Plains and Wetlands: A Homeowner's Handbook
CN217311688U (zh) 一种基于水力和光伏发电的森林防火系统
JP3081169B2 (ja) 水生生物用の人工水路
Kotschoubey Rehabilitation of the ecological functions of the senegal river delta
Ayivor et al. Impacts of Hydrological Changes of the Volta River on Local Livelihoods: Lessons for Re-Operation and Re-Optimisation of the Akosombo And Kpong D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502

Effective date: 20140212